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9

        263.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J군 정신건강센터를 이용하는 경증 이상의 우울이 있 는 중년기 여성 8명을 대상으로, 2012년 8월 30일 부터 2012년 11 월 15일까지 매주 1회 원예활동을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 램이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 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 측정 지와 우울 측정지 그리고 매 회기마다 프로그램 전과 후에 정서 측 정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보면 유 의확률 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사전.사후에 따라 차 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자아존중감은 사전 평균 2.37에서 사 후 평균 3.23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EBT Self-help과 정에서 논박을 통해 합리적 사고 전환 교육과 매개체로 활용했던 식물심기와 꽃바구니, 코사지 만들기 등의 원예활동이 자기이해와 자기수용을 도와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다음은 우 울의 변화를 보면 유의확률 0.012로 통계적으로유의하므로 사전. 사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우울은 사전 평균 1.98 에서 사후 평균 1.46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ABCDEF 원리 적용 반복 교육 후 매개체로 활용한 식물심기, 플라 워 토피어리만들기, 힐링가든 만들기 등의 원예활동이 심리를 끌어 내는 것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우울을 감소하게 되었다고 판단된 다. 정서의 변화는 프로그램 횟수가 증가 될수록 괴로움과불안함은 5회기 이후부터, 긴장감과 화남은 4회기 이후부터 감소하였고 자 신감은 3회기 이후부터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지도자가 REBT 집단상담 교육 후 원예활동을 매개로 집단원들에게 합리적 사고 전환과 긍정적 정서를 피드백하여 정서와 행동이 변화하게 되 었다고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원예활동을 활용한 REBT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전환 하고‘지금 여기에’존재감 있는 원예활동을 매개체로 자신과 타인 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이 감소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26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action degree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in cement paste was measured by water-binder ratio and GGBFS replacement ratio, curing temperature with ages using selective dissolution. In result of experimental, when water-binder ratio and curing temperature were high and replace ratio of GGBFS was low, reaction degree was estimated high.
        266.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1996년부터 2013년 4월까지 국내에서 다루어진 학령기 학생 대상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연구들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과 관련된 국내 논문 8편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들을 저자, 연구 참여자, 연구 유형, 연구 설계, 독립변인(프로그램 내용),측정 변인, 연구 결과로 나누어 1차 분석하였다. 2차 분석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분석틀에 근거하여 다문화미술 프로그램을 심층 분석하였다.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분석틀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학술지에 발표된 2009개정 다문화 미술교육과정 분석(박순덕, 김영순,2012)과 현장교사들의 다문화미술에 대한 인식(박순덕, 김영순, 2013)연구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2차 분석은 다문화교육, 교수-학습방법, 미술 활동 3개의 큰 범주로 나누고 11개의 하위 요소로 다양성, 문화상대주의, 편견과 차별 감소 교육, 학생 다문화 역량, 다문화학생 배려, 교육과정 재구성, 다양한 수업 방법, 통합교육, 체험, 표현, 감상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269.
        201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결과 원예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우울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그러나 대상자 수가 적고 연구기간이 짧아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향후 좀 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원예 치료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우울감소에 매우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한다.
        271.
        201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기간이 짧아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우울증이 심한 중년여성들에게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표현 및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도 원예치료 참여전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고, 사전, 사후 검사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우울감이 감소하고, 표정이 밝아지고, 보다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졌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중 흙을 손으로 만지거나, 색깔 있는 돌이나 모래들을 식물들과 함께 연출하면서 신체활동과 정서적 활동을 통해서 우울감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프로그램시 만든 작품을 자신이 아닌 다른 누군가에게 선물을 주고 싶어 하고, 그런 반응들을 기회로 의사소통의 통로를 마련하여 가정과 사회 및 직장에서 중년여성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유대감이 강화되었고,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향후 원예프로그램이 좀 더 창의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각 대상에 맞게 지속적인 치료활동으로 이루어진다면 직장생활을 하는 중년여성들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27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remodeling has been preferred to reconstruction. Remodeling the existing building structure by recycling has great advantages compared with reconstruc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ly contributions and reduced use of national resourses. However the story increase during remodelling cause serious problems of structure. This paper intoduces a way to analyze remodelled building using MIDAS GEN
        27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ase of the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for domestic masonry building, which are applied to the house for the aged in Busan city, was introduced. Seismic evaluation can be decided by comparing the seismic capacity index(Is) with the seismic protection index(Iso). According to the seismic evaluation, the seismic retrofit using metal lath and steel plate retrofit method was applied to the case of the lack of the seismic capacity. As a result of the retrofit, the seismic capacity was improved.
        27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4 percent of overall highway is concrete pavement, and the age of Chungbu highway is over. It is desirable to use same material for the maintenance of concrete pavement, but asphalt overlay is commonly used because lane closure time is directly related to the curing time of concrete. However, there is no study conducted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concrete pavement after damaged surface cutting. Therefore, falling weight deflectometor was used to evaluate structural evaluation of both asphalt pavement overlay concrete after cutting and asphalt pavement overlay, and 1.5 time higher deflection and 5.5% reduced load transfer efficiency were observed in cutting overlay comparing against non-cutting overlay.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reflective cracking in case of cutting overlay due to increased deflection and reduced load transfer efficiency
        277.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은 저체중에서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비만인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골밀도 검사에서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중년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골다공증과 체질량 지수의 상관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체질량지수가 18.5 미만을 저체중, 18.5 ~ 22.9를 정상, 23.0 ~ 24.9를 과체 중, 25.0 ~ 29.9를 비만, 30.0 이상인 경우를 고도비만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체질량지수 분포는 저체중이 2명(1.7%), 정상이 18명(15.0%), 과체중이 19명(15.8%), 비만이 75명(62.5%), 고도비만이 6명(5.0%) 이었다. 또한 체질량지수와 골다공증의 상관관계는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경우 18명 중 13명(72.2%)이 골다공증 이었으며 과체중 의 경우 19명 중 14명(73.7%), 비만의 경우 75명 중 63명(84%), 고도비만의 경우 6명 중 5명(83.3%)로 나타나 체 질량지수가 비만인 경우에서 골다공증 발생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은 체질량지수가 비만일수록 골다공증 환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 골감소증보다는 골다공증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