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84

        26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어머니의 코칭역량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만 3∼5세 유아 214명 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코칭역량, 양육효능감,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코칭역량의 하위요인인 성장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하 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양육자신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별로는 독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양육효능 감, 창의적 인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코칭 역량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실행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이 유아 창의적 인성에 상대적으로 영 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유아 창의적 인성을 돕는 중요 변인을 제시함으로써 부모 코칭프로그램의 개발 및 부모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6,400원
        26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s the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narrative contents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and behavior controlling cap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Microsoft's Kinect, a non-contact motion sensing device, and NeuroSky's MindWave, a BCI device, are connected to Unity 3D engine to capture user's motion and brainwaves, respectively. The given narrative contents interactively respond to children with ADHD while they are reading the contents and performing the given tasks presented in the behavior training game system.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contents are suitable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 children. For this,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s is first observed by five adults and two children. Then the system is tested by three ordinary first graders. During the experiments, the children easily figure out the given texts and do what the game contents drive for the player to react. All three kids concentrate on the reading contents without leaving their seats for average 37 minutes.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 contents are properly designed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terms of reading speed, reading completion time, complexity level, and task performance. Based on this experimental study, the interactive narrative contents will be used to conduct full-scale experiments with children with ADHD.
        4,000원
        26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중년 여성들이 학생상담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을 통해 청소년기 자녀 에 대한 이해 변화와 자기성장을 이루어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지역의 학생 상담자원봉사협의회에서 4년 이상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주로 40대에서 50대의 여성 봉사자 9명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청소년기 자녀 이해 변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 장의 아이들을 접하면서 이들은 청소년기 아이들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청소년기 자녀 이해 과정 에서 이들은 자녀의 마음 읽기, 기다려주기 등 공감적 이해를 할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셋째, 상담 봉사 경험을 하게 되면서 자녀 양육태도도 점검하게 되고 부모-자녀관계의 개선을 위해 자신을 변화시키 고 있었다. 넷째, 상담교육과 경험을 통해 얻은 의사소통기술이나 대화법 등의 실제적 적용은 자녀와의 의 사소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자녀와의 관계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연구 참여자들은 봉사활동 경험을 통하여 자기성장의 의미를 터득하고 있었다. 첫째, 상담 관련 교육을 받고 공부하는 과정 에서 봉사자들은 자기주도 학습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둘째, 상담 관련 교육과 경험은 자기이해와 자기반 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상담봉사활동을 통해 자기만족감, 성취감을 느끼고 있으며, 자아 존중감 향상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봉사활동을 통하여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존 중할 수 있는 태도도 기르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상담자원봉사협의회의 회원으로 함께 활동하며 소속감 과 사회적 지지 향상에 도움을 얻게 되었다.
        6,400원
        265.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recent years, leading digital technology companies have shown a strong interest in enabling children to send electronic word of mouth (eWOM). Recasting children from passive to active participants in marketing communications, this shift expands children’s marketing practices from how a company influences children via traditional marketing communications to how children influence a company’s marketing practices through eWOM. This paper aim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bout the use of children’s eWOM in marketing communications when children’s eWOM and children’s marketing begin to intersect. The eWOM literatur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eWOM on product sales without identifying the sender (King, Racherla, & Bush, 2014). The extension of the effects from aggregated sender to children needs careful study in light of children’s marketing literature which showed children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marketing (Cross, 2002).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ositive expectation of business impact that explains firms’ adoption of children’s eWOM and further investigate the normative concerns about the social influence of children’s eWOM.
        266.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An individual’s Persuasion Knowledge is his or her knowledge of the persuasive nature of messages (Freisted and Wright 1994). Most adults are assumed to have this knowledge that enables them to be sceptical of persuasive messages, and to incorporate this information in their decision-making about promoted products. Children are viewed as vulnerable to persuasive messages (Nelson 2016) because they have not developed the appropriate knowledge base to be sceptical of messages (Mallinckrodt and Mizerski 2007) and thus unable to discount the claims made by marketers. This lack of ability to be sceptical is argued to lead to “…the vulnerability of young audiences to the negative effects of advertising” (Nelson 2016, p. 169) like obesity, materialism, poor quality of life and higher rates of mortality. Because of the wide acceptance that young children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persuasive messages, advertising targeting children has been banned in several countries and proposed for others (Mizerski et al. 2016; Wang 2016). Many studies about Persuasion Knowledge or Advertising Knowledge (communication research) have been published over the 40 plus years since Ward (1972) first discussed the concept. However, few studies have tested whether Persuasion Knowledge is an antecedent to children’s sceptical responses to persuasive messages. The 11 studies that have tested the link (see Mizerski et al. (2016) for a review) used a wide variety of single item or reflective measures (measures that reflect the construct). They provide inconsistent findings except that the child’s ag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quiring knowledge about persuasive messages like advertising or playing advergames. For example, while most researchers assumed or argued a positive link between young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and their scepticism, Buijzen (2007) and Christenson (1982) failed to find this link. Robertson and Rossiter (1974) reported children’s understanding of persuasive intent (commercials persuade one to buy thing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young children’s scepticism, but assistive intent (commercials tell one about things) was negatively related. The inconsistent findings of children’s responses to commercial messages may be due to more than the lack of consistent measures. The use of reflective rather than formative measure of young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may be another reason for inconsistent findings. “Young” children are those under eight years old (Mizerski 1) shashaatperth@gmail.com et al. 2016), but a lack of sufficient persuasion knowledge has been found with children over 16 years old (Carter et al. 2011). Most recent studies have adopted the Freisted and Wright (1994) Persuasion Knowledge Model that is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an adult buyer. Adults tend to have obtained Persuasion Knowledge so their knowledge may be captured with measures that reflect the construct. Young children are in the process of obtaining Persuasion Knowledge.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message and the persuasive intent of the source are often cited as antecedents to having Persuasion Knowledge. These constructs form over time and cause persuasion knowledge (Nelson 2016). Therefore, it should be a formative measure. Measuring social class is a classical formative measure because causal elements like where you live and your profession can’t be accurately calculated for children. Social class forms over time. The use of a reflective measure when a formative measure should be used leads to several problems (Diamantopoulos and Siguaw 2006; Diamantopoulos and Winklhofer 2001), particularly an increase in Type II errors-“false negatives” (MacKenzie, Podsakoff and Jarvis 2005). For example, this means ruling out a causal element of persuasion knowledge when it is causal. This paper will compare existing single item or multi-item reflective measures used with young children, with a formative measure of the Persuasive Knowledge construct. The best way to validate a construct is to test it with external variables empirically and theoretically linked to the construct, including both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Diamantopoulos and Winklhofer 2001). Three variables, theoretically and/or empirically linked with young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are tested in a baseline model to assess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construct. These variables are age (Ward 1972), responses toward persuasive marketing messages (such as scepticism) and affect toward the persuasive messages (Mizerski et al. 2016; Wang 2016).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goodness-of-fit measures for the model using the formative measure of young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will provide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the reflective measures. To further test the formative nature of young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two additional models are tested. Researchers are responsible to set the weights of indicators of a formative construct, so a formative model with expert knowledge weights is developed (Figure 1). The indicators or elements of a formative construct should be able to reveal different facets so another model with different facets is developed. Consistent findings of the two models and the proposed baseline model will further support the formative nature of this construct. Apart from content validity and external validity, we also test the measures of the construct with another data set (Mallinckrodt and Mizerski 2007) to test the models’ generalisability. The Mallinckrodt and Mizerski study used children from a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ustralian vs. Chinese young children), but have similar ages and measures of Persuasion Knowledge and external variables. Further confirm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model is provided if the same relationships are found with the second data set. Methodology Sample The population to be sampled are young Chinese children. China was selected because it has the largest population of young children, is the largest market for toys and a children’s toy is the stimulus product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sample frame is day care schools in a Northern Chinese city of approximately eight million people. Procedure This is an experiment-based study with a control group. After individual exposure to a toy TV advertisement for a “magic ruler” that can be made into many different shapes with a Dinosaur shape shown in the ad, participants were each asked to answer questions. Cartoon pictures of the question options accompanied by verbal statements were us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responses on Persuasion Knowledge related questions. To reduce any effects of young children choosing the first option they see, pictures or options were shown in a random order. Children were told that there is no right or wrong answer, and they could withdraw at any point. Measures Persuasion knowledge was measured three ways; including a single-item measure, a summated-items measure, and a formative measure. Through an analysis and coding of 20 studies that tested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Mizerski et al. 2016), six items were found to measure the Persuasion Knowledge construct. The single-item measure used is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advertisers’ intention to make them ask their parents to buy (parent-buying intent). This was treated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persuasion knowledge by several researchers (Carter et al. 2011; Mallinckrodt and Mizerski 2007). A summated-items measure included six items, frequently used in prior scholarly work. The formative measurement model was built using the same six items but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influence, with the causal flow from measures to the construct. Other variables include the children’s scepticism, their belief of false claims made in the ad and affect toward the toy TV advertisement (see Figure). After a CFA analysis with five questions, the scepticism factor score was derived as a standardised measure that followed a normal distribution. Scepticism ranged from -0.59 to 1.35, with an average of 0.07 and SD of 0.68. Belief of false claims (named as “false beliefs”) shown in the TV advertisement indicated that most children did not believe the two false claims included in the ad (84% and 69% respectively). Affect towards the toy TV ad was measured using one question: “Do you like this video?” to which most children (88%) indicated yes.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 Fifty-four different patterns or combinations of the six persuasion knowledge items were found. This pattern show substantial heterogeneity in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and further illustrates that young children are accumulating or forming their Persuasion Knowledge (Friestad and Wright 1994). In addition, these items have low correlations to one another that are typical of a formative measure. These findings of variability of knowledge levels and weak association between them indicate the potential multiple-dimension, formative nature of the construct of persuasion knowledge for young children. This may apply specifically to young children who are at the stage of increasing their learning abilities and developing or forming their knowledge. No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structural models using the reflective single-item measure and summated-items measure of persuasion knowledge, and the models showed a poor fit. However, relationship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model that applied the formative measure of persuasion knowledge, with good model fit (see Table 1). Because a formative measure is supported, we tested the formative nature of Persuasion Knowledge on a previous study’s data (Mallinckrodt and Mizerski 2007). A formative model using that study’s data showed the same relationships between Persuasion Knowledge and its external variables. This consistency supports a formative measure of young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Any review of future or past research should note the possible impact of using reflective measures of young children’s Persuasive Knowledge. To generalise the findings more research needs to be done for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and age groups. More product categories, such as food and movies, and age groups c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ile few studies have tested the association of young children’s Persuasion Knowledge to scepticism toward the message, even fewer have tested the link of scepticism to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the advertised product (e.g. like, prefer, choose). Most of these studies do not find a link. If having Persuasion Knowledge doesn’t influence a young child’s desire for the brand, why teach it (e.g. Nelson 2016) or ban advertising because the children don’t have Persuasion Knowledge? Perhaps using a formative measure the link will be found.
        4,000원
        26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computer literacy of childcare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to get information about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and their physical and educational condition.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7.0 program on the data of 293 teachers who work in childcare centers in capital area,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computer-related physical environment and computer training did not affect the teachers' computer literacy. Second, taking computer course had effects on the basic skills, word-processing ability, internet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puter program utilization. Third, the number of hours of using computers affected the ability to install and maintain computers. Fourth, the purchase of computer-related books and magazines and the number of computer programs they use had an effect on their computer program utilization.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imply what is needed for improving childcare teachers' computer literacy in terms of institutional support.
        4,000원
        26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과 섭취 실태/행동을 알아보고, 또 성별 및 학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일개 도시의 13개 초등학교 주변에서 무작위 추출된 초등학생 306명(남 188명, 여 118명)에 대하여 직접면담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전체적으로 20% 이상의 학생이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지식이 없었으며 또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정보원이 없었다. 또한 60% 이상의 학생이 1주일에 1~2회 이상 학교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로는 학교가 37%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가정 16%이었다.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의식 및 행동을 나타내는 요인들 중에서 지식과 정보 습득 경로는 성별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 < 0.05). 또 지식, 정보 습득 경로, 태도, 섭취 이유에 있어 학년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 < 0.05). 남자 어린이가 여자 어린이보다 지식 수준은 높았으나(p < 0.05), 태도는 낮고 또 섭취 빈도가 높았다. 학년이 높을수록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지식과 태도 수준이 높아지고 다양한 정보 습득 경로를 가졌으나(p < 0.05), 또한 섭취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대상자의 지식과 태도/행동의 불일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주요 정보 습득 경로인 학교급식 프로그램과 학교 및 가정에서의 식품위생/안전교육이 더욱 향상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더불어 학교주변에서 불량식품에 대한 규제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26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를 파악하고 부모의 상담욕구를 확인하기 위한 목 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에 소재한 소아정신과 의원, 복지관, 사설 센터의 작업치료실을 이용하 며 주 1회 이상 작업치료사와 상담을 받은 장애아동 부모 및 가족 177명이었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 반적 정보,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실태와 부모의 상담욕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92.0%는 정기적으로 부모상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상담 시 다루는 내용은 작업치료 과정 및 프로그램 정보, 장애아동의 행동 특성과 대처 방법, 작업치료의 목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순으로 응답하였다. 부모상담의 효과는 자녀의 발달수준과 작업치료의 이해도를 높이고 치료 를 지속적으로 받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부모의 상담욕구 중 원하는 상담 내용은 장애아동의 행동특성과 대처방법 제공, 치료과정 및 프로그램 정보제공, 자녀의 발달에 대한 정보제공 순으로 필요 하다고 응답하였다. 부모상담욕구 중 시간 및 시점은 현황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 께 상담 받고싶은 욕구가 높았다. 결론 :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작업치료에서의 장애아동 부모상담 시 부모의 욕구를 반영하여 효 과적인 장애아동 부모상담을 계획하고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271.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한자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교육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한자교육을 통해 어휘력을 신장할 수 있고 문해능력 및 학습능력이 향상될 뿐 아니 라 우리의 정체성 확립과 인성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자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적절한 교재의 선정과 교육방법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한자와 관련된 교육과정 자체가 부재하고 국가적 수준의 교육용 기초 한자마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활용되어 온 교재에만 머물지 말고 한자문화권 아동들이 사용하는 초보적인 교재에도 눈을 돌리는 시도가 필요하다. 현재 중화문 화권의 아동들의 경전교육의 가장 기초교재인《弟子規》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할 만하다.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교과를 재구성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활동 시간 등에 실험적으로 접근해 본 결과, 보완을 거친다면 충분히 적용해 볼 만한 가치가 있었다. 《弟子規》는 청나라 때부터 현재까지 아동경전교육의 기초교재로 중화문화권에서 애용되고 있 는 책으로 3字1句, 4句1意의 형식으로 전체가 360구, 1080자밖에 되지 않는다.《弟子規》는《論語ㆍ 學而》 제6조를 근간으로 하여 공자의 핵심사상을 서술하였다. 《弟子規》는 우리 아동들에게 필요한 한자학습을 쉽고 재미있게 인도하는 기초 입문서이며 도덕 교과서이기도 하다. 이 책의 장점은 우선 첫째로 단순히 한자의 낱자를 배워 익히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세 글자만으로도 여러 형태의 문장이 만들어지는 것을 자연스레 습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운율과 일정한 대우ㆍ대구 규칙이 있어서 암송과 한문 문장의 구조파악이 쉽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교육용 한자와의 상응도가 아주 높고 비교적 획순이 적은 한자를 사용하였 기에 아동들이 입문기에 알아야 할 상용한자를 쉽고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점이다. 셋째,부모님과 주변 사람을 대하는 태도, 바람직한 행동과 생활태도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지식 축적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성교육까지 함께 도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사상 및 문화와 관련이 깊은 유가의 핵심과 기초사상을 알 수 있고 인문학적 소양을 넓혀서 동양문화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궁극적으로 한자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계몽교재로 《弟子規》를 초보적인 단계에서 활용할 것을 적극 제안한다. 이를 위해 뜻을 같이 하는 교사들과 연구자들이 모여 아동들의 발달 단계와 교과내용을 고려한 교재 연구 및 효과적인 교수방법ㆍ교수 자료를 함께 계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훨씬 효과적일 것이다.
        6,400원
        272.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자신들을 한국인으로 강하게 동일시한 다. 강력한 동화정책의 영향으로 어머니의 출신문화에 대해서는 전연 무시한 채 자신이 한국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단일민족적 사회화 과정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그것은 자신들의 배경으로 작용하는 문화적 전승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한국인으 로만 동일시하는 것은 자신의 전체를 반영하지 못한 채 반쪽만 반영하는 것이다. 그런 동일시는 어머니에 대한 죄책감과 불충의 감정으로 이어 질 수 있다. 둘째,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자신들을 한국인으로 동일시하지만, 한국사회는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왜곡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는 점이다. 자칫 그들의 전 생애가 한국사회에서 주변인으로 영구적으로 고착된 채 전개될 위험이 크다. 연구자는 대안적으로 이중문화 정체성을 개발하고 수립할 것을 제시한다. 그것은 우선적으로 자신들의 내면세계를 정확히 반영하는 것이기에 건강한 정체성 수립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것은 정확한 자기 이해에 토대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의 왜곡된 시선과 인식에도 흔들림 없이 자신의 삶을 펼쳐 나가는 바탕을 제공한다. 이런 이중문화정체성의 수립을 위해서는 그간에 억압되고 무시된 필리핀인 정체성과 필리핀 문화정체성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끄집어 낼 필요가 있다. 그런 목적을 갖고 연구자는 2013년부터 매년 1회씩 3회에 걸쳐서 모국방문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필리핀 문화를 직접 체험하면서 자신의 또 다른 문화적 뿌리에 대한 이해를 강화해 나갈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자신 속에 내재된 필리핀 문화에 대해서 새로운 자각의 기회도 가질 수 있었다. 3회의 캠프와 캠프를 전후한 사전, 사후 프로그 램은 자녀들에게 필리핀 사회와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필리핀어 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를 부여하였다. 체계적인 모국방문 프로그램은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체성을 현재의 단일문화적인 것에서 이중 문화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런 프로그램은 향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다른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을 대상으 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그러할 때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이 보다 건강한 정체성을 갖고 성장하게 될 것이고, 글로벌화하는 국제환경 속에서 보다 유능한 인재들로 자라나게 될 것이다.
        7,700원
        27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facilitate appropriate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in children’s food service stations, with the ultimate objective of providing sanitary and safe food service to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questionnaire item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detailed interview of working-level personnel at a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support center. This resulted in a total of thirty questions on personal hygiene management, food materials hygiene management, and facilities hygiene management. Using the questionnaire, seventy-one food service stations for children in District A in Seoul that serve less than one hundred children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correlation in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ten task and environmental hygiene management questions, five personal and cooking hygiene management questions, four food ingredient and storage hygiene management questions, and four food service operation and management question; with a total of twenty-three questions, in four factors stated above.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the four factors was 54.698%, and Cronbach’s α value was 0.672~0.853, which indicated that the study was reliab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each of the factors were correlated, the study was satisfactory, and the tool was valid for evaluating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practices in children’s food service stations. Finally, in order to enhance practical util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described.
        4,600원
        274.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슬로라이프 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제 적용 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ADDIE 교수체제개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 쳐 체계적인 5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의 Y초등학교 교육군 130명을 대상으로 프로 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같은 소재의 J초등학교의 같은 학년 100명을 대조군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여부를 평 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생활의 주 체적인 실천을 도모하기 위하여 슬로라이프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아동 개인의 건강한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건강한 식생활 실천, 가정에서 의 가족식사를 통해 배려하고 감사하는 식생활 실천, 지역사 회의 농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환경을 사랑하는 식생활 실천,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깨닫고 전통음식을 즐기는 식생활의 실 천을 목표로 그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야기하기 활동, 시각적 자료 등을 이용한 이론 학습 활동, 식재료를 이용한 감각체험 활동, 조리·조 형 활동 등 체험활동 위주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활용 가능성여부 파악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다. 2)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판정을 위하여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TPB)의 변수를 이용하여 교육군과 대조군의 교육 전· 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교육 전, 동질성 검증을 통해 지식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 있어서 두 그룹은 유의적으로 다 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육 후 교육군은 모든 계 획행동이론(TPB) 변수에 있어서 유의적 변화(p< .01)가 나타난 반면, 대조군은 지식 및 행동 의도에 있어서만 약간의 유의적 차이(p< .05)가 나타나 교육에 의한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3)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 모형의 적합도 검정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슬로라이프 식생활 실천 행동에 미 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행동 변화를 예측한 결과, 태도와 지 각된 행동통제, 행동 중요도 변수는 행동 의도의 선행 요인 이 되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 중요도, 행동 의도는 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식과 주관적 규범이 행동 의도의 독립 변수가 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교육의 목적이 지식 향상과 더불 어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임을 고려하였을 때 5주 간의 교육은 아동의 식생활 습관 전반에 걸쳐 행동의 변화 를 유도하기에는 짧은 기간으로 생각되어 연구의 한계를 나타낸다. 연구에서 보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의 행동 변 수의 변화는 일시적일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긍정적인 효과의 지속 여부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추후 반복적인 교육 과 유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확장된 개념의 계획행동이론 (TPB)을 적용하였으나 교육 내용과의 일치 및 변수에의 적용 등을 고려하여 검증되지 못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데에 있어서 연구의 한계를 나타냈다. 추후 개발되는 식생활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 및 이론을 적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연구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교 고학년 아동의 식생활의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으므로, 향후 초등학생 대상의 바람직한 식생활 함양을 위한 교육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지역의 특색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활발한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아동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4,000원
        275.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가람놀이, 아라놀이, 어울림으로 구성된 『우리는 너나들이』협동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 력을 키우는데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자의 만5세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연구되었 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 신장을 실행목표로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협동 활동을 구안하고 환경을 조성하였 으며, 『우리는 너나들이』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활동자료를 제작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또한, 『우리는 너나들이』협동 활동과 연계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사회적 능력 평가, 또래평정법, 학부모와 동료교사의 증명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확인하였다. 협동 활동에 대한 유아의 인식은 개념과 필요성, 관심, 실천 등에서 폭 넓고 깊게 변화되었다. 이에 유아 협동 활동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당연성을 갖게 되어 다양한 관련 연구와 동료와의 협력 체계를 제언한 다.
        4,900원
        27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영아 자유놀이에 대해 교사가 가지는 의미를 알아보는 데 있다. 따라서 자유놀이에 대한 의미를 재인식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자발적인 의지를 가지고 있는 보육교사 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사전․사후 심층면담과 함께 주 1회씩 총 8회기의 자유놀이에 대한 반성적 저널을 써서 연구자에게 보내 왔으며, 연구자가 이를 질적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해 내었다. 결과로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를 시작하면서 반성적 저널쓰기를 경험하게 되었는데, 이를 통해 ‘반성적 사고와 깨우침’을 얻게 되었고, ‘교수자로서의 교사역할 을 반성’하게 되었다. 둘째, 반성적 사고를 통해 ‘자유놀이에서의 교사역할을 탐색’하며 교사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자유놀이를 운영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성장을 가져왔다. 따라서 반성적 사고의 발화는 교사로서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실천적 지식으로 이어져 영아들의 자유놀이가 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 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성취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성취감은 동기를 유발하여 자유놀이를 운영하는 데 있어 반성적 사고를 활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이루게 되었다.
        5,500원
        27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ore set (ICF-core set) for children and youth (CY) with cerebral palsy (CP) provides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and a guide for health care planning and measuring the changes brought by interventions across a multitude of dimensions from body functions to personal activities, social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m. Objects: This single case study was reported to illustrate the use of a goal directed approach in applying the ICF-core set for CY with CP from a physical therapist perspective. Methods: An eleven year old boy with spastic CP,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level V, and his mother participated in an evaluation of his functioning state. The intervention goal was set through an interview using the ICF-core set,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and Goal Attainment Scale (GAS). Physical therapy was carried out on an outpatient basis using a goal directed approach for 30 min, 1 time/week during 12 weeks and the boy’s gross motor function was assessed using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66 version (item set 2)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s measured by the boy’s mother, the COPM score showed a meaningful clinical change (performance=mean 3.5, satisfaction=mean 2.5) and the T-score of GAS changed 34.4 after the goal directed approach. The GMFM-66 (item set 2) score changed from 31.8 to 38.7 and evaluation using the ICF-core set displayed improvement in 6 items of activity level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ICF-core set for CY with CP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functioning of CY with this condition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share and integrate information and opinions from different disciplines. We consider it as a useful tool in the universal language for the therapy and education of CY with CP.
        4,000원
        27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game-oriented life according to their game usage patter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1,861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panel data from th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data analysis, SPSS WIN 21 program was used to conduct one-way ANOVA. The result shows that the frequency of game play, the number of hours they play game on weekdays and weekends and the time span of game play were related to the game-oriented life. However, this tendency was not applied to those who don't play game at all. This suggests it could be more desirable to regulate students to play game for an appropriate amount of time rather than prevent them from playing games at all,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the potential problem according to playing games.
        4,000원
        27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fairy tale system directed behavior training game platform with brainwaves and motion sensing cognitive technologie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hildren. The system includes three major functions: 1) the brainwaves and motion recognition; 2) the interactive intervention with narrative contents; and 3) the sensor and intervention data management. The narrative contents combined with fairy tales and other elements for the game platform including characters, perspectives, quests, and scenes are integrated into the system. While a child is playing a given fairy tale, the child’s brainwaves and motion sensing data are transmitted to the system. This system simultaneously controls the intervention procedure, helping the child concentrate on the story and accomplish quests appropriately.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ystem is to help children with ADHD manage their behavior by continuously intervening them to increase the attention to the fairy tales and feel confidence on themselves with the improved test results.
        4,000원
        280.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 문제에 관한 문헌을 종합하여 작업치료적 관점에서 감각통합에 대한 평가 및 중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2006년 1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출판된 청각장애가 있는 아동의 감각통합에 대한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검색엔진은 PubMed, Scupus, Web of science 그리고 학술지검색은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를사용하여문헌을수집하였다. 검색에사용된용어는“children”, “deaf”, “hard of heari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hard of hearing”, “hearing impairments”, “sensory integration”, “Sensory processing”와 “occupational therapy”이다. 선정된 문헌은 각 연구의 특성과 근거의 강점을 평가하여 근거수준에 따라 요약하였다. ◉ 결과 : 선정된 연구는 총 4편이며 연구참여자는 91명이었다. 청력손상이 있는 아동은 청각과 전정감각의 손상 외에도 구강감각, 촉각, 시각에서의 제한이 있어 감각통합의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초래되었다. ◉ 결론 :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작업치료적 관점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에 관한 정확한 평가 및 중재의 시행이 요구된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