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0

        26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bacute toxicity of xylooligosaccharide (XO) was evaluated in SD rats. Groups of 60 male and 60 femal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0, 333, 1000 or 3000 mg/kg of XO for 13 weeks. The changes of body weight, food and water consumption were investigated for 17 weeks, while heamatological value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investigated at the end of the 13 weeks and 17 weeks including 4 weeks of recovery periods. No death and toxic effects were observed during the test perio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everal parameters, but these change had no direct relationship to dosage. Clinical changes were general occurrence and no specific toxicity was related to XO. Gross necropsy and histopathology revealed that no target organs were found in the treated mouse with XO. According to the results, no-observed effect level of XO is estimated to be above 3000 mg/kg.
        4,900원
        263.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tally, twenty seven specimens of tiger puffer, Fugu rubripes rubripes were collected at Jagalchi fish market in Pusan, Korea during January, April and September in 1995. Anatomical distribution of pufferfish toxin in tiger puffer was examined by mouse bioassay. The frequency rate of toxic specimens containing ≥ 10 MU/g was 14.8% in liver; 16.7% in gonad; and 14.8% in skin, and no toxin was detected in muscle. The highest toxin level found was 160 MU/g in liver, 600 MU/g in gonad and 26 MU/g in skin, and each average toxin level (mean ± standard error) was 7 ± 6, 50 ± 35 and 5 ± 1 MU/g, respectively. Some specimens collected in January and April were toxic, while none of the specimens collected in September showed its toxicity. Although toxicity of tiger puffer showed the seasonal variation, tested tiger puffer was evaluated as a safe seafood for consumption, in that an acceptable level of toxin was found in the edible muscle and skin.
        4,000원
        264.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d2+이 닭의장풀의 엽록소 함유량, 기공 크기, 수분퍼텐셜, 이온 수송에 대한 효과와 기관내의 카드뮴의 축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3주간 성장한 닭의장풀을 Hoagland용액(±5mM Cd2+)에서 4일 동안 수경배양하였다. 카드뮴은 식물의 뿌리, 줄기 그리고 잎 등 모든 기관에 축적되었다. 뿌리로부터의 거리와 잎의 나이 등이 카드뮴 분포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대부분의 Cd2+이 뿌리로부터 가장 인접한 성숙한 첫 번
        4,000원
        265.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에 대한 NeemAzal-T/S의 농도별 독성을 leaf disk법으로 시험하였다.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의 성충살비율은 100ppm에서 각각 97.7%, 20.0%로 나타났다. 점박이응애의 산란수는 100ppm에서 0.0개, 무처리 18.5개 였으며 긴털이리응애는 100ppm과 무처리에서 각각 1.6개, 2.9개였다. 부화율은 50ppm에서 점박이응애 52.8%, 긴털이응애는 100%였으며, 100ppm에서는 각각 2.5%, 91.3%로 점박이응애가 긴털이리응애보다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약제처리유무에 따른 영향은 choice, no-choice 조건에서 시험한 결과 choice조건에서 점박이응애는 약제가 처리된 잎에 전혀 산란하지 않고 약제가 처리되지 않은 잎에만 암컷당 13.8~18.2개 산란하였다. 긴털이응애는 먹이(점박이응애 알)의 약제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산란하였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의 포식력에서 choice 조건의 200ppm에서만 차이를 보였을 뿐 다른 농도에서는 먹이의 약제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비슷하게 포식하였다.
        4,000원
        26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6년과 1997년에 남조류가 발생한 여러 호수에서 microcystin-RR, microcystin-LR, microcystin-YR의 함량을 정량하였고, 쥐를 이용하여 독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양호를 제외한 모든 호수에서 Microcystis속의 종 들이 우점하였으며 전체 남조류 발생 호수의 시료에 대한 독소 검출의 빈도는 85%이였다. 조류세포내 총 microcystin의 함량은 0.29~2.61 mg/g이었으며 수중의 농도로 환산하면 0.4~21.6 μg/l이였다. 독소 함량은 1996년 보다 1997년에 높았고, 세 종류의 microcystin중 microcystin-RR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각 시료의 쥐에 대한 LD50은 총 microcystin함량과 LD50의 상관관계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화학분석에 의해 microcystin이 검출된 시료의 추출물이 주입되었을 때 쥐의 치사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microcystin 함량의 화학분석결 과와 bioassay 결과는 잘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며, 영랑호 시료를 대상으로 실측한 LD50은 경험식으로 계산된 LD50과 일치하였다. 대상호수의 LD50은 27~338 mg/kg 의 범위로서 국내외에서 보고된 것에 비하여 높은 독성을 나타냈다.
        4,000원
        26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 of quinolinedione derivative (OQ-21) on phenylephrine induced vasoconstriction was investigated using aortic rings in organ bath isolated from rats. Treatment with OQ-21 resulted in moderate increase in vasoconstri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we studied acute intraperitoneal toxicity of OQ-21 in male and female ICR mice. The changes of body weight and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for 7 days after single dose of OQ-21 from 50 mg/kg to 500 mg/kg.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and clinical signs. Any mouse didn't die even at maximal dose. Autopsy of OQ-21 treated mice revealed no abnormal difference from contol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Q-21 be moderately safe and could be developed as effective drug.
        4,000원
        269.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alytic shellfish poison threatens public health most seriously from April to early May every year and gives adverse effects on export of these products. Major shellfish products exported were canned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blue mussel, Mytilus edulis. Toxicities of canned shellfishes with toxin of low levels were mostly inactivated during the processing; in contrast, residual toxicity was of great concern with canned products from highly toxic shellfishes.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food safety measure by evaluating the changes of toxicity during 2 year storage of canned products with toxic blue mussel and oyster. An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two samples. Boiled can and smoked can showed inactivation of toxicity to some extent, whereas acidified can did not show reduction of toxicity even after 2 year storage. In case the initial toxicity of shellfish was high long term storage could not inactivate the toxicity of the canned product.
        4,000원
        270.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ute toxicity of xylooligosaccharide(XO) was evaluated in SD rats. Groups of 15 male and 15 femal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XO (0, 5000 or 10000 ㎎/㎏). The changes of body weight and clinical signs were investigated for 14 days after treatments. No death and toxic effects were observed for 14 days. Soft stool and diarrhea appeared right after treatment for over dose and non-digestive feature of XO but these clinical signs disappeared on the next day.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and abnormal gross findings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XO. According to the results, XO has no special toxic effects and LD50 values of XO are above 10000 ㎎/㎏ in male and female rats.
        3,000원
        27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적합한 새로운 독성실험 어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생물 선정기준을 참고하여 실험대상 어종을 선정하였다. 분포범위가 넓고 풍부도 높은 어류를 선정하기 위하여 1983년부터 1990년까지 전국의 총 5,150 지점에서 실시한 어류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분포범위 (채집된 지점수)와 풍부도 (상대풍부도) 조사항목 모두 상위 20위 이내인 어류 19종을 선정하였다. 분포범위와 풍부도 조사항목에서 선정된 19종의 어류를 대상으로 성체의 전장이 10 cm 미만이면서 성적성숙 기간이 1년 미만인 어류를 선정한 결과, Rodeus ocellatus (흰줄납줄 개),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Aphyocypris chinensis (왜몰개) 등 3종이 선정되었으나, 산란의 매개체로 석패과(Unionidae) 패류를 사용하는 Rodeus ocellatus (흰줄납줄개)는 대상 어종에서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와 Aphyocypris chinensis (왜몰개)에 대하여 실험실 환경조건에서 사육실험을 실시하여 순화의 용이성과 연중 자연산란이 가능한지를 조사한 결과, 기생충 감염이 쉽게 이루어지고, 재산란 유도가 까다로운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보다는 모든 관찰항목에서 참붕어 보다 뛰어나며 특히 실험실 환경조건에서 재산란 유도가 가능하고 사육이 용이 한 Aphyocypris chinensis (왜몰개)를 실험대상 어종으로 선정하였다.
        4,000원
        27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ute oral toxicity of organogermanium, Ge-132 was evaluated in rats and mice. The changes of body weight and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for 14 days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of Ge-132, from 0.31 g/kg up to 5 g/kg for SD rats and from 1.25 g/kg up to 5 g/kg for ICR mice. No death and toxic effects were observed for 14 days. The body weight of ra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1 day after the administration in the maximum dosing group, but the decrease of body weight returned to control level 3 days after dosing.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mice. Autopsy revealed no abnormal gross findings related to Ge132. Therefore, Ge-132 has no special toxic effects up to 5 g/kg, and LD_(50) values of Ge-132 are above 5 g/kg in rats and mice.
        4,000원
        276.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uh Sung Y.L.S.-95 is one of the polyacidic solution of which main component is acetic acid. We investigated the subchronic toxicity of the Guh Sung Y.L.S.-95 using SPF ICR mouse for 4 weeks. The Guh Sung Y.L.S.-95 was administered by gastric intubation, 1.0, 2.5, 5.0 g/kg body weigh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no adverse effects on the clinical obserbation and body weight changes. Also, there are some significant changes in organ weight, but it was meaningless because of the absence of dose-response relationships. 2. In the hematological patterns of administered mouse, there are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he treated groups. Also, there are no serological enzymatic changes in the treated mouse. In the 1.0 g/kg treated group, ASP activity was increased significna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this level of activity was fall under the normal physiological range of control mouse. 3.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the brain, liver, heart, spleen, kidneys, stomach, lung, testis, ovary, uterus and thymus were not observed in the treated mouse. From the above results, the Guh Sung Y.L.S.-95 has no toxicity upto the 5.0 g/kg/day of oral dose for 4 weeks.
        4,000원
        277.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reported that G009,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Ganoderma lucidum IY009 has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inflamatory, antiviral, anticarcinogenic and immunomodulation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ubacute toxicity of orally administered 6009 in Sprague-Dawley rats. Groups of 40 male and 40 female rats were gavaged with 0, 500, 1,000 or 2,000 mg/kg/day for 30 days. No drug-related deaths and clinical morbidities were resulted. There was no drug-related effect on the body weight gain, food consumption and water consump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several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G009-treated groups; however, most of these changes were within normal range and had no relationship to dosage. Urinalysis and bone marrow biopsy showed no remarkable changes in all treated groups. Gross necropsy and histopathology revealed no evidence of specific toxicity related to G009. Our data indicate that no-observed effect level of G009 is estimated to be above 2,000 mg/kg/day in rats.
        4,200원
        278.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한 fenpyroximate의 독성에 비교하기 위하여 농도별로 처리한 강남콩 엽편에 두 종의 자성충과 난을 접종하여 시험한 결과, fenpyroximate는 점박이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6.25~50ppm에서 58~74%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는 처리농도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점박이응애 자성충은 6.25~50ppm에서 32~40%가 잔존하였지만 모두 활동불능되었으며, 산란수도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한 유.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 유.약충의 생존율은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6.25~50ppm에서 16~48%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그러나 점박이응애의 경우는 6.25~50ppm에서 성충태에 이른 개체가 전혀 없었다. 중독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생존율과 산란수 및 차세대의 성비에 실질적인 변화가 없었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농도라 할 수 있는 6.25~12.5ppm의 농도는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에서 긴텅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밀도비율을 조절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79.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원에서 사용되는 살비제 5종, 살충제 4종, 살균제 6종올 추천농도로 희석하여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상대독성을 엽침지법으로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Dicofol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 독성이 매우 강하였으며, 이들의 난에 대해서도 각각 46%와 40%의 致死效果가 있었다. Abamectin 용액에 침지된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의 사망율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점박이응애의 암컷성충은 24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다. Tetradifon, Clofentezine, Hexythiazox등 3종의 살란성 살비제는 점박이 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90%이상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Teflubenzuron, Triflumuron, Diflubenzuron, lmidacloprid 등 4종의 살충제와 Propineb, Fenarimol, Polyoxin-B.captan 등 3종의 살균제는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에 대해 살비효과가 없었으며, Chlorothalonil, Nuarimol . Mancozeb, Folpet 등 3종의 살균제도 23% 이하의 낮은 살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긴털이리응애 난이나 암컷성충에 저독성을 나타내는 4종의 살충제와 4종의 살비제 및 6종의 살균제는 사과원 병해충 종합관리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80.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 간자와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abanectin 의 독성을 leaf disc 법으로 시험하였다. A-bamectin은 점박이응애나 간자와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0.38~6ppm에서 8~78%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도 농도 증가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 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 유.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유.약충의 생존율은 농도 증가에 딸라 감소하여 0.38~3ppm에서 42~90%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중독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암컷 성충은 생존율에는 별 영향이 없었지만, 산란수와 차세대의 성비에는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농도라할수 있는 0.38~0.75ppm에서의 abamectiondms 점박이응애나 간자와응애의 종합관리에서 긴털이리응애와 식식성응애류의 밀도비율 조절에 유요할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