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3

        28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린후이인과 빙신은 모두 자신의 일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여주며 한 시대를 풍미한 작가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두 여성 작가는 서로의 배우자가 대학 동문이었던 까닭에 서로에 대 해 잘 아는 사이였음에도 불구하고, 빙신의 풍자 작품 당신에게 충고하나니(我勸你) (1931) 와 우리 마나님의 응접실(我們太太的客廳) (1933)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었다. 그렇다면 빙신 은 왜 이와 같은 작품을 발표하였을까? 본고에서는 그 이유로 두 여성 작가가 지닌 상이한 여성관을 꼽고 있다. 빙신은 자애롭고 지혜로운 따뜻한 어머니의 품 안에서 어머니의 모성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고 보았고, 아울러 교육 받은 신여성에 의해 낡은 중국의 가정이 과거의 구습과 악폐로부터 벗어나야 새로운 중국 또한 탄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반면 린후이인은 여성의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에 관심을 보였고, 능력 있는 여성일지라 도 가정일에 매몰되어야 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했다. 따라서 그녀의 시에서는 주체적이고 적 극적인 자아가 등장하고, 전도된 기존의 남녀 성역할이 나타난다. 이처럼 두 사람은 여성에 대한 교육과 계몽에는 같은 입장을 보였지만, 가정과 양육면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졌기에 결국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6,000원
        28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王端淑은 역대 여성문인들의 시문을 수집하고 비평하여 여성시문총집을 편찬한 명말청초 의 대표적 여성문예가이다. 본 논문은 현전하는 왕단숙의 저작 名媛詩緯初編과 映然子吟 紅集을 중심으로 왕단숙의 문학사상과 그 창작경향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왕단숙은 시 창 작에 있어 學識을 기반으로 한 시의 體格을 중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典雅한 풍격을 갖춘 시 를 지향하였다. 또한 여성문학의 주요 개념인 脂粉氣에 대해 작가가 주어진 환경의 한계를 넘어서야 고금의 경계를 초월한 인간 본연의 문학을 할 수 있듯이 여성작가의 경우 脂粉氣를 벗어나고 피상적이고 습관적인 시어를 탈피하여야 좋은 시를 쓸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왕단 숙의 시가 창작에서는 명말청초 강남지역 문인간의 교류와 소통의 도구로서 시의 기능이 강 화되었음을 보여주는 다양한 제재의 작품을 볼 수 있으며 시인의 내면세계에 보다 집중하여 회포와 감회를 읊은 시들도 상당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600원
        28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생태학적 관점을 적용 하여 포괄적인 시각에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1년 제4차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보육시설에 다니는 자녀를 둔 기혼여성 748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 용하였다. 생태학적 변인이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시체계 변인인 자녀수와 배우자 양육 참여 시간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태학적 변인이 이상자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시체계 변인인 자녀수와 자녀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는 중범위 체계 변인이나 거시체계 변인보다 미시체계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000원
        28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치 아다다」는 물질문명 사회에서의 인간 탐욕에 대한 비판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작품 속에는 21세기 인간 삶에서 주요 화두로 대두 되는 주제어인 여성, 종교, 장애의 문제가 정교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인공 아다다는 장애인 여성으로서 조선시대 유교의 남성중심주의적 도 덕 담론 하에서 타자중의 타자로서의 삶을 살 수 밖에 없는 인물이다. 아다다는 그 누구로부터도 지지를 받지 못하고, 취약성의 상태로 내몰린다. 지참금을 가 지고 결혼을 하지만, 5년이 지난 후에 시집으로부터 쫓겨나게 되며, 곧 친정으로부터도 외면당하게 된다. 아다다는 결국 노총각 수롱이와의 제2의 인생을 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수롱이와의 함께 하는 삶도 결국 위험에 처하게 된다. 수롱이는 장애인 여성 아다다를 거저 취함으로써 원래 부인을 얻기 위해 모은 150원이라는 돈을 아끼고 되고 그 돈으로 땅을 사려고 한다. 아다다는 돈으로 인해 자신의 삶이 또다시 위협에 처해질 것을 두려워하며 아침 일찍 150원이라 는 돈을 바다 속에 던져버리고 만다. 아다다는 자신의 취약성이 지닌 사회 권력 담론과의 관계성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그녀는 유교의 남성 중심적 도덕 담론 과 자본의 권력 또한 취약성을 가지고 있음을 저항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4,800원
        285.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bstantial theory that explains the experiences of divorced women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fore divorce. Method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hich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by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December 2003 to October 2004, and the participants were 8 divorced women who had not remarried. Results: The core concept of this study was 'searching for one's real self' not 'an imposed self'. The decision-making process consisted of two phases and six stages. The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divorce were causal factors (risk factor of marriage), contextual factors (problems during marriage life), and intervening factors ('factors against divorce' and 'factors for divorc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effective nursing strategy and intervention suited for each stages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n divorce.
        4,000원
        286.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pecialized clothes-sizing system for elderly (aged 60~79) obese women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based on the data from the fifth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 a Rohrer's index of over 1.6, a BMI of over 25, and a WHR of over 0.85. The lower bodies of elderly obese women tends to be shorter and wider than average. Particularly, their torsos from the chest to the waist tend to be more obese than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the clothes-sizing system sets up its size intervals as follows: 5cm in stature, 5cm and 3cm in bust, 3cm in waist, and 3cm in hip. Based on the dualistic distribution of each section, the names of the sections indicating high distribution are suggested. For suit tops, 11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145-155cm stature section and 91-103cm bust section. For casual tops, nine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145-155cm stature section and 90-105cm bust section. For bottoms, 11 sizes are selected as distributed in the 82-97cm waist section and 91-97cm hip section.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detailed sizes are suggested in the division of basic and reference areas.
        4,800원
        28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가정폭력, 특히 가정폭력 피해자인 아내가 잠자고 있는 가해자 남편을 살해한 경우의 형법적 문제점에 관하여 위법성 차원에서 논의해 보았다. 배우자 살해에 대하여 위법성조각사유로서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위법성조각을 인정하는데 있어서 최대의 난관 내지 장벽이 되는 요건은 정당방위에 있어서 논의의 출발점이 되는 ‘침해의 현재성’ 문제이다. 대법원은 김보은 사건에서 침해의 현재성을 인정하는 듯한 판시를 하였으나, 그 이론적인 논거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학설 중에서는 침해의 위험을 침해로 보아 과거로부터 지속적인 법익침해가 있는 경우라면, 현재 법익침해가 중단된 동안에도 지속적 위험이 있다면 현재의 침해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침해의 위험을 침해로 인정하는 논거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가정폭력 피해자인 아내의 가해자 남편에 대한 살해에 대하여, 정당방위상황에서 요구되는 침해의 현재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높지만, 정작 어떠한 이론구성에 의하여 그것이 가능할 것인지에 관하여는 아무런 설명이 없는 것이다. 가정폭력의 피해자인 아내가 가해자인 남편을 잠자고 있는 사이에 살해한 경우에 침해의 현재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주장의 문제점은 가정폭력 피해자인 아내의 피해에만 시각이 고정되어있다는 점에서 발생한다고 보여진다. 시각을 전환하여 가해자의 침해행위에 초점을 맞추어보면, 가정폭력 가해자인 남편의 침해행위로 피해자인 아내의 의사자유와 인간으로서의 기본적 행복추구 그리고 극심한 인간존엄성의 훼손과 박탈이라는 법익침해상태 -가정폭력 피해자가 자살하든가 가해자를 살해하든가 하는 양자택일에 내몰린 심각한 정도의-가 계속되고 있고 따라서 가해자의 법익침해행위도 계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가해자가 잠자고 있다고 하더라도 가정폭력 피해자의 생명의 위기적 상황은 계속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계속범의 경우 법익침해상태가 계속되는 한 정당방위의 성립이 가능하다는 것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설사 합법적으로 안전하고 확실하게 가정폭력 가해자를 가정으로부터 배제하는 방법이 사회적으로 정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가정폭력 피해자인 아내에 대한 가해자 남편의 침해의 현재성은 인정되는 것이다. 또한 달리 국가기관이나 사회시설의 도움을 받는 방법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법은 불법에 양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당방위의 상당성 판단에서 이러한 보충성은 고려될 수 없다. 물론 더 나아가 현실적으로는 가정폭력 피해자가 일시적으로 피난하여도 그 안전이나 확실성이 보장된다고 할 수 없다.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현재하는 심각한 침해를 고려할 때, 이를 긴급상태가 아니라고 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가해자에 대한 반격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는 없을 것이다.
        6,000원
        28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방 보존술(68명)과 유방 전절제술(45명)을 받은 대상자의 수술 후 심신의 변화에 따른 의생활의 공통점 과 차이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공통점으로는 유방 절제 수술로 변형된 체형을 노출시키고 싶어 하지 않았고, 타인에게 본인이 유방암 환자인 것을 알아채주어 배려 해 주기를 바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방 절제 범위가 큰 유방 전절제술의 대상자는 신체 이미지의 고양을 위하여 절제된 유방의 보완이 가능한 의복 및 보조물(인조 유방)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를 위한 브래지어나 인조유방은 고가임은 물론, 낮은 감성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유방암 수술을 받은 대상자들을 위한 전문 의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유방 절제 수술을 받은 한국 여성 대상자를 위한 치유 복장, 브래지어나 인조유방 등의 개발에 있어, 이와 같은 감성 조사가 효과적인 정보 자료로 사용 되어 신체이미지 증진은 물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4,300원
        289.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운동 후 전신진동이 근피로도 감소와 심박회복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 는 총 20명으로 진동을 제공받는 그룹과 진동을 제공받지 않는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강도 운동은 경사 8.5도와 보행속도 4km/h를 30분간 제공하였고, 그룹별 진동유무별 의자형 진동기 위에서 30분간 휴식을 취하였다. 전신진동자 극은 10Hz의 진동주파수와 5mm의 진폭을 제공하였다. 진동유무별 피로도 감소와 심박안정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혈중 젖산농도와 실시간 심박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진동을 제공받는 그룹에서 95.2% 수준의 더 큰 근피로도 감소결과와 50.67%의 더 빠른 심박회복율 결과를 보였다. 이는 고강도 운동 후 전신진동이 근육속 혈관을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를 빠르게 해소하고 혈액순환 기능을 증진시켜 피로도를 감소시킨다. 고강도 운동 후 전신진동을 이용한 휴식은 노약자나 여성들에게 운동 후 다른 육체적 활동 없이 마무리운동으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000원
        290.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last decade, an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came to Korea mainly for getting jobs and following their spouses, and the Korean government attempted to introduce several policies and projects. Among those policies and projects, the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was launched for developing bilingual teachers to teach their cultures and languages to multicultural and general student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what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a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wanted to obtain from the program, and possibly to suggest aiming at develop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future. Twelve pre-service bilingual teachers who were being trained in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12 pre-service bilingual teachers fully understood their roles as bilingual teachers and they think they are prepared to carry out those roles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practicum. However, after the practicum they recognized they need to deepen their knowledge on child psychology, counseling and material development. Next,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courses they took in the program would be helpful to work as a bilingual teacher. However, they demand more practicum in the training curriculum.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of practicum in the bilingua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5,700원
        29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ew-silver women’s fiber and material property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The survey subjects were 115 new-silver women ranging in age from 50 to 60 years old. This study utilized a questionnaire as a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ome ownership rate of the participants in this was 81.4%, and 54.9% of them had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Therefore, they turned out to be a new silver generation with higher education and stable income and assets. Second, regarding their purchasing behaviors, it was shown that they purchased the largest amount of clothing for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children, and grandchildren at the change of seasons. Third, with regard to their average spending on clothing, when they purchased clothing for themselves, it was shown that they purchased clothing at the price of KRW 500,000 or above for themselves but not for their family members. Fourth, their favorite type of fiber was synthetic fiber, and their favorite material property was heaviness, followed by roughness, stiffness, bulkiness, and glossiness. Moreover, with regard to their favorite functional textile, it was shown that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m preferred vitamin textiles, followed by ocher and scented textiles.
        4,000원
        292.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y objectives are: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onsumer perceptions of the model’s imag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according to advertising model types; 2)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l’s image and the consumer’s self ima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l’s image and the brand’s image, and the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model on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model; and 3) to explore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model on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A total of 306 female consumers over the age of 45 participated in experiments with advertisement stimuli for a senior apparel brand.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del’s image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according to each model type.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model was determined by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model, not by the difference between model’s image and the consumers’ self-image, nor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l’s image and brand imag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s was determined by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model. The findings imply that advertising models of a senior apparel brand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model. Consumers do not consider whether the model’s image fits well with their self-images or the brand’s image when building an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model, and this precedes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guidelines to select appropriate models for advertisements of senior apparel brands.
        4,600원
        293.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od-related lifestyle choices of female baby boomers and to investigate variables regard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buying behaviors and future nee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58 female baby boomers 53 years of age living in Gyeonggi and near Seoul. Out of 420 distributed questionnaires, 358 were returned and used for analysis (response rate: 85.2%).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food-related lifestyles : a value-seeking group, a convenience-seeking group, and a health-seeking group.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p<0.05) and regular exercise (p<0.01), and in several health- and food-related habits, type of breakfast (p<0.01), type of dinner (p<0.05), dinner details (p<0.05), frequency of eating out (p<0.05), and eating habits score (p<0.01). The health-seeking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purchase ready to cook (RTC) items (59.1%) than were the other groups (p<0.001). However, the ratio of HMR purchasing for the purpose of meal replacement (p<0.05) and an HMR purchasing frequency of more than twice a week (p<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ealth-seeking group. Reasons for selecting HMR showed a similar tendency among groups in taste (26.2%), convenience (18.7%), price (16.9%), safety (15.3%) and type of food (14.3%). However, the satisfaction scores for hygiene and safety reported by the health-seeking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reported by the other groups. More than two-thirds of all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urchase HMR in the future,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 convenience-seeking group, 73.1%, health-seeking group, 70.1%, and value-seeking group, 65.7% (p<0.05).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baby boomers purchasing HMR products will continue to grow and baby boomers will want HMR products to be more healthy (52.0%), safe (28.5%) and delicious (13.4%). An emphasis on taste was high in the convenience-seeking group, whereas an emphasis on health was high in the health-seeking and value-seeking group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various food-related lifestyles amongst female baby boomers and illustrates the need to develop HMR marketing strategies targeted to these different lifestyles.
        5,100원
        29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theoretical research to investigate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fashion photography. For this study, this article attempts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through Lacan’s gaze theory, and analyze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of women configured by gendered characteristics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Structuraliz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based on that theory, the gaze, the image/screen, and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in the Lacan’s triangle diagram are replaced by the camera as the signifier of gaze, the representational image, and the seeing subject respectively.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the camera creates a male-oriented visual field and structures a relationship of gendered power between male gaze as the seeing subject and female eye as an object to be seen. Looking into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of women in this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structuralized by male gaze, women are represented in a way that reflects male desire through masquerade to comply with the patriarchal gaze, or differences that emphasizes the uniqueness and autonomy of women released from a patriarchal discourse.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an analytic approach to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fashion photography which we accept as a fixed one through the ideology of naturalization.
        4,500원
        29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for married Chinese immigrant women. In addition, it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ir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acculturation level. To achieve these purposes, a quantita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on 291 wives of Korean-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the Duncun 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acculturation, which was defined as ‘assimilated’, ‘marginalized’ and ‘segregat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cculturation level and their clothing adaptation was identified. The marginalized group had the lowest level of clothing adaptation. Third, the groups’ differences in clothing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The segregated group considered the practical aspects (price, color, quality) of clothing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roups. The marginalized group scored the lowest in valuing the aesthetic factors (design, style, trendiness) of clothing. Finally, conformity of clothing consumption varied significantly based on acculturation level. The assimilated and marginalized groups showed higher levels conformity than did the segregated group. Clothing purchase location also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assimilated and marginalized groups preferred online shopping, but members of the segregated group preferred to carry out their shopping off-line. This study showed that clothing adaptation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play key roles in understanding the accultu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4,800원
        29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especially from the Ming-Qing Dynasty era,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contemporary fashion. Regarding research methods, this study determin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orm, color and pattern of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of the Ming-Qing Dynasty era. In addition, 440 photos were collected from the Paris Collection from 2005 to 2014 using www.firstviewkorea.c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opular silhouette from Chinese traditional clothing appearing in contemporary fashion was the H-shaped one, and the internal line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Chinese collar; narrow sleeve; symmetrical front opening; round collar; wide sleeve; and the C-shaped Biwa front-end. Second, the most popular color was achromatic black, followed by white. The chromatic colors were in the order of blue, yellow, red, green, and purple. Third, the pattern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Plant patterns, complex patterns, and animal patterns. The peony pattern appeared the most commonly as a plant pattern, followed by the arabesque pattern and the plum blossom pattern which appeared with a similar proportion. Dragon, bird and phoenix patterns appeared the most for animal pattern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designing products for Korean fashion brands that will advance to the Chinese market. In addition, it will help Chinese designers apply the Chinese-style design characteristics popular among people throughout the world when they advance to the West.
        5,100원
        29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중일 고전 문학 작품 속 여성의 꿈을 유형별로 분석해 보고, 그 꿈의 의미와 그 속에 반영된 당시의 여성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여성들의 내면에 억눌려져 있었던 사 랑받고 싶은 욕구와 질투의 감정들이 꿈을 통해 발산된 ‘내부발산형’의 꿈이 있고, 여기서 꿈 은 이러한 욕구를 표현하는 공간으로 묘사되어 있다. 다음은 꿈을 통해 미래 혹은 운명을 예 지하고, 여성들이 이를 수용하는 ‘외부수용형’의 꿈이 있다. 정절과 의리를 지킨 ‘열녀’, ‘현모 양처’들에게는 ‘길몽’으로, 한편 질투, 음행등의 악행을 저지른 ‘악녀’들에게는 참혹한 ‘흉몽’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내적인 자아와 외부의 초현실적인 존재 또는 현상 들이 서로 교감 및 교류하는 ‘상호작용형’의 꿈은 여성들에게 문제해결의 열쇠를 주며, 한편 자기반성과 성찰을 촉구하고 있다. 이처럼 당시 여성들의 꿈은 억압적인 사회 제도하에서 자 신의 내면의 욕구를 분출하는 해소의 장(場)이기도 하면서, 예지의 목소리이기도 하였다. 또 한 수동적인 수용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동력이었음도 알 수 있었다.
        5,800원
        298.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장애인의 개인특성 중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부모,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일수록, 장애특성 중에서 장애발생원인이 후천적일수록, 장애진단시기는 연령이 적을수록, 보험이용 특성 중에서는 민간보험을 가입하지 않거나 모르는 경우일수 록, 지역국민연금에 가입한 경우일수록, 접근성 및 편의시설 특성 중에서 접근을 위해 타인 도움을 청하지 않을수록, 자가용이나 장애인콜택시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할수록 여성 장애인이 인식하는 삶의 질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낙인 및 권리침해 여부, 인식된 심리적 요인 등을 고 려할 수 있고, 여성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에 대한 인식 개선사업이 요구되고, 각종 계단 및 전철 출입구 등에 1m짜리 봉 손잡이를 설치하여 경증장애인이 스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5,800원
        299.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컬러명상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기분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참가자는 중년여성들 중 컬러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45명 표집하여 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 실시한 컬러명상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1주에 3회씩 3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각 회기는 60-70분가량으로 진행하였다. 비교집단에 실시한 블루 컬러명상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1주에 3회씩 3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각 회기는 60-70분가량으로 진행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컬러명상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기분상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분상태검사지(POMS: profile of mood states)를 사용하였다. 기분상태 변인의 사후검사 점수의 세 집단 간 비교에서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컬러명상 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기분상태의 전반적인 변화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분상태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긴장, 우울, 분노, 피로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활력, 혼란요인에서는 컬러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변화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컬러명상 프로그램이 전반적인 기분상태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6,000원
        30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남성중심의 교정조직에서 남녀교정직원들의 여성 교정직원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인식을 연구분석하였다. 특히, 남성교정직원들의 여성교정직원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해서 여성에 대한 성 고정관념적인 역할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성고정관념이 여성교정직원들 자신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대한민국 미래교정에서 여성교도관의 역할영역의 확대가 어디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전망과 분석을 위해서 남녀 교도관들의 여성교도관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대한 태도와 의견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분석하고, 남녀교정직원들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12개의 교도소에서 총 448명의 남녀교정직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양한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남성교정직원들에게서 여성교정직원들에 대한 부분적 성고정관념적 인식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성고정관념적 인식은 여성교정공무원들에게서도 발견이 되었다. 그리고 남녀교도관 모두는 여성교정직원의 남성수용자 사동관리에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서 남녀교정직원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 공헌점, 그리고 제한점 등이 결과와 논의 부분에서 논의되었다.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