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6

        28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plate waste and prevention of plate waste reuse in foodservice operations. To achieve these goals, we surveyed the entrepreneurs of foodservice operations,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fety, and public officials working for food safety enforcement about their perceptions and strategies on plate waste management. The professionals’ survey indicated that definition of plate waste needed to be clear for understanding. Also Korean food culture insisting on abundance and variety table settings, foodservice owners' demands for cost reduction, and foodservice workers' insufficient safety perceptions were indicated to bring forth the practice to reuse plate waste. The effective ways to control plate waste management were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s for Korean food culture upgrade among consumers and improvements of safety perceptions among owners, as well as workers. Also small portion size was needed to reduce plate waste.
        4,000원
        28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는 갑오개혁(1894)을 우리나라 근대교정의 태동으로 본다. 과거 신체형 위주의 형벌이 오늘날 교정교화를 위한 자유형 중심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어진 일제강점기의 교정은 철저히 식민지배의 수단으로 전락했고, 해방이후에도 6.25동란과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은 현대 교정이념을 실현하는 데 많은 장애가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불어 닥친 우리사회의 민주화를 향한 열망은 2000년대 들어 인권의식을 급격히 신장시켰고, 교정 또한 그동안의 교정관행으로는 더 이상 국민의 의식수준을 따라잡기 어려운 환경에 이르러, 마침내 2007년 행형법을 전면개정하게 되었다. 이것은 일제 강점기 이후 지속되어온 통제적 교정관행을 타파하고, 민주사회가 요구하는 인권보장과 수용질서 확립이라는 이중의 목표 수행을 위한 교정의 새로운 시대를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그러나 법 개정이후 5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 교정공무원의 의식은 아직도 새로운 법 정신을 충분히 살릴 만큼 바뀌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정행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개정 법제에 맞춘 새로운 교정의 비전과 명확한 정책목표를 제시하여 교정의 실질적 변화를 위한 정책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품격있는 일류교정’을 비전으로 삼고, ‘따뜻하고 희망주는 교정’, ‘근거에 기초하는 교정’, ‘신뢰받는 교정’, ‘자부심이 느껴지는 교정’을 4대 목표로 하여 수립된 11개의 정책방향이 그것이다.
        6,600원
        28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h Kyung-hee. 2012. Repeating the Interviewer: Repetition Strategies by Chinese EFL Learners in NS-NNS Interview.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269-289. This paper examines the sequential contexts where repetition is observed in NS-NNS interview interactions involving Chinese learners of English. Special reference is made to how repetition practiced by NS and NNS is differently distributed in ways consistent with their identities situated in the institutional setting of interview. The examination of data reveals that Chinese EFL learners frequently use repetition as a discourse strategy. They repeat the topically salient phrases or key words from the prior utterances of native speakers at the utterance initial position in adjacency pairs. Such an allo-repetition (repetition of others) is to index topicality, which helps signal cognitive, textual, and affective participation or involvement in contextualized discourse. Such a repetition also functions to buy time for the speaker to finish planning his/her next move without relinquishing the floor. Here, repetition is deployed as a means of creating joint cognition and as a strategy with which partially competent speakers can find room in interaction, while a competent speaker can provide scaffolded help collaboratively. We can see that repetition is a social activity, part of our everyday behavior and not just a marker of a "disfluency" or "sloppy speaker" (Schegloff 1987). Repetition clearly has the power as a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tool.
        5,700원
        285.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inese characters teaching is always the difficulty inTeach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How to raise the efficiency of theforeign students' studying Chinese characters and make them study Chineselanguage better is an important question for discussion in TeachingChinese as a Second Language.This thesis trys to put forward the relevantstrategies contraposing the reasons on difficulty of Chinese charactersteaching in Teach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28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87.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xical knowledge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aspects of lexical knowledge of Korean elementary (6'h grade) and middle school learners (9'h grade) in connection to learni ng strategies, that is, with regard to vocabulary learning and by investigating the learners' preferred English medium of interest. The learner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for information on vocabu lary learni ng strategies, and were tested with receptive and prod uctive vocabulalY levels test to assess their vocabulary knowledg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note differences between the different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group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to select predictors of learners' receptive and vocabulary knowledge. While the learners did not favor public education (school lessons), private lessons indicated to be the dominant means of learning English among the 6th graders with larger vocabu lalY sizes; the use of the vocabu lary workbook indicated to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9th graders. Although movies were popularly viewed by most of the learners, it was tile learners who had been reading books in Engli sh that seemed t.o have obtained larger vocabulary sizes. The findings provide guidelines for vocabulalY instruction in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ntexts .
        6,400원
        28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나마의 농경지는 전체 국토면적 74,340 km2의 약 30%에 해당하는 22,300 km2이다. 파나마 전체인구 3,508천명의 약 25%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농촌에 거주하고 있으며, 총 취업인구에서 농업부문이 차지하는 취업자 비중은 17.6%수준이다. 경제발전에 따라 전체 GDP에서 농업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1995년 10.5%에서 2010년 4.6%로 감소하고 있으나 농식품수출이 파나마 전체 상품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5%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주요 수출 농산물은 멜론, 수박, 바나나, 파인애플 등 열대과일이다. 이들 주요 수출품이 전체 농산물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이상으로 높은 수준이며, 열대과일 수출의 90%이상이 유럽연합과 북아메리카지역의 소수 국가에 집중되어 수출되고 있다. 또한 파나마의 전략 수출 농산물인 열대과일은 주로 부가가치가 낮은 신선상태로 수출 중으로 연도별 수출도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우선 아시아 신흥시장 등 다른 수출유망 지역과 국가로 수출선이 다변화되지않은 이유는 첫째, 긴 수송거리로 인한 운송비 등 유통비용문제, 둘째, 콜드체인시스템 등 저장유통기술과 표준화 부족으로 인한 고품질 유지의 어려움, 셋째, 달러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저하, 넷째, 고부가가치 상품개발 미흡과 식품가공산업의 미발달 등이다. 파나마의 기후 등 농업환경을 고려할 때 열대과일은 생산력 증진과 지속적 품질 향상을 통해수출경쟁력 제고가 가능하고 수출산업화가 가능한 분야이다. 하지만 파나마가 이들 품목을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주요 수출시장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더 많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파나마 정부가 성공적으로 파나마산 열대과일을 동북아시아 시장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이들 대표적인 수출 품목을 안정적으로 해외시장에 수출할 수 있는 수출단지 육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이들 품목과 단지를 중심으로 해외마케팅이나 수출지원 프로그램을 집중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5,100원
        28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쌀은 필리핀의 주식이기 때문에 쌀 가격의 작은 변화는 필리핀인들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필리핀은 1870년대 이후 쌀의 순수입국이었다. 2. 최근에는 필리핀이 매년 약 200만 톤의 쌀을 수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최근에 한국과 같은 쌀 수입국들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악화되었다. 3. 벼의 관개농지는 필리핀 전체 벼 재배면적 430만ha의 1/3이 조금 넘는 수준이다. 따라서 최근 10년간 쌀의 평균수량은 정미 2,324 kg/ha 수준이다. 비료와 수송 및 기타 재료와 같은 상대적 재료비는 정미의 생산비를 인상시켜서 $0.33 /kg 수준이다. 4. 필리핀 쌀 산업을 발전시켜 외국쌀의 수입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과감한 R&D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또한 관개시설과 과학영농, 하부구조 등의 향상이 절실하다. 관개지에서의 쌀 생산성이 천수답에 비하여 평균 40% 이상 높기 때문에 관개시설에 대한 투자가 매우 중요하다. 5. 균형 잡힌 식량경제를 위해서는 빠른 인구증가율의 둔화도 필요하다. 6. 최근에 많은 옥수수 소비자들이 쌀의 소비자로 전이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옥수수의 식품으로서의 맛이 개량되거나 요리법의 개선이 요구되며 밭벼, 찰옥수수, 카사바등의 식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7. 전국적으로 7,107개의 섬에 흩어져 있는 주민들에게 쌀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쌀의 유통구조로 변혁이 실현되어야 한다.
        4,200원
        29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가막살나무속 5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원주시, 평창군, 태백시, 태안군, 봉화군, 산청군 및 진주시에 생육 중인 나무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포식응애와의 상리공생을 위한 domatia에 있어서는 아왜나무는 쌈지형, 분꽃나무는 호주머니형이었고, 산분꽃나무, 가막살나무 및 산가막살나무는 털북숭이형 domatia를 발달시키고 있었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분꽃나무에서 24.0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분꽃나무에서 4.9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 표면의 털은 아왜나무를 제외한 가막살나무속 4수종의 엽신과 엽맥의 성모와 강모가 가장 많았으며, 분꽃나무, 산분꽃나무 및 가막살나무에서는 잎 생장이 완성될 때까지 잎의 표면에서도 성모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엽연부의 엽맥 끝에 넥타를 분비하는 화외밀선(EFN)은 가막살나무 5 수종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에서는 잎 뒷면 선점(pellucid dot)이 분포하는 것이 좋은 방어전략이라 판단된다. 가막살나무의 선점에서 넥타를 먹는 포식응애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체수 평균은 산분꽃나무가 8.1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아왜나무가 2.6마리로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은 생존을 위하여 초식에 대한 다양한 방어전략을 발달시키면서 생육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산림생태계를 위한 수목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사료된다.
        4,000원
        29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키르기즈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동쪽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국가로서 국토의 약 90%가 해발 1,500 m 이상의 산악지대, 약 41%는 해발고도 3,000미터 이상의 고산지대, 평균해발은2,750 m이며, 국토면적의 약 4%가 만년설과 빙하로 덮여 있다. 2. 키르기즈스탄은 전통적인 농업국가로서 농업이 경제의 축이며 농촌인구가 65%, 농업부문 종사자가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6%이고, 농업생산이 국가전체 GDP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 이상으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다. 3. 이 나라의 농업은 강우량이 적고 건조한 기후조건 때문에 주로 관개에 의존하고 있으며, 관개재배 면적은 약 100만 ha이고, 주요 농작물은 밀, 사료용 호박, 보리, 감자, 옥수수, 사과이다. 특히 큰 일교차와 긴 일조시수를 가진 해발 1,700m의 이시쿨 지역에서 생산되는 사과는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4. 축산업이 농업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1%를 넘어설 정도로 중요한데 주로 유목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우, 육우,면양이 주된 가축이고 양봉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5. 키르기즈스탄은 맥류, 사과, 양파 등의 원산지일 뿐만 아니라 고산식물종의 다양성이 풍부하고, 특히 사과의 야생종이풍부하게 자생하고 있으며, 비타민 나무 등 많은 약용식물 들도 산야에 자생하고 있다. 6. 키르기즈스탄과는 2005년부터 4년 동안 유전자원 공동수집이 추진되었으나, 정부차원에서 농업기술협력 사업은 거의추진되고 있지 않다. 효율적인 협력 사업을 위해서는 상호간의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에 따라 선택과 집중을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특히 키르기즈스탄은 농업유전자원 저장시설이 없고 관련분야에 대한 관심도 없으므로 금후 키르기즈스탄과는 농업유전자원에 대한 교육과 저장시설의 건설을 통하여 협력관계를 구축하면서 상호 도움이 되는 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29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이렇다 할 부족자원이 없는 국내 여건 속에서 게임산업은 타 산업과 비교할 때 고도의 성장성을 가지고 있는 산업이다. 국내에 PC방 산업이 활성화되는 1998년부터 13년 동안 한국은 세계적인 게임산업 국가로 성장하였다. 해외진출 성공에 필요한 요소는 사업파트너 발굴을 통한 공동 사업추진, 사전준비 강화와 초기부담완화, 우수한 수익모델과 기술력을 갖춘 기업의 진출, 사회문화적 특성에 대한 이해, 현지 네트워크의 구축 및 활용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게임개발사가 국제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핵심기술역량을 확보하도록 최선을 다하고, 아울러 일찍부터 국내시장에서 더 나아가 해외시장에서의 기회를 개척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하길 기대한다.
        4,200원
        293.
        201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nd how L2 learners’ reading strategies vary depending on the task type or on the measure of eliciting strategy use. Participants were 28 college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Two reading tasks (i.e., reading for comprehension vs. reading for summarizing) and three measures of strategy use (i.e., pre-reading strategy survey, while-reading think aloud, and post-reading strategy check list) were employed to answer the posed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of the participants’ thinking-aloud and a post-task interview were also implemented for data triangulation. All the participants completed two tasks based on two texts (one for each) selected from the same chapter in a book that were considered equivalent in length, readability, and topic.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reading strategies reported decreased dramatically in the order of strategy survey, strategy check list, and think aloud. Significantly more frequent use of reading strategy was found in reading for comprehension than in reading for summarizing, large portion of which was devoted to bottom-up style decoding, while in reading for summarizing the students approached the text with more focused attention caring about propositional connections at discourse level. Some other findings are presented along with implications for reading research and for L2 reading instruction.
        6,400원
        294.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충청남도 태안군에 생육중인 활엽수종들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을 탐색하고자 67종의 활엽수를 대상으로 방어전략을 결정하는 잎의 형태적 특성, domatia구조, 초식곤충 및 포식응애의 서식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67종 중에서 46종(68.7%)의 활엽수가 domatia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참가시나무와 태산목 등을 비롯한 21종의 활엽수에서는 domatia 구조가 없었으며, 황매화와 서어나무를 비롯한 31종의 활엽수에서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난티잎개암나무와 떡갈나무를 비롯한 12종의 활엽수에서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왕벚나무와 팥배나무에서는 pocket type domatia를 지녔으며, 아왜나무에서는 pouch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잎 뒷면의 털을 이용한 방어전략으로 태산목에서의 밀융모, 은백양과 포도에서의 밀면모, 보리수나무에서 비늘털 밀생, 칡의 강모 밀생 등이 밝혀졌다. 화외밀선(花外蜜腺; extrafloral nectary, EFN)을 이용한 방어전략은 조사대상 중에서 23종(34.3%)의 활엽수가 이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로 앵두나무, 무화과, 가막살나무 및 서어나무 등이었다. 조사 대상 중에서 40종(59.7%)의 활엽수에서 포식응애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잎에 서식하는 응애 개체수 평균은 떡갈나무에서 23.4마리로 가장 많았다. 잎을 가해하는 미소 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깍지벌레, 혹응애, 총채벌레등이었으며, 총 개체수는 혹응애, 깍지벌레, 진딧물, 총채벌레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포식응애, 말벌, 무당벌레류와 그 애벌레, 진딧벌 등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온대 활엽수종에서 상리공생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어전략이 활용되는 경우가 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9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 주변의 전통 소나무숲을 선정하여 숲의 구조와 생장실태를 조사하고, 양호한 생장과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 소나무숲은 강원도 영서지역에 분포하는 12개소를 선정하였다. 숲의 조성시기는 개소별로 최소 50~최대 200년 전이었고, 소나무의 평균 흉고직경과 밀도는 각각 27~52cm, 0.5~9.3주/100m2이었다. 생장기반인 토양환경은 소나무 생장에 대개 양호한 편이었으나, 토성이 사토로서 보비력이 낮은 2개소의 경우 토양양분이 현저하게 낮았다. 일부 숲은 복토, 답압 등으로 인해 근계생장 장해에 따른 수세저하가 나타났다. 수간의 수피탈저 및 공동피해가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그 원인은 인위적 외상, 전정 부주의, 동해 등이었다. 병해는 그을음잎마름병, 갈색무늬병 등이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피해정도는 경미하였다. 충해의 경우는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로서 피해정도는 6개소에서 경미하였으나, 2개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현저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대상 소나무숲의 생장저해를 야기하는 주 요인은 양분부족, 복토 및 답압, 수간훼손, 병충해 등이었다. 이들 원인별 문제점을 개선하여 해당 소나무숲을 보전할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관리방안은 유기물과 석회 시용, 복토 제거, 토양굴기와 자갈포설, 목도설치 또는 우드칩 포장, 목책 및 보호틀 제공, 수간 외과수술, 수세강화, 수간주사 등 생장환경을 개선하거나 수간훼손과 병충해를 제어할 대책을 포함하였다.
        4,000원
        297.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명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명의 관리체계가 해양조사원과 국토지리정보원으로 이원화되어 있고 인터넷 상의 오류표기의 증가에 따른 대응은 양 기관 모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명관리체계에서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의 역할을 현황분석과 더불어 재정의하고, 해외에서 오류지명이 배포되는 체계를 분석하여 대응방안 및 액션 플랜을 제시하였다.
        4,000원
        29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방화 시대를 맞아 전통문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원, 전승노력 등이 활발해 지면서 전통한옥의 자원화를 통한문화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전통한옥마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 할 것으로보인다. 전남은 한옥관련 시책은 추진하고 있으나 관광자원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발굴 및 자원화 개발전략 수립 등이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통한옥과 한옥마을이라는 문화자원을 활용한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옥마을 관광자원화활성화방안은 관련 문헌연구, 현지조사, 2차 자료 분석, 해외선진사례연구의 연구방법을 통해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전통한옥마을의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해 관광자원화를 위한 활성화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한옥마을 특성에 맞는 핵심소재 발굴이다. 둘째, 관광수요자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개발이다. 셋째, 한옥마을 관리운영을위한 인력과 조직의 운영관리 체계화이다. 넷째, 다양한 정책지원 요건 구비이다. 다섯째, 홍보와 마케팅 강화이다.여섯째, 한옥마을 운영 표준화 매뉴얼 작성이다.
        4,200원
        300.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물다양성은 ‘생태계 서비스’를 통해 기후변화의 ‘완화(mitigation)’과 ‘적응(adaptation)’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와 생물다양성은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바, 기후변화는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고, 생물다양성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생물다양성의 보전에 관한 포괄적 국제환경규범인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에 관한 많은 결정문을 채택하여 왔으며, 2001년부터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에 관한 특별기술전문가그룹’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산성화(ocean acidification), 해양시비(ocean fertilization), 바이오연료 등 최근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회의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논의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대응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