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9

        301.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환경에서 증가된 콘텐츠 소비 성향에 맞는 콘텐츠 마케팅 전략으로 나타난 브랜디드 콘텐 츠(branded contents)와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소비자 공감, 브랜드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가 브랜디드 콘텐츠에 얼마나 몰입, 관여, 집중하였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정성적 지표인 인게이지먼트 속성을 핵심변수로 상정하였으며, 이러한 인게이지먼트 속성이 소비자 공감과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와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는 소비자 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 미디어 인게 이지먼트,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는 브랜드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공감의 경우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브랜디드 콘텐츠 인게이지먼트는 소비자 공감의 완전매개를 통 해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스토리텔링에 몰입되어 동일시되면서 브랜드에 자신을 거울처럼 비추는 반응을 통해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소비자가 스토리에 대한 관심과 몰입을 통해 자기 실재감을 강화시킨다는 측면에서 브랜디드 콘텐츠를 기획, 제작 단계에서 실무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 요소임을 시사한다.
        302.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세계 각 도시들은 도시에 내재된 유·무형의 자원에 기초하여 도시의 내재적 정체성과 상징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도시는 경제적 성장을 넘어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문화와 가치를 차별화하기 위해 도시브랜드의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도 대다수 도시들은 다양하고 풍부한 자연조건과 지역문화 사상을 기반으로 도시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도시브랜드 개발 사례 중 대표적 3개 도시 -항저우(杭州), 쑤저우(苏州), 시안(西安)- 의 사례연구를 통해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브랜드와 관련된 선행연구, 문헌을 통하여 기초적인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지리 위치적 요소, 문화유산 요소, 정책 요소, CI·홍보 요소 등 4가지의 요소를 선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도시가 가지고 있는 자원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여 중국의 도시브랜드에 나 타난 상징과 의미를 파악해보았다. 중국 다른 기타 도시들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문화의 발굴, 과거와 현대적 문화의 융합, 사람중심, 도시이미지의 구상화에 기초하여 도시에 함축된 의의와 특유성을 찾아내어 도시의 정체성에 적합한 도시 브랜드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30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influences such as brand value, relationship value, market orientation, long-term orientation, and performance. The effects of brand value and relationship value on the differences on transaction performance in b2b was investigat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liquor and beverage distribution company that deals in b2b. The research hypothesis is based on literature of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f brand value, relationship value, market orientation and long-term orientation. This study has constructs that was defined operationally by referencing previous studies. Operational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arget key staff who work in the liquor and beverage distribution company. 178 survey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o prove the hypothesis.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techniques(AMOS) to prove the research hypothesis. Results – The main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pplier’s brand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market orientation, but did not affect long-term orientation. Brand awareness of suppliers indicates that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long-term orientation. Second, supplier’s brand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market orientation and long-term orientation in b2b transaction. So, the brand image and reputation of the supplier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b2b transaction to have a market orientation tendency or a long-term orientation. Third, supplier’s relationship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orientation, but does not affect market orientation. Relationship value indicates that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market orientations of the buyer. Fourth, Market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orientation and marketing performance and long-term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marketing performance in b2b. Additionally, the buyers market and long term orient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marketing performance in b2b. ’ Conclusions – Based on empirical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brand image rather than brand awareness positively influenced long-term orientation as well as market orientation in b2b. Relationship value can be found in transactions, which is important for long-term orientation. Especially, these findings are suggestive in the consumer goods distribution market.
        30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은 관광지 개발 및 지역에 대한 상권개발 발전이 상당히 빠른편이며 그에 따라 트랜드 및 기타 변화에 민감한 나라이다. 대규모 프랜차이즈나 상업자본이 들어오면서 매우 유동적이며 이동이 많아지는 상권이 될수록 기존 고유의 지역특성 및 독립문화가 상실된다. 무분별한 패션거리나 주류 및 식음료 등의 소비문화공간으로 변화되면서 임대료는 무한히 치솟게 된다. 결국 원주민이 내몰리면서 지역 정체성을 잃게 되어 젠트리피케이션(둥지내몰림)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성을 고유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지역의 주민과 건물주 임차인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상생도시를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상생도시로서 지역주민의 발전에 문화예술교육을 접목시켜 주민과 함께하는 지역으로 더 큰 발전을 이룰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지역의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대책 지역 사례를 분석하였다. 젠트리피케이션 징후가 일어나는 지역을 과학적 데이터를 통해 조사된 성동구를 지정하여 젠트리피케이션을 넘어 지속가능발전구역에 대한 브랜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구역인 성동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통하여 브랜드 전략 및 슬로건, 브랜드 키워드, 색상 스타일 방향을 설정하여 디자인 컨셉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동구는 건물주와 상인, 지역의 상생협약을 통해 지속적인 상권 유지와 원활한 참여를 위한 조례와 제도,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지속가능한 상생도시를 위한 젠트리피케이션 브랜드 디자인 제안’으로 성동구 지역의 긍정적인 정책 심볼 이미지 구축 및 성동의 발전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305.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프레타포르테(남성 기성복 수트) 브랜드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 및 선호에 관한 연구이다. 해석의 대상으로서 브랜드에 대한 측정 연구는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해석자인 소비자를 사회구조적으로 분석하고 해석된 내용과 연관 지은 연구는 부족해 보인다. 이에 연구는 사람들의 문화자본은 장(champ)의 구조에 따라서 다르게 축적되며, 각 장에 속한 개인의 상이한 취향은 그들의 아비투스를 통해서 실천된다는, 브로디외의 사회구조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속한 장의 구조 위치에 따라 각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 역시 변별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코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는 그들이 속한 장의 구조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내어 문화자본이 개인 혹은 그룹의 취향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자본의 요소 중 학력이 더 높은 그룹은 문화상승지향적 브랜드 취향을 드러냈으며, 자산이 많은 그룹은 브랜드 인지도가 타 그룹보다 높고 클래식한 취향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서 사람들이 속한 장의 구조에 따른 문화자본 차이와 브랜드 취향 간에는 연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중국의 경제가 고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중국 대륙의 도시들이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고 더 많은 기회를 잡기 위해 도시 이미지 로고의 구축과 홍보를 갈수록 중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대륙의 성급(省级)행정구역의 성도 도시 로고를 선택하여 로고 형태와 로고 색채 등 두 가지 요소에 중심을 두고 로고 디자인의 기본적 함의, 로고의 형태, 색채의 표현기법과 지역 특징을 결합시켜서 홍콩의 도시 브랜드 로고와 비교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홍콩의 도시 브랜드 로고 시스템이 도시의 전체 이미지와 함의를 향상시키는 데 발휘하는 역할을 논술하면서 홍콩 도시 브랜드의 성공 요인과 중국 대륙도시 이미지 로고 디자인의 현황 및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중국 대륙 도시 로고 이미지 디자인 분야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고 이런 부족함이 생긴 구체적인 원인도 밝혀냈다. 이를 통해 시사점을 얻어 앞으로의 도시 로고 디자인이 도시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잘 보여줄 수 있도록 참고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307.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the consumer's distributor's brand(PBs) is generally perceiv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manufacturer's brand(NB), although it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PB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 in the consumers who have had experience purchasing the convenience store PBs to expand the sales variables. Further,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arketing strategy is to increase the share of PBs by providing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product attribute factors on the sales volume associated with brand trust, purchase intent, and oth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period of this study was approximately three weeks from December 1, 2017 to December 21, 2017. The study samples that were taken from 100 random people extracte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Results - The analysis shows that the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ivate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products. Specifically, brand tru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brand images and quality levels, but the perceived value was not affected statistically. Although the intent of the purcha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quality level and the perceived value, the brand im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ts relationship. Conclusions - Overall,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perception value does not statistically affect brand trust for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and that the brand image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 These results are analyzed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brand in convenience stores themselves rather than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s that affect sales performance, which is the property of private brand food and beverage products, the perceived value of their products. Accordingly, the study found that not only did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the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be improved statistically, but also the cause of the product attributes tha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identified.
        308.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Competition among cities around the world are rapidly shifting from competition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costs and quality of raw materials to competition between the consumption factors such as quality of life, settlement environment, culture, and place. The entry into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consumption factors is not only attracting investment for strengthening city competitiveness, but also actively inducing urban image reconstruction and new image making.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to urban marketing are being carried ou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external citizens about Changwon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Seoul and Busan citizen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by using the AMOS program. Results -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six hypotheses were adopted among the nine hypotheses. In summary, pleasant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brand recognition. The magnanimous im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ity brand recognition. In the impa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loyalty, magnanimous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loyalty. Pleasant images and dynamic imag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ity loyalty. In addition, city brand recognition positively influenced city loyalty. Conclusions - First,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n its contribution to regional revitalization by investigating mutual influences in urban aspect by combining place marketing with image, recognition, and loyalty. Secondly, kinetic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and dynamic image have more influence on recognition, and static images such as magnanimous images have more influence on loyalty. So,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ories.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to local city,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urban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magnanimous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30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Korean food service franchise companies sought to advance into around 2,000 new foreign markets, the importance of global management was emphasized. They intensively expanded into Chinese and American markets in 2015 and these two markets account for approximately 40% of total food service franchise companies in foreign countries. Although Japan has huge franchise market, Korean food service franchise companies in Japan only account for 5% of total franchise companies in Asia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service franchise selection factors, brand loyalty, and revisit intention of Japanese consumers using Korean food service franchise companies in Japanese food service market,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raw the implications for the expansion of Korean food service franchise companies into the Japanese market. Food service franchise selection factors is defined as service and cleanliness, taste, safety and reliability, cost and convenience, and professionalism.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ood service franchise selection factors on the brand loyalty, it showed that five food service franchise selection factors including professionalism, service and cleanliness, cost and convenience had positive (+) effects on the brand loyalt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brand loyalty is professionalism. In order to raise food service franchise’s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for the food service franchise companies to establish stronger strategies containing professional operation systems and services compared to general restaurants. Second,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ood service franchise selection factors on revisit intention, five food service franchise selection factors, service and cleanliness, safety and reliability, and cost and convenience had positive (+)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revisit intention is safety and reliability. Thus, in order to raise safety and reliability it is important to form trust with consumers by properly utilizing systems of food hygiene and food safety accreditation.
        31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마다 쏟아져 나오는 신제품들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 마케팅 전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시장을 먼저 선도한 업체와 뒤쫓아 가는 업체들의 경쟁 또한 더욱 가열되고 있다. 대기업을 기반으로 한 회사들은 상대적으로 모기업의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광고 마케팅을 해 시장진입이 그나마 쉬운 반면에 별다른 브랜드 기반 없이 시장에 진입해야 하는 지자체 농수산 브랜드들의 진입장벽은 더욱 어렵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제품의 신뢰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소비자와 가장 접점에 있는 패키지 디자인의 수준 격차는 선도업체와 더욱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홍삼 농가들의 해외 수출을 위한 국가경쟁력과 국내 판로 개척을 위해 현재 국내에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이는 상위 업체 4개 브랜드 28개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을 구성요소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디자인전공 2~30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98명을 상대로 한승문(2009)의 패키지 디자인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도출한 6가지 평가기준을 대입하여 4개의 우수 패키지디자인 제품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우수 패키지 디자인을 참조하여 새로운 지자체 홍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추후 제품경쟁력이 있음에도 우수한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조사 분석 없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지는 지자체 농수산 브랜드 업체들의 패키지 디자인 개발에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자료로 쓰이기를 기대한다.
        311.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네이버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캐릭터 상품이 중국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브랜드파워를 확장시켜가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라인프렌즈 캐릭터의 브랜드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 동기를 유발시키는 소프트파워를 내재한 캐릭터 상품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함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중국 시장에 진출한 라인프렌즈 캐릭터상품에 관한 연구로 한정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캐릭터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중국캐릭터상품시장의 현황 및 특성을 고찰한 뒤, 라인프렌즈 캐릭터의 브랜드 개성, 라인프렌즈의 표적 집단과 브랜드 파워 등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한다. 먼저 학술논문 등 선행 연구자들의 문헌자료와 온라인 자료를 통하여 중국캐릭터상품시장과 라인프렌즈 캐릭터의 브랜드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라인프렌즈가 중국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었던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첫째, 라인프렌즈 캐릭터의 브랜드개성은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성격의 소유자들이며, 친근하고 귀여운 이미지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인종이나 국적 경계 없이 거부감이 주지 않는다. 둘째, 라인프렌즈의 집단화된 캐릭터들은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넓혀주고 있으며 다채로운 흥미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였다. 셋째, 표적집단인 중국 청장년층이 캐릭터 시장의 블루오션이 되었다. (1) 청장년 층은 자금력과 자의적 소비 결정권이 있으며 SNS 등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여 브랜드 파워를 확대시켰다. (2) 중국에서 캐릭터 상품 판매와 기념일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도 라인프렌즈의 표적마케팅에 이점이 되었다. (3) 중국의 카페&스토어는 한국-중국 간 민간교류가 저조한 시기에도 높은 매출을 올렸다. (4)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중국 캐릭터 시장의 문제점과 라인프렌즈 캐릭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생략하였음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가 속행되어 우수한 소프트파워를 내재한 캐릭터 콘텐츠들이 많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31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 사회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네트워크 기술로 인하여 지역 간, 나라 간의 경계가 모호해져 가고 있다. 글로벌 사회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정체성 확립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또한 서울 방문 외국 관광 객이 2,000만 명 시대를 대비하여 도시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민들의 자긍심 고취와 타 도시 대비 경쟁력 제고를 위한 브랜딩 과정의 공감과 확산에 도움이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TCCS분석인 Trend, City, Competitor, Stakehoder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브랜드 정체성을 제 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키워드는 ‘공존하는’, ‘열정적인’, ‘트랜디한’, ‘배려있는’, ‘여유있는’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로 인해 서울시는 서로 다른 요소들이 공존하며, 열정적인 시민과 트랜디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배려와 여유가 있는 도시, 공존 의 철학으로 열정적이면서도 여유와 배려가 있는 트랜디한 도시, 열정적이며 트랜디한 문화를 이끌어가면서도 공존의 정심 으로 배려와 여유를 놓지 않는 어울림의 도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는 나타난 서울시의 정체성은 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컨셉을 도출하거나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를 개최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31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영학자 Schmitt(1999)는 상품의 마케팅 활동에 있어 그 목적에 대해 고객 체험을 창조하는 것이라 강조하였으며, 기획의 출발점을 체험적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라 주장하였다. 이렇듯 체험의 가치가 높아지는 문화적 현상에 따라 최근 4차 산업 의 중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기술은 시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몰입도 높은 가상 체험을 제공한다는 장점으로 인해 체험형 마케팅의 주요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VR이 마케팅의 수단으로써 적용되었을 때, 이를 체험하는 고객의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의 변화를 연구하 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모 브랜드스토어에서 집행되었던 VR마케팅 사례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VR마케팅을 Schmitt의 체험 요소에 대입하여 그 속성을 분류하고 이를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 간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총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대상자 123명에게 조사하여, 그 결과 결측값을 제외한 94명으로부터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해 현재 VR 마케팅이 고객의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chmitt의 체험이론을 통해 체험마케팅의 일종으로써 VR기술 의 마케팅적 가치를 최초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모집단의 제한적 연령, 온라인 조사에 한정하여 현장 방문 후, 매체를 경험한 체험자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을 진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브랜드스토어의 VR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틀을 마련하며 체험요소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14.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투자하고 있지만 정작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이나 지자체 농수산 브랜드들은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농산물 브랜드는 브랜드 가치가 거의 생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와 최우선 접점에 있기에 그 중요성은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대기업의 브랜드 가치와 인지도를 분석하는 마케팅적인 부분에 편중된 반면 실질적으로 브랜드를 나타내고 표현하 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브랜드 가치가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는 국내 지자체 오미자 브랜드들을 케빈 레인 켈러(Kevin Lane Keller) 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선택모델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연상을 강화시켜주는 구성 요소를 토대로 국내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활발히 판매되고 있는 20개의 오미자 브랜드들을 구분하고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전공 2~30대 대학생 및 대학 원생 100명을 선정하여 각 브랜드별로 선택기준에 맞는 브랜드를 선택하게 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를 충족한 4개의 브랜드를 선별하였으며,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의 선택기준을 적용 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하여 새로운 오미자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추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지자체 농수산 브랜드의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지원과 활성화 방안의 자료로 쓰이기를 기대 한다.
        315.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in rice quality and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for quality evaluation of the brand rice varieties produced in Jeonnam region. Co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s for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rice quality were 3.1% in Toyo value, 2.1% in whiteness, 1.6% in protein content, 1.0% in moisture content, and 0.4% in head rice ratio.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rice varieties generally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fter April, as the months progressed. CV values for the annual variation in the rice quality were relatively high at 5.6% in protein content and 5.2% in Toyo value whereas those for whiteness and head rice ratio were relatively low, at 2.7% and 1.8%, respectively. Palatability and protein content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minimum air temperature, sunshine hours, rainfall, and daily temperature range. Head rice ratio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aily temperature range whereas chalky rice rati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ainfall. Based on these results, we formulated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to estimat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using protein content, whiteness, head rice ratio, and moisture content as follows:y =-6.71a + 2.27b + 1.29c + 0.51d - 15.34 (R2=0.51*)(y: palatability of cooked rice, a: protein content, b: moisture content, c: whiteness, d: head rice ratio).
        316.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브랜드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도시슬로건 및 정책방향, 행정서비스, 공공디자인 등이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 정책과 디자인은 도시브랜드를 직접적으로, 그리고 가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수단으로 도시브랜드 강화방법이 다. 공공의 문제는 제도적인 장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데 문제의 원인과 사회적 여건, 대상 등이 다양하여 다수의 이해관 계자가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문제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상황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 문 제의 공간적, 인문적, 기능적 요인들에 대한 제도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할 때 정책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공정책은 다양한 영역에서 분야 간 융합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혁신적인 공공서 비스를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 보다 효율적인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과 디자인의 혁신적인 연계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사회문제 해결은 공공정책의 주요한 의제로서 다수의 행정기구 간 협업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과 디자인의 실행연계를 위해서는 정책관리자가 필요하다. 셋째, 동일한 목표달성을 위한 사업계획의 이 행에 있어서 다수의 분야 혹은 담당자의 상시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계망을 형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공유 및 참여확대를 통한 홍보가 필요하다.
        31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는 디자인(Design)이라는 단어가 탄생하고 인간에게 개념이 확립되는 동안 많은 의미를 내포한다.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사회에 있어 디자인은 인간과 함께 등장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이다. 변화에 앞서 디자인 교육은 적극적으로 새로움을 받아들이고 재생산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현대 디자인 교육에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교육의 방법론을 모태로 디자인 각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인간의 질 높은 삶을 변화하는 무한한 힘을 지닌 디자인은 새로운 문명과 기술에 힘입어 많은 분야에 세분화 되겠지만, 독창적이고 창조적 역할을 하는 디자인 교육은 바우하우스의 교육을 앞으로도 따를 것이다. 본 연구는 바우하우스의 색채가 이론을 통해 현재 도시가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적으로 브랜드화 하여 강력한 도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IRI 형용사스케일에 각 도시별 이미지를 대입하여 얻은 연구의 결과는 도시만의 고유 문화, 경제, 사회에 관한 전반적인 홍보와 도시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문가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각 요소별로 확인해야하며, 상위의 도시가 보여주는 결과를 통해 국내 각 도시가 가지는 환경색채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도시이미지를 계획하여야 한다. 이러한 대안을 통해 무분별한 경제와 건축분야의 비대칭 발전에만 높이는게 아니라 올바른 환경색채의 활용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고유의 정체성 있는 미래지향적인 도시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도시민의 생활 속에서 행복과 자부심은 어떠한 요소를 필요하지 않는 가장 살기 좋은 도시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도시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도시민이 거주하는 환경의 수준이 높아야하며 그 환경은 자연과 색채가 함께 어우러지는 것이다. 도시의 경제적 성장만이 상위에 있는 도시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친화적인 도시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31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의 프리미엄 생수시장은 "웰빙", 프리미엄, 특별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구매하는 호의적인 태도인 소비동기요인기초연구로서 중국시장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동기요인을 정서적 차원 문항과 시각적 차원의 실증분석 문항으로 구성하여 생수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인 동기 요인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동기요인의 정서적 차원 문항인 가격은 7~9$가 적당한 것으로, 구입 장소는 프리미엄 생수이기에 호텔․ 레스토랑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구입 시 고려사항에 대해서는 브랜드, 가격, 물의 성분, 디자인 순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차원의 실증분석 문항에 대해서는 용기 형태 디자인이 모던하고, 심플한 형태, 색상은 용기 형태와 차별화되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라벨은 역사와 전통성이 있는 형태와 단순한 문자 형태가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1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숙취해소음료 시장이 음주시장의 확장과 더불어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각 기업들은 저마다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제품력으로 숙취해소음료를 개발하고 새로운 브랜드를 부여하고 패키지디자인을 통해서 이를 소비자에게 알리고 선택받기를 원하고 있다. 브랜드와 더불어 브랜드 이미지를 시각화하고 의미를 부여한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의 제품선택에 큰 영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네임의 일반적인 고찰과 함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음료의 브랜드네임을 브랜드표현 유형을 기준으로 분류해보고, 브랜드표현 유형별로 브랜드네임의 시각이미지 구현이 패키지의 표면디자인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숙취해소음료의 브랜드네임과 패키지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2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적인 경제위기속에 한국도 예외는 아니며, 이러한 상황 속에 1인 창업, 소자본 창업 등 소상공인 자영업자간 경쟁이 치열하다. 정부지원사업의 일환인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 시행하고 있는 협동조합 활성화사업은 소상공인들의 매출 극대화와 일자리창출을 통해 지역사회의 소상공인들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공동브랜드인 큐란 브랜드디자인 개발 사례의 전략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공동 브랜드디자인 전략수립에 필요한 브랜드 프로세스 모델을 바탕으로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동브랜드디자인에 대한 중요성과 브랜드디자인 개발에 있어 조형적인 요소와 심미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의 일관된 메시지를 통해 소비자에게 브랜드선호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밝히려 한다. 큐란 공동브랜드디자인 개발 사례의 검증을 통해 연구자가 제안한 브랜드디자인 구축전략의 모델이 효과적인 브랜드디자인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입증하였으며, 기업의 입장에서 명확하게 정립된 브랜드 디자인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브랜드이미지의 전달과 소비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로 포지셔닝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