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4

        301.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growth and physical responsees of Dracaena braunii in response salt accumulation in ornamental water cultur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ctivated carbon on this growth respon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plant growth chamber and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chamber were set at 23 ± 1℃ temperature, 70 ± 3% humidity, and 1,000 lux brightness. The observation of the growth response of plants in the presence of activated carbon showed that the pH with activated carbon maintained sub-acidic to neutral (6.27∼7.32) conditions and showed decreased electric conductivity in the media. As the treatment with added activated carbon showed good growth and physical responses, this indicated that absorp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growth of plants. However, as the absorp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may decrease over time and the use of high concentrations of activated carbon might cause nutrition shortage, various concentration of activated carbon and their absorption effects need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302.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기존에 상용화 되어 있는 LED 조명기기의 경우, LED 동작 시퀀스가 고정이 되어 있는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는 외부 환경 요인이 고려되지 않고 오직 장소에만 적용되는 조명 환경 용도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한다. 현재는 선박 내 외부 환경 요인의 변화에 따른 최적의 조명 환경 조성이 어렵게 되어있다. 그러므로 외부 환경 요인의 변화에 좀 더 유기적이고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외부 환경 값을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최적 조명 값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선박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기존의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환경 데이터를 다루며, 외부 환경요인을 확인하고 또한 퍼지 추론 시스템을 접목하여 RGB LED 모듈 조명 제어가 가능한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퍼지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퍼지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외부 환경 요소인 피사체와의 거리, 조도 값을 센서로 통해 입력 받고 이 값들을 퍼지 제어 알고리즘을 통하여 최적 조명 값으로 변환하여 RGB LED 모듈 조광 제어를 통하여 표현하고 퍼지 제어 시스템의 실질적인 효능을 확인하였다.
        30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We examined the inorganic compounds, compressive strength, yield, and functional substances of five steam-treated deciduous tree species to address the problem of the low degradation activity of conventional oak trees in the cultivation of Gastrodia elata in indoor facilities. Methods and Results : With the exception of Ca in cherry blossom tree (CBT), the content of the major inorganic elements (N, P, Mg, K, and Ca) in alternative trees were 1.5 - 3.6, 1.3 - 2.6, 3.3 - 5.3, 4.4 - 7.5, and 0.9 - 3.9 times those in oak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race elements (Zn, Cu, Fe, and Mn) were equivalent to or slightly lower than those in oak, depending on tree speci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lternative trees was 9.3%–34.9% lower than that of oak. The compressive strength after steaming was lower in the order CBT (8.0%), mulberry tree (MBT: 7.0%), chestnut tree (CNT: 7.2%), Siebold's crab (SBC: 6.9%), black locust (BLL: 6.1%), and oak (5.4%). The total weight of oak was 893 g in comparison with the 1,107, 902, 952, 813, and 813 g of MBT, CNT, CBT, SBC, and BLL, respectively. The mature tuber and seed tuber ratios were 31%, 34%, 32%, 32%, 34%, and 30%, and 67%, 75%, 68%, 70%, 73%, and 65%, respectively. The yield index increased overall by 1% - 14%. Total weight after steaming increased by 10%, 18%, 14%, 16%, 20%, and 12% in oak, MBT, CNT, CBT, SCB, and BLL, respectively. Mature tuber and seed tuber ratios after steaming increased by 1%, 1%, 0%, 1%, and 2%, and 5%, 3%, 7%, 2%, 5%, and 5%,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e species in drying ratio, hardness, chromaticity for quality comparisons, and steaming. However, the results of functional substanc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astrodin, gastrodigenin, p-hydroxybenzaldehyde, and ergothioneine according to tree species.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believed that five tree species including MBT might have useful as alternative to oak when the cultivation of G. elata in Indoor Facilities.
        304.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라돈은 자연방사성원소로 호흡을 통해 인체에 피폭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8월 28일까지 3개월 동안 A대학의 8개 건축물에 대해 실내 라돈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연간 유효선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A대학의 건축물 Hall G 와 Hall F의 라돈농도는 각각 81 Bq/㎥, 14 Bq/㎥ 로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 건축물의 평균 실내 라돈농도는 41.63 Bq/㎥로 나타났다. 대학 내 학습공간과 생활공간에 대한 연간 유효선량 환산치의 평균은 0.40 mSv/y이며 최대 연간 유효선량은 0.78 mSv/y, 최소 연간 유효선량은 0.13 mSv/y로 나타났다. 학교는 학생들이 오랜 시간 머무르는 공간이므로 건축물에 대한 적절한 환기와 관리를 통해 실내라돈 농도를 낮추는 것이 라돈에 대한 자연방사선 피폭을 낮추는 방법이다.
        305.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truction of indoor gardens in expressway service areas.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fficient and successful indoor garden introduction in future service areas and improvements for current service areas on expressways.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2, 2016 to October 11, 2017. The status of indoor garden was determined by visiting 147 expressway service areas in Korea. Physical environment survey items include architectural structure, usage type, facility and garden ornament, mobility, material of planter, soil type and planting plants. Among the 147 major expressway service areas, 56 were constructed with indoor gardens done, showing an indoor garden construction ratio of 38%. In terms of the number of service areas with indoor gardens in expressway, Gyeongbu Expressway had the largest number of 16 areas. This was followed by 10 in Jungang Highway, 8 in the Jungbunaeryuk Expressway, 6 in the Seohaean Expressway, 4 in the Namhae Expressway, 4 in the Youngdong Expressway, 3 in the Donghaean Expressway, 3 in Tongyeong-daejeon Jungbu Expressway, and 2 in Honam Expressway. Thirty five service areas in expressway were constructed with natural flowers, 7 service areas were decorated with artificial flowers, and 14 service areas were arranged with both natural and artificial flowers. Most of the indoor gardens in the expressway were constructed in the restroom space, 47 in the men’s restroom and 50 in the women’s restroom. The indoor garden landscape in the expressway service area was all designed as a fixed garden type, except for three places composed of portable planters. There were 19 families, 27 genera, and 30 species of plants found in the indoor gardens in the expressway service areas.
        30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mprove job performance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through competency-based instructionally designed indoor gardening course. In this study, The first step is that job analysis such as task range, eligibility, core competency, index of capability, etc was done by a focus group composed of 10 specialists in the industry and academia. The second step is developing a diagnostic tool of indoor gardening activity competency. The third step is the selection of diagnostic test students. The 4th step is selection of subjects for competency diagnostic testing. The 5th step is competency diagnostic testing The 6th step is analysis of competency improvement for instructional design. In result, average of cognitive competency improved from 1.80 to 3.96, physical competency from 1.86 points to 4.06 points and social competency from 2.30 points to 4.40 points after 15 weeks course. We found that effect of indoor gardening instructional design on job competency improvement. The next step is the establishment of instruction guidelines for indoor garden assistant manager or all kind of assistant job as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307.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oble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rmining indoor greenery ratio through a digital camera and image analysis. Photographs with 10 different exposure compensations level were taken at indoor room using the function of “Partial color (green)” in a digital camera under varied indoor light conditions. RGB photographs were converted into Lab mode using [Image/Mode] function of Photoshop software program. The number of green pixels were calculated within 1 to 127 level (equivalent to -127 to -1 of Hunter a* value) through “Channel a” in [Histogram] function of the software. Greenery ratio was calculated by maximum green pixel number of an exposure compensation in relation to total pixel number, as maximum green pixels number would be obtained under a certain exposure compensation level when it minimizes achromatic color by partially excessive lower or higher light condition within certain area of photograph. When greenery ratio obtained from this method was compared with general greenery calculation of green area through manual selectio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9852, indicating appropriate greenery ratio estimating method. When applied to vertical planter of veranda and office, greenery ratio varied at 0.53~14.96%. In our experimental condition, error of the function, “Partial color” by the digital camera was within 0.013, while the error of the function, “Channel a” by the software was within 0.005.
        309.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 to make a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in this system, as using beacon, it can measure the position of worker who have smartphone or any device which have bluetooth function. there is two way to use technology of beacon, first one is distance technology which can alarm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ppoaching heavy equipment. second one is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it is the main technology which can measure the position of workers in real time. this system is based on low energy and accurate sensor, beacon, and have a low cost advantage. so it is expected to improve safety on the construction site.
        310.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aken place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change with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installation of indoor garden with 55 of subjects out of 62 subjects. More than 50% of subject answered that the garden management would be difficult before they experience the installation but the pressure was decreased while the interest of plants and landscape increased, however, the burden of management decreased and the interest in the kinds of plants and landscape design tended to increase after the experience of the installation. The psychological effect of indoor garden of worke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question of “Indoor garden improves effect of air cleaning.” after the experience of installation and the loyalty was statistically increased with the question of “Intend to invest more fund to purchase indoor plant” (p <.05).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wo psychological indicators, the recovery index of the state according to experience of indoor garde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experiencing the indoor garden than before the indoor gardening experience. As the result of sensibility evaluation of pleasant, natural and calm wit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orkers feel more of them with the indoor garden. In addition, the loyal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question “I would be willing to invest more in plant purchase” after experiencing the composition indoor garden (p <.05).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result that the resident’s recovery index, pleasantness, calm feeling, and emotional index are higher the indoor garden in public resting area with indoor garden than without indoor garden. With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indoor garden changed as a result of the worker’s experience of indoor gardening in the workplace and the view of the indoor garden created by the workers. As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of indoor garden increased, increase in the cost investment for the emotional health promotion of the workers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 indoor garden.
        311.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나라꽃으로 사랑받아온 무궁화에 대한 이용방안이 활기를 띠면서 실내공간으로 도입이 가능한 무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무궁화 품종 중 꽃과 잎이 아름다운 ‘아랑’에 대한 광적응성 실험을 하였다. 도입광원은 현재 실내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 광등, 삼파장, LED등을 비롯하여 태양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하는 광섬유 등 4종류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광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은 관상가치를 파악하는 엽장, 엽 폭, 초장, 엽수, 낙엽수, 절간장, 개화율, 꽃색상 등의 형태적 측정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생리적 활성요소를 알아보고자 LI-6400을 사용하 여 광합성 활성을 측정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광원별 실험 결과, 형광등은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이었고, 삼파장등 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양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LED등의 경우,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으며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원 활한 생장을 하였다. 무궁화 ‘아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경우, 최적광원은 광섬유 였으며, LED등, 형광등, 삼파장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 타났다. 광도는 대체적으로 1,500lux∼ 2,500lux 범위 내에서 무난하게 잘 자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1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궁화는 나라꽃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커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아왔다. 본 연구는 선호하는 무궁화 품종 중 ‘새아침’ 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 광환경을 설정해 주고 광적응성을 실험하였다. 실험구내 설정한 광원은 실내 공간에서 주광원으로 도입되고 있는 LED등,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등 4종류를 사용하였다. 광도범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에 대한 측정요소는 형태적 특성에 따른 관상 가치와 LI-6400을 사용하여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실험 결과, 새아침 품종 도입시 가장 적합한 광원은 LED등 이었으며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순으로 나타났다. 광원별 적합한 광도는 LED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우월 한 생육과 생장을 보였으며 형광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삼파장등의 경 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양호하였다.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나타나 광도가 높을 수록 원활한 생장을 하였으며 생육상태도 양호하였다. 무궁화 ‘새아침’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함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을 고려해 볼 때, 750lux∼2,500lux 광도범위 내에서 무난히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13.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지속가능한 취업처 개발 목표달성을 위하여 도시형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실내조경 직종을 분석하여 일 중심의 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현장실습위주의 역량기반의 교육과정을 맞춤형으로 개발하고 이를 교육한 후 교육대상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의 만족 정 도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교육내용 구성을 위해 전문가 위원회에서 현재 발달장애인이 원예 관련 직종에서 수행하는 가능한 작업을 분석하여 상품제작과 상품 배달, 식물관리 및 이동, 상품 포장과 서비스를 대표적인 직무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직무교육 과정을 장애고등학생에 맞도록 난이도를 조정하여 교육과정을 실시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을 때 결과는 교육과정에 대하여 89%가 만족 하였고 세부교육내용은 67%가 만족하였으며 실습내용은 78% 강사 89%를 만족하였고 세부 프로그램 중 식물원 환경미화 67%, 식물관리 67%, 식물원매장관리 56%, 식물장식이 55%로 높은 만족의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고등학생의 역량을 고려한 맞춤형 실내조경 직무교육은 높은 만족을 나타내었으므로 장애인의 도시형 농업기반의 직업교육 콘텐츠로 실내조경분야는 높은 가능성을 기대할 수 분야 라고 판단되어 향후 지속적인 직무교육과정개발과 수행평가 도구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31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말기암 환자 보호자의 기분과 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은 H의 료원 중증말기(호스피스병동입원) 성인암 환자를 간병하는 보호자로 주 2회, 회당 평균 30분, 집단치료로 수행되었다. 1기는 2016. 4월.~5 월.까지 7명, 2기는 2016. 5월.~6월.까지 7명, 3기는 2016. 6월.~7월.까지 6명, 총 20명의 단일 실험군이었다. 조사항목은 기분상태와 각성 (에너지)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James A. Russell 등(1990)에 의해 개발된 감정지도(Affect Grid)를 사용하였다. 수행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1회기는 자신의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을 잔디인형에 표현하고, 2회기에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을 허브식물 이식과정에서 뿌리로 통합하도록 하였다. 3회기 꽃바구니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된 다양한 꽃과 소재의 역할에서 자신의 강점을 탐색하 고, 4회기에 다육식물의 환경적응 및 강인함과 연결하여 접시정원을 완성하였다. 5회기에는 식재했던 허브식물의 잎을 수확하여 허브티 백을 만들고, 3회기에 남겨진 꽃으로 만든 압화를 이용하여 압화 액자를 만들고 환자와의 추억을 액자 속에 담도록 유도하였다. 7회기에는 코사지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가진 꽃을 활용해 감각을 자극하며 코사지를 통하여 연상되는 긍정적인 경험을 회상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고, 8회기에는 식용꽃 케이크를 만들고 허브차를 만들면서 파티(잔치)를 통해 연상되는 긍정적 경험을 회상할 수 있도 록 유도하였다. 이에 매회기별 원예치료 참여 전과 후의 기분 및 에너지 상태를 측정한 결과, 기분의 경우 원예치료 전 평균 4.10에서 후 6.42로 기분이 유의 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에너지의 경우 원예치료 전 평균 3.76에서 후 6.22로 에너지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 후 구두 또는 서면을 통한 느낌나누기에서 ‘피곤함이 사라졌다. 기분전환이 되었다. 감사하다, 힘이 된다.’ 등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꽃바구니를 만들면서 화훼장식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꽃의 역할들을 통해 현재 보호자로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해 인식하고 스스로를 격려 할 수 있었으며, 완성된 꽃바구니를 환자 또는 다른 가족에게 선물 하면서 서로에 대한 감사를 표현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31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완-인지행동-사회적 지지’전략에 기반하여 격주 수행된 실내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보건소 이용 암환자의 코티졸과 세로토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은 암으로 진단 받고 K보건소 행복교실을 이용하는 환자들 중 2015년 8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기 15명,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2기 8명, 총 23명 실험군으로 단일집단연구로 이루어졌다, 회기당 90분, 격주 1회, 종 8회(2달) 동안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조사 항목 및 방법은 생리지표로 Cortisol, Serotonin을 측정하였다. 이완전략은 모든 회기의 시작단계에 적용되어 심리적, 신체적 긴장감을 완화하도록 유도하였다. 사회적 지지전략은 회기의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시작 및 종료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졌고, 활동 종료 후 가족 및 지지체계로부터 긍정적, 지속적 지지를 경험하 도록 하였다. 인지행동 전략은 부적절한 사고 및 상황 파악하기, 자신의 강점 인식하기, 긍정적 초점으로 문제해결하기, 긍정적 자기 재평 가하기의 4단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전개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자신의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을 압화이름표와 잔디인형 에 표현하고, 부적절한 사고 및 감정을 허브식물 이식과정에서 뿌리로 통합하도록 하였다. 꽃바구니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된 다양한 꽃 과 소재의 역할에서 자신의 강점을 탐색하고, 이를 다육식물의 환경적응 및 강인함과 연결하여 접시정원을 완성하였다. 또한 식재했던 허 브식물의 잎을 수확하여 허브티백을 만들고, 남겨진 꽃으로 만든 압화를 이용하여 압화 티매트를 만들면서 쓸모없어 다듬은 뿌리, 눌러둔 꽃이 새롭게 창조되는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문제를 긍정적 초점으로 해결하도록 도왔다. 새싹채소를 파종하고 수확하여 성취감과 새로운 생명력, 잠재적 가능성을 느끼고, 쓸모없다고 여겨진 꽃이 코사지로 만들어 그동안 참여한 자신에게 선물한다. 전체 회기동안 이루어진 활 동과 결과물을 이용하여 가든파티를 함으로써 자신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실험군의 Cortisol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사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p=0.014), Serotonin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사전에 비해 유 의하게 증가(p=0.000)하였다.
        31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명의 발전과 산업화된 경제 구조, 인구의 밀집 현상이 두드러진 도시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녹지 환경이 턱없이 부족하고 대기의 질은 나 날이 악화되고 있다. 더구나 지구 온난화로 인한 전반적인 자연환경의 변화로 인해 대륙의 사막화는 점점 가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웃한 중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는 어떠한 안전장치도 없이 국내로 무차별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대기의 오염으로 외부 공기로 환기를 시 키는 것이 더 이상 안전할 수가 없고 사람들이 실내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식물을 매개체로 하는 복지원예사가 다양한 프로그 램에 도입한 식물의 공기정화능력을 알리고 이를 적극적으로 현장에 반영해보고자 실내식물의 선호도와 인식조사를 20~60대 성인 100인을 대상으로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가 선정한 실내 공기 정화식물 50종의 사진을 제시하여 조사하였다 가정 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식물은 상위는 산세베리아>인도고무나무>헤데라>행운목>스파티필>쉐프렐라홍콩야자>아레카 야자> 관음죽>벤자민 고무나무 순이었고, 향후 구입 의사가 높은 식물은 행운목>산세베리아>인도고무나무>아레카 야자>안스리움>벤자민 고 무나무>관음죽> 대나무 야자-세이브리지>알로에베라>스파트필름 이었다. 실내식물을 구입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유해 물질 제거능력>재배 관리의 용이성> 미관상의 아름다움이나 향> 가격 이었다. 실내 식물이 미치는 영향은 정신건강 3.18점(5점만점), 실 내환경 3.25(5점만점)으로 정신건강보다는 실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복지 원예사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할 때 식물 선택에 있어 식물이 가진 환경 정화기능과 인간의 심신 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녹색식물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어 정서적인 안정감 과 편안함을 회복함은 물론이고 보다 개선된 환경을 고루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현대를 사는 우리가 당면한 대기오염 문제와 피폐한 정 신을 복원하기 위해서 이제 실내식물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317.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ocalization of the robo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navigating mobile robots. The use of featured information of landmarks is one approach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robot. This approach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natural-landmark-based and artificial-landmark-based approach. Natural landmarks are suitable for any environment, but they may not be sufficient for localization in the less featured or dynamic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artificial landmarks may generate shaded areas due to space constraints. In order to improve these disadvantage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development of the localization system by using artificial and natural-landmarks-based approach on a topological map.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can recognize far or near landmarks without any distortion by using landmark tracking system based on top-view image transform. The camera is rotated by distance of landmark. The experiment shows a result of performing position recognition without shading section by applying the proposed system with a small number of artificial landmarks in the mobile robot.
        318.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surveyed to 269 respondents for investigating psychological response to indoor foliage plants grouped by four type of design materials. 21 indoor foliage plants grouped as filler, mass, form, and line plant, are shown to each respondent for surveying the preference and emotion by S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t was statically significant that the filler plant group was the least preferred one between the indoor foliage plant and the preference of line plant group was the highest. In filler plant Scindapsus aureus is significantly favored, in mass plant Aglaonema crispum and Syngonium podophyllum, in form plant Ficus banghalensis in line plant Dracaena fragrans ‘Lemon Lime’, respectively. The green is the most preferred color of leaf and gray is the least one. When investigated on the major emotions felt with four types of indoor foliage plant with SD scale, filler plant felt as ‘Bright’, ‘Light’, ‘Pale’, mass plant ‘Warm’, ‘Sharp’, form plant ‘Simple’, ‘Luxurious’ and line plant ‘Sophisticated’, ‘Luxurious’, ‘Pleasant’, ‘Soft’ and ‘Fancy’, respectively. This result will be valuable when the indoor garden is designed with an indoor foliage plant.
        31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visual preference and emotional change for the cut-flower decoration at public indoor space by using vertical, horizontal, and round type which are generally used. The investigation was done with 173 participants of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in 3 indoor areas designed with cut-flower decoration and 1 area of public place without it, respectively. Psychological evaluation was analyzed with the visual preference of cut flower shape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In addition, the general awareness, loyalty and importance for cut-flower decoration were investigat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paired t-test, one-way ANOVA,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frequency. A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emotion of subjects with Semantic Differential, the feeling of comfort, nature and calm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public indoor space with cut-flower decoration. When we surveyed the feeling for the 3 type of cut-flower decoration with 14 pairs of emotional vocabulary, the participants felt ‘tranquil’ and ‘comfortable’ in the public indoor space with horizontal and round shaped decoration while they felt ‘strong’ and ‘anxious’ in the space with vertical shaped decoration. The preference of decoration forms was significantly high with round > horizontal > vertical type in order and vertical shape was highly preferred in twenties and sixties groups compared to other types significantly. In conclusion, we could recommend that round type decoration can be used in indoor place where comfort and calm are required and vertical form will be appropriate for challenging and vibrant twenties and depressed sixties with ageing. This customized cut-flower decoration will improve the environment quality of employment.
        32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umber of areas where slopes is exposed is increasing constantly due to continuous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nd urban development in our country where is mostly mountainous areas, and the number of man-made disasters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durable seed spraying soil materials that enable stable greening on rock slopes and establish the optimal construction method that is suitable for such materials. Therefore, a basic rearch on a method to replicate the field construction method of seed spraying soil materials indoors, produce and evaluate the specimen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