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2

        34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 형질 전환 체세포 핵이식에서 용이한 탈핵을 위해 demecolcine을 이용할 시 탈핵율과 핵이식란의 발육능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도축장 유래 미성숙 난자를 18시간 체외성숙 후 제1극체가 확인된 성숙 난자를 0.1, 0.2, 0.4 및 0.8 ug/ml의 demecolcine이 첨가된 배지에서 1시간 더 처리한 다음 세포막이 돌출되어 있는 난자를 체세포 핵이식에 공여하여 각 군간 배반포로의 발육능을 비교하였
        4,000원
        34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transgenic birdsfoot trefoil (Lotus corniculatus L.) plants tolerant to environmental stress, Arabidopsis NDPK gene (AtNDPK) was introduced into birdsfoot trefoil plants using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nd expressed powerfully under
        4,000원
        34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용유전자 도입을 통한 신품종 톨 페스큐를 개발할 목적으로 Agrobacterium을 이용한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및 형질전환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형태에 따라 3가지 type으로 분류하였고 type Ⅱ캘러스는 유백색으로 녹색을 띠며 조직적으로 치밀한 상태이며 식물체로의 재분화효율이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재분화 배지에 AgNO3와 cysteine을 동시에 첨가해 준 경우 무첨가구에 비해 캘러스 유도율은 6.7%, 식물체 재분화율은 12% 씩 각각 증가하였다. 캘러스 type 별 형질전환 효율을 조사한 결과 typeⅡ 캘러스는 58.0%로 가장 높은 형질전환효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체를 PCR 및 PCR-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발현벡터의 T-DNA 영역이 형질전환 식물체의 genome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효율적인 형질전환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톨 페스큐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52.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요를 통해 hFSH를 발현하는 형질 전환 소의 생산이다. 요의 분비와 관련 있는 유전자로서 mUII promoter를 사용하여 hFSH유전자를 구성했다. 태아섬유아세포(KbFF)는 임신 45일령의 태아(male)에서 채취하였다. hFSH gene은 pcDNA3(neo) vector와 같이 KbFF 세포에 electroporation 방법으로 transfection하였다. 유전자를 transfection한 세포는 G-418로 2주 동안
        4,000원
        35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 내성 오차드그라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재조합 DgP23 유전자에 CaMV 35S 프로모터를 붙여 발현벡터를 제작, Agrobacterium 형질전환 방법으로 오차드그라스 형질전환체를 생산하였다. Genomic DNA를 분리하여 PCR 및 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한 결과, PCR 분석에서 DgP23 유전자의 DNA band가 관찰되었고, Southern blot 분석에서도 X-ray film 상에 hybridization signal이
        4,000원
        35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300원
        358.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uminum tri-butoxide was mixed with the water/ethanol solution and then chloroplatinic acid was added to the solution. The solution was dried at 100℃ for 15hrs to remove the solvent and water then it was calcined at 500℃. The catalyst was activated with a gas mixture. During the activation,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150℃ to 500℃. The necessary amount of urea was dissolved in 50mL water and injected. Aqueous urea solution was then mixed with the feed gas stream. At low temperatures,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f urea decomposition are used as reductants in the reducton of NOX. However at high temperatures the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re oxidized to NO and NO2 by oxygen instead of being used in the reduction. The activity of the catalyst was dependent on urea concentration in the feed stream when there was not adequate water vapor in the feed. The maximum conversion was shifted from 250℃ to 150℃ when water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2 to 17%. It seems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shifts to lower temperatures because the hydrolysis rate of HNCO increases with water, resulting in higher amounts of NH3.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