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17

        36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논에서의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형태별 우분액비의 시용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총체보리+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이모작구 그리고 헤어리베치를 녹비작물로 이용한후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일모작구로 하여 논에서의 다양한 조사료 작부 형태를 배치하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처리구별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를 분석함과 동시에 우분액비의 시용과 경작형태에 따른 용탈수중 -N, -N 및 -P 등을 분석하여 환경오염에
        4,000원
        36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생태계 인삼 경작 재배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토양 생물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진안 6개 조사구의 인삼 재배 농가에서 조사하였다. 2008년 4월 부터 11월까지 채집하여 분류된 미소절지동물은 총 3,101개체였다. 이중 응애류 44.9%, 톡토기 50.1%, 기타 5.0%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한 장소는 분변토를 시용한 대조구, 4년근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별 밀도소장은 4월, 5월 6월 순이었으며 7월, 8월은 낮은 밀도를 보였다. A/C 비
        4,000원
        369.
        2009.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성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 원자력시설 주변 부지의 수리지질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방사성 토양 복원에 적합한 수직형 동전기세정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 수직형 동전기세정장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원자력시설 주변 방사성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최적 세정제를 선정하고 단기간에 높은 제거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제염조건들을 도출하였다. 초산을 세정제로 사용하였을 때 토양으로부터 코발트와 세슘의 제거효율이 가장 높으므로 동전기제염을 위한 최적 세정제로 초산을 선정하였다. 동전기세정제염 시 세정제 주입량을 증가 시켰을 때 토양으로부터 코발트와 세슘의 제거효율은 평균 약 4.6% 제거효율이 증가했고 토양폐액 발생량도 동전기제염의 1.5배인 2.4 mL/g이었다. 동전기토양셀의 전압구배를 2배로 증가시켜 4 V/cm를 적용시켰을 때, 코발트와 세슘의 제거효율은 각각 98.9%와 96.7%로 평균 약 4.3% 제거효율이 증가했다. 그리고 세정제 농도를 0.01M로부터 0.05M로 증가시킨 후 제염실험 결과 코발트의 제거효율은 상승했지만 세슘의 제거효율은 감소하였다. 위 실험결과 개발한 수직형 동전기세정장치의 최적제염조건으로 제염시간은 20일 동안 초산 0.01M∼0.05M을 세정제로 사용하여 동전기토양셀의 전압구배는 4 V/cm를 가하고, 2.4 mL/g의 세정제를 주입하는 것이다.
        4,000원
        37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서울시와 경기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중온성세균 3주를 분리하였다. 0.01%의 PBSA film이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변형 Sturm test에서 40일간 PBSA의 생분해도는 각 분리균주가 30%, 55% 및 43%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Bacillus licheniformis PBSA-5의 경우는 PBSA뿐만 아니라 PVA에도 분해 활
        4,000원
        37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생요인, 토양환경요인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1993~1997년의 자료를 토대로 2003~2007년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유역을 11개 소집수역으로 세분하고 하천 유역의 오염원 동태, 식생요인과 하천수질, 토양요인과 하천수질의 상관성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형은 총 10개 type으로 구분되었으며 식생형별 수질과의 상관은 특히, 굴참나무군락에서 용존산소(DO)와 5% 수준(r=0.98)에서, 일본잎갈나
        4,000원
        37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작은뿌리파리(Bradysia difformis)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에 의한 Pythium spp.과 Fusarium oxysporum 균의 전반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 균을 증식한 PDA 배지상에 작은뿌리파리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을 접종하여 Pythium spp.과 Fusarium oxysporum을 먹이거나, 접촉시킨 2일 후 유충과 번데기는 0.6% sodium hypochlorite와 0.1% Triton-X 100의 혼합액에서 1분 동안 표면 살균을 하고 새로 만든 PDA 배지에 올려 놓은 다음 colony수를 조사한 결과 각각 26.7개, 18.0개였다. 그리고 번데기는 전반을 하지 못하였으며, 성충은 Fusarium oxysporum만 5.7개의 colony를 형성하였다. 작은뿌리파리 유충을 육묘용 트레 이에 0, 1, 2마리씩 접종하고 Pythium spp.을 106 농도로 접종한 결과 수박, 오 이, 참외, 메론, 애호박에서 각각 유충 2마리를 접종했을때 60.0%, 43.3%, 40.0%, 13.3%, 26.7%로 수박에서 가장 발병률이 높았다. 육묘용 트레이에 작 은뿌리파리 유충을 0, 1, 2마리씩 접종하고 106 농도로 Fusarium oxysporum을 접종하여 발병률을 조사한 결과 수박, 오이, 참외, 메론, 애호박에서 각각 46.7%, 33.3%, 30.0%, 10.0%, 20.0%의 병이 발생하였다. Pythium spp.과 Fusarium oxysporum 106 농도를 각 트레이에 방사한 후 작은뿌리파리 성충을 방사하여 병 전반을 알아본 결과 Pythium spp.은 수박에서 23.3%, Fusarium oxysporum도 수박에서 20.0%의 병 발병률을 보여 가장 높았다. 한편 형광성단백질(GFP, Green Fluorescencee Protein)를 삽입한 Fusarium oxysporum 균을 PDA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3일 동 안 작은뿌리파리의 유충을 넣어서 균을 먹인 후 형광현미경에서 유충을 촬영 한 결과 균을 섭식하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379.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주요 해충의 방제제로서 주목받고 있는 곤충병원성곰팡이의 이용을 위해 곰팡이 감염 이병충과 전국의 토양시료로 부터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분 리하고 그 분포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성곰팡이의 효율적인 분리를 위해 기 보고된 선택배지의 조성을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선택배지 조성을 결정하 고,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11종의 사충으로부터 Beauveria 속 9종과 Metarhizium 속 2종을 그리고 토양으로부터는 213개의 후보군을 1차 선발하고 배양한 후 그 형태학적 증식상으로 2차 분리하여 93개의 곤충병원성곰팡이 시료를 선별하 였다. 서식처별 분포는 산림 41개소 중 14개소(34.1%), 논 49개소 중 12개소 (24.5%), 과수 24개소 중 5개소(20.8%), 하천 87개소 중 18개소(20.7%), 밭 127 개소 중 23개소(18.1%), 수목 117개소 중 21개소(17.9%)에서 곤충병원성곰팡이 가 검출되었다. 이렇게 분리되어진 곤충병원성곰팡이는 여러 가지 다양한 해 충 방제를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80.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를 받은 토양생태계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토양온도와 수분함량은 완전벌채지 15.3℃, 11.5%, 일부벌채지 14.4℃, 13.5%, 대조구 13.7℃, 14.8%로 나타났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완전벌채지가 2.11~2.64%, 일부벌채지 2.26~3.33%, 대조구 2.27~3.10%의 범위에 있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호흡량은 계절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여름철에 높았으며, 토양온도와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토양호흡량은 완전벌채지 0.24, 일부벌채지 0.36, 대조구 0.32 gCO2/㎡/hr로 나타나 소나무재선충 피해목만 벌채한 일부벌채지의 토양호흡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산림토양의 Q10값은 2.39에서 2.68 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을 통한 년간 토양호흡량은 완전벌채지, 일부벌채지, 대조구에서 각각 8.1, 15.6, 14.6 tCO2/ha/yr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