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1.
        2011.0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無可否認,漢字對日文及日本文化有著極其深遠的影響。經朝鮮半島傳入日本的漢字又稱真名(mana),其形、音、義基本上與古代中國的表意文字(ideogram)一脈相承;而所謂假名(kana),則借漢字的形與音作為標音文字(phonetic script)。較為人熟悉的假名有平假名(hiragana)與片假名(katakana),它們以不同的方式把漢字的筆劃簡化,以便標音。有必要指出,漢字本來就不僅是一種文字或符號,而且是思考的載體。傳統日本透過漢字引入了詩詞歌賦與百家經典,而現代日本則以漢字翻譯西歐思想。以「哲學」為例,這個由日本學者西周(1829-1897)所作的譯語,結果回傳至中韓等地,成為了東亞的標準用語。今天,日本政府的文部科學省制定了常用漢字表,規定漢字的寫法與讀音。日本學校的日文課程基本上是根據常用漢字表,讓學生們把握這二千多個常用漢字。然而,學習語言並不等於依循法令。常用漢字在1923年之後才出現,在此以前日本人如何學習漢字?本文將介紹文學家夏目漱石(1867-1916)與哲學家西田幾多郎(1870-1945)的漢字學習經歷,並對現今的漢字教與學作一些初步的反思。 -
        22.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초등학교 漢字敎授學習方法을 탐색해 보고, 필자 나름대로 초등학 교 漢字敎授學習方法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漢字와 漢字語의 지도 기법, 원리, 교수학습 모형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漢字와 漢字語의 지도 기법과 원리는 학문 적 수준에서 논의조차 미흡한 편이며, 교수학습 모형은 연구자마다의 기본적 입장 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산만하게 제시되어 있다. 이에 필자는 그동안 발표된 敎授學習方法에 관한 논의들을 토대로 초등학교 漢字敎授學習方法을 교수학습 모 형과 원리, 기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초등학교 漢字교육의 내용은 漢字와 어휘를 중심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초등학교 漢字교육의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 등학교 漢字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교수학습 이론의 적용, 교수학습 원리, 전략이 나 기법, 수업 모형 측면에서 검토하고, 또 漢字지도에 관한 기존의 진술들을 추 출하여 보았다. 또한 이와 아울러 문자교육관련, 언어교육관련, 뇌과학 관련 연구성과들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漢字지도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검토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필자가 나름대로 가감하여 필자는, 초등학 교 漢字지도의 원리와 기법을 내용 영역에 따라 원리와 전략(기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漢字수업 모형을 유형화하기 보다는 초등학교 漢字수업 의 기본적인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여, 초등학교 漢字교 수학습의 기본적인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漢字敎授學習方法을 포함한 漢字한문 敎授學習方法에 대한 연 구와 정리는 앞으로 더욱더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또 체계적으로 정리된 敎授學習方法이 일선의 교육 현장에 하루 빨리 보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8,400원
        23.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言語(언어)의 構成(구성)에는 몇 가지 요소가 있다. 구어에서는 統辭構造(통사 구조), 語彙(어휘; 단어), 修辭法(수사법) 등이 필요하며, 文語(문어; 문장언어)에 서는 통사구조, 어휘, 表記(표기; 표기법), 수사법 등이 그것이다. 우리말의 통사구조는 '주어+목적어/보어+서술어', '수식어+피수식어'의 순이 다. 통사구조는 쉽게 변화될 수 없다. 그래서 통사구조가 다른 한문을 수용했을 때에 우리 선인들은 현토라는 학습 방법을 도입해서 한문의 국어화를 시도했다. 현토는 통사구조가 다른 언어를 우리 통사구조에 편입시키는 과정이다. 어휘[단어]는 언어의 내용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어휘는 문화의 수준과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말의 어휘는 우리 역사의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범위 또한 생멸의 과정을 겪으면서 확산된다. 상고시대나 삼국시대에서 사용하던 어휘를 비롯해서, 중세 때에는 한문 문화와 관련된 한자 어휘[한자어]를, 근대 이 후에는 서구의 문명과 관련된 번역 또는 신어의 한자 어휘로 만들어서 사용했다. 표기법은 문어를 사용할 때에 제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구어와 문어가 일치한 다는 것은 구어의 발음을 그에 맞게 표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베트남이 자신의 구어를 표기할 수 있는 발음 표기가 적절한 게 없어, 과거의 한자 표기를 버 리고 알파벳의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베트남어를 발성하고 표기하 는 수단으로 차용한 것에 불과하다. 세계의 많은 언어 중 고유의 표기를 갖기란 매우 어렵다. 서구의 여러 언어가 알파벳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들의 고유의 것은 아니다. 우리말의 표기는 초기의 한자를 사용하다가 구결, 향찰표기, 한글 등을 사용했다. 때문에 구어를 문장으로 표현할 때에는 구어의 통사구조와 표기법의 상관 속에서 다양한 문체가 등장했다. (순) 한문체, 조선풍 한문체, 임신서기석체, 구결풀이 한문체, 이두향찰체, 구결현 토 한문체, 경서언해체, 한글 현토 한문체, 국한혼용표기 국어체, 한글 전용 국어 체 등이 그것이다. 현재 한자의 음은 국어화 되어 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하는 한자의 음과 비슷한 것도 있지만 일부분 다른 것도 있으며, 발음에서 가장 중요한 발성 방법 [음운 체계]은 우리말 발성 방법을 사용한다. 수사법은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기술로서 표현이나 설득에 필요한 다양한 기법이다. 우리는 다양한 언어적 수사법을 갖고 있다. 그 가운데는 전통적으로 한문 문화에 의해 형성된 수사법의 언어도 있다. 고사성어 등이 그것이다. 어휘는 원시 한국어를 사용하던 그 당시 문화가 ‘원시적’이라면, 그 어휘 또한 원시의 생활을 반영한 것이며, 원시의 생활에 필요한 것이다. 그 가운데 대부분의 것은 원시의 문화를 청산하면서 없어졌을 것이다. 중세의 한국어는 중세의 문화와 생활이 반영한 것이며, 중세의 한국인의 문화와 생활에 필요한 것이다. 오늘날 우 리가 사용하는 말은 오늘의 문화와 생활을 반영한 것이며, 오늘의 생활에 필요한 것이다. 그 가운데 중세에 형성된 어휘이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된다면, 그 것은 여전히 그 어휘가 유효하다는 증거이다. 언어는 어휘로만 통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맥락만으로도 통하는 것도 아니 다. 어휘와 맥락, 문법 등이 고루 작용한다. 단어는 알겠는데, 내용을 이해하지 못 하는 것은 대부분 통사구조에 따른 문법 이해 부족과 語源(어원)에 따른 어휘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이다. 특히 전문적인 어휘의 어원를 이해하지 못하면 교과의 학습과 전문분야의 익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언어 교육에서 한자 어휘의 어원 학습은 매우 중요하다.
        6,000원
        2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漢字語敎育은 한문교육에서 基本的인 位置를 차지하는 領域이다.이 점에서는 고등학교 교육과정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실제로 고등학교 10種한문교과서에서는 모두 漢字․漢字語를 풍부하게 다루고 있다.그러나 대부분의 교과서가 本文外의 부분에서 漢字및 漢字語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서 실제 학습 과정에서 다뤄지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또 교수-학습 방법 측면 역시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 없이 익혀야 할 漢字․漢字語를 나열하는데 그치고 있다.이 때문에 제시된 漢字․漢字語를 어떤 방법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온전히 교사 스스로의 몫으로 남겨진다.그렇다면 고등학교에서 漢字․漢字語를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硏究者는 그 실마리를 文化遺産을 활용한 漢字․漢字語교수 학습 방법에서 찾아보고자 했다.文化遺産이란 다음 세대에 물려줄 有形․無形의 각종 文化財나 文化樣式따위를 일컫는 말이다.일 년에 한두 번쯤은 학교 혹은 학급 단위의 校外活動으로 博物館이나 古宮등의 文化遺蹟地를 방문하게 된다.그곳에서 아이들은 古宮의 懸板이나 遺蹟地의 안내문 속에 새겨진 漢字와 마주치게 된다.그 漢字들은 단순히 文化財이름으로서의 가치를 넘어 文化財의 意味와 歷史까지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문화재 속의 漢字․漢字語를 수업 장면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면 한문 교육이 지향하는 漢字․漢字語교육뿐만 아니라 傳統文化의 繼承발전을 위한 교육까지도 아우를 수 있다.文化遺産을 활용한 漢字․漢字語교수 학습 방법은 뜻글자로서의 價値를 發揮하며 우리 文化遺産속에 깊이 박혀 있는 漢字의 가치를 再發見하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이 연구는 民畵와 文字圖,寺刹구조물 그리고 돌맞이 옷 四揆衫을 활용,각 文化遺産의 명칭을 통해 漢字및 漢字語를 학습하고 그 의미를 익히는 교수 학습 과정을 보여주었다.文化遺産의 특징은 그 중심에 ‘先人들의 구체적인 삶’이 있다는 것이다.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누리는 생활의 문화가 그 속에 녹아 있다.抽象的이고 漠然한 觀念으로서의 傳統이 아니라 生活의 場面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適用할 수 있는 傳統의 素材들이 文化遺産속에 있다.그 文化遺産이라는 소재를 활용하여 漢字․漢字語학습을 한다면,漢字․漢字語학습의 중심적인 目標를 成就하는 것에 덧붙여 傳統文化의 繼承과 發展이라는 附隨的인 목표도 성취할 수 있다.왜냐하면 文化遺産의 名稱과 意味를 아는 일은,그 속에 담긴 선인들의 精神을 이해하고 느끼는 일이기 때문이다.그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無心하게 지나쳤던 전통 建築文化,服食文化,繪畫文化속에서 의미 있는 깨달음을 건져 올릴 수 있을 것이다.또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도 無窮無盡하다.漢字로 기록된 수많은 文化遺産이 모두 자료가 될 수 있다.다만 이 연구에서는 特定한 文化遺産의 명칭과 의미를 학습하는 교수 학습 방법을 考案하다보니 교육용 漢字외의 어려운 漢字를 가르치게 되는 문제에 부딪치게 되었다.또 歷史,美術,建築등 순수 한문 교과적 성격을 다소 벗어나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되었다.이러한 문제점들은 한문 교과에서 가르칠 수 있는 문화유산을 選別․加工하여 한문 교과 교수 학습 체제에 맞게 再生産해는 연구가 계속되면서 克服될 수 있으리라 믿으며,이후 이 분야에 대한 持續的인 硏究와 試圖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11,100원
        2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 敎育의 重要性에 대한 인식과 社會的관심 속에서 최근 들어 漢字 敎育에 대한 열기가 고조되어 漢字敎材出版이 양적으로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아울러 家庭과 社會를 중심으로 漢字敎育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되어 幼兒를 대상으로 한 漢字敎育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그러나 지금까지 幼兒漢字敎育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이러한 점에 着眼하여 본 연구에서는 幼兒漢字敎育의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敎授․學習理論의 최근 동향과 幼兒敎授․學習의 原理를 알아보고,幼兒漢字敎授․學習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敎材의 內容과 敎授․學習方法을 分析한 후 幼兒漢字敎授․學習方案을 제시하였다.교재 분석 결과,각 교재들의 단원 구성 명칭은 서로 다르나 내용 전개는 전시 학습 상기,새로 배운 한자 익히기,확인 및 활용하기,마무리하기로 되어 있었다.교재별로 나름대로 고유한 단원 구성 체제를 갖추고 있지만,각 교재 내에서는 구성 체제가 정형화되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보다는 일정한 형식의 반복으로 이루어졌다.敎授․學習方法分析결과 도입 단계에서 놀이,이야기,수수께끼,동화,쓰기 학습법 등이 적용되었다.전개 단계에서는 漢字의 形․音․義學習을 위한 敎授․學習方法으로 자원 학습,쓰기 학습,읽기 학습,언어 활용법,문답법 등이 적용되었다.정리 단계에서는 학습 내용을 요약,정리,연습하는 方法으로 놀이,언어 활용법,시청각 학습법,漢字카드와 漢字語카드 활용,만화 활용,쓰기 학습법,신문 활용법 등이 적용되었다.이를 바탕으로 과정별 변인에 따른 幼兒漢字敎授․學習方案과 幼兒漢字敎授․學習의 비고츠키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이 연구는 漢字敎育연구의 지평을 幼兒期漢字敎育에까지 넓혀 幼兒漢字敎材의 內容과 敎授․學習方法分析을 통해 幼兒漢字敎授․學習의 실태와 체계성을 검토하고 幼兒漢字敎授․學習方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意義가 있다.이 연구를 통하여 幼兒漢字敎授․學習의 전 과정을 성급하게 판단하려는 것은 아니다.앞으로 문헌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해 幼兒漢字敎育에 대한 보다 확대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12,000원
        2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대중 매체 중에서 新聞과 放送媒體에 주목하여,이를 활용한 漢字․漢字語敎授-學習方法을 구안해보고자 한다.이를 위해 먼저 매체의 특성에 대해 살펴본 후,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신문․방송을 활용한 실제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해 보았다.신문․방송과 같은 대중 매체를 수업에 활용하는 경우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하나는 수업의 보조 자료로 활용하는 경우와 다른 하나는 교사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자료를 재구성하여 활용하는 경우다.연구자는 후자의 수업 유형을 통해 신문․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과정을 구안해 보았다.이를 위해 교수-학습법 중 ‘협동학습’의 원리에 기초하여 ‘신문활용교육(NIE)법’을 적용하여 수업과정을 설계하였다.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의 내용과 절차를 圖式化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신문․방송을 한문 교과에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잇점으로는,한자로 된 어휘의 뜻 이해,한자․한문 교육의 근거,민족의 사상과 정신을 체득하는 것 등이 있겠다.이러한 잇점과 함께 제한점을 살펴보면,난이도 조정 문제의 발생 가능성과 지나치게 교사의 역량에 의존한다는 점이다.이러한 제한점들은 신문․방송 매체를 활용한 漢文敎育의 理論的接近과 함께 現場授業硏究의 꾸준한 試圖들이 병행되어야 극복될 것이다.아울러 ‘이론과 이론’,‘이론과 현장’,‘현장과 현장’사이의 꾸준한 교류의 축적이 현시점 漢文敎科敎育學에 절실히 요구된다.
        7,000원
        2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의 목적은,개화기 교과서들을 분석하고 그 교과서들에 나타난 한자 및 한자어 교육 방법이 어떠한 것인지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개항 이후 한자 교육 관련 변화가 많았다.개항 후 일본을 다녀온 이들은 일본의 근대식 교육 상황을 보고했다.1894년 과거제가 폐지되고 또 국문을 중시하는 어문 정책이 정해졌다.각종 시험에서도 국문이 중시되면서 한문의 위상이 낮아졌다.한자 교육을 효율적으로 해야 하는 여건이 되었다.이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교과서들이 한자 교육 변화를 시도하였다.한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친절하게 직접 제시한 교과서가 있다.ꡔ速成漢字課本(속성한자과본)ꡕ,ꡔ婦幼獨習ꡕ등이 그 예이다.편집과 구성을 통해 교수-학습 방식을 간접적으로 보인 교과서도 있다.선교사 J.S.Gale의 ꡔ牖蒙千字ꡕ시리즈가 대표적이다.한자의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들이 있다.아학편과 같이 동일한 범주 안의 한자들을 묶어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한 교과서들이 있다.ꡔ正蒙類語ꡕ가 그 예이다.개화기 한문 교과서들은 전통적 방식으로부터 탈피하려고 노력하였다.새로운 시도이긴 했으나 획기적이지는 못했다.하지만 변화된 여건에서 한자와 한문의 위상을 높이려 한 노력은 높이 평가해야 한다.
        6,600원
        2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20년대나 1930년대에 日常으로 쓰이던 漢字어휘 상당수를 지금은 사용하는 이를 찾아보기 어렵다.漢字語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險-머흐러울 험’,‘危-바드라울 위’,‘疲-시드러울 피’,‘匡-바룰 광’과 같이 漢字학습을 통해서 익힐 수 있는 고유어도 함께 사라져 간다.이것이 漢字를 버린 오늘의 韓國語모습이다.이제 漢字語든 固有語든 韓國語資産을 예전처럼 되살리기는 어려울지도 모른다.그러나 길은 있다고 생각한다.그것은 바로 ‘漢字敎育을 통한 國語敎育正常化’다.여러 가지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漢字를 이용한 카드놀이,노래하듯 가르치는 한자학습 등은 이미 일부에서 시행되고 있다.그런데 우리는 너무 쉽게만 가르치려 한다.漢字는 분명히 어려운 것이다.그것을 쉽다고 한다.아이들이 쉽다고 생각하고 漢字학습을 시작했다면 머지않아 지루해하고 어려워 할 것이다.우리는 먼저 아이들에게 “漢字는 어려운 것이다.그러나 數學이나 영어보다는 쉽다.어렵고 지루한 과정을 참고 精進하는 것이 배움의 길이요,학문의 길이다.”라는 것을 말해 줄 수 있어야 한다.조상들께서 漢字를 사용하시던 漢字學習방법은 오늘에도 훌륭한 敎授法이다.그러나 이제는 전통학습이 어떤 것인지도 아는 이가 드물다.拙稿졸고는 전통 蒙學敎材몽학교재를 활용한 학습 방법을 현대화하여 適用할 수 있는 方案을 모색해 보자는 생각에서 쓰였다.물론 지금의 아이들은 예전에 漢文만 반복적으로 외워서 文理가 트이던 학동들과는 여러 가지 여건이 다르다.다른 공부가 많다고 하여도 數學이나 英語를 배우기 위해 쏟는 노력의 10%만이라도 漢字敎育에 마음 쓴다면 數學도 쉬워지고 다른 모든 敎科의 용어를 이해하는 데도 절대적인 효과를 발휘한다.本稿에 관해 여러 異見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우리의 목표는 같다.아직은 어떤 敎授法이 더 나은가에 관해 결론을 내릴 때는 아니다.역할을 分擔분담해서라도 여러 가지 교수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이 論考가 그 여러 가지 실험 대상 중의 하나로서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면 필자의 福일 것이다.
        7,800원
        3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와 한자어는 우리말을 형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한자와 한자어를 떠난 언어생활은 상상할 수 없다.우리의 언어생활에서 한자와 한자어가 비록 문자 언어로서 기능하고 있지만 그 쓰임은 구두 언어와 다름없다고 할 수 있다.본고는 언어 학습의 이론 가운데 하나인 스키마 이론과 문식성 이론에 기반을 두고 한자 교육을 논의하였다.먼저 독자의 인지 구조로서 ‘사전 지식’또는 ‘배경 지식’의 의미를 지닌 스키마(scheme)이론에 근거하여 한자․한문 스키마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한자․한문 스키마의 활성화는 국어 교육에서 읽기 교육의 스키마 활성화 방법을 원용하여 고찰하였는데,그 방법으로 질문하기,연상하기,예측하기,추론하기 등을 활용하였다.이와 같은 한자․한문 스키마 활성화는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또한 교사들에게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과 학습하는 중간,학습한 후의 활동이 각각 중요한 것이라는 인식을 하게 한다.그 결과 교사들은 텍스트를 교수하는데 동기 부여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다음으로 文識性(literacy)이론에 근거하여 한자․한문에서의 문식성을 정의하였다.본고에서는 한자․한문의 문식성이란 ‘文字의 解讀(decoding)과 意味의 理解’라고 정의하였다.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야 한자어의 음과 뜻을 알 수 있고,이를 토대로 한문 문장이나 한시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한자․한문 교육에서는 일차적으로 한자를 읽고 뜻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본 것이다.본고에서는 한자의 문식성 능력을 키우기 위해 한자의 형․음․의를 식별하는 학습 방법과 그림에 맞는 한자․한자어를 연관지어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학습자들이 言語를 통해 知識을 구성한다는 構成主義와 관련하여 기초 기능 수준의 문식성(minimallevelofliteracyskills)과 고등 기능 수준의 문식성(highlevelofliteracyskills)을 살펴보았다.기초 기능 수준의 문식성이란 메시지 전달의 매체인 글을 읽어 낱낱의 語彙나 文章의 意味를 讀解하는 내용 위주의 읽기와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생각을 글자로 옮기는 단순한 쓰기 수준의 문식성을 말한다.한문과 敎育課程과 관련하여 볼 때,①한자의 음과 뜻 알기 ②자전에서 한자의 음과 뜻 찾기 ③한자로 이루어진 한자어를 이해하고,언어생활에 활용하기 ④한자를 이용하여 문장의 내용 이해하기 ⑤한자어의 음과 뜻 알기 ⑥한자어를 바르게 읽고 쓰기 ⑦학습한 한자어를 언어생활에 활용하기 등이 기초 기능 수준의 한문 문식성이라고 할 수 있다.고등 기능 수준의 문식성이란 글을 읽고 글의 내용이나 구조를 학습자 나름대로 構成하고 分析하고 批判하는 수준의 문식성을 말한다.한문과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볼 때,①한자의 음과 뜻을 한자의 짜임을 통해 알기 ②한자어의 짜임을 통해 한자어를 바르게 이해하기 ③성어를 풀이하고 속 뜻 이해하기 ④한자어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이해하기 ⑤격언․속담,명언․명구를 풀이하고 일상생활에 활용하기 ⑥한문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이해하기 ⑦문장의 형식을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하기 등이라고 할 수 있다.본 논의는 언어학습 이론을 한자 교육에 적용해 본 시론적 탐색이라고 할 수 있다.한자․한자어․한문이 우리 언어생활에서 사라진 언어가 아니라 살아있는 언어로서 기능하고 있기에 언어 학습 이론과 한자 교육을 접맥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8,600원
        31.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9학년 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과학과 성취수준이 중간 순위 학생 8명을 선발하였으며, 이들을 시각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높은 태도를 가진 학생, 시각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하여 낮은 태도를 가진 학생, 언어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높은 태도를 가진 학생, 언어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낮은 태도를 가진 학생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의 한자기반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한글 표기형, 그림 표현형, 한자 음 훈 병행 표기형의 형태로 세 가지 형태의 질문지가 개발되었다. 이 질문지들로 9학년 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수집한 결과, 학습 양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한글 표기형이나 그림 표현형 보다는 한자 음 훈 병행 표기형에서 높은 이해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중학생들에게 한자기반 과학용어를 제시할 때 한자의 음과 훈을 동시에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과학용어 이해에 효과적일 것이다.
        4,200원
        3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등학교에서 ‘漢字’교과를 가르칠 수 있는 법적 토대가 마련된 이후 지금까지 36종의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가 각 시․도교육청의 認定을 받아 사용되고 있다. 初等學校漢字․漢文敎育이 名實相符한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良質의 한자교과서를 개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漢字字源을 교과서에 정확하게 밝히고 이것을 토대로 한자를 학습하도록 안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먼저 현재 초등학교 교과서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대상으로 하여 字源學習이 어떻게 記述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東․ 西․ 左․ 右․ 兄․ 弟․ 民․ 主․ 文․ 化’ 등 10개 漢字의 字源제시와 설명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에 따라 字源說明이 千差萬別이며 상당부분 學理的근거가 빈약하고 恣意的, 便宜的記述이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字源을 통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의 槪念과 方法, 實際, 用例등을 고찰하였다. 한자의 字源을 알기 위해서는 한자의 文字學的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주지하듯이 漢字는 한자를 구성하는 3대 요소인 形․音․義를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字源敎授․學習은 한자의 形․音․義가 형성된 과정을 탐구하여 학습자가 체계적․조직적으로 한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학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정신의 하나인 학생들의 自己主導的學 習能力의 伸張에 중점을 두고, 자원 학습의 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따라서 교사중심의 직접 교수 방법에 의한 학습보다는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과제분담 학습(Jigsaw) 모형을 활용한 협동학습이 되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계획하였다. 과제분담학습(Jigsaw)모형의 소집단 학습은 학생들이 相互依存하는 가운데 同等하게 참여하고, 同時多發的인 相互作用을 할 수 있는 학습 방법으로 자원을 통한 한자 학습에도 유효하다. 그리고 본고에서 제시한 자원 학습의 용례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교사가 재구성하여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初等學校단계의 한자 교육은 한자를 흥미롭게 익혀 언어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으므로 지나치게 문자학적 자료에 의존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본다. 다만 문자학적 지식은 교과서에 노출하지 않더라도 교사용지도서를 통해 교사가 지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과서는 문자학적 지식을 고려하되 學習者의 理解를 돕는 水準에서 융통성 있게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9,600원
        3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의 자형은 소전에서 예서로 이행되면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변화의 큰 특징은 동일한 部件이 結構에 따라 모양을 다르게 쓰거나, 서로 다른 部件인데 같게 쓰며, 하나의 部件인데 두개 이상의 部件이나 필획으로 絶離되거나, 각각 독립된 部件인데 하나의 부건처럼 결합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異字同形인 경우로 ‘奉, 春, 奏, 秦, 泰’의 상부 ‘ ( )’는 소전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한 서로 다른 部件2개 이상이 隸變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 것이다. 同字異形인 경우로 人은 소전에서 어디에 위치하던 모두 ‘ ’로 썼는데 隸變에 의해 ‘亻,人, 卜, , , , ’ 등으로 변화됐다. 信에서는 亻, 企에서는 人, 에서는 卜,色에서는 , 及에서는 , 北에서는 , 監에서는 으로 썼다. 火의 경우도 灼에서는 火, 然에서는 灬, 尉에서는 小, 赤에서는 , 光에서는 으로 그 형체를 달리하여 썼다. 이렇게 異字同形이나, 同字異形의 한자들을 한데 모아 가르치면 효과적인 字源학습이 될 것이다. 字音活用의 字源敎育은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漢語의 변화발전을 고려한다면 자형보다 자음이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형보다도 자음이 더 먼저 출현하였고, 자형과 자음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나무를 가로 세로로 얽어놓은 모양을 그린 ‘冓’가 聲符인 溝, 構, 講, 媾, 遘등은 모두 交合의 뜻을, 손가락이 교차함을 나타낸 叉가 聲符인 杈, 衩, 汊등은 나뉘거나 교차함을, 句가 聲符인 狗, 豿, 駒등은 동물의 새끼를, 鉤, 枸, 軥, 笱, 拘, 痀, 朐등은 구부러진 것을, 古, 曷, 夬가 聲符인 枯, 涸, 姑, 竭, 渴, 決, 玦은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음과 뜻이 같거나 비슷한 一群의 한자들을 함께 모아 한문교학에 응용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이다. 在는 才와 土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초기 예서에서는 ‘ ’처럼 썼지만 隸變 과정 중에 才가 ‘ ’처럼 변하고, 結構도 좌우결구가 아닌 상하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변하였다. 及은 상부 人과 하부 又로 이루어졌는데 예변과정 중에 상부 人이 ‘ ’로 변한 것이다. 이는 하부에 있는 ‘又’의 첫 번째 획과 연결 書寫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益은 水와 皿을 상하로 결합시켜 그릇 위에 물이 넘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상부 水는 隸書단계에서 옆으로 뉘어 ‘ ’로 쓰기 시작하였다. 志는 상부 之, 하부 心으로 구성된 형성자이다. 赤은 상부 大, 하부 火로 구성된 회의자이다. 勳은 熏과 力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書寫시 상부 과 하부 灬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다. 이는 문자구성원리에 맞지 않는다. 한자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한문학, 한문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를 위해, 한문과의 외연확대를 위해 한자학은 필수 불가결하다. 한자학의 활성화를 위해 한문교육과에 전공강좌 개설과 임용고사에 한어문자학을 반영해야 한다.
        10,800원
        3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nunciation of Sino-Korean is different from Modern Chinese, which brings negative mother tongue transfer effect to Korean students‘ pronunciation,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To reduce the negative transfer effect and to improve Korean students’ listening ability, the author compares and analyzes the initial consonants of Sino-Korean with 2500 frequently used initial consonants of Chinese words taken from the Modern Chinese Common Character List, instituted on January 1988, by the State Language Commission and the State Education Commission of China. This comparative study presents a full overview of the pronunciation difference between Chinese Mandarin and Sino-Korean, which provides valuable guidance for students in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ose differences.
        4,600원
        3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관심을 모으고, 한자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일깨워 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내가 직접 자료들을 만들어서 학생들과 같이 수업을 할 수 있을까?’하는 문제점에서 출발을 했다. 본 논고에서는 컴퓨터, 실물 화상기, 빔 프로젝터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 측면의 멀티미디어 매체들의 소개와 운영방법 보다는 멀티미디어 매체들을 활용하여 수업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자료들을 제작할 수 있는 Flash와 Swish등을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정과 방법, 그리고 운용 등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 제시된 자료들은 실제 수업에서 사용했던 것들이며, 이미 제작되었던 것들을 활용하거나 다른 여러 멀티미디어 도구들을 활용하여 제작한 것들로서 1) 기억력을 이용한 한자카드 교수-학습 자료, 2) 모양이 비슷한 한자를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 3) 한자 조각 맞추기 교수-학습 자료, 4) TV 프로그램을 응용한 한자어 맞추기 교수-학습 자료, 5) 한자를 직접 입력하여 성어를 맞추는 교수-학습 자료, 6) 언어생활의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등이다. 필자는 Flash와 Swish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수-학습 자료를 직접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과 호응도를 알아보았다. 板書만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수업을 한 경우 보다는 Flash나 Swish로 제작된 자료를 수업에 활용과 놀이학습을 통해 수업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었고, 다양한 방법의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으로 창의적인 수업이 가능하였으며, On-line과 Off-line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자료를 제공하여 개별 학습과 반복학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세상은 정보의 홍수와 변화 속에 끊임없이 변해가고 있다. 급격한 변화의 흐름 속에 학교도 예외일 수는 없다. 다양한 정보의 양과 변화가 학교 현장에서도 느껴지고 있으며, 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그 흐름을 느끼며 같이 변화되어 가고 있다. 많은 교사들이 혼자 혹은 모임을 통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고 Data-Base를 구축하며, 함께 개발된 자료들을 공유하여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문과 역시 그 변화의 물결에 발을 맞추어가야 한다. 한문교사로서 전공인 한문과목에 대해 꾸준한 연구와 교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자료 개발의 토대인 컴퓨터, 멀티미디어, 정보 등에도 끊임없는 연구와 관심이 있어야 한다. 교사 단 한 사람이 너무도 급격하고 다양하게 변화되는 물결 속에 모든 것을 대처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그러나 여러 사람이 같이 변화를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보다 나은 수업을 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경주하여 그 속에서 만들어지는 아이디어와 교수-학습 자료개발에 대한 정보들을 함께 공유하여 좋은 것은 발전시키고, 문제점들을 과감하게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고 창의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는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초석이 될것이다. 개발된 자료들은 언제나 다른 교사들과 함께할 수 있도록 배려 되어야 한다. 그 속에서 교사들의 참여가 유도되어야하고, 함께 제작하고 응용해나가는 과정에서 더 나은 자료들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은 과감하고 겸허하게 수용하여 발전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6,900원
        37.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敎育人的資源部는 2000년 12월 30일, 2001년도부터 적용되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調整案을 확정 공표하였다. 교과용 도서 편찬에서 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는 이와 관계없이 지도할 수 있고, 1,800자 이외에 1할 범위 내의 追加字를 허용하고 있으므로, 현실적으로는 2,000자 이상의 한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다. 이 연구는 한자 학습의 효율성을 提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체제적으로 한자를 익힐 수 있게 하는 실용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 것이다. 한자 학습의 어려움은 주로 字數가 많다는 것과, 字形이 복잡하다는 것으로 歸結된다. 자수의 문제는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한자를 選別해서 우선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으로, 자형의 문제는 구조 분석을 통한 類別 학습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조정 백서(교육인적자원부, 2001.)』의 「교육용 한자 조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참조하여, 검토 대상 한자 4,979자 중, 14점부터 2점까지의 한자 3,061자를 表題字로 삼아 해당 한자마다 점수를 倂記하되 중학교용에는 M(middle-school의 이니셜)자를, 고등학교용에는 H(high-school의 이니셜)자를 덧붙여 두어서 학습 優先順位를 판단하는 기준을 삼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출현 頻度가 높은 한자부터 학습하는 방법은 수준별?능력별 학습량 조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형의 문제는 자형 분석 방법과 字索 결합 유형 및 形聲의 원리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복잡한 자형을 구조화하고 단순화하여 이해하게 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類別 학습의 장점을 살리되, 종류별로 모으는 기준을 部數와 聲符의 양대 기준으로 바꾸어, 부수 및 성부를 중심으로 각각 소속 한자들을 점수와 함께 정리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이 종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용 방법과 함께 예시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따로따로 또는 부분적으로 활용되어온 기존의 원리들을 전체적이고 綜合的으로 충실히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소하지 않고 간편하며 부분적인 방법들의 단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부록으로 제시된 자료들에 여러 가지 정보를 추가하면, 더 깊이 있고 창의적인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10,800원
        38.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crease the nee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ching of Chinese and Japanese versions of Chinese character pronunciation, and also the modern, simplified versions of Chinese characters that are used in both China and Japan today. A practical problem with the current method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is the fact that the Chinese pronounce the characters differently. Its also common for one who has learned Chinese characters in Korea mot to be able to read actual Chinese newspapers or billboards. To solve these two problems, classes were given using 1,428 chosen Chinese characters that are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alik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Parents of students wish for their children to learn Chinese characters, mainly because they feel it necessary for daily life, and because they feel there is a need to keep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in mind. In addition, they wish for the students to be taught the pronunciations of the common characters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as well. 2.The students feel it necessary to learn the different pronunciations of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our own, for future trade and relations with China and Japan. 3.In relation to the depth and area of pronunciation studies, parents and students alike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category marked Learning only the characters that are used in all three countries. This seems to showed desire to learn only the basic characters, in order to become not unfamiliar with the Chinese and Japanese language. 4.The students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about learning the pronunciations of common characters used in all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modernized versions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5,800원
        39.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nese character is forms of letters, which our ancestors first got access to and was the one and only letters in ancient East Asia. It was Korea where Chinese characters had spread its roots for the first time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o surrounding nations. And therefore, as a form of letters which was with the long history of the Korean race, it became the parent body of Korean language, and became Korean vocabulary itself. Today, we are living in the age where all it takes to write Chinese characters o computer is to just press the transfer key on the keyboard, even if you can`t accurate write the letter. The result of performing clinical testing in the fields of personal education apart from established system of education for around 8years by developing the drill sheets for the integrated study using the Chinese characters was that the abilities of the students grow. It was significantly proven that the student who had used Chinese letters since their elementary school years naturally stand out in language abilities in high school and tend to possess excellent ability in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and creativeness.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intelligence informatization, and children today are the main leaders of the 21st century.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integrated study of the children whose brain would actively develop will be highlighted as a new genre of education.
        4,800원
        4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ways to facilit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sition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 Chinese characters account for over 70 percent of Korean vocabulary and their history of assimilation is so long that the speech public tend to accept the borrowed words as pure Korean. It is this reality that makes us unable to rule out the Chinese characters in teaching the vocabulary at Elementary Schools. Nevertheless, the teachers confine themselves to giving the etymological explanation or teaching the radicals and strokes, making use of the optional hours. In Chinese, every word is a free morpheme so the language is very productive. Therefore, the author emphasized the goal of getting students to acquire as many words as possibl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aspects of Chinese words as well as getting them to write the acquired words. The method proposed is helping students build up word power through the activity of finding out the words that have the same semantic element after they are taught the common characters found in the reading texts for the first semester of Fifth grade. The students are then required to write the Chinese words whose meanings are already known. At the closure of the lesson, they are told a story on some old wise phraseology to help them grow in personality. This semantically oriented instruction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has proved to be very helpful for the students` vocabulary build-up because they learn how to analyze the compounds into separate morphemes which they have already acquired. However, since the lessons for introducing the Chinese characters are not of the regular curriculum, teaching them in regular Korean classes is prohibited, but the optional hours are usually spent for other activities. Another problem is that a complete learning cannot be achieved because only reading the Chinese characters is focused on, excluding the writing exercises. Still another problem is that there are often big individual gaps found among the students the amount of whose prior exposure to Chinese characters varies. So individualized teaching for the retarded is required in some cases, but above all things teaching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A desirable literacy program should be based upon a sound analysis of our everyday life in using language in that the children`s both maximal and correct use of our language is the basis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s. In this respect, the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is nothing less than an effort to use our language optimally and systematically. Finding out an appropriate method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the second generations who will prevail in the 21st century appears to be an immediate necessity.
        6,1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