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고온기 근권냉방이 파프리카의 배지온도 하강과 파프리카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7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코이어 배지에서 재배 하였다. 냉방방식은 공기순환 덕트(지름 12cm, 미세구멍 (0.1mm)으로 찬 공기(7월~8월; 20 ± 2oC, 9월; 23 ± 2oC) 를 야간시간(오후 5시~오전 3시) 공급하였다. 고온기(7월 23일부터 8월 31일) 중 파프리카 배지의 일평균 온도가 냉방처리구는 24.7oC, 대조구는 28.2oC로, 냉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3.0~5.6oC 배지온도가 낮아 졌다. 하루 중 맑은 날(650~700W · m−2) 주간(오전 5시~ 오후 8시)/야간(오후8시~오전5시) 냉방처리구 배지 온도는 대조구보다 1.7oC/3.3oC 낮아졌다. 오후 6시에서 8시까지 초저녁 배지온도 하강속도가 냉방처리구에서는 평균 0.5oC/h, 대조구는 0oC/h였다. 배지 상부와 하부 간의 대조구 대비 냉방처리구의 온도차도 각각 1.3oC, 0.6oC 였다. 냉방처리는 고온(28~32oC) 배지 온도 노출율을 대조구 대비 32.5% 감소시켰다. 냉방처리구의 파프리카 광합성, 증산율 및 수분포텐셜은 대조구보다 높았다. 첫 개화시기도 대조구보다 4일 앞당겨지고, 착과수도 증가하였다. 냉방처리구의 엽장은 짧아졌으나, 초장, 경경, 분지수, 엽폭 등은 차이가 없었다. 야간 근권냉방으로 배지 온도가 3.0~5.6oC를 낮추었으나, 고온기 온실 온도가 고온에서는 파프리카 착과가 지연되므로, 지상부 온도 하강 방법을 병행하면 파프리카 생육과 착과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4,000원
        22.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기 토마토 재배시 생산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적엽관리법을 구명하여 수확량과 상품성을 증대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농가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생장점부터 하부로 14개의 잎을 남기고 적엽하는 처리(Leaf-14), 생장점으로부터 하부로 20개의 잎을 남기고 적엽하는 처리(Leaf-20), 유럽에서 관행으로 행해지는 수확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Harvest), 토마토 잎의 광합성 특성을 적용한 개화 7주 후 화방 하부엽 제거 처리(7-weeks) 등 4개의 처리를 두었다. 적엽처리는 개화속도에는 영향이 미미했으나, 수확속도와 수확량 및 상품성에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확속도는 6-7일이 적당하며, 과다한 적엽으로 수확속도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총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적엽하지 않아야 한다. 고온기의 적엽은 Leaf-14보다 Leaf-20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7-weeks 처리도 효과적이었으나 적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재배현장에 적용하기 쉽고, 적엽처리 효과가 가장 우수한 Leaf-20 처리가 고온기 적정 적엽방법으로 판단된다.
        4,000원
        2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랭지 착색단고추 여름재배시 착과 증대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호박벌을 이용한 수정증대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호박벌에 의하여 처리기간 동안 착과수의 증가는 있었으나 재배기간의 총 수량에서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과실의 종자수는 무처리에 비해 호박벌 처리에서 7.3%가 증가되었으나 배꼽썩음과 발생은 높았다. 과중의 분포 비율이 호박벌 처리에 의하여 SS 사이즈는 감소하고 L 사이즈가 증가하여 수출 규격품율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고랭지 여름재배시 착과증진을 위한 호박벌 처리는 착과율을 높이고 과실의 종자수를 증가시켜 수출 규격품율을 높이는 등 고품질 생산에 효과적이었으며 배꼽썩음과 방지에 대한 검토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접란 촉성재배를 위한 하계 고온기 폐광 자연냉풍 처리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실 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보령지방 폐광의 자연냉풍온도는 12~14oC이였으며 이 온도를 주온 22oC, 야온 20oC로 조절하여 6월부터 8월까지 처리하 였다. 이 온도는 호접란 화성유도 기본 온도범위이었으 며, 이 때 외부 평균기온은 28.4~32.8oC로 나타났다. 화경 발생은 20일저온경과에서 3% 발생되었으며, 45일 경과에서 65% 이상 발생되었고, 90일 경과에서 100% 발생하였다. 화경장은 30일 경과에서 48.7cm로 짧았으며, 60일 경과에서 62.4cm로 길어져 처리기간이 길수록 화경장이 신장되었다. 화수장, 소화수도 같은 경향이었고, 화경 마디수는 6~7개로 저온 경과일수와 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는 45일 경 과에서 9월 15일에 가장 빨리 개화되었고 저온 경과 일수가 길수록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온기 폐 광 자연냉풍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화경 발생시기는 3개월, 개화기는 4개월 정도 촉진되었다.
        4,000원
        2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여름철 팽이버섯 병재배시 톱밥배지에서 발생하는 균사생장 억제증상의 원인을 구명하고 그 경감대책을 확립하기 위하 여 톱밥배지 배합시 물온도를 24℃(상온수)와 6℃(저온수)로 하고, 배지제조후 살균전 경과시간을 0, 3, 6, 9시간으로 달 리하여 팽이버섯의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제조 후 살균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지온도가 24℃에서 31℃까지 상 승하고, pH는 6.5에서 5.2까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때 톱밥배지 내에서 세균밀도가 증가하였으며, 물온도 24℃에서는 6℃보다 6시간 이후의 세균밀도가 1.9∼4.1배 높았다. 톱밥배지에서 분리한 세균과 대치배양시 팽이버섯균의 생장이 억 제되었다. 또한 배지제조후 살균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지내의 전질소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유리당의 함량도 종류에 따라서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배지배합 시 24℃ 물 처리구는 6℃ 물에 비하여 팽이버섯 병재배사에서 균배양기간 및 버섯 발생기간이 각각 1∼2일 지연되는 경향이었으며, 자실체 수량도 저온수 처리구에서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9시간 경과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이 정지되었다. 배지제조 후 경과시간에 따라 팽이버섯 발생기간은 1∼3일이 지연이 되었으며, 자실 체수량은 6시간이 경과된 배지에서 7∼12%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여름철 고온기의 팽이버섯 병재 배시 배지제조에 6℃ 이하의 저온수를 사용하여 배지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키고, 입병작업을 마치는 즉시 고압살균을 하여 배지 성분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버섯의 안정생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27.
        200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팽이버섯 병재배시 톱밥배지에서 발생하는 균사생장 억제증상의 원인을 구명하고 그 경감대책을 확립하기 위하여 톱밥배지 배합시 물온도를 24℃(상온수)와 6℃(저온수)로 하고, 배지제조후 살균전 경과시간을 0, 3, 6, 9시간으로 달리하여 팽이버섯의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제조 후 살균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지온도가 상승하고, pH는 6.5에서 5.2∼5.6으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때 톱밥배지 내에서 세균밀도가 증가하였으며, 물온도 24℃에서는 6℃보다 6시간 이후의 세균밀도가 1.9∼4.1배 높았다. 톱밥배지에서 분리한 세균과 대치배양시 팽이버섯균의 생장이 억제되었다. 또한 배지제조후 살균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지내의 전질소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유리당의 함량도 종류에 따라서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배지배합시 24℃물 처리구는 6℃물 처리구에 비하여 팽이버섯 병재배사에서 균배양기간 및 버섯발생기간이 각각 1∼2일 지연되는 경향이었으며, 자실체 수량도 저온수 처리구에서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9시간 경과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이 정지되었다. 배지제조후 경과시간에 따라 팽이버섯 발생기간은 1∼3일이 지연이 되었으며, 자실체수량은 6시간이 경과된 배지에서 7∼12%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본 시험은 여름철 고온기의 팽이버섯 재배시 배지제조에 6℃이하의 저온수를 사용하여 배지내 미생물 증식을 억제시키고, 입병작업을 마치는 즉시 고압살균 함으로써 배지의 성분을 안정화시켜 버섯의 안정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기 분식 칼랑코에 재배에 있어 문제는 고온 스트레서에 의한 생장의 억제로, 본 연구는 지하부 및 지상부의 생장을 촉진을 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 근권 생장촉진미생물(Pseudomonas sp. B와 Pseudomonas sp. D2)을 선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천연물로서는 alginoligosaccharide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들의 AG-용액과 단일 및 복합 처리하여 재배 온도차이를 부여한 경우 칼랑코에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이한 지하부 온도조건은 25℃, 30℃ 및 35℃로 처리하여, 2주후 초장, 엽장,엽폭, 엽면적, 엽중, 지상부 생체중, 근장, 근중을 조사하였다. 25℃처리구에서는 초장, 엽면적, 엽중, 근중 모두 Pseudomonas sp. B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혼합한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30℃의 경우 초장과 엽중은 glusosamine oligosaccharide처리에서, 엽면적과 근중은 Pseudomonas sp. D2와 algin-oligosaccharide를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생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35℃의 경우는 초장, 엽면적, 엽중, 근중 모두 Pseudomonas sp. B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효과가 컸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온기 칼랑코에의 분화 재배시 문제가 되는 생장억제현상은 천연제재와 미생물 제재를 혼합처리 함으로써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4,000원
        30.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권냉방 방식에 따른 냉방 효율과 토마토 생육 특성을 검토하고자 XL냉수순환, 라디에이타 냉풍, 패드냉풍 및 대조구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권부 냉방온도는 공급수온이 17.8℃일 때 XL 냉수순환구는 18.0℃ 라디에이타 냉풍구는 27.2℃, 패드 냉풍구는 20.3℃였다. 배지 깊이와 시간대별 평균온도는 XL냉수순환구 22.8~24.7℃. 라디에이타 냉풍구 22.7~24.2℃, 패드 냉풍구 20.5~23.2℃, 대조구 25.9~29.6℃를 나타내어 냉방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5~6℃더 낮았다. 토마토의 생육에 있어 엽장. 엽폭은 대조구에 비해 컸으며, 생체중 및 건물중의 경우에서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근활력에 있어 대조구는 45.0ug/g에 비해 근권냉방 처리구는 58.5-62.8 ug/g으로 높았으나. 근권냉방 처리구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4,000원
        31.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시설내 온도강하를 위해 차광, 포그, 미스트, Fan and Pad 등 다양한 방법들이 행해지고 있고 그 효과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효과가 처리방법간 일 최고 기온시의 상대적인 비교를 나타낸 것이므로 실제로 일평균, 순평균하게 되면 그효과는 미미하게 된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8월중 맑은날이 10일 미만이고 상대습도가 놀기 때문에 기화냉각 효과는 더욱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 토마토 재배시 온도강하 방법으로 포그처리는 냉방효파에 비해 설치 및 유지관리비에 많은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온도제어 차광은 지나치게 차광되어 수량감소가 많아 부적합하므로 팬+일사제어 자동차광으로 외기온 가까이 온도를 내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꽃도라지의 고온기 육묘시 유묘의 저온처리기간에 따른 정식 후 생장과 개화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엽이 4매 전개된 유묘를 10℃의 인큐베이터에 각각 2, 3, 4, 5주 동안 저장하였다. 비교를 위해 저온저장하지 않은 식물체와 각각의 기간동안 저온처리된 식물체는 최저 야온 12~13℃, 자연일장 조건의 유리온실에 정식하여 관리하였다 아즈마설과 아즈마훈 품종의 경우 경경과 엽수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초장 절간장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4주동안의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두 품종 모두에서 4주 동안의 저온처리는 꽃의 무게와 직경의 크기를 증가시켰으며 개화소요일수도 무처리구와 2주 처리구에 비해 20일이 단축되었다. 아즈마조 품종의 지상부생육은 4주 동안의 저온처리구에서 증가되었으며 꽃의 품질도 향상할 수 있었다. 개화소요일수는 4주 동안의 저온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31일 2주 처리구보다는 36일이 단축되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 결과 꽃도라지 아즈마설, 아즈마혼, 아즈마조 품종의 고온기 육묘시 유묘의 최적 저장 조건은 10℃에서 4주간이었다
        4,000원
        3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여름철 고온기간중 예취시기와 예취높이가 orchardgrass의 목초 재생과 저장탄수화물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시험설계는 3차 예취시기(7월 15일, 7월 25일, 8월 5일)를 주구, 3차 예취시 예취높이(3, 6. l0cm)를 세구로 하여 분할구 배치 3 반복으로 하여 1988년 장성실업고등학교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1. 고온기의 예취높이별 지표 및 지중(l0cm) 온도는 7월 15일 예취구와 7월 2
        4,200원
        34.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ptimum pasture management during the summer season is an important factor to maintain good regrowth and persistence of pasture. The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tting management on growth and reserve carbohydrates in s
        4,200원
        35.
        198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utting times at 0, 10 and 20 days after lodging on the percentage of dead plants and bare ground, live and dead matter build-up,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orchardgrass dominated pastur
        4,000원
        36.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고온기(高溫期) 초지(草地)의 예취관리(刈取管理)에 관(關)한 연구(硏究)로서 여름철 고온기간중(高溫期間中) 예취시기(刈取時期)와 예취(刈取)높이가 tall fescu 우점초지(優占草地)의 목초고사(牧草枯死), 잡초발생(雜草發生), 재생(再生)과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여 고온기(高溫期)의 적절한 예취방법(刈取方法) 모색하기 위해 실시(實施)되었다. 본(本) 시험(試驗)은 3
        4,200원
        37.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온기 결구상추의 선도유지 및 수급조절에 효과적인 포장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확 후 결구상추를 골판지 상자, 농산물 유통상자(P box), 개별 랩핑 등 세 가지 방법으로 포장한 후 2℃에 저장하며 품질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별 랩핑 한 결구상추의 중량감소율이 다른 처리구보다 적었고, 저장 중 색변화 및 갈변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다른 포장방법에 비하여 개별 랩핑 한 결구상추의 엽록소 함량 및 경도 감소가 적었다. 총 페놀함량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의 경우 저장 중 개별 랩핑 한 결구상추의 값이 높았으나 포장방법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저장 중 결구상추의 외관은 개별 랩핑 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으며 반으로 절단하여 골판지 상자에 포장한 결구 상추는 저장 14일부터 내부갈변이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고온기 결구상추를 수확 후 개별 랩핑하여 2℃에 저장할 경우 21일간 선도유지에 효과적이며 수급조절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38.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right degree of shading to reduce summer months when the death Allium hookeri cultivation in the southern highland in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n altitude of 500m, Jeonbuk Namwon unbong plateau region The soil was tested in phosphatic content was slightly higher so 671 ㎎/㎏ than regular soil. Every soil testing was conducted in sandy soil with good water. The test day highs at 50% shading plots of shading in this period about 6.1℃ lower than the non-shading. The soil temperature is lowered to 1.9℃ at 50% shading plots compared with the non-shading. As a result, Allium hookeri underground quantities produced per 1,682 ㎏ 10a in 50% shading plots. This was a 35% increase compared to the non-shading plots. Allium hookeri is native to the Alpine 4,200m from 1,400m above sea level, near the Himalaya Mountains. Myanmar is known as the National vegetables. Allium hookeri is Allium plants. It flies three flavors, including sweet, spicy, bitter taste. Allium hookeri roots are similar to ginseng roots called as 'three vegetable' This is a randomly named. The in Korea was first introduced in 2006. By 2015, the country has been found to 190㏊, Jeonbuk 35㏊ (18.3%) is grow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cultivation of plants in the southern highland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 In order to use this experimental Allium hookeri seedlings were planted in Jeonbuk Sunchang after buying. Allium hookeri cultivation methods put the 3∼4 one eye on the roots. Planting the root length was cut to leave a 3∼5㎝. The planting distance was 40×20㎝. The shielding 35, two months were 50 and 75% by July 1, August 31. The air temperature, soil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light in this experiment. And examined the withering rate, brightness, growth conditions, such as Yield. Conclusion : Test results were as follows. Allium hookeri roots emerged on March 2 during planting 43-68 days. Allium hookeri after shading shoot growth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35% shading and 50% shading was a tendency for the number of leaves increased compared to the non-shading. As a result, flooding was 35% as compared to production per 10a 1,682 ㎏ no light shielding at 50%. Plant analysis leaf mineral contents tended increased nitrogen, phosphate, gallium compared to the non-light cultivation. Mineral contents of the root was nitrogen, potassium is higher in comparison with 75% shading no shading.
        3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분 함수량에 따른 생육반응에서 건중에 비해 생체중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특히 난분 함수량이 0%± 5인 C point는 100%± 5인 A point에 비해 16.1g에서 4.7g으로 지하부의 생체중 감소가 매우 격감하였으나, 지상부의 생체중에서는 3.5g에서 2.1g으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건중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또한 엽록소와 총수용성 탄수화물(Total soluble carbohydrate)에서 용토 내의 함수량에 따른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나, 지상부와 지하부에 따른 다른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체내 총수용성 탄수화물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지상부는 난분 내의 함수량이 0%± 5의 C point시점에서 0.2mg/g DW로 다소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나, 근권부에서는 100%± 5인 A point에서 0.14mg/g DW에 비해 50%± 5(B point) 그리고 0%± 5(C point)의 시점에서 0.22mg/g DW로 보다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난분 함수량에 따른 proline 축적량 변화는 100%± 5인 A point에 0.05mg/g FW 비해 0%± 5인 C point의 시점에서 0.6mg/g FW로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다. 한편, glycinebetaine에서는 지상부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근권부인 뿌리에서 함수량이 100%± 5(A point)의 0.11mg/g DW에서 0%± 5인 C point의 시점에서 0.26mg/g DW로 2배의 증가를 불 수 있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