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로컬 단위에서의 다변량 공간적 클러스터와 아웃라이어에 대한 분석에 대하여 논한다. 공간적 클러스터나 아웃라이어는 그 접근 방법이나 쓰임에 따라 다양한 정의를 내릴 수 있으나, 공간적 연관성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근본적인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공간 연관성 척도들은 투입할 수 있는 변수의 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다변량 상황에서 공간적 연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변량 local 공간 연관성 척도의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간 분리 정도에 대한 측정이 가능한 마할라노비스 거리를 이용하였다. 마할라노비스 거리는 변수의 평균, 분산 그리고 변수간 공분산을 고려하여 계산이 된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로컬 마할라노비스 거리는 해당 지역의 변수 벡터와 주변지역 변수의 평균 값 벡터를 통해 계산이 되며, 이를 수도권 지역 동읍면 단위에서 인구 전입/전출의 변수에 대해 적용하였다. 해당 단위에서의 공간적 변동은 카이제곱 p값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유의성 검정을 실시한 로컬 마할라노비스 거리 지도를 통해 인구 유출입 차원에서의 공간적 클러스터와 아웃라이어를 확인할 수 있다.
        4,000원
        23.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dapted association rules of data min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the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roposed the method of preventing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 previous study. Th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difficult to establish the method of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case factors can't be managed by worker himself, i.e., age, gender, marital statu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devised association rules of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roposed the interactive method of preventing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applying association rules with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 previous study.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revention method of one part also prevents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other parts of body.
        4,000원
        24.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cess capability indices, Cp, Cpk, Cpm, and Cpmk can be used to evaluate single quality characteristic. Recently, many of the multivariate capability indices have been developed to assess a part which has several correlated quality characteristic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can transform the correlated quality characteristics into the newly independent factors. The existing formula calculates the Mutivariate Process Capability Index using the geometrical average. But, the result value notably differs from the number of principle component.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multivariate capability using PCA & RSS.
        3,000원
        2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난지도 매립장 매립물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중력, 자력, LandSat TM 열적외선 밴드 자료, 매립장의 표면에서 측정한 침하량 자료 등을 다변량 통계분석기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들은 각기 상이한 깊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측정된 총 자력자료와 중력자료는 자극화변환된 자력이상과 매립장의 3차원 밀도분포로 각기 전환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중 매립장의 상부층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은 침하량 측정 지점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들 지점에서의 자극화변환 자력이상, 매립물의 밀도, LandSat TM 열적외선 밴드 값들은 내삽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한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은 개체간의 기하학적인 거리를 이용하여 군집화하는 집락분석으로, 개체간의 거리 계산시 각 자료간의 상이한 측정단위가 주는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전에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군집화는 체계적 군집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분류된 최적의 군집수는 수상도에서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총 6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된 지구물리자료에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복합적 인 쓰레기 매립장의 특성 규명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4,000원
        27.
        199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자리꽃파리 및 씨고자리꽃파리는 마늘, 양파 및 파 등 구근류 작물을 가해하는 중요한 농업해충이나, 그 형태적 유사성으로 인해 지금까지 학명적용에 있어서 학자간에 수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2종에 대한 종간 및 각 종내의 지역별, 시기별, 기주식물별 등에 따른 형태적 정량형질의 다변량 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종간에는 100%의 분리율로 명백히 구분되나, 2종 모두 지역별, 시기별 및 기주식물 등에 따른 종내 정량형질의 차이는 고자리꽃파리에서는 분리율이 모두 75% 이상으로 높았으며, 씨고자리꽃파리에서는 6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8,600원
        28.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2개 선박회사로부터 입수한 1978년부터 1986년까지의 중요 기관고장에 관한 자료를 주성분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결과는 각성분의 인자부하량 크기에 따라 전기.자동제어기기, 보기류, 배관계, 과급기.냉동기류, 주기관계의 5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2. 기기의 고장현상을 발열.소손, 고장원인은 부식.마모 및 오조작, 그리고 기기이상검출의 수단은 누설.혼탁 등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주기관의 고장원인은 연료.윤활유 불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주로 진동.이음에 의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가 많다. 4. 전기.자동제어기기 고장은 피해도 비교적 적으며 기계계의 고장 피해는 큰 편이다. 5. 주기관 등은 기기이상의 확실한 사실에 의하여 이상이 검지되는 경향이 매우 강하며 보기류, 과급기.냉동기.에어콘 등은 운전원의 감각적 판단에 의하여 이상이 검지되는 경향이 강하다.
        4,000원
        30.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dequacy of urban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in the largest metropolitan city, Seoul was evaluat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for SO2, NO2, CO, PM10, and O3. Through cluster analysis for 5 air pollutants concentrations, existing monitoring stations are seen to be clustered mostly by geographical locations of the eight zones in Seoul. And the stations included in the same cluster are redundantly monitoring air pollutants exhibiting similar atmospheric behavior, thus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being operated inefficiently. Because monitoring stations groups representing redudancy were different depending on measurement items and several pollutants are being measured at the same time in each air monitoring station, it is seemed to be not easy to integrate or transmigrate stations. But it may be proposed as follows : the redundant stations can be integrated or transmigrated based on ozone of which measures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alternatively the remaining pollutants other than the pollutant exhibiting similar atmospheric behavior with nearby station’s can be measured. So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operate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in order to improve air quality.
        31.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rcuma longa L., in the family Zingiberaceae, is distributed in tropical and/or sub-tropical regions mainly in India and China. This species is commonly called turmeric, powder is used as medicinal herbs and/or flavor enhancer. It has been cultivated in southern region mainly Jindo. However, it might be possible to extend cultivation regions due to rise in average temperature. In order to select superior lines base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we analyzed multivariate and estimated selection effects from C. longa germplasm. Methods and Results : The C. longa germplasm were cultivated in an experimental field located in Eumseong, NIHHS, RDA. The harvested roots were investigated in agronomic characteristics included in yield and then considered its relationship among the 9 germplasm by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Results fro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oA) showed that it represented 70.00% and 80.44% accumulated explanation from four and five principal compounds (PC). PCoA was conducted from 9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n correlation coefficient has been showed by analysis between each main component value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Value of the first PC was 2.25, 24.96% explanation of total dispersion, plant height, number of rootlet and weight of rootlet were correlated with a somewhat higher level as 0.41, 0.43 and 0.52. Value of the fifth PC was 0.94, 10.43% explanation of total dispersion, the number of shoots was correlated with a higher level as 0.87. Selection effects with outstanding candidate lines including higher lines were estimated at 126.13% in yield. Conclusion : These data on multivariate base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will be give us invaluable breeding information by selection of superior lines.
        3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172품종의 양적 형질을 다변량으로 분석하여 유연관계를 해석하고, 품종을 분류하여 신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이용코자 하였다. 국내에서 육성된 콩 172품종의 군집분석 결과 7군으로 분류되었다. 제Ⅰ군에는 장단백목 외 13품종이 속하였으며, 100립중이 가장 무거운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Ⅱ군에는 충북백 외 111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짧으며, 1주종실중이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Ⅲ군에는 호서콩 외 5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긴 만생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Ⅳ군에는 팔달콩 외 3품종이 속하였으며,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않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Ⅴ군에는 광교콩 외 26품종이 속하였으며, 생육일수가 가장 짧은 조생종이었고, 경장이 짧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제Ⅵ군에는 소명콩 외 5품종이 속하였고, 분지수가 많은 품종들이 분류되었다. 제Ⅶ군에는 아가4호 외 3품종이 속하였고, 경장, 협수 및 1주립수가 가장 많은 품종들과 100립중이 가장 작은 품종들이 포함되었다.
        34.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에 대한 준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두 개의 다변량 통계기법인 주성분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연계한 매개변수 지역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109개 중권역 유역에 대해 7개 유역특성인자(유역면적, 평균표고, 평균경사, 산림면적비, 포화토양수분량, 포장용수량, 영구위조점)를 추출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1, 2 성분이 전체자료의 82.1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성분은 유역위치, 제2성분은 유
        35.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역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 결과는 수문학적으로 동질한 지역의 구분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지역을 구분할 때에는 강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지역 구분의 효율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활용 가능한 모든 변수들의 정보를 요약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는 것이 지역 구분의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지역 구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다변량 분석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
        3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추나무에 관한 연구 및 2008년부터 시행될 산림수종의 품종보호제도에 대비하여 대추나무의 특성조사요령검정지침서(TG : Test guidelines) 작성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대추나무 복조 등 5품종을 대상으로 과실과 엽의 형태적 특성들을 조사,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 등과 같은 다변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 고찰한 결과, 인(仁)과 관련된 특성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대추나무의 품종간 유연관계를 고찰하는 특성으로는 부적절 한 것으로 판단된다. 과실중량을 비롯한 모든 특성들에서 보은대추 품종이 복조를 비롯한 다른 4품종과는 형태적 특성에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 결과, 제1주성분의 고유값은 10.45로 전체 분산에 대하여 65.3%의 기여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유 값이 1이상인 제3주성분까지의 전체 분산에 대한 기여도는 96.5%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실종경을 비롯하여 엽장과 엽병장 및 정엽장과 정엽폭, 과형지수와 핵형지수 및 정엽형지수와 같은 형태적 특성들이 대추나무 품종의 유연관계를 구명하는데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거리수준 3.3을 기준으로 보은대추를 제외한 무등과 월출 및 금성과 복조품종이 포함된 I group과 보은대추 품종만이 포함된 II group등 크게 2개의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I group은 무등과 월출 및 복조품종이 포함된 sub group과 금성 품종 등 2개의 sub group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었다.
        38.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necessary that the basic concept of rural planning update from economics based on the production and sale into experience of natural resources and traditional culture. For the purpose of set up development direction for rural district, it is requisite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In this study, the methods of the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 with existing data are studied, the results looking for applying to the making of principal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The analysis methods of classification are used the PCA, CA and combination of these, and making the revised method for localization of the rural district. In this study, we implement clas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 analysis for the planning of rural district in Chungbuk province.
        40.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지역빈도분석에 필요한 수문학적 동질성을 갖는 지점강우의 권역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걸친 기상청 산하의 60개 강우관측소에 대한 32개의 강우특성자료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각 지점의 많은 강우자료들은 다변량 분석의 자료축약기법인 주성분분석과 그룹화 기법인 군집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권역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인 지점강우의 권역은 강우지역을 수문학적 동질성의 5개 권역과 3개의 기타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