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

        2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는 우리나라에 서식 하는 대표적인 수조류로 다양한 유형의 내륙습지와 해안습 지에서 서식하며, 논, 호소, 소택지, 간척지, 하천, 하구, 해 안 등지에서 번식한다. 번식기가 지난 여름철에는 암수 한 쌍이 짝지어 갈대, 줄풀, 창포등이 무성한 습지에서 서식하 며 겨울철 큰무리로 서식한다.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하는 흔한 텃새이며, 또한 겨울철 북쪽의 번식 집단이 남하 월동 하는 흔한 겨울철새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야생조류로부 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되고 있는 상 황이며,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시기는 야생조류의 이동시기 와 일치하여 조류인플루엔자 전파에 야생조류는 주요 전염 원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청둥오리 및 원앙 등의 야생조류로부터 바이러스가 직접 분리 동정되었 으며,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국내 양계 농장 발생 바이 러스와 일치하였다. 국내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원인 및 질병 전파는 야생조류에 의해 바이러스가 국내로 유입된 후 오염 된 분변에 의해 사람이나 차량에 의해 2차로 유입되는 것으 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등 야생 조류의 이동, 분포양상 등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흰뺨검둥오리에 관한 연구는 단일종 자체보다는 철새 도래 지내 수조류 군집 연구시 흰뺨검둥오리 개체수 변동과 흰뺨 검둥오리를 포함한 수조류 군집과 기온, 먹이자원 등 환경 요인과 상관관계 등 다른 수조류와 함께 포괄적으로 일부 수행된 바 있다. 흰뺨검둥오리의 이동에 관한 연구로는 가 락지를 이용한 재포획 연구시 일부 수행되었을 뿐, 흰뺨검 둥오리 단일종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이용하여 국내 서식하는 흰뺨검둥오리의 월동기와 번식기를 구분하 고, 주간과 야간의 서식지 이용율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텃새 및 겨울철새인 흰뺨검둥오리의 보호관리 및 기타 수조류의 이동 및 행동 등 생태학 연구에 필요한 자료 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는 경기도 이천시 복 하천, 안성시 청미천, 충청남도 아산시 곡교천, 충청북도 진 천군 병천, 전라북도 만경강, 제주도 용수저수지에서 실시 하였다. 복하천과 안성천, 곡교천, 병천, 만경강은 수심이 비교적 낮으며, 유속도 완만하며, 수변부와 제방사이에는 넓은 고수부지가 있다. 주변에는 넓은 농경지가 있으며, 인 근에는 대도시가 위치해있다. 용수저수지는 제주도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제주도의 주요한 철새도래지이다. 6개 지역의 수변부에서 Cannon-net을 이용하여 흰뺨검둥 오리를 포획하였다. 포획된 개체는 즉시 새주머니(Bird-back) 에 넣어 10~20분 정도 안정화 시켰으며, 이후 각 개체 무게 를 측정하여 추적 대상 개체를 선별하였다. 비행에 있어 행 동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추적기 무게는 5%이하이므로, 야생동물위치추적기 무게가 50g임을 고려하여 추적 대상개 체는 1kg이상의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야생동물위치추 적기는 백팩(Back-pack) 형태로 부착하였다. 서식지이용율을 분석하기 위해 흰뺨검둥오리 25개체에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부착하였다. 이 중 국외 이동한 12개체의 평균 북상일을 기준으로 나머지 13개체의 북상일 기준 전과 후로 구분하여 서식지 이용율을 분석하였 다. 서식지 이용은 각 좌표를 구글 맵(Google-map)을 이용 하여 하천, 논, 밭, 바다, 저수지, 농수로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하였으며, 전체 월동기와 번식기, 주간과 야간으로 구 분하여 서식지 이용율을 파악하였다. 전체 37개체를 대상으로 위치추적한 결과, 평균 189일간 위치추적하였으며, 최대 425일, 최소 70일간 좌표수신이 되 었다. 하루동안 개체별로 1회, 2회, 8회의 좌표수신을 하였 으며, 평균 259회의 좌표를 획득하였고, 최대 598회, 최소 90회를 획득하였다. 국외 이동한 12개체의 평균 북상일은 4월 26일이었으며, 4월 8일부터 5월 28일까지 이동을 하였다. 월동지에서 도착지까지의 평균 직선이동거리는 683.8km였으며 최소 174km, 최대 1,238km를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착지 는 중국 6개체, 러시아 1개체, 북한 5개체였다. 국내에 잔류 한 흰뺨검둥오리 13개체를 대상으로 전체 서식지 이용율을 살펴보면, 하천에서 46.1%를 이용하여 가장 높았으며, 다음 으로 논 34.0%, 밭 11.0%, 저수지 1.8%, 바다 1.8%, 농수로 1.6%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평균 북상일을 기준으로 월 동기에는 논이 68.8%로 가장 이용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논 12.9%, 밭 11.7%, 농수로 3.3%, 저수지 3.2% 등의 순이 었다. 번식기에는 논이 5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하천 23.3%, 밭 10.3%. 바다 3.6%, 저수지 0.5% 등의 순이 었다.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주간의 월동기에 는 하천이 68.8%로 가장 이용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논 12.9%, 밭 11.7%, 농수로 3.3% 등의 순이었다. 번식기에는 논에서 62.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하천 20.4%, 밭 15.4% 등의 순이었다. 월동기 야간에는 논에서 55.4%로 가장 이용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논 20.9%, 밭 14.9%, 저수지 4.9%, 농수로 3.4% 등의 순이었다. 번식기에는 논 에서 51.7%, 하천 42.3%, 밭 4.4% 등의 순이었다. 흰뺨검둥오리는 겨울철 월동기와 여름철 번식기 동안 주 서식지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천은 월동 기 동안 중요한 서식지이며, 논은 번식기간 동안 중요한 서 식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월동기에는 주로 하천을 주서식 지로 이용하여 먹이섭취를 위해 논, 밭 등을 이용하는 것으 로 생각할 수 있으며, 번식기에는 논에서 번식 혹은 서식하 며 하천을 이동하며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times, using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on production, blood profile, and the short-chain fatty acid (SCFA), was investigated using 240 Cherry Valley (Anas platyrhynchos) meat ducks exposed to a scorching heat wave. The anim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each of which was replicated three times with twenty ducks per replicate. The experimental period was 42 days for each group. Four groups were assigned into C (heat wave control group without betaine), T1 (ad libitum group fed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T2 (diet-restricted group fed twice daily between 05:00-10:00 and 17:00-20:00, using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and T3 (night-restricted group, fed from 17:00-10:00, with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At 42 days, body weight increased in order of T2, T1, T3 compared to the heat wave control group although.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he groups of T1 and T3. The heat wave control group, provided an ad libitum diet without betaine (C), showed an elevated feed conversion ratio compared to the groups fed a diet containing betaine.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he groups of T1, T2 and T3. RBC and platelet profiles except for PLT and MPV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groups fed a diet containing betaine. T2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blood electrolytes Na+ and Cl- than the other groups. T2 also showed a blood gas level that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otal SCFA,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concentration has been the increasing trend in T2, but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and valeric acid concentration has been the decreasing trend in T2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t is concluded that the feeding-restricted group, fed two times daily between 05:00-10:00 and 17:00-20:00, with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may improve growth performance in meat ducks exposed to a scorching heat wave.
        4,300원
        2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armacodynamics of betaine on the blood profile and short chain fatty acid levels in meat ducks exposed to heat wave. 400 heads of Cherry valley (Anasplatyrhynchos) meat ducks were completely randomized to 5 treatments (4 repetitions each), and were raised for 42 days. They were grouped into T1 (heat wave control group without betaine), T2 (betaine 400 ppm), T3 (betaine 800 ppm), T4 (betaine 1200 ppm), and T5 (normal control group without betaine). Compared to T1, the betaine addition groups showed higher body weight gain at shipment, with T3 showing the highest significant difference. For hematological indictors measured (red blood cells and platelets), the betaine additio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the heat wave control group. The pH of the former was lower but their electrolytes (K+, P+, and Cl-)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latter. For blood gas concentration, the forme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e latter. For the total short chain fatty acids,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the betaine addition groups and group fed broiler-high temperature diet showed higher values than the heat wav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in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than the latter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taine has the pharmacodynamics that mediate heat stress, via the maintenance and control of the blood profile, osmotic pressure, gas concentration, and short chain fatty acid, of meat ducks under heat wave.
        4,200원
        2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ous-vide duck breast by comparing its water content, pH, color, number of microorganism,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pringiness, and sensory test with its control group which was cooked in traditional way. Sous-vide duck breast brightness, yellowness, and springiness. It l redness, hardness, and number of microorganism than its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pH difference. Although sous-vide duck breast need longer cooking time, it was softer and had springiness. Overal-vide duck breast longer storage period and than traditionally cooked duck breast in sensory teste expected.
        4,000원
        2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 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km2(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측정법(KDE)으로는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km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km, 최소이동거리는 9.4km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km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km에서 최대 19.7km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4,000원
        2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0년대 전반기(1989년 5월~1993년 4월)의 자료와 2000년대 중반기(2002년 5월~2006년 4월)의 자료를 분석하여 낙동강 하구에서 수면성 오리류(Dabbling Ducks; Anas spp.)의 장기적 도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1989년5월~1993년4월, 2002년5월~2006년4월, 총 8차년도)에 관찰된 수면성오리류 중 청둥오리속(Anas spp.)은 총 11종 356,100개체이었다. 1990년대 전반기(1989년~1993년)와 2000년대 중반기(2002년~2006년)까지 조사한 청둥오리속(Anas spp.)들의 개체수의 월평균 값은 1990년대 전반기에는 10월부터 점진적으로 개체수가 늘어나 11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2000년대 중반기에는 10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를 관찰하였다. 또한 월별 개체수 평균도 1990년대보다2000년대가 약 2, 3배 이상을 나타내었다. 1990넌대 전반기 조사와 2000년대 중반기 조사 결과를 T-검정을 실시한 결과 11월부터 2월까지의 것이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11월부터 2월까지의 개체수들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식지와 휴식지가 다른 오리류는 낙동강 하구를 휴식지로 낙동강 상류를 채식지로 하는 조류로서, 채식지와 휴식지가 분리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야만 다양하고 많은 개체들이 월동에 필요한 충분한 기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경작지의 보존이 무엇보다 중요한 실정이다. 낙동강 하구와 인접해 있는 주변의 논과 밭은 오리류의 서식지로 이용되는 공간이므로 경작지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부산광역시 강서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생물다양성관리계약제도를 확대하여 이러한 농지가 지속적으로 보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ducks and fish trap for the control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paddy field and water canals. The smaller size of duck (700 g) preyed snails than the bigger one (1,300 g). The consumption of two ducks was bigger under plastic house. They preyed over 90% on the second days of release. The release time of ducks was more effective at seven days after inoculation of snails than simultaneous. Duck could suppress the density of snails at any time from month after inoculation. Four ducks per 30 ㎡ could control snails in an irrigation canals. The number of attracted golden apple snail per week was 216 in big fish trap (Φ 15 ㎝) with menthol paste which for a carp.
        4,000원
        3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morphological study was performed on the stomach of ducks at 6, 12, 18 months after feeding the 6% of sulfur in diet and control fed the same diet without sulfur. After weighting of body of 36 ducks, we sacrificed the ducks and harvested stomach. Then we check the fed materials and the lumen of stomach. H-E, alcian blue - PAS (pH 1.0), and alcian blue - PAS (pH2.5) stains were used to histological and histochemical observation for the mucus The body weights decreased dependent upon the duration of feeding sulfur statistically, however, the stomachs kept their weight except the 18 month fed group. Ulcerative papillae containing caseous necrotic region were conspicuous on the lumen of proventriculus of sulfur-fed ducks. In addition, some lobules of proventricular glands adjacent to the papillae were observed with severe atrophy. mucus secreted from mucous epithelium showed same pattern between control and sulfur-fed ducks, but the ducts of proventricular glands in 12, 18 months groups had nonsulfated mucopolysaccharides. Gizzard had no pathological changes, however, ingested feed were mixed with re-fluxed bile juice from duodenum. Gastric glands in the gizzards of sulfur-fed ducks had increased the number of acidic mucin positive cells as well as surface cells containing PAS positive materials, which were thought to bring the change of matrix that observed with strong purple color. These data suggest that sulfur feeding for long term causes the damage on the proventriculus mucosa and its glands and also the change on the cuticle secreted from giazzard glands. These changes may be related to decrease of body weight.
        4,000원
        35.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둥오리의 압란유의 기능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모델로 하여 streptozotocin(STZ)을 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다음, 혈액 중의 당 농도, 지질의 변화 및 동맥경화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고, 또한 Sarcoma-180을 쥐에 이식하여 이에 대한 항암 효과를 실험하였다. STZ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흰쥐를 청둥오리의 압란유를 15일간 투여하였던 바 혈중의 당 농도는 정상상태로 유지되었고 phospholipid 및 triglyceride의 함량은 STZ를 처리한 압란유의 경우에는 증가하였으나, STZ 처리군에 압란유를 투여하였을 때 감소되었다. 혈중 total cholesterol, LDL+VLDL의 cholesterol 및 동맥경화의 지표는 STZ 처리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시료를 150㎎/㎏ 투여시에는 감소하였다. 한편 Sarcoma-180에 대한 성장억제율은 압란유를 150㎎/㎏ 투여시 63.89%로 나타났고 수명연장 실험에서는 압란유의 경우 15.4%로 나타났다.
        4,000원
        37.
        199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3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오리나무잎벌레(Agelastica coerulea Baly)성충의 유면 유기에 미치는 온도와 광주기 영향 및 유약호르몬(juvenile hormome III)과 탈피호르몬(20-hydroxyecdysone)이 휴면중인 성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오리나무잎벌레는 일년에 일회 발생하며 난, 유충, 용 성충기간은 가각 7~10일, 19~21일, 14~15일, 약 10개월로 조사되었다. 오리나무잎벌레의 알과 유충을 와 의 조건에서 광주기를 각각 16L/8L, 12L/12D, 8L/16D로 달?여 사육하여도 모든 성충이 휴면에 들어가 이들은 필수성충휴면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휴면기간동안 난소는 거의 발육되지 않았으며 유면말기의 개체를 , 16L/8D에 노출시키면, 난소소관이 급속하게 발달되었다. 휴면중인 성충에 유약호르몬을 처리하면 일시적으로 휴면이 타파되고 산란이 이루어졌으나 탈피호르몬은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4,000원
        40.
        202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drogen water on duck production in a field study. A total of 600 one-day-old ducks (Pekin) were randomly allotted to two treatment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each having 100 birds per pen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duck production parameters measured included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For duck drinking water, general water supplied from the farm was used as the control, and hydrogen water was supplied by installing a device that generates hydrogen (T1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uck weight gain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p>0.05).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intake was found in both the control and T1 groups (p>0.05), and the range of values was similar. Feed efficiency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p>0.05), an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range of vau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ydrogen water did not influence duck production.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