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0

        21.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찰스 쉴러(Charles Sheeler 1883-1965)의 주택실내회화(1926-34)에 나타난 미국적 모더니즘에 대한 연구이다. 쉴러는 1910년대부터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있었던 미국의 오래된 건물을 소재로 한 주택실내회화 5점을 제작했다. 본 연구는 당시 쉴러가 현대화·산업화를 주제로 한 작품을 통해 새로운 미국 미술의 선구자로서 인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주택의 실내를 화폭에 담고자 한 까닭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쉴러의 주택실내회화가 지니고 있는 표현적 특성과 독자적인 의미를 밝히고,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그의 예술관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쉴러는 주택실내회화를 통해 일루전과 추상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그는 입체주의의 특성을 자신만의 고유한 회화적 정체성으로 승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탐구했다. 또한 쉴러는 사진 활동을 하며 습득한 다양한 기법과 구성 방식, 사실 묘사의 기능을 강 화하면서도 카메라 시각으로 보는 추상적 구도와 형태를 회화로 재구성하였다. 그는 주택실내회화를 그릴 때 회화의 비매개적이고 환영주의적인 측면과 추상성을 결합하기 위해서 사진 작업을 활용한 것이다. 사진은 재현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지만, 사진기의 각도와 렌즈의 조작에 의해 대상을 추상화할 수 있는 사진의 방법을 회화에 응용함으로써 새로운 효과를 창출해냈다. 쉴러의 주택실내회화에 나타난 일루전과 추상의 결합은 갑작스러운 것이 아니라, 그가 지속해서 연구한 결과물이자 점차적으로 미국 모더니즘으로 고취시킨 것이다. 쉴러는 기계문명을 찬미하는 이미지와 다른 자신의 주택실내 이미지를 통해 또 다른 미국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승화시켰고 이것은 모더니즘 양식에 기초하여 추상적 가치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독자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600원
        23.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민간회화로서 민화의 가치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성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동안 민화에 관한 연구는 무명(無名)의 작가에 의해 제작된 ‘생활화’라는 이유로 미술사 안에서 연구가 부진했었다. 이러한 연유로 연구자마다 민화의 개념과 특성을 조금씩 다르게 설정하기도 한다. 이 같은 여건에서 본 논문에서는 민화의 주요한 특성을 민간회화로서 민화만이 갖는 가치가 있다고 보고 이를 주제로 설정한 후, 통속세계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민화가 유행할 시기에 중국에서는 민간 연화가 성행하였으며, 다른 동아시아에서도 민간회화가 부흥한 측면이 있다. 여기서는 우리 민화와 가장 연관성이 짙은 중국의 민간연화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민화가 지닌 민간회화로서의 미적 특수성을 찾고자 한다. 민간연화는 우리의 문배(門排)에 해당하는 문신(門神)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그림의 도상이나 내용적 측면에서 여러 비슷한 점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생산자와 향유자가 같은 층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민간의 사상이나 감성이 집약되어 있는 예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것은 문화를 독점했던 계층이 다 수의 대중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알려준 것이며, 통속적인 그림의 예술성을 인 정한 최초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화가 최초의 대중예술로 서 가치가 있으며, 이것은 민화의 본질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말하고자 한다.
        6,100원
        2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이탈리아 매너리즘 회화에 적용된 패러디가 형식적 유희를 넘어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거나 비판하는 능동적 조형수단임을 밝히는 데 있다. 먼저 이 글은 16세기에 가장 인용도가 높은 작품인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에 나타난 패러디 양상을 검토한다. 그는 원작의 문맥과 내용을 고려하여 작중인물에 고대 조각의 파토스를 잔존시킨 것 외에도 다양한 관점의 서사를 창출해 냈다. 또한 이 글은 미켈란젤로의 추종자 중 하나로 꼽히는 피렌체 출신 화가 아뇰로 브론치노의 작품에 담긴 패러디적 요소에 주목하면서, 그가 어떤 맥락에서 어떤 방식으로 원작과의 생산적-전복적 관계를 형성해 나갔는지 분석해본다. 대가의 작품을 무의미하게 모방하곤 했던 16세기 후반기 다수의 매너리즘 화가들과 달리, 브론치노는 세련된 기교의 역설을 통해 원작이 내포하고 있는 메시지를 시대적 요구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써 기존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예술적 전환점을 성취하였다고 볼 수 있다.
        6,300원
        2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부뉴엘이 이미지와 상상력을 극단적으로 활용하여 그려낸 <안달루시아의 개>와 <황금시대>에 나타난 회화적 이미지의 저항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말하자면, 이는 초현실주의의 환각을 통해 드러난 시선이 어떻게 영화 속에서 왜곡된 이질적인 이미지들로 나타나는가를 밝혀 내는 것이다. 그의 반이성주의 및 반부르주아적 태도는 영화 속에서 각종 억압 체제를 비판하는 힘과 욕망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그의 영화는 초현실주의의 영향, 자신의 신념, 그리고 풍부한 상상력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초현실주의의 기법인 카다브르 엑스키(cadavre exquis)가 영화에 접목된 이중인화의 장면들은 기존의 질서를 전복하는 기능을 한다. <안달루시아의 개>와 <황금시대>는 꿈과 몽상에 기초한 환각의 서사로 이루어진 초현실적인 영화이다. 부뉴엘의 초현실주의적 미학 원리는 작가의 고유한 시선, 사회제도에 대한 강한 저항의 시선, 그리고 종교적 우상 숭배에 저항하는 신성 모독적인 종교적 시선에서 잘 나타난다. 이 세 가지 시선은 초현실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억압체제를 비판하는 저항의 수단이다. 그의 두 작품은 사회와 종교의 억압성을 비판하고 초현실적 시선으로 자신이 욕망하는 세계를 몽환적으로 그려낸 일련의 저항적 회화이다.
        5,800원
        2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based on a case study, in which an interactive teaching method has been applied to teach beginning level of Chinese to Korean college students. One of the lessons from the textbook, Speaking Basic Chinese (2013) has been used for teaching 21 students. The method suggests three stages of interactions by including: (1) word learning, 2) sentence production, and (3) sentence application. The stage of word learning is further divided into 3 steps: (1) pronunciation and understanding meaning, (2) inducing student participation, (3) confirmation and self-inspection. The second stage of sentence production is also divided into 3 different steps: (1) sentence production using learned words, (2) practicing sentences, (3) practicing sentences by role-plays. Likewise, the final stage of sentence application includes 2 practical steps: (1) interpreting basic sentences, (2) interpreting more complex sentences. This case study has found that the students feel more interested and motivated in learning activities through diverse interactions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and also interactions between the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this kind of interactive approaches be applied to teaching the beginning Chinese conversation and higher levels as well. Finally, the finding of the present case study should be examined with more and in-depth studies and experiments in the future.
        5,700원
        2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인 고희동의 회화는 1920년대 중반 서양화에서 전통회화로 회귀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그가 서양화에서 전통회화로 회귀하게 된 과정을 검토한 다음 전통회귀 이후 그가 남화가로 분류된 사실에 주목하여 그 배경과 의미를 규명하였다. 고희동의 회화가 전통으로 회귀한 이후 조형표현에 나타난 특징은 두 가지 즉, 서양화법의 특징을 도입하여 절충적인 특징을 드러내거나 관념산수의 전통을 이으며 필선 중심의 묘사나 단일시점이 아닌 분절적인 시점을 설정하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1940년대에 고희동이 조선남화연맹의 창립 회원으로서 활동하며 이상범, 노수현, 변관식 등과 함께 남화가로 활동한 사실은 그의 전통회귀가 일본인의 동아시아회화사 인식에 바탕을 둔 남화를 그리는 화가로 분류되었음을 의미한다.
        6,700원
        28.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전통가구는 대부분이 조선 후기 座式가구로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좌식가구는 임진왜란 이후 온돌이 발달 하게 되면서 정착된 것으로, 그 이전에는 立式가구들을 사용하였고 조선 후기에도 기록이나 유물을 통해서 사용례를 살필 수 있다. 기록은 단편적이나마 회화․문헌 등에서 엿볼 수 있고, 전하는 유물 역시 희소하지만 그 형식적 영향관계가 깊은 중국 가구와 비교검토는 시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전통 입식가구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우리나라 좌구의 특징적인 요소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런데 전통 생활 방식 속에서 의자나 테이블과 같은 立式생활에 관한 것은 그 흔적만 살필 수 있을 뿐이다. 일제시대 洋가구 공장이 생기면서 특히 1940년대에 들어와 의자를 제작하는 공장들이 눈에 띈다. 그 이전의 전통 생활양식에서 의자의 제작과 유통에 관한 것은 아직 알려진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입식 가구 중에서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의자’에 주목하였는데, 문헌이나 회화 속 전통 의자는 거의 등받이가 둥근 의자 즉 ‘圓椅’에 해당한다. 때문에 이 원의에 주목하여 당시 입식 생활이 대한 기록과 유물을 찾아보고, 형식적 밀접함을 보이는 중국의 명청가구와 비교검토하여 우리나라 ‘圓椅’의 형태적 특징에 관해 짚어 보고자 한다. ‘圓椅’라는 명칭은 조선후기 서유구의 『林園經濟志』를 따른 것이며, 조선 후기 다른 문헌에서는 ‘교의’라는 명칭을 썼다. ‘원의’라는 명칭은 중국과 구별되는 명칭이므로 여기에서는 이를 따르기로 하였다. 전통 회화 중에서 당시 생활상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하고 그 情景을 엿볼 수 있는 것은 기록화와 풍속화일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한시각(韓時覺, 1621-1691 이 후) 그림 <北塞宣恩圖>는 당시 생생한 기록을 담은 그림으로 평가되고 있다. 1664년 (현종5) 함경도 길주목에서 실시된 문무과 과거 시험 장면을 그린 이 그림 안에는 비교적 자세한 표현의 의자와 다리가 높은 탁자가 그려져 있다. 의자는 등받이가 둥근 의자, 등받이가 없는 긴 의자로 나뉘어 있어 당시 의식 생활의 일면이 확인되는 중요 장면이다. 그 외 17세기 기록화인 <권대운 기로연회도>(1689년경), 18세기 풍속화 김득신의 <田園行獵圖>(1744년경), 기록화적인 성격을 띄는 17-18세기의 초상화들, 19세기 풍속화로서 좌구 사용을 볼 수 있는 <練光亭宴會圖>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중 초상화는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다수의 유물이 전하고 있어, 미술사적 성과가 이뤄진 상태에서 그 안에 그려진 의자 형태를 확인 연구 시도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작업일 것이다. 전하는 유물로 논문에서 다룬 것은 왕이 사용했던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朱漆交 椅>나 경기도 박물관 소장의 1668년(현종10년) 하사품인 <李景奭(1595~1671) 交椅>같은 특별 제작의 의자와 일반 선비가 사용했던 의자로 <同春堂송준길(1606~1672) 의자>를 예로 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좌식 생활 연구에 편중된 전통가구 연구에서, 立式생활의 면모를 확인하고, 그 형태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의자에 한정하였지만, 입식 의자와 함께 사용된 다리가 높은 테이블 역시 전통 가구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 져야 할 부분일 것이다. 본 논문을 시작으로 앞으로 더 발굴이 될 수 있는 우리 전통 의자, 의자와 함께 사용하였을 다리 높은 탁자 등 우리 전통 생활의 다양한 면모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한다.
        6,600원
        3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로버트 라이먼(Robert Ryman, 1930-)의 1953년-1967년 작품을 중심으로 그가 회화를 경험하는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 회화의 의미를 축적했다는 점을 밝힌다. 물질성과 반 복성이라는 특징 때문에 ‘미니멀리스트 화가’로 알려진 라이먼이 1950년대부터 작품을 시작해 온 맥락이 최근 연구되었다. 본 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그가 회화와 상호작용하는 붓질의 행위 를 실험으로 보고, 듀이의 경험론과 접목했다. 그는 경험 과정에서 얻은 해결책을 ‘의식’적으로 이용하여 통제 조건을 설정하고 결과를 산출하고, 또 새로운 재료를 향해 도전한다. 이러한 관점 에서 그의 수평적 붓질에 나타난 반복은 물질적 측면에서 감축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확장되며, 산업용 재료를 사용했음에도 그가 이를 회화를 지속하는 바탕으로 사용했다는 점을 주장했다.
        6,600원
        31.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회화에 사용된 각종 색 재료 즉 유기, 무기안료나 염료는 온도, 습도, 빛, 그리고 대기 오염에 의한 각종 화학 물질 등과 직접 반응하여 탈․변색을 유도하기도 하고, 안료와 결합된 각종 수지의 열화에 의해 손상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종이라고 불리는 한지에 석록, 석청 무기 안료를 사용해 인위적인 노화시험을 시행하면서, 동시에 전시 관에 전시를 통해 환경 요인으로 인한 자연적 노화시험을 수행하였다. 인위적인 노화와 자연적인 환경시험에 의해 일어 난 화학적인 변화는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와 FT-IR, TGA, XRD을 통해 측정하였고, 전통회화의 변색은 색차계와 video microscope로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석록이 포함된 전통회화의 변색은 대기 중의 산도와 자외선에 의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om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The paper uses an intermediate-level Chinese conversational textbook titled New Speaking Chinese. The data consist of 90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Whether a Chinese expression is replaced with a Korean idiom, Chinese idioms can be classified into the two major types: 1) mutable idioms, and 2) immutable idioms. Then mutable idioms are further divided into two subtypes: 1A) identical/similar images, and 1B) substitutional images. Likewise, immutable idioms can be divided into two subtypes: 2A) idioms with general explanations requiring no ethnic information about China, and 2B) idioms with special explanations requiring speci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Chinese cultures and history. The results show that type 1 is only responsible for 39% of all the Korean translations. Type 2 is responsible for 61% of the translations. For further analysis, type 2A has been most frequently used, with 55% of all data, and type 2B has been least used, with 6% only, but draws particular attentions of translators. For the other two types, there were type 1A with 26% and type 1B with 13%, respectively. Pedagogical skills for appropriate translation of Chinese idioms along with classroom activities are suggested.
        5,700원
        34.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박생광은 서양문물의 유입이 시대적 문화현상으로 받아들여지던 시기에 한국의 전통 소재와 색채미를 통해 현대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대표적인 화가이다. 그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일본 유학생활과 광복 후의 한국생활, 이후 재 도일을 거쳐 1977년 한국으로 영구 귀국한 후 1985년생을 마감하기까지 8년간의 기간 중에 보여준 다양한 소재(불교, 민화, 무속, 역사)를 통해 자 신만의 민족적 화풍을 이룩하였다. 이러한 민족적 화풍은 국내에만 갇혀있 던 보수적인 한국화가 새로운 모습으로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밑바탕이 되 었다. 본 연구는 박생광이 1977년부터 1985년까지 불교 소재를 통해 완성된 작품들을 분석하고 종교적 소재가 순수회화에 도입되어 작품성을 인정받게 된 경위와 평가에 대해 연구했다. 이를 위해 박생광이 불교 소재로 작품화 하게 된 사상적 배경을 탐구하고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의 표 현적 특징을 연구하여 밝혔다. 이를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그의 작품 이 다시 한 번 변모하는 계기가 된 1982년 인도여행 이전과 이후를 시대구 분으로 나누고 주제구분, 색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박생광은 불교 소재를 통해 자신의 심상세계를 표현하면서도 그 속에 한 민족 저변에 깔려있는 국태민안, 기복사상 등을 담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작품화하였다. 이러한 박생광의 과감한 실험적 작품들은 광복이후 지지부진 했던 한국의 전통적인 미감을 시대적 미감에 맞게 재해석하는 문제에 새로 운 이정표가 되었으며 90년대 이후 출현한 젊은 작가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용기를 주었다. 이후 한국화는 현대화 운동에 급격히 접어들면서 화단도 한 국 전통의 소재와 정신을 통한 다양한 현대적 실험(소재, 기법, 재료)이 이 루어 졌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2010년대)의 한국화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6,400원
        39.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knit ruffles that represent the aesthetic and artistic values of painted works of art that rhythmically express flower petals and add an artistic impression on the knit ruffle design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rtistic life of Georgia O’Keeffe and changes in her artistic background, and the world of paintings. The relevant data was gathered from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academic journals, and the internet. The characteristics of Georgia O’Keeffe paintings were examined. Her paintings typically include a series of various motifs, symmetry, balance, and harmony of detailed realistic expressions and abstract elements, repetition, and the principles of contrast and emphasis in shaping. The decoration techniques used on fabrics were applied using the knitting machine which controls the tension to develop a variety of textures, apart from the previous standardized knit textures, through various knitting techniques. A gradation effect was then applied by piece-dyeing the knitted materials in various colors to express asimilarity to the original colors in O’Keeffe’s works with delicate color expressions. After the piece-dyeing, the decorative knitted materials were trimmed on a model to re-create the natural curves of flower petals. This study aims to converge works of art with fashion designs to develop various creative knitted fashion and to impart an artistic sense in the fashion design industry.
        5,200원
        40.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ir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taught by native English speakers. Its focus is on finding out how well the students understand and how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class, what causes difficulty in their understanding or participation in class, and whether their class helps them in terms of affective aspects and English skill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65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compute basic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Some of the important findings are 1) over 50% of the students understand their classes well; 2) a little over 30%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3) about 30~50% of the students perceive their class help them affectively; and 4) about 50% of the students perceive their class help them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in general.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long with other findings related to the causes of the difficulties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Suggestions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6,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