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21.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utritional composition,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sprouts of Kalopanax pictus, Cedrela sinensis and Acanthopanax cortex were investigat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se sprouts. The moisture and crude lipid contents of the first sprou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econd sprout, and the crude fiber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higher in the second sprout. The organic acid content of the first sprou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sprout. The second sprout had higher free amino acid contents in K. pictus and C. sinensis, and the first sprout had a higher content in A. cortex. Especially, the second sprout of K. pictus and C. sinensis had a higher level of glutamic acid, which is a major taste component of foods, than the first sprout. The second sprouts of all the samples had higher mineral levels than the first sprouts. In contrast, the first sprouts had high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showed a higher antioxidant activity level, except fo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A. cortex.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nutritive value of the second sprou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sprout, but the bioactive components value of the second sprout wa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sprout.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cultivation condition required to maintain the nutritive values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sprouts.
        22.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hading and pinching on growth and acanthoside-D content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and A. koreanum Nakai. Different pinching heigh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lant growth and acanthoside-D content but higher values showed that pinching A. divaricatus at 60 cm and A. koreanum at 30 cm favored good growth and higher fresh weight in the shoots. The content of acanthoside-D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inching height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nthoside-D content was foun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part of plant in the first year. However it was much higher in the lower part than the upper part in the second year, which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acanthoside-D was comparatively high in the lower part where lignification is much advanced. Shading showed benefits in terms of growth of A. divaricatus while only 50%-shading was favorable for A. koreanum to achieve superior growth.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shading had favorably affected the growth of the 2 Acanthopanax species while no-shading is better if we opt to achieve higher acathoside D content.
        2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propagation of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canthopanax koreanum through different cutting practices. For propagation by cuttings, scions were taken on September 1. This already has hard skin and showed much higher values in terms of root length, root number, rooting ratio and root weight than those taken on June 30 and August 1. Regardless of cutting date, 50% shading resulted to the highest root length, root number, root ratio and root weight. Meanwhile, 95% shading significantly reduced these parameters compared with no sha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shading may inhibit root growth. Two growth regulators, IBA (concentration of 1,000, 2,000, 3,000 ppm) and Rootone-F (0.4%) were also tested of its effect to the cuttings. Rootone-F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IBA. Cutting treated with Rootone-F had slightly higher root length and root number. A. koreanum which grows well in hot climatic condition showed better rooting ability than A. divaricatus.
        24.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iological activity of Acanthopanax sessiliflorum fruit extracts.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the extracts were 21.4 and 15.8 mg/g in hot water and 60% ethanol extracts.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water and the 60% ethanol extracts at a 200 μg/mL phenolic concent ration were at 92.4±0.8 and 89.2±1.1% in terms of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8.3±1.1 and 96.5±3.5% in terms of the ABTS radical decolorization, 2.0±0.6 and 1.2±2.8 PF in terms of the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and 66.3±0.8 and 61.4±2.3% in terms of the TBARs inhibitory activity. The activities that inhibited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nd xanthin oxidase were at 85.1±3.2 and 0% in the water extracts and 59.3±1.5 and 9.5±0.8% in the 60% ethanol extracts at the 200 μg/mL phenolic concentration. Th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at 56.6±1.8 and 53.1±1.1% in the water extracts and 33.7±2.2 and 22.4±3.1% in the 60% ethanol extracts. The astringent effect of the water and the 60% ethanol extracts were at 50.5±0.9 and 11.5±4.1%.
        25.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and Cedrela shoots during their preservation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alting conditions to improve the use of the shoo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H of added ionization mineral during the storage did not change. The salinity of the salt-stored Acanthopanax and Cedrela tended to insignificantly change as their storage temperature changed and increase during the addition of the ionization mineral. In terms of the color values, the b value of the added non-ionization mineral tended to increase and that of the added ionization mineral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The texture of Acanthopanax and Cedrela shoots to which an ionization mineral was added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during their storage, and was highest when 50 ppm of the ionization mineral was added.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s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salt storag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the change in the added ionization mineral, and decreased at the storage temperature of 10℃.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quality of Acanthopanax and Cedrela shoots can be maintained when they are stored in ionization mineral addition.
        26.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eldrin, one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induced the damages in neuroblastoma cells and DNA damages in lymphocytes. The ethanol extracts of A. sessiliflorus leaves were examined for the suppressive effects on the dieldrin-induced cell damages. Moreover, the extract was used to test whether it might inhibit the oxidative DNA damage of lymphocytes using Comet assay. The cell and DNA damage by dieldrin were suppressed in vitro upon treating A. sessiliflorus extract. This result suggests that A. sessiliflorus extract might be useful to reduce dieldrin toxicity.
        27.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탐색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즉 새로운 기능성을 함유한 생리활성 물질의 발굴 및 국민보건 증진을 목적으로 가시오갈피의 열매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활성산소 소거능, 항고혈압 활성 및 항암활성을 검증하여 가시오갈피 열매의 활용성 증진 및 신규 기능성 자원화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 가시오갈피 열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Feton's reagent를 사용한 lipid peroxidation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10ug/mL 수준에서부터 뚜렷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였으며, 모든 농도에서 활성평가의 대조구인 α-tocopherol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11.24ug/mL 의 항산화 활성 (IC50)을 나타내어 대조시약인 α-tocopherol이나 BHT와 유사한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2.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활성 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xanthine oxidase 활성을 50% 저해하는 데 필요한 농도는 약 36.9ug/mL 로 대조 활성물질인(+)-catechin에는 미치지는 못하나 상당히 높은 xanthine oxidasc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을 대상으로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육 억제효과를 SRB법으로 검정한 결과 폐암 세포주인 A549세포 및 결장암 세포주인 HCT-15에서는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반면,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와 백혈병 세포주인 MOLT-4F에서는 암세포의 생육을 50% 억제하는 농도가 5ug/mL 으로 우수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은 광범위한 항산화 기작 및 항암 활성을 나타냄으로 신규 기능성 자원으로서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28.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전적으로 제2형 당뇨를 가진 Goto-Kakizaki 흰쥐의 간 세포액에 함유된 당대사 관련 주요 효소인 glucokinase(GK)와 acetyl-CoA carboxylase(ACC)의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소재로는 지골피(Lycium chinense),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를 선정하였고,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유효성분의 항당뇨 효능에 대한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정비율로 혼합하였다. 각 소재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모든 추출물에서 GK와 ACC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가시오가피와 동충하초의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효소의 활성 증가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골피와 가시오가피, 동충하초의 상승작용 때문으로 사료된다. α-glucosidase의 저해 활성은 JDG 5(1:6:6) 처리군에서 acarbose 보다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지골피, 가시오가피, 동충하초의 혼합 비율이 1:6:6 일 때 당대사 관련 효소인 GK와 ACC 효소를 활성화시키고, α-glucosid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흡수된 당의 이용에 유리하게 작용함으로써 항당뇨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9.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시오가피의 기능성을 이용한 제빵원료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물량에 대하여 0%, 25%, 50%, 75% 및 100%로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발효과정 중 pH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가시오가피 추출액을 첨가한 모든 첨가구가 낮게 유지하였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의 저하 폭이 대조구보다 완만하게 나타났다. 반죽의 발효팽창력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가시오가피 추출액 첨
        3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anthopanax senticosus is a typical oriental folk medicinal herb and has been used clinically as a tonic, anti-rheumatic and prophylactic for chronic bronchitis, hypertension, anti-stress, ischemic heart disease, and gastric ulcer. Acanthopanax senticosus was successively extracted with water, boiling water, methanol, and 70% methanol.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were evaluated by antioxidant tests, such as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metal-chelating activity,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boiling water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in vitro models of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70% methanol extract showed high metal chelating activity. In additi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different extracts was also investigated. These results indicate the high possibility of using A. senticosus for medical application due to their efficient antioxidant properties.
        31.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탐라오가피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물과 주정의 비율을 달리하여 추출시간에 따른 유용성분의 경시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물 및 주정농도를 각각 로 조절한 다음 0.5 cm 이하로 세절한 뿌리를 300 g/7.5 L의 비율로 첨가하여 9시간 동안 의 항온수조에서 환류냉각으로 추출하였을 때, 추출을 시작한 후 3시간까지 pH가 낮아졌으며, pH 범위였다. 색도 a값은 추출용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추출 시간까지에 변화가 컸다. 색도
        32.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천연 미백소재 개발을 위하여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은 free radical 소거활성(DPPH)에서 IC50 = 3.43 ± 0.35 g/mL, superoxide radicals 소거활성 IC50 = 158.91 ± 1.57 g/mL을 나타내었다. B16 melanoma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여 100 g/mL에서 27.2 ± 2.65 %의 저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은 100 g/mL에서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53.67 ± 8.55 % 저해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와 tyrosinase 관련 단백질(TRP-2)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은 tyrosinase의 활성 및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오가피에서 추출한 페놀산 분획추출물은 미백용도의 기능성 원료로써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3.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특산 섬오갈피나무 및 지리산오갈피나무의 잎과 줄기에서 추출한 주요 정유성분으로, 섬오갈피나무의 경우에는 δ-3-carene (31.34%), l-limonene (17.01%), β-elemene (4.53%), trans-p-menth-2-ene-1,8-diol (3.13%), 1,8-cineole (4.73%), 1-dodecen-3-yne (2.64%), (Z)-3,7-dimethyl-1,3,6-octatriene (3.21%), 지리산오갈피나무의 경우에는 delta-3-carene (14.78%), limonene (7.24%), t-ocimene (7.22%), α-terpinolene (8.76%), gamma-elemene (4.32%), β-selinene (7.72%), veridifloral (3.25%), dodecane (2.44%) 등의 성분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δ-3-carene는 섬오갈피나무 및 지리산오갈피나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hiisanoside in each stem and root of Acanthopanax senticosus collected from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A reverse-phase system using a gradient of H2O and acetonitrile as the mobile phase was developed and detection was at 210nm. The analysis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in 30 min. Chiisanoside was measured in the stem and root of A. senticosus collected from various countries.
        35.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탐라오가피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물과 주정의 비율을 달리하여 추출시간에 따른 유용성분의 경시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물 및 주정농도를 각각 로 조절한 다음 0.5 cm 이하로 세절한 줄기를 300 g/7.5 L의 비율로 첨가하여 9시간 동안 를 유지하는 항온수조에서 환류냉각 추출하였다. 추출 중에 pH의 변화는 대체로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추출 후 3시간까지 pH가 낮아졌으며 범위였다. 색도 a 값은 추출용매
        36.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lignans, eleutherosides B and E, in Acanthopanax sessiliflorus fruits and their fermented wine. The lignans were quantified by a reversed-phase system using a gradient of H2O and acetonitrile as a mobile phase within 20 min. The analysis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in 20 min. The contents of eleutherosides Band E as main active principles of Acanthopanax species were measured in A. sessiliflorus fruits (1.15 and 8.49 μg/mg, respectively), their fermented wine (0.45 and 1.33 μg/mg, respectively) and wine residues (no detection).
        3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중국, 러시아에서 자생하고 있는 가시오갈피에 대한 유전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Universal primer를 사용하여 PCR로 증폭시킨 후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ITS의 길이는 162 bp의 5.8S rRNA 유전자를 포함하여 한국산과 중국산은 608 bp 그리고 러시아산은 611 bp로 나타났다. ITS영역의 G+C 함량은 한국산과 중국산이 60.20%이고 러시아산이 60.06%였다. 한국산과 중국산의 ITS영역은 100% 동일하였으며, 러시아산은 한국산과 비교했을 때 3 bp의 염기삽입과 2 bp의 염기치환이 존재하여 99.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국산 가시오갈피는 러시아산보다 중국산과 유전적 유연관계가 더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일 속내에서는 오갈피나무보다는 음나무와 ITS 염기서열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38.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가피 열수추출액의 유통 품질의 변화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오가피( mesh)를 열수 추출한 액을 nylon/PE(0.08 mm) pouch로 밀봉포장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가온조건(40, )에서 10일간 보관하면서 1일 간격으로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보관 중 추출액의 탁도, pH, 총폴리페놀 함량 및 DPPH 유리기 소거능 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온과 포장에 의해 감소가 억제됨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고온에서 증가함을 보였으
        40.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로부터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의 열수추출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추출 전처리 및 방법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오가피를 분쇄, 체질하고 초음파(20 kHz), 마이크로파 (2,450 MHz) 또는 볶음 처리를 10분 동안 실시한 후 물을 용매로 상압 추출과 가압 추출을 각각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전처리는 성분들의 추출수율과 유리기 소거능을 증가 시키는 경향을 보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