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21.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obile fingerprint instruments are now actively introduced to consumers as a secure and convenient solution to problems related to identity control and authorization verification management in m-payment systems. This study aims to reveal whether consumers’ inference about a tradeoff between convenience and security still influences today’s m-payment environments. A presumed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nd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ceived security, privacy, and convenience of Touch ID in-app payments on attitude toward and usage intention of the technology, mediated by perceived risk and trust. The results (n = 406) revealed that perceived privacy, security, and convenience of Touch ID in-app payment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technology, also trust and perceived risk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such factors on attitude, predicting usage intention.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particularly for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retailer’s in-app payments.
        2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 162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PSS Version 20.0, IBM, U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일원분산분석, t-검정, pearson 상관계수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수행도는 모든 영역에서 평균은 3.1점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은 연령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근무연수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다섯 개의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수행을 위한 동기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을 고려한 지속적인 병원에서의 감염관리교육과 올바른 손씻기 교육을 진행한다면 손씻기 수행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연성지는 ‘성지(Sacred sites)’의 일종으로 자연적인 지 역뿐만 아니라 인공적이거나 기념물적인 지역까지도 포괄 하고 있으며(한국보호지역포럼, 2002). 그 범위는 나무 한 그루에서부터 한 지역 전체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당수의 자연성지는 종교를 연원으로 하는 환경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제기구에서도 다양한 계획과 협약, 선언 등을 통해 자연성지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IUCN에서는 6개의 보호지역 카테고리 전반에 걸쳐 자연성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보다 명확한 인식과 관리를 위한 개선이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자연성지가 지니는 생물 다양성뿐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미적 가치를 아우르는 통 합적 개념으로서 인류의 유·무형적 유산에 해당함을 공감하 는 추세에 있다. 국내에서는 성황당이나 신당수, 돌탑 등이 민간신앙과 결 합하여 해당 지역주민들에게 신성시되면서, 오늘날까지 자 연성지로서의 모습을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일부 국립공원이나 자연문화재(천연기념물, 명승) 등의 보호구 역 내에 소재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신앙의 대상으로서 행 해지는 제례나 굿 등의 향토유적, 무형문화재 등의 지방문 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법적으로 지정된 보호지역 외부에 자연성지가 위치할 경우 자연성지의 인정과 보전·관 리에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도 자연성지에 대한 제도적 기반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관련 연구 또한 시원적 단계에 있다. 관련 연구들은 주로 당산목이나 당산숲 등을 중심으로 입지적 특성, 생물다양성, 식생현황 등 생물학적 연구가 주 를 이루고 있으며, 마을행사를 중심으로 하는 민속학적 연 구가 수반되고 있다. 이는 당산제의 대부분이 나무 앞에서 제를 모시기 때문에 노거수나 신당수 등 수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입석이나 돌탑은 당산제와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는 경향을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그러나 당산이 나 무, 입석, 돌탑 등 여러 형태의 신체를 가질 수 있고 실제 마을의 돌탑 중 57.1%가 제례의 대상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은(국립무형유산원, 2015), 돌탑을 신앙의 대상으로 보아 야 할 당위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돌탑은 노거수나 산, 폭포 등 기존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민간신앙과 달리 돌이 지닌 반영구적 특성에 기인한 신앙적 대상이자 주민들이 정성을 들여 쌓아올린 원초적, 인공적 산물이라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나 민속학적 연구 외 자연성지 관점에 서 돌탑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자연성지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자연성지가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산디마을의 숭배 대상인 돌탑에 적용하여 자연성지로 서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 상인 산디마을 돌탑은 탑제와 함께 1998년 대전광역시 무 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지속적인 보호관리가 이루어지고 있 으며, 전국의 돌탑 신앙 가운데 가장 원형적인 모습을 간직 했다는 평을 듣고 있어(경향신문 2011년 1월 10일자 보도 자료) 마을의 돌탑신앙을 살펴보는 데 대표성을 지닐 것으 로 판단된다. 자연성지는 특정 민족이나 공동체에게 특별한 영적 중요 성을 갖는 육상 또는 해상의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으며(한 국보호지역포럼, 2002),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패러다임에 의한 보호의식 형성, 주변 자연환경의 보전, 경관과 미적가 치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지역 공동체와 관련된 자연성지들은 자연환경의 보호가 제도적으로 정비되기 이전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자연보호 와 관련한 윤리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일반 자연환경 에 비해 그 자체로서의 영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의 종교적 신앙심에 기원한 경외심, 보호의식 등의 패러다 임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나 훼손의 위험을 피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보호의식은 신앙의 대상물뿐만 아니라 그 주변 자연환경까지도 보전의 대상으로 여겨져 왔다. 오랜 기간 동안 지역공동체들은 마을 내 기금을 통해 성지를 보 호함으로써 주변의 화초나 수목, 지형, 하천 등이 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그 결과 자연성지 일대는 최 소한의 인공적 개입만이 이루어졌으며, 토산물을 재료로 하 고,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경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산디마을의 돌탑신앙 또한 산디마을 주민들의 보호의식 과 관련지을 수 있다. 과거로부터 신성시되어오던 돌탑은 1970년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행해졌던 미신타파운동에 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제관으로 선정된 주민은 탑제를 앞두고 엄격한 금기와 재계를 수행하는 등 탑제를 경건한 의식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그 대상 또한 보호의 대상 으로 여기게 되었으며, 탑이 무너질 경우 주민들의 자구적 인 보수가 시행되기도 하였다. 또한 금강 하류지역으로 갈 수록 돌탑신앙이 점차 희소해지고, 서해를 끼고 있는 보령· 서산·홍성·태안 등의 내포지역에서는 전승되는 사례를 찾아 볼 수 없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크다(강성복, 2011). 산디마을의 돌탑은 마을 입구 계류를 사이에 두고 위치한 2개의 탑으로 할아버지탑, 할머니탑으로 불리고 있다. 돌탑 의 형태는 잡석을 쌓아올린 원추형으로 국내 돌탑에서 나타 나는 전형적인 유형에 해당한다. 할아버지탑은 산비탈의 경 사에 기대어 축조되어 있으며, 작은 머릿돌을 올려두었다. 할머니탑 또한 원추형 돌탑으로 두 그루의 노거수에 면해 있으며, 뾰족한 형태의 머릿돌이 세워져 있다. 또한 돌탑 주면에는 휀스가 둘러져 있으며, 수림지가 우거져 있다. 산 디마을의 구조는 예로부터 벌집 또는 장군 형국으로 마을입 구가 마을을 드나드는 유일한 통로였으며, 좁을수록 마을이 풍요로워 진다고 여겨지고 있었다. 이에 과거에는 마을 입 구에 울창한 숲이 조성하여, 풍수비보의 기능을 부여했으 며, 1938년에 세워진 조림불망비(造林不忘碑)에 의하면 골 짜기에 부는 강한 바람을 막고자 하는 방풍림의 역할을 하 기도 하였다(이필영, 2001). 돌탑은 이 수림지의 경계에 위 치하여 마을의 입구를 상징하는 장승이자, 외부로부터의 나 쁜 기운을 막아주는 서낭신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매년 정 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탑제를 지내고 있다. 한편, 오늘날 자연성지는 외부의 위협요소가 산재하고 있다. 자연성지가 제도권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 지속적인 보호관리 뿐만 아니라 자연성지로서의 인정 자체 도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자연성지의 위협 요인으로는 개발사업에 따른 자연성지의 침범과 현대화에 따른 신앙체 계의 전환 등을 들 수 있다. 산디마을 일대는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되어 외부의 개 발압력은 확인되지 않으나, 국가에서 시행한 마을 진입도로 의 변화가 주변 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을로 진입하는 소로는 과거 우마차 한 대가 지나갈 정도로 좁은 길이었으나, 1959년 미군부대가 장동 일대로 들어오면서 확장되었으며(중도일보 2017년 9월 1일자 보도자료), 2012 년,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대덕구청 에서 진입도로를 확장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또한 2015 년 산디마을 진입로 주변에 오토캠핑장이 조성되면서 마을 의 수림지와 시내 면적이 상당부분 축소, 파편화되었으며, 2012년 실시한 하천정비공사는 할아버지탑과 할머니탑 사 이의 시냇물 주변에 콘크리트 제방과 징검다리를 설치하면 서 과거의 경관이 변화하게 되었다. 이외에 현대화에 따른 신앙체계의 전환은 마을 내부적으 로 탑제의 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을 주민의 노령화 와 젊은 층의 이주로 인한 공동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이주해온 주민들은 마을 행사에 불참하면서 탑 제의 준비와 시행이 필요한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일례 로 탑제 이후 실시하는 풍물놀이 또한 마을 주민으로 충당 하기 어려움에 따라 대전시와 대덕문화원에서 풍물놀이패 를 지원하고 있으며, 마을 주민들이 갹출하는 금줄의 양도 상당부분 감소하여 외부의 인력을 들여 탑제를 준비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산디마을 돌탑은 오랜 기간 동안 산디 마을 주민들에게 서낭신, 액막이, 풍수적 비보 장치로서 신 성시되어 왔으며, 자구적인 보수가 이루어지는 등 지역 공 동체의 보호의식이 보존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이에 따라 주 변의 수림지와 시내 등 주변의 자연경관까지도 보호되는 등 자연성지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도로확장 이나 하천정비 등의 개발 사업에 의해 자연성지의 파편화가 이루어졌으며 현대화에 따른 탑제 수행 인력의 부족 및 전 통 신앙에 대한 무관심 등이 위협요인으로 도출되었다.
        24.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녀 성별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 신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수원지역의 대학생 271명으로, 남자 91명, 여자 180명이었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프로그램 PROCESS에서 Boots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에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적응유연성신념은 진로탐색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4,800원
        26.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teacher belief as a social practice in a focus group setting with three second language teachers by utilizing a discursive psychology (DP) approach (Edwards, 1997; Edwards & Potter, 2005). By adopting an empirically based emic perspective (i.e., how the participants display their understandings through their own contributions), we aim to respecify individual psychological states as an embodied interactional activity and study what members achieve through their interaction, particularly in their disagreement and teasing sequences. The findings show how teacher belief is a socially co-constructed phenomenon that not only evolves through interaction but stands as a foundational concept upon which participants build and display their teacher competence within the focus group setting. We thereby provide a new methodological means of investigation and new methods to focus on when examining teacher belief, as well as to show the procedure of what members do in a teacher belief focus group session. We conclude by summarizing our findings and addressing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work on teacher belief.
        6,600원
        27.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controversial to say just what kind of role the government bureaucracy actually had in the social conversions of the Korean society. By emphasizing the 'Growth First Belief' over everything else,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the people have always taken a backseat. In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the unattractive mingling of special privileges and rights with the blind worshipping and idolization towards power and riches which happened has led to the creation of new terms such as 'pariah capitalism' and 'bureaucratic mafia(bureaufia)'. Concentrating the state resources and consequent choices made by the developmental state have also led to the worsening of the inequality and concentration of wealth as a result. South Korea's authoritative bureaucracy is a centralized body of the state and can be seen as the party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 seed of the present inequality of the Korean society. This paper will look at the evolution and the effects on how ‘the growth first’ public policy had on the inequality that exists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contemplate upon the measures that can alleviate these problems. The paper also attempts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that will lead to a fairer and more equal society. First, there should be a conversion of the goal in public administration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which is not of a quantitative nature of the growth. Second, there should be an execution of ‘proper’ regulations that are deemed most necessary in the most effective positions which will heal the side effects of the growth. Finally, there should be a drastic embracement and investment on the part of the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o respond to the inevitabl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4,000원
        28.
        2016.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사부 장군이 울릉도를 복속하였다는 『삼국사기』 기록에는 출항 할 때 어떤 종교 의식을 행하였는지를 알려주는 기사는 없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금석문이나 자료들도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당시 종교 의식을 어떻게 행하였는지를 알기 위하여 본문에서 동해에서의 신앙 전통과 관련한 각종 기록을 시대별로 정리하였고, 현재의 민간신앙 전통에 대하여 폭넓게 살펴보았다. 그 결과 東海를 배경으로 바다에서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또는 바다로부터 올 수 있는 나쁜 액살을 막기 위해 신라 이래 고려와 조선시대에 東海에서 용왕 을 주요 신령으로 모셔서 제사를 지냈다는 각종 기록이나 설화는 매우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전통은 현재 동해안에서의 민간신앙 전통에도 영향을 미쳐 마을 단위 제의에서 바다에서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삼척과 울진을 비롯하여 울릉도에서도 하위 제차로 용왕제를 지내고 있음을 폭넓게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사부 장군의 출항지로 여겨지는 오십천 하구의 사직동 서낭당에서 모시는 신령은 성황ㆍ토지신과 함께 용왕을 위패 형태로 모시고 있으며, 인근의 근덕 덕산 서낭당에서도 용왕을 모신다. 이를 통해 동해안에서 용왕을 모신 전통은 매우 오래되었으며, 그 형식은 산신이나 성황신을 협시하는 형태로 모시거나, 마을 고사를 지낼 때 하위 제차로 용왕제를 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사부 장군이 울릉도 복속을 위한 작전에서의 안전과 승리를 위해 행하였을 종교의례에서 상당신으로 天神이나 山神 등을 모셨고, 안전을 기원하기 위한 하위 제차에서 용왕을 모신 용왕제를 지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1,300원
        29.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비합리적 도박신념,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병적 도박자의 단도박 기간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단도박 모임에 정기적으로 참석하고 있는 성인 남자 68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단도박 기간에 따라 단도박 6개월 미만 집단(n=35), 단도박 3년 이상 집단(n=33)의 2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카이검정(x²)으로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여부가 차이가 있어 이 변인들을 공변인으로 두고 두 집단간 비합리적 도박신념,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비합리적 도박 신념은 기술과대 평가적 추론, 자기과신-비논리적 추론 2개의 척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아 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는 4개의 하위 척도 중 정서적 지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 지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자아 존 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병적 도박자의 단도박 기간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4,600원
        3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and how players’ aggression is affected by playing games focused on Intrapersonal level of player. In contrast to most existing studies, our study asks about crucial underlying factors among the general game population and thereby investigates mental health belief, interdependent and independent self-construal, game-efficacy, loneliness, depression, gender and age. Results show that mental health belief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the players because their aggressive tendencies are greatly diminished.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game efficacy reduced the levels of players’ aggression. Interestingly, both depression and loneliness decreased the levels of players’ aggression.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4,000원
        3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유방암 검진의도를 높이기 위한 심리적 결정요인을 살펴 보고자 하였으며 , 이를 위해 건강신념모델을 구성하는 4개의 신념변인들 (지 각된 이익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 )이 유방암 검진의도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첫째, 지각된 이익성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으나 ,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둘째,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변인들(친구지지 , 가족지지 , 타인지지 )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그 결과, 친구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 가족지지와 타인지지도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셋째, 유방암 검진과 관련 자기효능감이 유방암 검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 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6,000원
        32.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beliefs about L2 learning and a structural model that best explains the belief factors associated with L2 achieve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t has furthermore explored the effect of gender on the structural model of belief factors affecting L2 achievement. A total of 447 students (253 boys, 194 girls) at two school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taining 26 Likert-scale items. The results produced five underlying constructs: selfefficacy of English learning, importance of grammar learning, role of teacher feedback, importance of accuracy, and nature of English learning. The final SEM model showed that both self-efficacy of English learning and importance of grammar learning were positive, direct, and significant predictors of L2 achievement. Role of teacher feedback and nature of English learning, however, were indirectly related to the L2 achievement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of English learning. The study also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hat gender moderat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belief factors affecting L2 attainment.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to improve L2 instruction were suggested.
        5,800원
        33.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asic characteristics of the adjustment process to Korean food with an analysis of Japanese independent tourist culture social resistance factors. To collect data for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distributed to 284 Japanese tourists through Korean travel agenc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media and cultural beliefs affecting the diffusion process of Korean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belief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diffusion process of most Korean food. However, people who value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South Korea and Japan-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and identification group. Therefore, cultural beliefs did not influence the diffusion of Korean food, although there are surely cultural beliefs and subjective factors affecting their reform decisions.
        4,000원
        3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belief, subjective norm, moral feeling, attitude, and the intention to consume organic beef. A total of 326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adult in Jeonnam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an excellent model-data fit. The covariance effects of belief and subjective norm, and belief and moral feel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belief and moral feeling on attitude and intention to consum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attitu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to consume. Moreover, attitude played a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and intention to consume. Finally,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for the interrelations among belief, subjective norm and moral feeling towards organic food, attitude and intention to consu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organic food consumption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validated by future research. Other constructs, such a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consumption, may be incorporated to form models that consist of new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irs.
        4,000원
        37.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ffective belief, environmental belief, subjective norm, attitude and meat consumption behavior. A total of 318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for the data also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effects of affective belief, environmental belief and subjective norm on att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affective belief, environmental belief and subjective norm on meat consum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attitud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belief and meat consumption, environmental belief and meat consumption, subjective norm and meat consumption. Consumpt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conclusion, based on structural analysis, a model was proposed of interrelations among affective belief, environmental belief, subjective norm, attitude, meat consumption and int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riginal model was modified and should, preferably, be validated in future research. Other variables may be incorporated to form models that consist of new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irs.
        4,000원
        38.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live in the what is called 'Age of Something Religious'. In this age, we need some virtues to read and interpret everyday life. This writing is focused on what korean folk religion retains in meaning. People used to have a notion that korean folk religion is something deficient, even not official or not modern. I can't agree that opinion. I have mind to think it such as 'Dasein' by M. Heidegger. Many people should rather think that some religions in each epoch have been taken part in important roles and positions. So I focus on korean folk belief. I think that korean folk religion have important meaning, religious meaning. So I call korean folk belief 'Gikimi Faith'. 'Gikimi Faith' means belief for keeping their 'Sitz im Leben'. And it is to be divided into faith of village and faith of house. In faith of village, people served their gods with religious ritual on the mountain or at the entrance of their village named as San-je Keori-je or Maul-je. And in faith of house, each family served house gods. They believed each house is body of god, named Sung-ju. As building house, people look upon as making body of god. Out of House, especially, Maru is very important space in two aspects. At first, Maru is sacred place on which religious rituals have been performed as house belief. Next, on Maru encounter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we can also experience the sacred. In other words, we can encounter the sacred through the profane. The profane is our everyday life through which people experience the sacred. Because of this ways, I call the same space like Maru by inter-space. Holding their keeping faith, they understand their location for daily life as small cosmos and wish to keep it from others. According to Mircea Eliade, that is because of 'Religious Humanity'. In our secular age, 'Gykimi Faith' for keeping themselves can become a solution to find meaning of something religious. That keeping faith may appear to us as a sort of 'The old future'. 'Gikimi Faith' also says that we have to take religious searching for something meaningful and true. And also we need focus on religious ritual and inter-space for shifting every place into holiness. In the age of something religious, we need also 'Religious Human' who can read usual things religious. According to M. Eliade, Religious person lives within open world, and therefore, His existence is unclosed to the world, while Non-religious Person dwells within closed world, therefore His vision is not clear, has no dialogue-partner with, and has no keyword for our world. Now we need Religious Person who is open hermetically.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followings. Ch.Ⅰ. Prologue Ch.Ⅱ. Theoretical Research of Eliade's Understanding for Religion Ch.Ⅲ. Religious Thought for Korean Gikimi-faith Ch.Ⅳ. Cultural Significance for Gikimi-faith Ch.Ⅴ. Epilogue I hope that people should inquire into korean traditional faith with affection more openly.
        6,700원
        3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between monolingual Korean and bilingual Korean-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heir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The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 (BALLI, Horwitz, 1987) was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o identify learner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Monolingual Korean and bilingual Korean-Chinese students reported similar opinions about foreign language aptitude and difficulty of language learning. The study also found that Korean-Chinese students were more confident than Korean students about their special ability for learning a new language. In addition, more Korean students than Korean-Chines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felt timid in speaking English with native speakers or with other people. Because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attempt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between monolingual and bilingual EFL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a foreign language by comparing the behaviors and thoughts of Korean and Korean-Chinese university students.
        5,7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