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21.
        202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workplace bulling, organizational silence, organizational justice, ethical climate, and intent to leave in hospital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67 full-time nurses working at one general hospital in South Korea from June 10 to 30, 2022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workplace bullying averaged 1.81 (out of 4), organizational silence 2.60 (out of 5), organizational fairness 3.06 (out of 5), ethical climate 3.57 (out of 5), and intent to leave was 2.88 (out of 5). The higher workplace bullying and organizational silence, the lower organizational justice and ethical climate, the intent to leave of hospital nurses was high. Organizational justice, workplace bullying, and age could explain their intent to leave of 37.0%. Conclusion: It I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organizational justice and prevent workplace bullying in order to lower hospital nurses' intent to leave. So it is concluded that managers should disclose the process and results of organization operation, and prepare measures to prevent bullying in the workplace centered the vulnerable.
        4,300원
        2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idering that extant studies on safety behavior have paid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employee’s safety behavior.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fluence of CSR on safety behavior and its intermediating mechanism such as mediator and moderator. To be specific,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psychological safety in the CSR-safety behavior link, also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psychological safety.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at CSR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psychological safety, which has a positive (+) impact on safety behavior. Also, employee’s psychological safet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SR and safety behavior. Lastly, ethical leadership moderated the CSR-psychological safety link.
        4,000원
        2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의 윤리적 이슈는 사회 전체구성원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업의 흥망성쇠에 직접적인 영향 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단순한 선언적 명제로서 윤리경영을 외치던 시대에서 벗어나 윤리경영이 실제적으로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인 시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윤리경영은 조직구성원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며 기업 및 상사의 비윤리적‧비도덕적 행위에 의하여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실질적인 영향 을 주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리고 기업에서의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를 살펴보 는 데 있어 신뢰가 중요한 매개역할을 수행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 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대상에 따 른 신뢰 유형인 조직신뢰, 상사신뢰로 구분하여 매개역할을 살펴보면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 더십은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차별적 영향력이 있다고 보았다. 사회 교환 이론을 토대로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에서 실행하여 조직과 조직구성원 간의 상호 호혜적 교환관계를 형성하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가 실행하여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상호 호혜적 교환관계를 형성하므로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신뢰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신뢰에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실증 분석하기 위하여 550명의 조직구성원에게서 수집된 자료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 이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행은 조직신 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상사신뢰에 유의하지 않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신뢰, 상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 행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으나 상사신뢰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상사신뢰는 유 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적 영향력의 결과를 보면 윤리경영 실행은 상사신뢰보다 조 직신뢰에 더 많은 정적인 영향을 주고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신뢰보다 상사신뢰에 더 많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윤리경영 실행,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 조직신 뢰, 상사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경영학적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7,000원
        2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fashion consumers’ moral identity and empathy propensity on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and donation behavior, and the effect of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on dona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over the 20s who experienced the donation of fashion products, 384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ternality and symbolism of moral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The all factors of empathy propensity positively affected eco-friendly oriented consumption, and cognitive empathy and social empathy positively affected boycott oriented consumption. The cognitive empathy, social empathy and relational empathy positively affected community oriented consumption and practice oriented consumption. Furthermore, social empathy and relational empathy positively affected recycling oriented consumption. The eco-friendly, boycott, community, and recycling oriented consumption positively affected temporal donation. The all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attitude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donation, and eco-friendly, community, recycling, and practice oriented consumption positively affected material donations. The internality and symbolism of moral identity positively affected temporal and emotional donation, and the symbolism except internality positively affected material donation. The cognitive empathy, social empathy and relational empathy positively affected the temporal donation and material donation. In addition, the all factors of empathy propensity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do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thical product strategy, market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dustry.
        5,700원
        26.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윤리경영, 직무착근도, 고객지향성, 조직문화와의 관계 를 규명하되, 요양보호사의 윤리경영, 직무착근도, 고객지향성, 조직문화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조직문화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 626명의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요양보호사가 인식하고 있는 윤리 경영 수준은 5점 척도 기준에서 평균 3.760, 조직문화 수준은 평균 3.501점으로 나타났는 데 관계문화가 가장 높고 위계문화가 가장 낮게 나왔다. 직무착근도 수준은 평균 3.524 를 보여주었고, 고객지향성 수준은 3.79로 나타났다. 윤리경영이 조직문화, 직무착근도,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고, 조직문화가 직무착근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고객지향성에 도 영향을 미치며, 윤리경영은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으로 윤리경영이 직무착근도에까 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자면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의 특성에 맞는 윤리경영 측 정도구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지역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와 유 사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조직 윤리경영과 조직문화 수립 기여에 기 반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조직문화유형인 Quinn과 McGrath(1985)의 4가지 유형인 관계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 개발문화를 고찰하였다. Quinn과 McGrath(1985)의 4가지 문화유형만 연구한 것은 아쉬운 측면인데 본 연구 역시 마찬가지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고 하겠다. 넷째, 본 연구는 한 번의 설문을 수집하여 횡단적인 연구만 실시되어 변인들 간의 관계가 왜곡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는 한계가 있다.
        6,300원
        2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 영미 시인에게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윤리적 시각’을 히니가 추구하고 있음을 그의 시 전체를 읽어서 증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언급한 ‘윤리적 시각’의 의미는 자신의 부모, 국토 그리고 공동체의 문화라는 그 뿌리와 ‘타자’ 나아가 영혼에 대한 사랑과 책임감인 것이다. 한편 히니의 시적 발전 단계는 겔트, 게일릭 전통을 추구하는 초기 시, 아일랜드와 영국 미국, 유럽적 가치가 공존하는 글로컬리즘을 추구하는 중기 시, 그리고 아일랜드의 정신적 뿌리인 ‘이시누쿠’를 추구하는 후기 시의 세 단계로 구분된다. 그런데 각 시적 발전 단계에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윤리적’이란 말을 적용시킬 수 있다, 초기 시에는 그가 성장한 배경인 민속 문화와 고난의 역사 속에서 생존한 선조와 부모에 대한 작가의 연민과 책임 정신이 표현되었고, 중기 시에는 자신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객관적으로 비판하고 그 공동체를 대변하지 못 했음에 죄의식을 느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차이’를 수용하려는 균형 잡힌 정신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후기 시에서는 화해와 심미 정신을 바탕으로 한 숨겨진 아일랜드의 정신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5,200원
        2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MX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과 요인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다. 초점을 맞춘 요인들은 상사와 부하의 특성들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의 주도적 성격이다. 이러한 연구과제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의 주도적 성격이 LMX에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와 더불어 윤리적 리더십과 주도적 성격의 상호작용효과와 관련하여 가설적 영향관계들로 수립되었다. 설정된 가설관계들은 중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증조사가 실시되었다. 중국은 관계를 중시하는 대표적인 국가로 관계중심의 리더십이 론인 LMX의 검증에 적합하며 서구 국가들과 대조적이라는 점에서 조사결과의 시사점이 더욱 의미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제안된 가설들은 중국 중부에 위치한 N성 공무원 268명을 대상으로 검증이 실시되었다. 실증을 위한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주효과 가설들이 검증되었고 SPSS PROCESS macro의 Hayes 분석을 이용하여 상호작용효과 가설이 검증되었다. 분석 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LMX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하의 주도적 성격 또한 LMX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LMX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부하의 주도적 성격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조절작용은 대립효과로 나타났다. 연구발견이 가지는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으며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논의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들이 지적되었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이 미래 연구를 위해 제시되었다.
        5,800원
        30.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조직환경 속에서 조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리더의 특성과 행동은 조직 연구에서 오랜 관심사였다. 오늘날 조직연구에서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21세기 들어서면서 조직의 규모나 성격을 막론하고 리더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는 리더의 윤리성이 조직의 성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어 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이론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구성원의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공군 장병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가설을 분석한 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리더가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면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시민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는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직무환경에 대해서 깨어있음을 느끼게 하고, 조직구성원들의 마음챙김이 높아지면 조직을 위한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됨을 의미한다. 한편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에서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은 도덕적 강도가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도덕적 강도에 의해서 정(+)적으로 조절됨이 확인되었다. 즉,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도덕적 강도가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이론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보다 중요하게도 그러한 영향력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마음챙김과 도덕적 강도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조직의 관점에서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로 하여 금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5,800원
        3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 및 공공부문의 노동자를 대상으로 조직수준의 윤리적 조직문화가 개인수준의 윤리적 리더십과 선제적 행동(발언행동,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수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수준 의 윤리적 조직문화와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의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매개역할을 규명하였다. 기업 및 공공기관 등 72개 조직의 1,674명의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수준의 윤리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선제적 행동(발언행동, 도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 째, 조직수준의 윤리적 조직문화는 중간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개인수준에서 중간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선제적 행동(발언행동, 도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중간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은 윤리적 조직문화와 구성원들의 선제적 행동과의 관계 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조직수준의 윤리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선제적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중간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6,100원
        3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pcycling is the process of repurposing abandoned resources or useless products into products of better quality or higher environmental value. Upcycling products are evaluated to be sustainable because they demonstrate environmental values. However, domestic upcycling companies are operating on a small scale with a slow growth rat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alue and risk factors of upcycling products from previous literature and clarify the effect of thes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This provides direction regarding factors upcycling companies should focus on.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experiment with women in their 20s and 30s residing in South Korea, nationwid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Analysis of this data suggests that environmental, design, and self-expression value positively affect purchase intention. This extends previous upcycling literature by identifying design and self-expression value as important antecedents of purchase intention. However, in contrast to previous literature, no significant effect of performance or diversity risk was fou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thical attitud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consumers intend to purchase upcycling products when they possess not only environmental value but also design and self-expression value.
        5,500원
        37.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윤리적 리더십은 윤리적 기업경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 생존의 원천으로 부각되 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관계와 이윤창출 행위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결정적 요인이 되고 있다. 기존의 리더십 연구들은 중간 관리자의 개인특성과 가치관을 선행변수로 제시하고 조직성과에 미 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왔으나, 조직의 역할과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주체인 CEO를 대상으로 조직의 사회적 관계와 조직성장에 필수적인 경제적 이윤창출을 포괄하여 분석한 연구는 극히 부족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조직수준에서의 제도화 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을 기반으 로 정당성과 합리성을 선행요인으로 제시하고, 이들 요인이 CEO의 윤리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CEO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CEO의 윤리적 리더십이 정당성 및 합리성과 조직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의 CEO를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와 조직성과 측정을 위한 한국기업데이터(주)의 기업별 당기순이익 자료를 2차로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CEO의 윤리적 리더십 선 행요인 중 정당성은 CEO의 윤리적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합리성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EO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CEO의 윤리적 리더십의 매개역할은 정당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모두 확인되었 으나, 합리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적으로 확인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 대로, 조직수준에서 CEO의 윤리적 리더십이 갖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함께 논 의하였다.
        7,000원
        3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 기 위한 이론적 기제로서 자아정체성이론을 도입하였다. 지금까지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사회학습이론과 사회교환이론에 이론적 기반을 두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자아정체성을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인식하고 관계 및 집단정체성에 기초한 관계동일시와 조직동일시가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의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들의 대인적 일탈행동 및 조직적 일탈행동의 관계는 관계동일시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는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그 동안 윤리적 리더십과 그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음에도 일탈행동과 같은 비윤리적 행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었을 뿐 아니라, 특히 그 과정에서 관계동일시 및 조직동일시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의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에서 연구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함께 연구의 한계,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6,000원
        3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일반 노동자를 대상으로 조직 내 공식적인 윤리프로그램의 실행이 노 동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최고경영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개인-조직가치 적합성의 3차항 상호작용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일반 노동자 357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적인 윤리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구성원들의 높은 지각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윤리프로 그램의 실행과 조직시민행동의 긍정적인 관계는 CEO의 윤리적 리더십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조직시민 행동에 대한 윤리프로그램 실행의 긍정적인 효과는 CEO의 윤리적 리더십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윤리프로그램 실행, CEO의 윤리적 리더십 및 개인-조직가치 적합 성의 3차항 조절효과가 실증되었다. ① 개인-조직가치 적합성이 낮은 집단은 CEO의 윤리적 리더십을 높 게 지각하는 구성원들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조직시민행동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② 개인-조 직가치 적합성이 높은 집단은 CEO의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에 따라서 조직 내 공식적인 윤리프로그램의 실행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CEO의 윤리적 리더 십을 높게 지각하고 조직 내 공식적인 윤리프로그램의 실행이 강화될 때,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구성원들이 CEO의 윤리적 리더십을 낮게 지각할 경우, 공식적인 윤리프로그램의 실행이 강화되어도 조직시민행동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특히, CEO의 윤리적 리더십이 높더라도 조직 내 윤리프로그램의 실행이 낮은 경우,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5,500원
        40.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Consumer ethical behaviors regarding social impact, environmental concern, and ethical practices for the buyer/seller dyad has become a vital issue. A large number of consumers have the willingness to be activists to address potentially threatening environmental problems with foresight (Atkinson & Rosenthal, 2014). Consumers with environment awareness have begun to consider the environmental claims of products, such as environmental protection certification (do Paço & Reis, 2012) and production process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regulations (Yoon & Kim, 2016). All such information effectively spreads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knowledge to help consumers identify the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product (Leonidou, Leonidou, Palihawadana, & Hultman, 2011), and then to conduct consumption behaviors with ethical/moral concerns. However, the related resear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 ethical behaviors and their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in advertising in Asian countries is few. This study’s main purpose is thus to understand how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in advertising influences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brand and their ethical behaviors. Literature Review Mitchell, Balabanis, Schlegelmich, and CornWell (2009) argues that all direct or indirect consumer actions that could make businesses or other stakeholders to lose money or reputation are viewed as consumer unethical behaviors. Consumers’ (un)ethical behaviors would be influenced by their moral principles and standards as they obtain, use, and dispose of goods and services (Muncy & Vitell, 1992). First, according to the equity theory, brand equity will increase the relationship intention between sellers and buyers. Those consumers with a high perception about product value or brand equity would tend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lers, and thus their ethical behaviors would be influenced (Chang & Lu, 2017).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depends on the equity of the profitability of the seller and this study proposes that brand equity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ethical behavior (H1). Second,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refer to the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claims in advertising with various environmental protection information about products (do Paço & Reis, 2012). Chan, Leung, and Wong (2006) state the two types of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Substantial environmental claims focus on the substantial benefits of products for the environment and the positive impacts of enterprises on the environment in order to substantially maintain or enhance consumers’ understanding of products with environmental awareness (Chan, 2000). Associated environmental claims feature advertising that do not have a direct connection with the products or production of enterprises; instead, they reveal an enterprises’ concern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topics through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or topics regarding the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in order to indirectly trigger the consumers’ positive image and reactions to the enterprises or brands (Chan, 2000). Different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would have different extents of impact on consumers’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and the product (Chan et al., 2006). Chan (2000) states that substantial environmental claims are more persuasive than associated claims, as the advertising of the former could directly publicize the specific environmentally-friendly measures in products or production process. The hypotheses are thus submitted: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rand equity (H2.) and the impact power of substantial environmental claims on brand equity is stronger than those of associated environmental claims (H3). Third, eco-labels provide the information of products toward the environment influence during their life cycles (Atkinson & Rosenthal, 2014; Chekima, Wafa, Igau, Chekima, & Sondoh, 2016) and the claims regarding the eco-features, production, and constituents of the products (Atkinson & Rosenthal, 2014). Maniatis (2016) argues that eco-labels could clearly reveal the economic and ecological benefits of products and help consumers make purchase decisions. Specific claims, such as marks, pictures, or signs, could clearly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which make it easy for consumers to understand. Therefore, hypothesis 4 is submitted: environmental advertising with eco-label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equity (H4). Method This study used the 2x2 factor experiment to create four situations through two types of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substantial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and two types of eco-labels (available/unavailable). The manipulation checks with regards to the constructs of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and eco-label were shown to be successful through a pilot test.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elected 14-items of Muncy and Vitell’s (1992) scale to measure consumer ethical behaviors. The measuring items of brand equity were taken by Yoo and Donth’s (2001) three-dimensional scale, containing brand awareness/associations,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Moreover, 294 valid questionnaires were retained in the formal survey via electronic questionnaire survey. Females accounted for 50.7%. Those aged less than 25 occupied a larger proportion (50%), followed by those aged from 26 to 35 (21.8%). The samples with a college education or above accounted for 92.5%. Additionally, the component reliabil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confirmed (Bagozzi & Yi, 1988; Fornell & Larcker, 1981) due to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by Lisrel 8.7. Results and Conclusion Based on the ANOVA results, first,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wareness/association, perceived value, and loyalty. The effects of substantial orientation on brand equity were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at of associated orientation claims. H2 and H3 were fully supported. That is to say, substantial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could reveal enterprise effort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inform consumers that the substantial benefits for the ecosystem are embodied in their products. If enterprises want to disclose information about their social responsibility or to convey the contribution of their products toward environmental protection, direct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related to product features and production processe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eco-labels significantly affected on awareness/association, perceived value, and loyalty; hence, H4 were supported. Eco-labels verified by a third-party public notary office could enhance brand equity. As eco-label information regarding environmental protection enterprises and products want to convey, consumers can comprehend and evaluate such environmental advertising through the mark of eco-labels in triggering their positive attitude and value toward the brand. Third,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interactive effect of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and eco-label on the awareness/association dimension of brand equity was significant.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al advertising with a substantial claim and eco-label than other sets, and then their perceptions toward that brand awareness and brand association could be improved. Forth, each dimension of awareness/association, perceived value, and brand loyal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ethical behaviors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via Lisrel 8.7; H1 therefore were supported. That is, consumers’ perceived enterprise efforts related to protecting the environment would improve consumers’ ethical behaviors. If advertising could fully and effectively convey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information embodied in products, consumers would know that the products are beneficial for society and ecosystems, and thus they would enact ethical activities in the marketplace. Finally, future studies can use random sampling to improve the sample representative. Product type can also be included into the research model in future studies to consider the different product features how to influenc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dvertising claims and eco-labels on the consumers’ attitudes and behavior decision.
        3,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