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2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식성 파리류는 농업경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분류군으로 인식되어 분류, 예찰 및 방제, 생태, 생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식식성 파리류의 습성은 leaf-miners, stem-borers, root tunnellers, fruit borers, cambium miners, seed borers, inhabitants of flowerheads 등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체의 다양한 부위를 공격한다. 대부분의 식식성 파리류는 한 종의 식물을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부는 2종 이상의 식물체와 관련이 있다. 이들은 생태학적 습성으로 인해 비교적 크기가 작고 변이의 폭이 넓어, 분류동정이 어려운 특징이 있다. 따라서, 최근 통합분류학적 접근을 통한 계통학적 연구, 예찰 및 방제를 위한 유인물질의 개발, 잡초 방제를 위한 생태학적 연구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류군별 생물학적 특징과 세계적인 연구동향을 정리하여 소개하며, 추가적으로 연구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2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존 발표된 CLIMEX 매개변수와 RCP 8.5 시나리오에서의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금지급 과실파리 12종의 국내에서의 향후 기후적합도를 산출하고 국내정착가능 여부를 평가하였다. 열대내지 아열대성인 Anastrepha ludens와 A.obliqua, Zeugodacus cucurbitae, Bactrocera latifrons, B.tryoni, Ceratitis capitata, C.rosa는 모두 2010년대에는 제주도 남부지방 또는 해안가 일부가 경계 지역으로써 정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B.correcta와 B.zonata는 2010년대에 제주 산간을 제외한 전역과 남해안 극히 일부 지역이 경계 지역에 포함되며, B.zonata, B.latifrons의 경우 제주에 적절내지 최적 지역이 형성되었다. 중북부, 내륙에서 이들 종의 기후적합성이 부적절한 것은 주로 저온 스트레스에 의한 것으로써 지구 온난화에 의해 기온이 상승하면서 2090년대에는 경계지역 범위가 해안가를 따라 상승하였다. 한편, B.tsuneonis와 Rhagoletis pomonella는 온대성 과실파리로서 주된 스트레스 요인은 습윤 스트레스였다. B.tsuneonis 는 2010년대부터 국내 산간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이들 종의 최적 지역에 포함되었으며 그 범위는 점점 확장되었다. R.pomonella는 국내 대부분 지역이 적절 지역으로 평가되나 2050년, 2090년대에는 제주도 산간을 중심으로 정착 부절절 지역의 면적이 확장되었다. 한편, R.indifferens는 국내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산간 지역이 경계내지 적절 기후로 평가되나 정착가능 면적은 점차로 좁아져 2090년대에는 산간 극히 일부지역만 경계 지역으로 포함되었다.
        2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NA bacoding is a popular DNA diagnostic technique especially for specific and generic level identification during various quarantine activities. BOLD Systems, an internet accessible DNA barcode data portal, currently includes over 12,000 DNA barcodes for the fruit fly family Tephritidae, of which 8,940 barcodes are open to public. These data represent 655 tephritid species, majority of which are pest species. These figures are rapidly increasing as the tephritid barcoding research is in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BOLD has established as the most important DNA barcode source for tephritid identification. It is, therefore,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DNA barcoding analysis. We here discussed the following potential problems and their possible solutions: (1) misidentification of species listed in BOLD; (2) sibling species with identical or near-identical barcodes; (3) NUMT (nuclear mitochondrial DNA) or pseudogene; and (4) introgression by hybridization between closely related species.
        2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금지급 과실파리 침입시 대응조치(박멸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박멸프로그램의 종료는 3세대기간 동안 미포획되는 상황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람볼라과실파리(Bactocera carambolae), 구아바과실파리(B. correcta), 남방고추과실파리(B. latifrons), 작은퀸즐랜드과실파리(B. neohumeralis), 일본귤과실파리(B. tsuneonis) 등 5종에 대한 기존 온도발육자료를 바탕으로 세대기간 추정에 필요한 적산온도 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종의 세대기간 추정에 필요한 발육 영점온도와 적산온도는 칼람볼라과실파리 11.8℃와 384.6 Degree days(DD), 구아바과실파리 11.6℃와 454.5 DD, 남방고추과실파리 10.4℃와 517.5 DD, 작은퀸즐랜드과실파리 9.2℃와 467.8 DD로 추정되었다. 일화성인 일본귤과실파리의 경우는 월동용의 우화모형(발육영점은 11.3℃, 625 DD)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2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nitoring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detection, surveillance and eradication of invasive insect pests. In particular, the availability of useful attractants and effective traps is critical in establishing a new surveillance program for quarantine pests. A powerful, species-specific attractant is desirable when precision early detection is needed. However, such an ideal attractant is not often available when the introduction of a new surveillance program is urgent. In reality, the combination of available monitoring means is adopted, which in turn requires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optimum monitoring strategy with these available means. Various species of fruit flies, belonging to the genus Bactrocera in particular, are serious threat to Korea, and developing systematic monitoring systems is needed against the invasion of the fruit flies. Effective male attractants, such as methyl eugenol and cue lure, and traps are currently available for some species such as B. dorsalis, B. tryoni, and B. carambolae. However, such attractants are yet to be developed for many other fruit fly species. The strong attraction of the striped fruit fly, B. scutellata, being present in large numbers in Korean fields to cue lure can be a potential obstacle in monitoring other species of fruit flies attracted to the same compound. Various attractants based on protein hydrolysates are also useful in monitoring fruit flies since they are attractive to both males and females of fruit flies. However,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se protein-based baits into more species-specific attractants. Monitoring techniques for some important quarantine fruit flies are further discussed.
        2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호박에 피해를 주는 두 과실파리 해충은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depressa)와 호박꽃과실파리(B. scutellata)이다. 두 해충의 미성숙 시기는 기주 그리고 땅 속에 존재하여 대기에 노출된 성충 시기가 방제의 대상이 된다. 이들 과실파리 성충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암컷유살제를 개 발하는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현재 다른 과실파리에 대해서 사용되고 있는 상용 유살제는 이들 호박과실파리류에 대해서 유인력이 낮았다. 본 연구는 단백질 기반에 terpinyl acetate (TA)를 가미하여 유인력을 증가시킨 유살제를 개발하였다. 이 TA-단백질 유살제는 두 종의 호박과실파리 류 모두를 유인하였다. 또한 암수 모두를 유인하지만, 암컷이 수컷에 비해 더 많이(60~70%) 유인되었다. TA-단백질 유살제는 이들 호박과실파 리류의 방제는 물론이고 특이한 유인제가 없는 호박과실파리에 대해서 모니터링 소재로 응용될 수 있다.
        4,000원
        2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Hendel), has potential of serious damage to various vegetables or fruits, especially genus of Citrus, such as mandarin orange and tangerine in Korea, where its larvae do damages. Animal and Plant Quarantin Agency of Korea and Animsl Systematics Laboratory of Kunsans National University have collected the samples of oriental fruit fly in East Asian countries, Vietnam, Philippines, Myanmar, China, Cambodia, India Nepal and Laos. To confirm genetic differences and structure of B. dorsalis population samples collected from those countries, we analyzed 192 individuals from 28 locations over 7 countries using 15 microsatellite loci. In total samples, number of different alleles, number of effective alleles and Shannon's Information Index were 6.421±0.364 (standard error, SE), 3.664±0.137 (SE) and 0.902±0.030 (SE), respectively. Grand means (±SE) of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y over all loci and populations were 0.534 (±0.018) and 0.597 (±0.017), respectively. Among all populations, Fst values ranged from 0.016 to 0.705 with averaging 0.194 (±0.026).
        2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 wing drosophila (SWD), Drosophila suzukii, is classified exotic quarantine pest in Australia and EU, soSWD-free must be supported by evidence of surveys and phytosanitary measures in exported host agricultural commoditiesin Korea. From a quarantine control point of view, SWD is importantly considered as model insect pest for exotic fruitflies (Bactrocera dorsalis) in Korea as well because of similarity in ecological cycles. In evaluations of ethyl formate(EF) only and combined cold treatment to kill eggs and larvae of SWD, the combined EF fumigation applied at LCt50%(50% killed lethal concentration X time) and cold treatement (5℃) for > 5 days showed the promise to new conceptfor eradicating quarantine pest and these could be helpful to pre-develop exotic fruit fly management in Korea.
        3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느타리버섯은 연중재배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재배량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경북지역 느타리버섯 재배사에서 3년에 걸쳐 버섯파리 발생밀도를 조사한 결과 긴수염버섯파리와 버섯벼룩파리가 가장 우점하여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균사배양기간에는 버섯파리 밀도가 모든 농가에서 낮았지만 1주기 수확후에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배양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버섯파리가 관찰되 었다. 이 현상은 연중재배체계의 보편화로 인해 계절적 선택재배와 달리 버섯파리가 재배사에서 안전하게 월동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받았기 때 문이다. 버섯파리의 생태는 버섯재배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계절적 선택재배농가와 연중재배농가의 버섯파리 발생패턴 차이를 통해 휴경이 버섯파리 발생밀도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버섯재배사 내부의 버섯파리 입체발생분포 조사를 통해 긴수염버섯파리보다 버 섯벼룩파리가 빛에 더 민감한 종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2종의 입체적 발생양상은 매우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31.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농업 환경에서 채집된 파리의 분비물에서 E. coli을 분리하고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유전자 및 항생제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였다. 파리는 과일농장(n = 19), 장류생산농장(n = 9), 생활쓰레기 야적장(n = 46), 축사(n = 66), 도축장(n = 38), 퇴비장(n = 10)에서 총 188 마리를 채집하여 토사물과 배설물로부터 E. coli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그 결과, 채집된 파리의 63%(119/188)에서 E. coli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E. coli의 검출률이 89%(34/38)로 가장 높았다. 또한 분리된 E. coli을 대상으로 병원성 유전자 8종(ST, LT, VT1, VT2, aggR, bfpA, eaeA, ipaH)을 조사한 결과, 도축장에서 채집 된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 중 91%(31/34)가 장독소를 생산할 수 있는 ST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분리된 E. coli 의 16%(31/188)가 1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다. 특 히, 항생제사용빈도가 높은 축사에서 채집된 파리의 E. coli 경우에는 59%(23/39)가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다. 분 리된 항생제 내성 E. coli 균주 중 10%(12/119)는 2종 이 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모두 축사 채집 파리에서 분리된 균주였으며, 이 중 2개 균주는 다재내성의 지표인 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ESBL 양성균주 중 1 균주는 7종의 항생제에 내성 을 보였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축산환 경 서식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은 병원성 유전자를 보유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농식품을 생산하는 농장이나 식품공장은 가급적 축산환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거나 방충망 등의 차단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2.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 무역량 증가와 기후변화에 따라 아열대성 해충이 온대지역으로 침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과실파리과는 초파리과와 더불어 두 과실 파리 분류군 가운 데 하나로 약 5,000 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다. Anastrepha, Rhagoletis, Ceratitis 및 Bactrocera 속에 속한 일부 과실파리류가 높 은 침입력으로 여러 온대 지역의 과실과 채소류에 막대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본 종설은 이들 과실파리류들의 침입과 정착을 억제하는 기술이 비교적 잘 개발되어 적용된 Bactrocera 속에 속한 해충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 과실파리류에 대해 많은 방제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효율 적인 종합해충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아직 널리 정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종설은 과실파리를 방제하는 여러 기술을 설명하고, 이 가운데 아열 대 군도에서 실시된 종합해충관리의 성공사례를 소개한다. 아울러 국내에 큰 피해를 주는 주요 과실파리의 발생생태와 방제기술도 정리하였다.
        5,100원
        3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hroom flies are one of the most serious threats to mushroom production and cultivation in Korea, and they cause significant losses in yield and qual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and control of mushroom flies in farms where Agaricus bisporus was cultivated in Chungnam. The cultivation period was more than 7 years in the 32 mushroom farms examined; about 28% were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farms, and 72% were conventional cultivation farms. Mushroom flies were a major pest in about 84% of the examined farms. Most of the mushroom flies were sciarids and phorids (71% and 24%, respectively). The adult fl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but their occurrence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d. In general, the occurrence of mushroom flies in the examined farms was high; however, insect nets and post-crop steaming programs used as basic control methods were not implemented properly. Our findings show that integrated pest management of mushroom flies is urgently required for A. bisporus cultivation in Korea.
        4,000원
        34.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ushroom flies are the most serious insect pest problems affecting the cultiva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 and among them sciarid flies are the most common. This study was set out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mushroom flies at the mushroom farming areas in Chungnam. The occurrence of mushroom flies were highest in September as temperature increases causing yield loss of up to 27%. Adult flies invade mushroom farms and oviposit in freshly spawned compost. They spoil the appearance of the fruiting bodies, spread various fungal and bacterial disease, and transmit mites etc. Damage is mainly caused by the larvae, which feed on growing mycelium and developing stipes and caps of mushrooms. Out of 32 examined farms most of cultivation years were more than 7 years and environmental friendly cultivating farms were about 28% and conventional cultivating farms were 72%. About 84% of the examined farms selected mushroom flies as a major pests. It was found that sciarid were 71%, phorid were 24% as main mushroom flies. The occurrence density of mushroom flies were highest in September as temperature increases. The occurrence of mushroom flies at the examined farms were serious in general. However insect nets and the hygiene program as basic control were not effective. These results offer good potential for control and could implement for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35.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anitary of indoor environment in greenhouses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bacteria associated with larvae and imagoes of Sciaridae flies, pest to shiitake mushroom,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 total of 1,048 bacterial colonies were isolated from the flies’ larvae and 984 bacterial colonies were isolated from the flies’ imagoes. Based on molecular analysis of the 16S rDNA sequence, Achromobacter xylosoxidans and Tetrathiobacter kashmirensis of β-proteobacteria, Enterobacter asburiae and Raoultella ornithinolytica of γ -proteobacteria, Curtobacterium sp. and Microbacterium thalassium of Actinobacteria, and Penibacillus taichungensis of Firmicutes were identified from the colonies of the flies’ larvae. While, Bacillus megaterium, B. thuringiensis, Lysinbacillus sphaericus and L. fusifomis of Firmicutes, Microbacterium thalassium and Citricoccus parietis of Actinobacteria, and Enterobacter asburiae of γ-proteobacteria were identified from the flies’ imagoes. Some of the isolated bacterial species were known be human pathogen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mushroom fly carrying human pathogenic bacteria is one of sources impact on the sanitary of indoor environment of greenhouses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3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indoor environment in greenhouses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bacteria associated with larvae and imagoes of Sciaridae flies, a pest to shiitake mushroom,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 total of 1,048 bacterial colonies were isolated from the flies’ larvae and 984 bacterial colonies were isolated from the flies’ imagoes. Based on the molecular analysis of the 16S rDNA sequence, Achromobacter xylosoxidans and Tetrathiobacter kashmirensis of betaproteobacteria, Enterobacter asburiae and Raoultella ornithinolytica of gammaproteobacteria, Curtobacterium sp. and Microbacterium thalassium of Actinobacteria, and Penibacillus taichungensis of Firmicutes were identified from the colonies of the flies’ larvae. On the other hand, Bacillus megaterium, B. thuringiensis, Lysinbacillus sphaericus and L. fusifomis of Firmicutes, Microbacterium thalassium and Citricoccus parietis of Actinobacteria, and Enterobacter asburiae of gammaproteobacteria were identified from the flies’ imagoes. Some of the isolated bacterial species were known to be human pathogen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mushroom fly carrying human pathogenic bacteria is one of factors affecting the sanitary of indoor environment of greenhouses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4,000원
        3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nter phenology (diapause and activity) of insects is expected to change more greatly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easons, because the temperature in winter increased higher than those in other seasons in the temperate regions. However, studies on changes of insect winter phenology due to climate warming are rare. It is expected that winter flights of flies (Diptera) will increase as climate warms. This study is aimed to predict the increase of fly winter flight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e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ight and temperature. The survey on flies and weather (temperature and rainfall) was carried out in the Hongneung arboretum in Seoul. Flies were collected weekly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using sweeping and Malaise trap. In the survey, 106 flies belonging to 28 morpho-species and 17 families were collected. Richness and abundance of fl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The increase of fly winter flight (richness and abundance) was projected according to temperature rise using the regression models for relationships between the fly flights and temperature.
        3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송이버섯 재배지에서 LED 광원의 파장에 따른 큰검 점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의 유인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용인과 부여의 양송이 재배지에서 수행되었으며, LED 광원은 백색광, 녹색광, 적색광, 청색광, 황색광을 이 용하였다. LED 광원 파장별 버섯파리 유인수는 용인과 부여에서 백색광 132.9마리, 3,272.5마리, 녹색광 120.3마 리, 3,109.5마리, 적색광 105.5마리, 1,910.1마리, 청색광 88.3마리, 2,708.3마리, 황색광 46.7마리, 2,465.6마리였다. LED 광원들은 무처리와 비교하여 2.7~3.5배 더 많은 큰 검정버섯파리가 유인되었다.
        3,000원
        39.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미얀마 예진 지역의 과수원에서 methyl eugenol trap을 이용하여 과수원 해충인 과실파리에 대한 발생빈도와 피해정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망고, 구아바, 대추나무를 대상으로 과실파리의 발생 정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강수량, 온도, 습도, 일조시간 등 발생과 기후적요인과의 상호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귀분석에서 강수, 최저온도 그리고 상대습도는 과실파리의 발생에 긍정적인 영 향을 주었고 반면에 일조량은 발생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Bactrocera arecae, B. carambolae, B. correcta, B. dorsalis, B. kandiensis, B. latilineola, B. malaysiensis, B. neocognata, B. raiensis, B. verbascifoliae와 Carpomya vesuvina 등, 모두 11종의 과실파리가 조사되 었고, 그 중 B. correcta와 B. dorsalis가 29.3%와 28.6%로 많은 개체수를 나타내었다. 구아바가 가장 피해가 심했고(59±15.4), 다음은 망고였으 며(35.5±12.1), 반면에 대추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18.5±7.9).
        4,000원
        4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the flies are used to pollinate onion for seed production in Korea. However, the use of flies for pollination has caused complaints by local residents in onion seed production owing to sanitation issues and smell. Therefore, we studied the effects of pollination with bumblebee (Bombus terrestris) and flies(e.g., houseflies, flesh flies, blue bottle flies and blowflies) at small net(1.8m×2.3m×1.8m) in the greenhouse(66m2) for onion seed production. Although the number of flies was about 70 times than number of bumblebee workers, flies and bumblebees showed equivalent pollination efficiency. Therefore, pollination by B. terrestri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in seed production of onion. An analysis of the most appropriate colony of B. terrestris for seed production of onion in small net showed that colony composed of fifty to eighty workers per small net was the most efficient level. When early maturing onion cultivars ‘Salad-5’ and ‘Yeonsinwhang’, and mid-late maturing onion cultivar ‘Colossus’ were pollinated by B. terrestris and files in small net, B. terrestris showed rather efficient pollination efficiency than flies or was equivalent to flies. In addition, difference among onion cultivars was affecting pollination effect by flies but was not affecting pollination effect by B.terrestri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