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22.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trategic direction in revitalizing tourist destinations using the concept of “functional adaptation” and applying it to the Yedang National Tourism Resort located in Yesan-gun in Chungcheungnam-do, which is losing its functionality as a tourist attraction. The term “functional adaptation” as used in this study refers to applying an intervention to natural change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functions, adapting them to changing tourism marketing paradigms. First, problems and potential functions were derived from relevant literature, on-sit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siders from the target resort. Indicators of revitalizing tourist destinations were then preselected from the reviewed literature data, and the final function-adaptive activ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after subjecting the preselected preliminary indicators to reliability testing through a Likert-scale questionnaire survey with experts. Finall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employed for an importance-analysis of individual elements of the developed indicators. The analyses revealed the tourism resort’s “storytelling development” as having the highest importance, followed by “transport connectivity”, and “amusement/leisure programs offered”. The function-adaptive activ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applied to the Yedang National Tourism Resort for the importance-analysis of its functions, but the generalizability in applying the proposed indicators to other tourist site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n input for setting up strategies for tourist site revitalization in future in-depth research.
        4,300원
        2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세계유산은 1972년 채택된 세계유산협약에 준하여 세계유 산위원회가 세계의 모든 인류가 주권·소유권·세대를 초월하여 공동으로 보존·관리해야 할 OUV(Outstanding Universal Vaule)가 인정된 유산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시킨 유산을 말한다(1972,WHC).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관광사업의 확대로 인한 직․간접적인 경제적 효과 는 국력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나아가 자국의 세계 유산 등재건수가 많고 적음이 그 나라의 문화수준에 대한 평가지표로 까지 여겨지게 되었다. 세계유산협약은 당초에 는‘문화유산’과‘자연유산’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출발 하였으나 시대의 변화와 세계유산의 다양 성을 반영한 복합유산과 문화경관의 범주도 세계유산의 범 주에 포함되었다. 2003년 ICOMOS 제14차 총회에서 문화 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별로 심사기준을 달리하였으나 이 를 세계유산 기준으로 통합하면서 종전의 문화유산개념이 유형의 물질적 사물에 치중하던 것을 지양하고 무형의 비물 질적, 정신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추세에 있다. 오늘날 세계유산의 중요성은 자연유산의 불가역성 (Irreversibility)과 문화유산의 비대체성(irreplacability)이 라는 인류유산에 대한 절대가치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글로벌 보전시스템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세계유산 등재에 대한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유산의 활용적 측 면이 주는 가시적 효과에 각국의 관심이 집중되다 보니 각 국이 유산등재에만 치중하여 해당유산의 보호․관리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세계유산등재 여부는 OUV에 근거한 등재기준에 의해 그 가치가 인정되어 각국 은 등재기준에 부합한 가치발굴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세 계유산 제도의 근본취지는 민족과 국가를 초월하여 고갈되 어 가는 전 세계의 유산을 효율적으로 보호 관리하는데 있 다. 각국의 자연․문화유산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자국 내 상황에 맞춘 관리규범에 의해 보호 관리되어 왔기 때문에 그 유산의 본질적 가치가 아무리 뛰어나다 하더라도 그동안 의 각국의 국가법상 보호관리 규범의 개념이나 내용에 따라 OUV와 등재기준의 만족여부가 판가름 된다고 하겠다. 그 러나 세계적으로 산재한 유산들은 자국 내 사회 경제적 상 황이나 관련 부처의 정책 목적에 따라 그 유형과 규범들을 적용하여 시행해 왔기 때문에 이를 통합적인 세계유산 등재 기준에 부합시키기에는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각 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세계 유산의 보호 관리에 대해 우선적으로 그 나라가 처한 환경 에 대한 상호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세계유산 등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단계로 세계유산 등재의 관점에서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을 고찰함으로서 세계유산 등재기준에 맞 추기 위한 국내 보호지역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유산은 현재 1,031 건에 달하고 동북아에서 한국은 문화유산 11건, 자연유산 1건이 등재되어 있다. 이는 인접국가인 중국과 일본에 비해 서도 저조한 등재건수이다, 특히 자연유산은 제주도 화산섬 과 용암동굴로 한곳만 등재되어 있어 무엇보다 세계자연유 산 등재활성화가 요구된다. 세계자연유산의 등재기준은 ⅶ~ⅹ항목이 적용되고 이는 보호지역의 IUCN 카테고리와 도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보호지역은 세계 각국이 생물다양성, 자연자원, 문화자원 등의 보전과 생태계서비스, 생태적·문화적 가치 증진을 위 해 보호지역을 지정·관리하고 있다(김보현,2012). 현재 국 내 보호지역은 부처마다 보호관리 목적에 따라 그 명칭과 체계를 달리하고 있다. 국내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한 보호 구역의 유형중 문화재청은 기념물의 범주 중에 명승과 천연 기념물을 자연문화재로 부르고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관계법령에 의해 관리중인 보호지역에 해당하는 유형은 총 5개 정부기관에 10개 법령에 적용되고 있다. 먼저, 환경부 의 관계법령은 자연공원법(자연공원), 야생동물 보호 및 관 리에 관한 법률(야생동물보호구역),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 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특정도서), 자연환경보전법(생태· 경관보전지역), 습지보전법(습지보전지역)이 관련된다. 국 토해양부는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백두대 간보호지역), 해양환경관리법(환경관리해역)이 해당되고 문화재청은 문화재보호법에 의거하여 천연기념물과 명승 으로 관리된다. 산림청은 산림보호법에 의해 그 유형이 구 분된다. 이러한 행정목적에 따른 각각의 보호지역 개념은 모두 자연환경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서로 차별성만을 추구 하면서도 보호관리 대상의 본질적 가치는 모호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어 국립공원과 명승과 같이 상당수의 지정대상이 동일한 자원을 중복지정·관리하는 현상을 낳기도 한다. 또 한 부처별로 책임소지에 따라 보호관리 정책을 시행하는데 소관부처에 따라 각기 별개로 사업을 벌이는 등 비효율성을 양산하거나 업무 중복사이에 아무도 관심 갖지 않는 보호대 상이 발생하는 큰 허점을 남기기도 한다. 또 국내 자연유산 의 다양한 유형은 국제규범에 있어서도 각기 달리 등재·관 리되고 있으며 자국의 유산을 놓고도 자원의 본질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통합적 상호협력체계가 구조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선진국의 세계유산 등재사례에 있어 등재 이전에 자국의 규범에 의해 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자원이 세계유산 등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향과 자원의 다양 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때, 국내 보호지역에 대한 통합적 가 치발굴과 보호 관리의 필요성은 더욱 설득력을 갖는다. 세 계유산 중 세계자연유산은 자연의 특징과 지형·지문학적 생 성물, 자연지역으로 구분된다. 등재심사는 세계자연보전연 맹(IUCN)에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자원유형을 반복하여 지정하지 않는다. 세계유산의 특징은 엄격한 보호 지역으로 국제적 인지도가 가장 높은 보호지역이다. 유산보 전을 위한 세계유산 관리자 훈련과정 등 세계유산 기금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으며 관광수입의 증대효과가 크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세계자연유산 등재활성화 모색을 위한 가치발굴과 효율적 보호관리 시스템을 정착시키기 위 해서는 국내 부처 간 규범 하에 관리되고 있는 보호지역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이는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보호지역 위상강화와도 관련되어 진다. 자연환경에 대한 정책은 최초의 자연보호운동에서 진화 하여 각 부처의 보호목적에 부합하도록 발전되어 왔다. 현 재 문화재청의 천연기념물은 진귀성, 문화성, 역사성, 자연 사자료로서의 가치를 중요시하고 있고 환경부의 지정대상 은 문화성과 자연사의 범주가 제외되었으며 문화재청은 멸 종위기 여부와 관련성이 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치 기준의 차이점 때문에 해양, 지하, 지표 및 지상의 모든 생물 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 것을 포함한 자연의 상 태를 의미하는 ‘자연환경’과 ‘자연유산’의 개념차이가 생긴 것이다. 이는 대상의 본질적 가치를 판가름하는 원형개념과 도 관련되는데 같은 보호구역이라 하더라도 그 보호대상의 원형개념에 대한 적용이 시원성, 통시성, 시대성에 의해 본 질적 가치판단 기준이 달라진다. 이에 대한 개념의 정립과 정책적 적용이 우선해야 한다. 자연유산은 사전적 의미로 조상이 물려준 모든 자연물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는 엄격한 기준으로 선정된 특별한 자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유창민 등,2004). 자연유산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생물학적, 지질학적 및 지문 학적 생성물로서 과학상·보존상·미관상 가치를 갖는 자연 현상이며, 인류의 공동체로서 희귀성과 역사성 및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이고 세계인류가 공유하는 문화적 자산이다(김 윤식,2003). 이를 인류가 지속가능하게 유지해야 할 보호지 역의 범주로 보고 이들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할 필요가 있 다. 또 세계유산의 관점에서 유사한 등재기준에 해당하는 보호구역은 부처에 관련 없이 상호 통합적 협력체제를 구축 해야 한다. 보호지역에 관한 현행 국내규범은 동일한 자원에서도 각 기 다른 보호목적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세계유산 과 같은 국제보호지역 등재에 있어서 각기 다른 구조에 따 르다보니 정책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 다. 그 사례로 문화재청은 문화재보호법(제19조)에 세계유 산협약에 의한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는 정책을 펴고 있 다. 현행 우리나라의 세계유산제도는 문화재청이 신청경로 를 일원화하는 대신에 그 관리책임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가 부담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부가 추진하는 생물권보전지 역은 지방자치단체가 신청하고 환경부와 MAB한국위원회 가 이를 지원하는 루트를 갖기 때문에 중앙행정기관이 신청 경로를 일원화하기가 실제로 어렵다(문화재청,2015)는 차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문화유산위주의 정책을 시행해 온 문화재청의 입장에서 자연관련 전문부처의 협력이 요구되 는 것도 사실이다. 이를 위해서는 범정부 차원에서 국내 보 호지역간의 통합자문기구 설치가 요구된다. 세계자연유산 의 범주와 환경부의 생물권보전지역이나 람사르습지, 세계 지질공원들이 상호 이질적인 자연자원이라 할 수 없으며 모두가 소중하게 보호·관리되어야 할 자연유산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호보완적 정책협력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보현(2012), 한국 보호지역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립대 박사학위논문 문화재청(2011), 자연유산법 제정연구 문화재청(2015), 선진국 문화재 보존·관리 규범현황 및 내 용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수원(2010)식물문화재 보존관 리교육 교재
        2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셜벤처는 창의성과 혁신성을 가지고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을 기반으로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취약계층 대상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진취적인 사회적기업 모델로서 사회적기업의 발전을 위한 그 원동력으로 작용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창의적 비즈니스 아이디어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소셜벤처와 같이 사회적기업에 대한 청년들 의 관심이 증가되고 소셜벤처와 관련되어 일자리가 확산되는 등 혁신적인 모델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사 회적 역할과 기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공공기관들에서도 이 같은 추세에 따라 각종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혁 신적인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가진 소셜벤처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통하여 혁신적인 사회적기업 모델로진화하여 보다 진보된 사회서비스의 제공과 청년실업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소셜벤처의 지원정책에 대 한 분석을 통해 소셜벤처의 특수성에 적합한 실천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소셜벤처 지원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소셜벤처의 특수성에 적합한 소 셜벤처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인 방향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5,100원
        2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분석을 위하여 산림참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또 한 선행 연구에서 자료가 미비한 일반국민의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참여 산림경영의 문제점으로 개인, 기업, 그리고 시민단체는 대부분 정부의 다양한 정보제 공과 권유의 부족, 제도의 불안정을 지적하였으며, 정부는 일반국민들의 무관심과 복잡한 법률체계 등 을 지적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는 일반국민 총 1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2주간 2차례 실시하였고, 설문 문항은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 참여 의향, 참여 형태, 참여단계, 일반국민·기업·시민단체 의 국유림 경영사업 참여시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 총 16문항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러 이해당 사자의 국유림 경영 참여시 문제점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무관심(29.5%)’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기업의 경우는‘자사 이기주의(31.5%)’, 시민단체의 경우는‘전문성 결여(32.9%)’가 높은 응답 률을 나타냈으며, 여러 이해당사자의 효율적인 국유림 경영 참여 방안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대 국민 국유림 경영 관련 정보 제공(30.0%)’이, 기업의 경우‘협력시스템 구축(26.0%)’이, 시민단체의 경 우‘시민단체의 전문자문/세미나 활성화(32.9%)’가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4,500원
        2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해양플랜트에 필요한 인력, 화물 등을 지원, 보급, 운송하는 지원사업의 의의와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고, 현행법과 관련된 문제점을 식별하여 해운법에서 정하는 해상운송사업에 대한 개정을 통한 법의 공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발전에 필요한 사항을 입법론적으로 제안하였다. 왜냐하면 해양플랜트 지원사업은 기존의 해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내 외해상화물 및 여객운송사업의 범위에 완벽하게 포함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해양플랜트 지원선박을 이용하여 해양플랜트에 인력, 화물 등을 지원, 보급, 운송하는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법역(法域)의 범위내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양플랜트 지원사업의 정의와 함께 해운법상의 개별 조항에 대한 명시적인 개정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논문은 향후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전체의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법제도적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진행하는데 선행되는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矯正行政은 여러 분야에 걸쳐 눈부신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야가 있다. 그것은 矯正醫療의 핵심축을 담당하고 있는 의사인력 需給에 관한 부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의료 전반에 관한 의무관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근거로 직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과 더불어 의사채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전국의 4곳의 지방청 35개 기관에 근무하는 57명의 의무관이 설문에 참여해 주었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위주로 차이분석(T-test), 상관분석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sion 13. 을 활용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직무만족도는 5점척도 2.98점으로 비교적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응답자의 50.9%가 진료환경이 열악하다고 답했고, 조직문화는 주요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 는 직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은 '직무에 대한 의미와 가치인식' 와 '수용자에 대한 공감노력 정도‘ 가 직무 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의사인력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채용대상의 인력 풀(Pool)과 고용의 형태를 기관의 사정에 맞게 다양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근무환경이 기관별 맞춤으로 개선되어야 하고, 직원과 수용자간에는 공감, 직원 상호간에는 신뢰와 포용을 기반으로 하는 개방적 공동체 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교정의료의 의미와 가치를 서로 공유 할 수 있는 소통의 場마련은 자긍심 고취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 노력은 현직 의무관들로 하여금 선후배 동료의사들에게 교정의료를 자발적으로 홍보하도록 이끌어 주는 동기부여가 되어 줄 것이다.
        7,000원
        2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산촌생태마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여건변화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남지역의 산촌생태마을은 1996년 곡성 원달마을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24개 마을이 조성되 었다. 2011년부터는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은 어촌종합개발사업,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과 함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 업으로 통합되어 추진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10년까지 조성된 전남지역의 24개 마을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현지조사를 통해서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산촌마을의 문제점으로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산촌에서의 농업의 활력이나 마을기능이 저하되었고 이로 인해 노동력 부족으로 산촌경작지나 자연환경에 대한 경관창출 및 환경정비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중심의 생활환경개선과 생산기반조성사업에 집중적으 로 투자됨으로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중심 계획이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시설에 대한 인력부족이나 전문성 미비로 유지관리나 운영관리 이용이 저조하거나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중심의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주변 지역자원과의 연계성 미비로 숙박과 체험시설 위주의 단순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생산이나 생활, 전통문화에 대한 프로그램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문제점을 토대로 산촌생태마을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산촌다움의 유지 및 복원을 위한 산촌경관 재생이다. 둘째, 산촌의 지역성을 창조하는 생활과 생산문화 재생이다. 셋째, 지역기반형 운영 프로그램 개발이다. 넷째, 건강지향형 지역특화산업과 융·복합이다. 다섯째, 지역자원과 연계한 그린투어리즘 전개이다. 여섯째 수요 중심의 홍보마케팅 강화이다.
        4,000원
        3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화훼 유통은 재래시장 중심의 위탁판매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유통방식은 불공정 거래가될 수 있으며 수집 분산기능이 약하여 대량 수급조절이어렵다. 또한 품질 등급화의 미흡으로 인하여 고품질 화훼생산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정부에서 공영도매시장을 건립하였으나 아직까지 그 기능과 역할이 완전하게 정착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공영도매시장 기능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영도매시장 중도매인, 유사도매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국내 화훼시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화훼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규모화, 시설화, 현대화를 기반으로 한 공영도매시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화류의 품질개선을 위해 명확한 등급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는 다양한 절화를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 저가의 수입 절화의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실정이다. 이러한 저가 수입산 절화의 유입에 따른 국내화훼시장의 혼탁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수입산 절화가 경매과정을 거쳐서 공정하게 거래되도록 해야 하며수입산 절화와 국산 절화의 차별화를 위하여 품질에 따른 가격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개선을 통하여 공영시장을 통한 절화의 유통이 확대되고, 투명한거래와 생산자의 권익보호, 품질 신뢰성 향상 및 수급안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신문의 내용적 문제점과 원인을 탐색하여 이를 개선할 수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1차적으로 국내에서 발간되는 어린이신문에 대 한 내용적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지면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고 , 그 원인 과 해법을 탐색하기 위해 초점집단 (초등학생과 학부모, 교사, 언론인, 전문가)을 대상 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내용분석 결과에 따르면, 일반 신문과는 차별되게 이 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사용한 형태의 기사와 중립·긍정적인 기사가 가장 많았다 . 어린 이신문의 기사 비중은 42%로 정보·학습적 내용과 광고가 더 높은 비중을 보였다 . 정 보·학습 콘텐츠는 영어·한자 학습에 편중되었으며 , 자체 제작보다는 학습콘텐츠 제작업 체와 이들의 출판물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광고는 도서광고가 주류를 이루었 다. 심층인터뷰의 분석결과 , 어린이신문은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 증대, 글쓰기 능력과 사고력·판단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하지만 어린이신문이 신문보다는 ‘학습지’에 가깝다고 평가되었다 . 따라서 기사의 비중 확대와 학습·정보 내 용과 광고의 축소, 초등학생의 학년별 수준에 맞춘 기사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아울러, 어린이신문의 활성화와 가정·학교에서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린이신문 의 보급에 대한 재정 지원, 읽기 문화 진흥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6,600원
        32.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과학관은 관람객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슨트 제도'를 점차 확대하고 있으나 그 교육 및 관리체제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과학관 도슨트 46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이수한 양성교육, 현재의 활동 조건 및 보충 연수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여 도슨트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설문지, 2명의 경력 도슨트와의 인터뷰, 과학관 및 도슨트 양성 관련 문서를 수집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인적사항, 도슨트에 대한 인식, 양성교육, 도슨트 활동, 보충 연수교육, 만족도를 조사하는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첫째, 과학관 관계자들의 도슨트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면서 일반 자원봉사자와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모집.양성되어 과학관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적인 측면에서 참관과 실습 위주의 도슨트 양성 및 보충 연수교육이 개발되어 강의를 통한 형식학습과 상황학습의 비형식학습이 균형을 이루면서 도슨트의 전문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운영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인 평가제도를 도입한 도슨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결국, 이러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는 과학관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과학관교육의 입장에서 관람객에 대한 질 좋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과학대중화를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다.
        4,900원
        33.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광산업은 단일산업으로는 세계 최대의 산업이며, 동시에 높은 고용효과를 가져오는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해양레저스포츠, 크루즈관광 등 해양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3천여 개의 도서와 약 12,000 km의 해안선, 드넓은 갯벌, 수려한 해양경관 등 천혜의 해양관광자원을 갖추고 있으며, 주 5일 근무제 정착, 교통수단의 발달로 해양관광에 대한 국민의 정책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해양관광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정책적 제도적 기반이 미흡하고, 관광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해양관광산업의 현황과 제약요인을 고찰하고, 현행 국내 해양관광 관련 법제도의 한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해양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4,000원
        35.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상파 DMB방송 광고가 활성화되기 위한 가장 큰 선결 과제는 지상파 DMB 방 송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 잡기 위한 가치사슬상의 생태계가 제대로 작동하게 하 는 정책이 필요하다. 즉, ‘사업자의 경영 상황 개선 → 콘텐츠․네트워크에 대한 투 자 확대 → 이용자 인식 제고 → 사업자 수익 개선’의 선순환 고리가 이어질 수 있는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 이에 지상파 DMB 방송 서비스 도입 6년차를 맞이하 여 지상파 DMB방송과 광고 현황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침체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제도적, 정책적 방안이 무엇인 지를 찾아 지상파 DMB방송 광고 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다매체 시대 지상파 DMB 방송이 새로운 방송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활성화 시키 는 데 있어 정책적 방안과 광고 운영전략 방안을 동시에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 기한다. 이를 위해 지상파 DMB 방송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광고 현황을 탐색한 후 지상파 DMB방송 광고의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가장 효과적인 지상파 DMB 방송 광고의 전략적 운영 안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인터뷰 조사 결과, 첫째, 지상파 DMB광고의 자체 편성을 높여야 하며, 이를 통해 중간광고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현실적인 지상파 DMB방 송의 중간광고 시행이 필요하다. 셋째, 지상파 DMB 광고의 주시청자의 미디어 이 용 행태에 대한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DMB 2.0으로의 진 화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8,600원
        36.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 관광시장은 국제적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시장수요가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해양레저스포츠, 크루즈관광 등 해양관광산 업은 향후에도 지속적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3천여 개의 도서와 약 12,000㎞의 해안선, 다양한 해양자원 등 해양관광 활성화에 적합 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주 5일 근무제 정착, 교통수단의 발달로 해양에 대한 공간적, 시간적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해양관광자원을 보다 더 잘 활용하고자 하는 정책적 수요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해양관광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와 활용, 해양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 책 추진에 관한 제도적 기반이 미흡하여, 해양관광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해양관광활동 현황과 제약요인을 분석하고, 해양관광의 사업여건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행 국내 해양관광 관련 법제도의 한계를 분석해 보고, 해양관광 활성 화를 위한 향후 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4,000원
        37.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SHBA(Korea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ybrid Business Association). KOSHBA is composed of over 400 regional groups; over 6,000 enterprises are participating in the association. To become a dynamic and vital association, it is necessary to share, learn, and discuss their managerial problems based on mutual trust and respect at the regular monthly meeting.
        4,200원
        39.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Liver cancer is common cancer generating 11.3% incidence in Korea. But Oriental medical doctor (OMD) often can't measure therapy on liver cancer positively because that the prognosis on it is not good. It is impossible the results on all of diseases not only liver cancer always to have to be good. Methods : It is studied the literature referencing liver cancer, experimental articles to insist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ine planet to liver cancer and the clinical cases on liver cancer to be treated as Oriental medicine therapy to have effects. Results : it is required to find out the causes of diseases and therapy method to conquest the diseases for the medical therapy. But because the results on medical therapy are not always good, it is necessary for the doctor who want to treat the diseases like liver cancer having the prognosis to be death to protect himself, like as the legal system, a medical policy. And consequently, this protecting legal system lead the medical therapy principle or method on some special diseases to therapy completion on it. As a results of policy, medical therapy have to be developed.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other development in oriental medical therapy. This development can be grouped as two type. One type is clinical part and the other is experimental research part. Specially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clinical research on live cancer in oriental medical therapy have been developed. So the present day is the time to make medical policy on liver cancer for OMD to measure oriental medical therapy and develop oriental medical theory. Conclusions : As a above results, we propose that the name of liver cancer have to use in Korean medicine security clinical name (한방의료보험상병명) to make oriental medical policy.
        4,600원
        40.
        2009.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영상 UCC의 확산으로 인하여 ‘참여’와 ‘공유’의 문화생산 방식이 네티즌을 네트워크 사회의 주체로 부각시키면서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동영상 UCC의 확산의 배경이 된 웹2.0 패러다임과 동영상 UCC의 현황(배경, 유형, 이용현황), 동영상 UCC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 참여 매체로서의 동영상 UCC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결과 UCC 확산의 사회문화적 영향은 첫째, 개방과 공유를 통한 참여 중심의 프로슈머 사회 실현에 기여, 둘째, UCC의 미디어적 영향력 증가, 셋째, 계층 간의 디지털 정보격차 강화로 요약된다. UCC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저작권, 초상권 등에 관한 문제,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확장자로의 역할 수행, 수익모델 및 보상 구조 모색, UCC의 배포 및 확산 관련 기술적, 제도적 문제 등이 선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UCC의 활성화는 산업논리에 따라 시장에만 맡겨서는 안되며, UCC 문화는 공익적 영역에서도 활성화되어야 한다.
        6,6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