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부는 양질의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한 대중 식품으로 소비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두부는 변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식품에 해당되지만, 두부제조업체는 82.4%가 종업원 5인 이하 소규모로 체계적인 식품안전관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위해요소 중점관리제도)는 식품안전성과 비용절감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체계적, 지속적인 공정관리 방법이다. 본 연구는 두부제조업체의 실정에 맞는 HACCP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성과를 확인함으로써 두부 HACCP 시스템의 일반적 모델을 확정하고 다른 중소업체 및 대기업으로 이를 확산시키려고 시행하였다. 규모별 4개 두부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판 두부와 포장 판 두부의 HACCP 계획을 Codex의 HACCP 적용 지침에 따라 현장 실무자와 협력하여 수립하였다. HACCP팀 편성, HACCP 범위 및 목적의 설정, 제품 기술 및 사용자 의도의 결정, 공정도 작성 및 현장 검증, 위해 분석 및 예방책식별, CCP(중요관리점)의 식별, CL(관리한계기준) 설정, CCP 모니터링 시스템 수립, 개선조치 설정, 검증절차 수립, 기록 및 문서화의 순서로 HACCP 계획을 작성하였다. 공정 중 CCP는 선별 공정, 냉각 공정, 열처리 공정(판 두부는 제외)으로 결정하였고, 각각의 HACCP 계획에 따라 관리하였다. 제정된 HACCP시스템을 3개월간 시행한 후 그 성과를 HACCP 적용 이전과 이후의 미생물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검사결과 HACCP 적용 이전의 판 두부 플라스틱 상자, 포장재, 완제품의 일반 세균수가 HACCP 적용 이후에 크게 감소되었다.(P<0.1) 두부제조업체의 실정에 맞는 HACCP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위생관리 및 식품안정성 확보에 큰 성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4,000원
        23.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character notes and to define the terminology for the evaluation of soybean curd using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Panelis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with ranking on basic tastes, flavor and texture properties related to soybean curd. After being trained, they identified the following attributes and defined the terminology: appearance(smoothness of the surface, amount of cracks, yellowness, grayness), flavor(sweet, salt and bitter tastes, cooked bean, raw bean, wet wheat flour, roasted bean, astringency), and textural properties(hardness, elasticity, inner moistness, coarseness, adhesiveness, and residuals). Reference samples for flavor attributes were also determined. Four types of commercial soybean curd were evaluated with the technique developed. Among soybean curd samp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all sensory attributes, confirming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methodology.
        4,000원
        27.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biji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Biji inhibited the generation of NO and PGE2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In addition, biji attenuated the expression of TNF-α and IL-1β induced by LPS. Biji blocked LPS-mediated IκB-α degradation and subsequently inhibited p65 nucleus accumulation in RAW264.7 cells, which indicates that biji inhibits NF-κB signaling. In addition, biji suppressed p38 phosphorylation induced by LPS. Our results suggests that biji may exert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blocking the generation of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PGE2, iNOS, COX-2, TNF-α and IL-1β via the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NF-κB and p38. From these findings, biji has potential to be a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on or therapeutic agents for inflammatory diseases.
        28.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rassis crispa was cultivated using soybean curd whey,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those of eight microorganisms that were foodborne pathogens or food-poisoning bacteria. The culture broth of soybean curd whey was superior in mycelium content (17.76 g/L) to that of the defined culture broth, and the β-glucan content was about 10.64 percent (w/w).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ulture broth were confirmed against those of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using the paper disk metho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also maintained after the heat treatment and alcalase treatment. The filtrate with less than 3 kDa M.W. also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ur strains: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as about 1.26 mg/mL in the B. cereus and 12.6 mg/mL in the St. aureus and L. monocytogenes. The S. typhimurium showed a MIC of 62.8 mg/mL. Thus, the culture of Sparassis crispa using soybean curd whey provides a thermally stable antimicrobial agent that can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the biofood industry.
        29.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버섯성분을 함유한 두부의 면역조절물질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표고버섯(Letino edodes)과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자실체와 균사체를 두유에 첨가하고 응고제로 또는 젖산발효추출물을 사용하여 두부를 만들었다. 두부와 버섯성분이 함유된 두부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Sandwich ELISA를 이용하여 비장세포 배양액에서의 IFN-와 IL-4및 TNF-농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혈장과 비장세포 배양액에
        30.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전두부와 비교하여 인삼분말을 첨가한 전두부는 일반성분, 색도, 수분함량에서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물의 경우 인삼분말 2%첨가 전두부는 저장 15일에서 만 일반세균 3.51 LogCFU/g이 나타났고, 일반전두부는 12일에 일반세균 4.48 LogCFU/g, 15일에 4.81 LogCFU/g로 각각 나타내었으며 대장균의 경우 일반전두부에서만 15일에 3.57 LogCFU/g로 나타나 인삼분말 2%첨가 전두부가 일반전두부와 비교
        31.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pediocin 처리에 따른 두부의 저장성 연장 효과를 확인하고자 pediocin을 첨가한 침지액에 침지시킨 두부를 에서 저장하면서 두부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pH는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5일 이후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첨가구에서는 pH 감소가 억제되었다. 산도의 변화는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5일 후 급격한 증가를 보인 반면에 300 ppm처리구는 저장 6일, 500 ppm 처리구는 7일 이후 빠른 증가를 보였으나 1,0
        32.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결건조 양파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 두부를 제조하고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두부의 수분함량은 양파건조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다소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색도 변화에 있어 백색도(L값)는 양파건조분말 0.1%를 첨가했을 때 83.0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적색도(a값)는 대조구나 양파건조분말 첨가구에서 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황색도(b값)의 경우 양파건조분말 첨가구는 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Sucrose함량은 0.2
        33.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조분말두부의 열풍, 진공 및 동결 건조방법에 따른 흡습특성과 평형수분함량 예측의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GAB식이 더 높은 유의성을 보였으며 수분흡습을 위한 엔탈피, 자유에너지, 엔트로피의 변화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수분활성도가 0.11에서 0.93으로 증가할수록 흡습엔탈피의 값은 감소하였으며 등온흡습곡선의 경우 수분활성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높아졌으며 수분 활성도가 높을수록 필요로 하는 흡습에너지가 낮아져 흡습이 쉽게 이
        34.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부폐기물인 비지와 M. Pilosu를 이용한 홍국제조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건조분말 비지에 20%양의 물을 첨가하여 증자한 비지에 glucose(0∼10%), monosodium glutamate(0∼0.1%), 감귤과피물추출물(감귤과피 양으로 0∼0.5%)의 첨가에 따른 색소 및 monacolin K 함량을 조사하였다. Glucose 첨가량을 10%로 하였을 때 색소 생성량이 O.D.1.06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 때의 monacolin
        35.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부의 품질을 고급화하고 다양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천연물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하여 기능성의 부여와 함께 기호성을 향상할 수 있는 천연물 첨가두부를 제조하였다. 천연물로는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를 가지고 있는 당근과 오이, 시금치 그리고 카테킨등에 의한 기능성이 확인된 녹차를 천연 첨가물로 선정하였다. 천연물 첨가두부의 수율은 무첨가 두부에 비하여 감소되었으나 색상에 의한 기호성의 증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물 첨가에 따라 두부의 조직특성
        36.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응고제의 종류에 따른 천연물 첨가 두부의 제조특성을 알아보았다. 수율과 물성, 관능검사결과 등을 고려한 결과 는 0.2%, 0.4%, 는 2.0%가 최적농도로 선택되었다. 또한 천연물 첨가농도는 당근 4%, 오이 10%, 시금치 1.0%, 녹차말차 0.05%를 최적농도로 선정하였다. GDL을 응고제로 사용한 천연물 첨가두부의 색도도 응고제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두부의 물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당근, 오이, 시금치
        37.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패하는 두부에서부터 각종 미생물 18종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 cereus, X. luminescens, A. calcoaceticus, Kl. pneumoniae, S. typhimurium, Pantoea sp., Bacillus sp., Cardiobacterium sp., E. coli, St. aureus, Yersinia sp. 등 11종의 각기 다른 미생물로 나타났다. 실온에서 두부의 부패 과정중 이들 미생물의 존재 함량은
        38.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elf-life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ozone-treated soybeans investigated on pH, acidity, sour taste, slime formation during storage at 3. Total Plate counts of raw soybeans showed about log 7.0 CFU/g before ozone treatment.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raw soybeans showed the most effective in 0.5ppm of aqueous ozone treatment at 4 for 90 minutes. Raw soybeans were treated with ozone by different methods; (1) Ozone treatment for 90 + 90 minutes (first 3.5~5 hours and later 8.5~10 hours) of 10 hours during soaking in aqueous solutions at 4 (OW). (2) Ozone treatment by exposure first to 30ppm of gaseous ozone for 90 minutes and then allied to OW method (GO+OW). The log reduction of raw soybeans treated by OW and GO+OW methods showed 3.72 and 4.15, respectively. Soybean curd prepared with OW and GO+OW-treated soybeans kept the shelf-life of 4 and 5.5 days at 3, respectively, but, that without ozone treatment spoiled at me da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