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2

        2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auty Sun’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0년에 육성한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으로 2006년도에 보라색 아네모네형의 스프레이 국화 ‘Ardilo’를 모본, 성장세가 좋은 복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Two Tone’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2007년도에 실생을 양성한후 실생개체 중에서 개화가 균일하고 볼륨감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AT07-202’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에 걸쳐 춘계 억제재배와 하계촉성재배를 포함하는 특성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BeautySun’을 육성하였다. ‘Beauty Sun’의 자연개화기는 10월하순이며, 차광과 전조처리에 의한 일장조절에 의해 연중생산이 가능하다. 이 품종은 복색(PN78B/GW157C) 꽃잎을 가진 아네모네형으로 성장세가 강건하고 6월 상순인 고온기에 접어들어도 화색이 안정적이다. 추계재배에있어서 화경은 4.5cm, 본당 착화수가 14.6개이고, 설상화수는 21.4개이었다. 초장은 104.4cm이고 엽색은 진한녹색(G137A)이며, 절화수명은 24.3일이었다. 춘계 차광재배에서의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수가 46일이었다. 이 품종은 흰녹병에 중도저항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조품종에 비해 기호도도 높았다. ‘Beauty Sun’은 2012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권등록(품종보호 제4171)되었다.
        4,000원
        2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13년도에 개발한 ‘Orange Dream’품종은 적색 홑꽃형 산티니계 스프레이 국화 ‘Amelie Pink’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생육이 우수한 연분홍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Crangball’ 품종을 부본(♂)으로 2008년에 교배하여 육성되었다. 2009년에 실생을 양성한 후2010년부터 2013년까지 자연, 전조, 차광재배작형별 특성검정을 거치고 2013년 재배농가, 소비자, 육묘업체의 기호도 조사를 통해 개화특성과 기호도가 우수한 GCS08-29-17(Gyeongkyo B1-24) 계통을 최종 선발하여 ‘OrangeDream’로 명명하였다. 2013년 12월 27일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출원 2013-577)하고 2015년 6월 9일에품종보호권이 등록되었다(등록번호 제 5588호). ‘OrangeDream’ 품종은 주황색 홑꽃형 스프레이 품종으로 단일처리 후 개화 소요일수가 자연개화작형과 봄작형 재배 시49일, 여름작형 재배 시 56일로 여름작형 재배 시 개화소요일수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연중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저온기에 재배 시 신장성과 화색발현이 우수한 품종이다. 자연재배 작형에서 절화장은 86.7cm로 대비품종 88.7cm보다 약간 작으나 억제재배 작형에서는93.8cm로 대비품종 89cm보다 길게 자라는 특징이 있다.착화수는 22.8개로 대비품종보다 10.4개 더 많고, 꽃의직경은 5.5cm로 대비품종과 같다. 꽃잎수는 24.9매, 줄기굵기는 5.9mm로 대비품종과 비슷하거나 같다. 흰녹병에강한 저항성이 있어 저온기 재배 시 유리하며 절화수명이 22일로 길어 꽃꽂이 및 꽃다발 제작 등에 적합하다.
        4,000원
        2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ink Shine’은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11년도에 흰녹병 저항성의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으로 육성되었다. 2007년 ‘Orando’를 모본으로 방임 수분하여 2008년 2월에 채종하였고, 동년 6월에 유리온실에서 파종하였으며, 10월에 화색과 화형에 따라 실생 1계통을 선발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삽목묘를 번식하여 생육과 개화특성을 구명하였으며, 2011년 최종 선발된 영양계통을 ‘Pink Shine’으로 명명하였다. 화형은 홑꽃의 아네모네형태이고, 설상화 색깔은 분홍(PG75C, RHS Value)이다. 화반 색은 적색계열(RPG65B)이고, 줄기 색은anthocyanin이 분포하지 않는 녹색이다(YGG145A). ‘Pink Shine’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이며, 여름재배에서 개화소요기간은 단일처리 후 58일이고, 대조품종인 ‘Arugus’에 비해 2일 정도 빠르다. 꽃 직경은 4.1cm로 비슷하지만 착화수와 설상화수는 대조품종보다 많다. ‘Pink Shine’은 국화 흰녹병저항성 품종이며, 2012년 국립 종자원에 품종 등록되었다
        4,000원
        2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 ‘Green flora’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08년에 육성한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으로 2004년도에 황록색 폼폰형의 스프레이 국화 ‘Furore’를 모본, 성장세가 좋은 녹색 폼폰형 스프레이 국화 ‘Feeling green’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2005년 실생 집단으로부터 개화가 균일하고 볼륨감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FG05-182’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에 걸쳐 춘계 억제재배와 하계 촉성재배를 포함하는 특성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Green flora’를 육성하였다. ‘Green flora’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이며, 전조와 차광처리에 의한 일장조절에 의해 연중생산이 가능하다. 이 품종은 녹색(G143A) 꽃잎을 가진 폼폰형으로 성장세가 강하고 하계 고온기 재배에서도 화색이 안정적이다. 가을재배에 있어서 화경은 4.8cm, 본당 착화수가 11.2개이고, 절화수명은 24.3일이었다. 춘계 차광재배에서의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수가 48일이었다. 이 품종은 흰녹병에 중도저항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조품종에 비해 기호도도 높았다. ‘Green flora’는 2010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권등록(품종보호 제3229) 되었다.
        4,000원
        2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농업기술원 예산국화시험장에서 생장이 균일하고 조기개화성인 스프레이국화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모본으로 백/자주색 홑꽃의 ‘Handsome’을 부본으로 백/자주색 홑꽃의 ‘Yes Morning’을 인공 교배하여 실생종자를 채종하였다. 2005년 실생집단으로부터 개화가 균일하고 볼륨감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SP05-014-08’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에 걸쳐 주년 생산성 검정을 통해 ‘Yes Now’을 육성하였다.‘Yes Now’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경으로 촉성 및 억제재배가 가능하다. ‘Yes Now’는 홑꽃이고 꽃잎은 복색계통인 백/자주색(Red-Purple 59A)이며 화심의 색은 녹황색(Yellow Green 144C)이다. 꽃의 직경은 5.2cm이고 착화수는 본당 13.2개이며 절화수명은 18.8일로 긴 편이다.개화반응주수는 7.0주로 빠른편이고, 줄기가 굵고 볼륨이우수하여 절화 생산량이 많은 편이다. 재배상 유의점은고온기에 화색이 변색되므로 서늘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4,000원
        2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 ‘Amber’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0년에 육성한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으로 2006년도에 복색 홑꽃형의 스프레이 국화 ‘Delmont’ 품종을 모본, 성장세가 좋은 복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Moulin Rouge’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2007에서 2009년까지 춘계 억제재배와 하계 촉성재배를 포함하는 특성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Amber’를 육성하였다. ‘Amber’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 31일이며, 전조와 차광처리에의한 일장조절에 의해 연중 생산이 가능하다. 이 품종은복색 꽃잎을 가진 홑꽃형으로 성장세가 매우 좋고 개화반응주기는 7주이다. 가을재배에 있어서 화경은 5.5cm, 본당 착화수가 11.2개이고, 절화수명은 26.8일이었다. 춘계차광재배에서의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수가 49일이었다.이 품종은 흰녹병에 중도저항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조품종에 비해 기호도도 높았다.
        4,000원
        27.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스’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10년도에 흰녹병 저항성의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으로 육성되었다.2006년 ‘Puma’를 모본으로 방임 수분하여 2007년 2월에 채종하였고, 동년 6월에 유리온실에서 파종하였으며,10월에 화색과 화형에 따라 실생 1계통을 선발하였다.2008년부터 2010년까지 삽목묘를 번식하여 생육과 개화특성을 구명하였으며, 2010년 최종 선발된 영양계통을‘원스’로 명명하였다. ‘원스’의 화형은 1륜의 설상화를 가진 아네모네 형에 속한다. 설상화 색은 흰색(WNN155C,RHS Value)이며, 화반 색은 옐로-그린(YG154B)이고. 줄기 색은 안토시아닌이 분포하지 않는 그린계열이다. ‘원스’의 자연 개화기는 10월 중순이며, 여름재배에서 개화소요기간은 단일처리 후 53일이고, 꽃 직경은 4.0cm, 화반 직경은 1.7cm이다. 개화기는 대조품종인 ‘Puma’에 비해 3일 늦고, 꽃 직경은 크고, 설상화 수는 적다. ‘원스’는 국화 흰녹병 저항성 품종이며, 2012년 국립 종자원에 품종 등록되었다.
        4,000원
        2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ore’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이다. 2003년에 분홍색 홑꽃인 ‘Rosa’와 백색 홑꽃인 ‘Angaesoguk’을 인공교배 하여 2005년 부터 2009년까지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화색은 오렌지색이며,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 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에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Fiore’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4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꽃 크기는 2.8cm이며, 가을재배에 있어서 착화수는 33.8개이다. 봄 촉성재배시 개화소요일수가 48일이며, 가 을 자연재배시의 절화수명은 23.2일로 긴 편이다. 이 품종은 2011년 국립 종자원에 품종 등록되었다.
        3,000원
        29.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한국에서 여름철 동안 야간 고온이 스프레이국화의 개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5년 실험결과에 따르면,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 이상 지속된 기간은 23.6일로 조사되었고 개화가 지연된 기간은 22일로 조사되었다. 유사한 결과가 2006년에도 조사되었는데,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이상 지속된 기간은 23.6일, 개화지연 기간은 23일로 조사되었다. 2007년 결과도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 이상 지속된 기간은 31.9일, 개화지연 기간은 31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결과에 따르면, 스프레이국화 ‘Euro’ 품종에서 야간에 고온과 개화기간지연 사이에 특별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3,000원
        3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een Hof’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녹색 폼폰형인 ‘Froggy’를 모본, 녹색 폼폰형의 ‘Yoko Ono’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 의 특성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재배와 억 제재배, 자연재배 조건에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Green Hof’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4일경이며, 일장조 절에 의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여름철 고온하에서도 비교적 화색이 안정되고 성장세가 매우 좋다. 초장은 113.5 cm 정도이며, 생장유형은 단일줄기형으로서 꽃 크 기가 3.4 cm, 설상화 길이 1.4 cm, 설상화 너비 0.4 cm, 착화수는 24.3개이다. 화색은 선명한 녹색이며, 화서형태는 평평한 산방화서형이다. 춘계 촉성 재배에 서 ‘Green Hof’의 개화소요일수는 42일로 아주 빠른 편이며, 자연재배에서 채화한 화경의 절화수명은 25.2 일로 매우 긴 편이다.
        4,000원
        31.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ellow Cap’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황 색 폼폰형인 ‘Chacha’를 모본, 황색 폼폰형의 ‘Focus’ 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5년부터 2009년 까지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 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에서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Yellow Cap’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6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 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초장은 108.7 cm 정도이며, 생장유형은 단일줄기형으로서 꽃 크기가 3.4 cm, 설상 화 길이 1.4 cm, 설상화 너비 0.4 cm, 착화수는 25.1 개이다. 화색은 선명한 황색이며, 화서형태는 산방화서 형이다. 춘계 촉성재배에서 ‘Yellow Cap’의 개화소요 일수는 51일로 7주 정도이며, 자연재배에서 채화한 화 경의 절화수명은 23.2일로 매우 긴 편이다.
        4,000원
        3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mple’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황색 홑꽃인 ‘Champy’를 모본, 황색 홑꽃의 ‘SP05-135’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5에서 2009년에 걸 쳐서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 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Dimple’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 30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재배가 가능하다. 초장은 105.1 cm 정도이며, 생장유형은 단일줄기형이다. 꽃 크기가 4.7 cm, 설상화 길이 2.7 cm, 설상화 너비 0.8 cm인 스프레이국화로 착화수는 20.3개 이다. 화색은 선명한 황색이며, 화서형태는 산방화서이 다. 봄의 단일상태에서 ‘Dimple’ 품종의 개화소요일수는 50일 정도인 7주 품종이며, 가을 절화수명 검정에서 21.3일로 긴 편이다.
        4,000원
        3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3년에 황색 폼 폰 화형인 ‘Restone’에 자주색 폼폰 화형인 ‘Lollipop’을 교배하여 획득한 실생 집단으로부터 황색 적심 폼폰 화형의 겹꽃 ‘03B1-82’ 계통을 선발하였다. ‘03B1-82’ 계통은 2005년 겨울부터 2007년 3년에 걸쳐 1, 2차 특성검정을 통해 안정성, 균일성 및 흰녹병저항성 검정 및 절화수명에 대해 조사되었고, 2008년에는 우수선발 계통으로 ‘원교B1-142호’ 계통번호를 부여받아 3차 특 성검정을 실시하여 안정성, 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 성 그리고 주년생산성(촉성, 억제재배), 생산자 및 소 비자 기호성을 평가 받았다. ‘원교B1-142호’는 2008년 에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옐로우캔디’로 명명되 어졌다. 국화 ‘옐로우캔디’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상 순에 자연 개화하는 절화용 스프레이 추국이다. 황색의 적색화심을 지닌 폼폰화형의 겹꽃으로 초세 및 줄기가 강건하다. 특히 여름철 고온기에도 통상화가 많이 발생 하지 않으며, 촉성 및 억제재배 등 주년생산이 가능하 다. 꽃의 직경이 4.3 cm 내외, 꽃잎수는 소화당 180매 이상, 착화수는 본당 8화 내외의 중형화로 절화수명은 18일 정도이다. 재배상 유의점으로는 둥근모양의 폼폰 형이기 때문에 수확시 꽃이 서로 엉키면 꽃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여름 장마철 또는 겨울철 환기 부족시 흰녹병 발생을 주의하고 주기적인 방제가 필요하다.
        4,000원
        3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gic Yellow’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에서 복색 홑꽃인 ‘Artist Pink’를 모본, 복색 홑꽃의 ‘SP03-47’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4에서 2008년에 걸쳐서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촉성재배 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 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 하였다. ‘Magic Yellow’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18 일경으로 빠른 편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재배가 가 능하다. 초장이 120.2 cm로 크고 꽃 크기가 6.0 cm 인 스프레이국화로 착화수는 11.4개이다. 화색은 황색 과 적색을 가진 복색이며, 개화형태는 실린더형이다. 봄의 단일상태에서 ‘Magic Yellow’ 품종의 개화소요 일수는 45일 정도로 개화가 빠르며, 가을 절화수명 검 정에서 22.9일로 긴 편이다.
        4,000원
        3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Snow Bowl’ was release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08. The cross was made in 2005 between ‘03B1-230’, breeding lines of NIHHS and ‘Sei-Alps’. Trials were conducted from 2006 to 2008 for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cultivar, including shading cultures in summer and retarding cultures in spring. The natural flowering time of ‘Snow Bowl’ is late October, but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photo-periodic control. It has single type flowers with white petals. The growth of plant is very vigorous and it is resistant to white rust. The diameter of flower is 6.3cm. Number of flowers per stem and petals per flower are 12 and 31, respectively. Days to flowering under the short day treatment is about 59 and its vase life is 24.1 days in autumn season. ‘Snow Bowl’ was applied as No. 2009-179 on February 18, 2009 for variety protection and the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s have been registered as No. 3239 on August 3, 2010 at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4,000원
        3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z’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백색 홑꽃 인 우수계통 ‘SP03-117’을 모본, 백색 홑꽃인‘Angaesoguk’ 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4에서 2008년에 걸쳐서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 성검정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봄 촉성재배와 가을 억제재배 조건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비즈’ 품종 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6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초장이 87.7cm이고 꽃 크기가 3.0 cm인 산티니계의 스프레이국화로 착화수는 15.6개이다. 화색은 백색이며, 개화형태는 실린더형이다. 봄의 단일상태에서 ‘Biz’ 품종의 개화소요일수는 42일 정도로 개화가 빠르며, 가을 절화수명검정에서 24.1일로 아주 긴 편이다.
        3,000원
        3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삽 양액재배에 의한 ‘신마’품종의 절화품 질 향상시키고자 양액 pH조정 비료종류와 모수포 관리 및 지베렐린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모 수포 관리에 따른 절화장은 무처리(관행) 103 cm에 비해 모수포관리(온도,일장) 처리가 114 cm로 가장 컸고, 꽃 잎수도 무처리(관행) 259개/송이에 비해 모수포관리(온도, 일장) 처리가 298개로 가장 많았고, 절화중은 모수포관리 (온도,일장) 처리가 102g/본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엽록 소(SPAD-value)는 영양관리(몰비아 500배)처리가 5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베렐린처리 농도와 살포시기에 따른 절화장은 무처리(관행) 103 cm에 비해 지베렐린 1,000배 개화 60일전 처리가 121 cm로 가장 컸고, 꽃잎수 도 무처리(관행) 259개/송이에 비해 지베렐린 500배로 개화60일전 처리가 308개로 가장 많았고, 절화중 2,000배 개화60일전 처리가 110.7 g/본 가장 무겁게 나타 났다. 하지만 꽃목길이는 관행(무처리) 3.5 cm에 비해 500배 개화45일전 처리 10.4 cm와 1,000배 개화45일전 처리가 9.7 cm로 도장하는 경향이었다.
        4,000원
        3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삽 양액재배에 의한 ‘백마’ 품종의 줄기공 동화를 경감하고 절화품질 향상시키고자 양액 pH조정 비료종류와 에세폰 살포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양액 pH조정 비료종류에 따른 pH 경시적 변화는 수산화 칼륨 처리에서 pH 5.65에서 시작하여 큰 변화 없이 안정 적으로 유지되었다. 화아분화기 이후 양액 pH조정 비료 종류에 따른 절화장, 엽수, 절화중, 및 꽃잎수는 수산화 칼륨 처리가 가장 좋았다. 중탄산칼륨처리는 경경이 두 껍고 내벽이 두꺼워 동공의 크기와 면적이 가장 적었으나, 생육과 절화품질이 가장 좋은 수산화칼륨 처리구에서는 동공이 다소 큰 경향이었다. 화아분화기 이후 양액 pH 조정에 따른 양분 흡수변화는 중탄산칼륨 처리는 전질소, 인산, 칼륨 및 칼슘의 흡수가 가장 적게 일어나 순환식 양액탱크내 잔류량이 가장 많은 반면 수산화칼륨의 경우 전질소, 인산, 칼륨 및 칼슘의 순환식 양액탱크내 잔류 량이 적어 식물체내로 일정하게 흡수되도록 하여 생육 및 절화품질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되었다. 에세폰 엽면 살포의 농도와 시기에 따른 생육은 관행(무처리)에 비해 500배 처리에서는 생육억제가, 1,000배와 2,000배 처리에 서는 생육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꽃잎수는 관행 302매에 비해 1,000배 개화 45일전 처리가 331개/송이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에세폰 처리에 따른 줄기동공은 관행에 비해 2,000배 개화 30일전 처리가 크기 1.0mm, 면적이 7% 정도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화 ‘백마’ 양액 재배시 화아분화기 이후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양액 pH 를 안정화시키고 에세폰 2,000배액을 개화 30일전 처리 하여 줄기동공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생육 및 절화품 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4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aminozide의 엽면 살포방법를 이용하여 국내육성 스프레이 국화 ‘일월(Ilweol)’의 하계 고온에 의 한 꽃목 길이의 과도한 신장을 억제함으로서 품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 수행하였다. 처리 시기는 화뢰 발달과정별로 3단계(stage I, II, III)로 나누고 daminozide의 처리농도는 0, 500, 1000, 2000mg·L−1로 구분하여 조합 처리하였다. 절화장과 꽃목 길이는 각각 stage III와 stage II에서 줄기 신장 억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daminozide의 농도 가 증가할수록 절화장과 꽃목 길이는 감소하였다. 화폭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처리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 며, daminozid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감소 하였다. 선단부 화방의 배열각도는 시기별로는 stage III 에서 농도에서는 2,000mg·L−1 daminozide 처리에서 각각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전체 처리 중에서는 2,000mg·L−1 daminozide를 stage II에 처리시 무처리구 대비 31.3%가 증가하여 가장 높은 배열각도를 보여주었다. 화수와 총 화뢰수도 2,000 mg·L−1 처리시 가장 많았으며, 처리시 기별로는 stage I에서 가장 많았다. 국내육성 스프레이 품종 ‘일월(Ilweol)’의 하계 재배시 꽃목(소화경)의 신장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화서배열을 고르게 하며 화수 증가를 유도하는 daminozide의 처리농도와 시기는 2,000mg·L−1와 Stage III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처리는 절화장과 화폭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 상품성의 또 다른 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실용적인 daminozide 의 처리시기와 농도는 절화의 품질을 감안할 때 Stage III 에서 500 mg·L−1로 판단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