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umber of non-Chinese speaking (NCS) students in Hong Kong is increasing year by year. Their needs for education are increasing too. The educators and their NCS parents very concern how well these NCS students can adopt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Hong Kong, and have better academic performance, especially in Chinese language learning. Researchers believe that if the NCS students can learn Chinese language as earliest as possible, like in kindergarten stage, they can catch up with the local Chinese language curriculum requirement and standard much easier. Researchers worked with three kindergartens, and designed school-based Chinese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for these NCS young students. The curriculum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NCS you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strengthen their Chinese character learning ability and also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fter one-year teaching experiment, it is found tha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se NCS young students’ was very impressive. They have great improvement in the learning of the sound, shape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is presentation will report the research findings.
        22.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und University is one of the important center of Chinese teachingin Sweden,the textbook Elementary Chinese used at the elementary stageis compiled by the teachers of the Chinese Department of thisUniversity,it is an interesting book with Swedish translation and used as long as more than ten years. According to statistics,compared with the Grade A vocabulary in theThe outline of the Graded Vocabulary ,41% of the Grade A vocabularydoesn’ t appear in Elementary Chineseand apparently many words inElementary Chinese are not included in the Grade A vocabulary in Theoutline of the Graded Vocabulary.The order that the characters appearfollows the content of the text and isn’t based on The outline of theGraded Vocabulary.Furthermore,because there is no special Chinesecharacters courses,it is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learn the rule ofChinese characters’structure.Chinese characters become an obstacle forthe students to promote their Chinese level. This paper tries to analyse how to teach Chinese characters forthe non-Chinese cultural circle students at the elementary stage.
        23.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November 2010, a team of a dozen researchers from fiveuniversities and institutes of four European countries has been workingon challenging project: how to adapt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Reference for Languages (in use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 for the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of European languages around Europe)to the Chinese language, a very distant language for European learners,with the peculiarity of its non-alphabetic writing system. In the end,the approach adopted by the team was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oraland written activities at each level of the framework. For the oralactivities the team has provided lists of words, and for the writtenactivities lists of characters. We focus on one point: we hope thisdissociation between oral and written in the Chinese framework willencourage more and more teachers to separate oral and written in teachingand learning activities (as well as in the selection of teaching materials)so as to allow the learners of Chinese to develop each language competencemore efficiently.
        24.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을 시작으로 홍콩에서는 334라는 새로운 학제를 시행하였는데, 이는 3년 의 중학교, 3년의 고등학교, 4년의 대학교 제도이다. 홍콩의 교육국은 이러한 새로 운 중등교육과정을 발전시키기 위해 『中國語文課程及評估指引(中四及中六─ 定稿)』제시하고, 지금의 학습과정을 다시 9개의 학습범주로 구분하였는데,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전면적이면서도 균형잡힌 학습 능력”을 배양하려는데 그 목적 이 있다. 그러나 간화자, 이체자 등의 기본적인 한자 지식이 학습의 중점적인 부분 으로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용적인 한자의 지식을 가르쳐야 하는 책 임은 상급학교의 실용 중국어 수업에서 이루어지게 되었고, 학술계는 대학에서의 실용적인 중국어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토론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일반 대학과 마찬가지로 홍콩의 부학위(Sub-degree Programme)에서의 중문 교육과정에도 간화자 등의 한자지식이 포함되어 있어, 학생들은 간화자 읽기와 쓰 기의 능력을 교육받고 있으며, 이는 중학교 과정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빠듯한 일정으로 인해, 상관되는 한자지식을 습득하는데 여전히 부족 하며, 학생들은 여전히 표준화된 한자의 사용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약하다. 중국과 홍콩의 접촉이 더 활발해 질수록, “한자”는 두 지역이 소통하는데 중요한 도구 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이것이 홍콩의 학생들의 표준 한자 학습을 중시해야 하 는 이유이다. 신학제는 이제 막 시작되었으며, 이는 한자 교육에 있어 매우 좋은 기회이다. 본문은 홍콩의 부학위 제도 속의 실용 중국어 수업을 통해, 부학위 제도 속의 중국어 교육의 현황과 위상을 살펴보고, 그 특색과 기능, 효과 뿐 아니라 중 문 과정과 관련된 과정, 교재, 교수법 등을 분석하고 새로운 제안을 하고자 한다.
        5,100원
        2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自2009年開始,香港推行“334”新學制,即三年初中、三年高中、四年大學制。香港教育局為配合新高中課程發展,發出《中國語文課程及評估指引(定稿)》,把現行課程重新分為九個學習範疇,目的是讓學生獲得“全面而均衡的學習經歷”,可是,簡化字、異體字等基本的漢字知識還沒有列為重點學習的部分。於是,教授這些實用的漢語知識的重任就落在專上院校的實用中文課程上。現時,香港的專上院校分為專上學院、大學兩類,分別提供副學位、學位課程。過往,學術界對大學的實用中文課程多有討論;但專上學院則相對較少,需要加以注意。跟大學一樣,香港的副學位實用中文課程也包括簡化字等漢字知識,學生需兼備“認讀”與“書寫”簡化字的能力,要求比中學略高。惟因課程緊逼,相關的漢字知識部分仍然欠缺系統性的教授,學生對於規範漢字的認識非常薄弱。中、港兩地接觸漸趨緊密,“漢字”是兩地書面語溝通的重要工具,香港實在需要正視規範漢字的教學狀況。新學制剛剛實施,正為推動漢字教學提供一個良好的契機。本文主要從香港副學位實用中文課程一途,正面研究副學位現行的漢字教學的狀況與定位;側面探討課程的角色和功用,擬就有關的課程、教材、教學法等提供一些分析和建議。
        2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對外漢語初級階段的教學往往以提高口語交際能力為主,認字的認讀與書寫則不是重要環節。但是,近年 的研究顯示,如果能在初學漢語的階段認讀一些漢字則對學習者漢語能力的提高有一定幫助。有鑒於 此,對外漢語初級階段的漢字教學就應該受到應有的重視。本項研究以20名零起點的在港留學生為研究 物件,採用訪談、問卷、測試的方法對漢字認讀的教學策略進行研究。研究結果顯示:結合語境以及網 路練習進行漢字認讀教學的策略有助於提高學生學習漢語的興趣和口語交際能力,並且成為他們繼續學 習漢語的動機之一。
        27.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말레이시아에서의 중국어 교육은 이미 18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왔다. 말레이시아에는 모두 1291곳의 중국어 초등학교가 있다. 소위 중국어 초등학교라 는 것은 학습 과정이 말레이시아 어, 영어, 타밀어 외에 모든 기타 과목이 중국어 를 매개 언어로 교육이 진행되는 학교를 가리킨다. 현재 전국에 모두 6만 명이 넘 는 비화교(중국인이 아닌) 학생들이 직접 중국어 초등학교에서 배운다. 중국어 초 등학교의 중국어 수업은 모국어(제1 언어)로써의 교수방식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교재는 모국어 학습 이론을 사용해 집필한다. 비화교 학생으로 말하자면, 이것은 “지정된 좌석 없이 자리에 앉는” 경우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중국어 교육에 있어 특히 한자 교육의 성과가 좋지 않은 상황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참상”을 풀기 위하여, 교사는 학습 상 별도의 상황을 설정하여 알맞은 조정을 해 야 한다. 본문은 이하 여덟 가지 방면 즉, 1. 우선 한자 병음을 가르친다. 2. 읽기를 지도한다. 3. 직역법을 사용한다. 4. 7±2기억 법칙을 알맞게 응용한다. 5. 법칙 잊게 한다 6. 한자를 많이 알고 적게 쓰도록 한다 7. 한자교육의 의 세 가지 다른 수준을 중요시 한다. 8. 말을 먼저하 고 글은 나중에 하도록 한다. 를 통해 이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4,800원
        28.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초등학교 漢字敎授學習方法을 탐색해 보고, 필자 나름대로 초등학 교 漢字敎授學習方法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漢字와 漢字語의 지도 기법, 원리, 교수학습 모형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漢字와 漢字語의 지도 기법과 원리는 학문 적 수준에서 논의조차 미흡한 편이며, 교수학습 모형은 연구자마다의 기본적 입장 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산만하게 제시되어 있다. 이에 필자는 그동안 발표된 敎授學習方法에 관한 논의들을 토대로 초등학교 漢字敎授學習方法을 교수학습 모 형과 원리, 기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초등학교 漢字교육의 내용은 漢字와 어휘를 중심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초등학교 漢字교육의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 등학교 漢字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교수학습 이론의 적용, 교수학습 원리, 전략이 나 기법, 수업 모형 측면에서 검토하고, 또 漢字지도에 관한 기존의 진술들을 추 출하여 보았다. 또한 이와 아울러 문자교육관련, 언어교육관련, 뇌과학 관련 연구성과들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漢字지도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검토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필자가 나름대로 가감하여 필자는, 초등학 교 漢字지도의 원리와 기법을 내용 영역에 따라 원리와 전략(기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漢字수업 모형을 유형화하기 보다는 초등학교 漢字수업 의 기본적인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여, 초등학교 漢字교 수학습의 기본적인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漢字敎授學習方法을 포함한 漢字한문 敎授學習方法에 대한 연 구와 정리는 앞으로 더욱더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또 체계적으로 정리된 敎授學習方法이 일선의 교육 현장에 하루 빨리 보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8,400원
        29.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根源聲符를 활용한 漢字指導法은 부수중심 지도법과 그 원리가 같다. 根源聲符를 공유한 형성자들을 系聯하여 指導하는 것이기 때문에 字形과 字音을 쉽게 익혀 연상작용, 이해력, 把持力을 높일 수 있다. 단점은 意義정보의 학습에 취약 하다는 것이다. 丰을 根源聲符로 한 형성자를 層次的으로 系聯하면 1次形聲字는 夆, 奉, 邦, 蚌, 등이, 2次形聲字는 逢, 峯, 莑, 綁, 捧, 封등이, 3次形聲字는 熢, 蓬, 樥, 葑등이, 4차형성자는 鑝이 있다. 各을 근원성부로 한 형성자는 근원성부의 字形 이 변형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이다. 어느 字符에 參構하던 자형 ‘各’을 유지하였 다. 하지만 字音은 가, 각, 객, 격, 낙, 락, 략, 액, 학, 맥 등으로 다양하게 분화되었 다. 1차 형성자는 恪, 閣, 客, 格, 洛, 略, 頟, 狢, 貉이, 2차 형성자는 櫊, 髂, 楁, 愘, 喀, 落, 撂, 額등이 있다. 根源聲符를 활용한 漢字指導를 위하여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만이라도 字源 이 규명되고, 同聲符의 형성자들이 系聯되어 漢字指導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字典이 部首에 의해 編纂되었듯이, 이들 연구가 축적되어 聲符辭典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7,700원
        3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漢字語敎育은 한문교육에서 基本的인 位置를 차지하는 領域이다.이 점에서는 고등학교 교육과정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실제로 고등학교 10種한문교과서에서는 모두 漢字․漢字語를 풍부하게 다루고 있다.그러나 대부분의 교과서가 本文外의 부분에서 漢字및 漢字語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서 실제 학습 과정에서 다뤄지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또 교수-학습 방법 측면 역시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 없이 익혀야 할 漢字․漢字語를 나열하는데 그치고 있다.이 때문에 제시된 漢字․漢字語를 어떤 방법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온전히 교사 스스로의 몫으로 남겨진다.그렇다면 고등학교에서 漢字․漢字語를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硏究者는 그 실마리를 文化遺産을 활용한 漢字․漢字語교수 학습 방법에서 찾아보고자 했다.文化遺産이란 다음 세대에 물려줄 有形․無形의 각종 文化財나 文化樣式따위를 일컫는 말이다.일 년에 한두 번쯤은 학교 혹은 학급 단위의 校外活動으로 博物館이나 古宮등의 文化遺蹟地를 방문하게 된다.그곳에서 아이들은 古宮의 懸板이나 遺蹟地의 안내문 속에 새겨진 漢字와 마주치게 된다.그 漢字들은 단순히 文化財이름으로서의 가치를 넘어 文化財의 意味와 歷史까지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문화재 속의 漢字․漢字語를 수업 장면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면 한문 교육이 지향하는 漢字․漢字語교육뿐만 아니라 傳統文化의 繼承발전을 위한 교육까지도 아우를 수 있다.文化遺産을 활용한 漢字․漢字語교수 학습 방법은 뜻글자로서의 價値를 發揮하며 우리 文化遺産속에 깊이 박혀 있는 漢字의 가치를 再發見하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이 연구는 民畵와 文字圖,寺刹구조물 그리고 돌맞이 옷 四揆衫을 활용,각 文化遺産의 명칭을 통해 漢字및 漢字語를 학습하고 그 의미를 익히는 교수 학습 과정을 보여주었다.文化遺産의 특징은 그 중심에 ‘先人들의 구체적인 삶’이 있다는 것이다.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누리는 생활의 문화가 그 속에 녹아 있다.抽象的이고 漠然한 觀念으로서의 傳統이 아니라 生活의 場面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適用할 수 있는 傳統의 素材들이 文化遺産속에 있다.그 文化遺産이라는 소재를 활용하여 漢字․漢字語학습을 한다면,漢字․漢字語학습의 중심적인 目標를 成就하는 것에 덧붙여 傳統文化의 繼承과 發展이라는 附隨的인 목표도 성취할 수 있다.왜냐하면 文化遺産의 名稱과 意味를 아는 일은,그 속에 담긴 선인들의 精神을 이해하고 느끼는 일이기 때문이다.그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無心하게 지나쳤던 전통 建築文化,服食文化,繪畫文化속에서 의미 있는 깨달음을 건져 올릴 수 있을 것이다.또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도 無窮無盡하다.漢字로 기록된 수많은 文化遺産이 모두 자료가 될 수 있다.다만 이 연구에서는 特定한 文化遺産의 명칭과 의미를 학습하는 교수 학습 방법을 考案하다보니 교육용 漢字외의 어려운 漢字를 가르치게 되는 문제에 부딪치게 되었다.또 歷史,美術,建築등 순수 한문 교과적 성격을 다소 벗어나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되었다.이러한 문제점들은 한문 교과에서 가르칠 수 있는 문화유산을 選別․加工하여 한문 교과 교수 학습 체제에 맞게 再生産해는 연구가 계속되면서 克服될 수 있으리라 믿으며,이후 이 분야에 대한 持續的인 硏究와 試圖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11,100원
        3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 敎育의 重要性에 대한 인식과 社會的관심 속에서 최근 들어 漢字 敎育에 대한 열기가 고조되어 漢字敎材出版이 양적으로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아울러 家庭과 社會를 중심으로 漢字敎育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되어 幼兒를 대상으로 한 漢字敎育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그러나 지금까지 幼兒漢字敎育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이러한 점에 着眼하여 본 연구에서는 幼兒漢字敎育의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敎授․學習理論의 최근 동향과 幼兒敎授․學習의 原理를 알아보고,幼兒漢字敎授․學習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敎材의 內容과 敎授․學習方法을 分析한 후 幼兒漢字敎授․學習方案을 제시하였다.교재 분석 결과,각 교재들의 단원 구성 명칭은 서로 다르나 내용 전개는 전시 학습 상기,새로 배운 한자 익히기,확인 및 활용하기,마무리하기로 되어 있었다.교재별로 나름대로 고유한 단원 구성 체제를 갖추고 있지만,각 교재 내에서는 구성 체제가 정형화되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보다는 일정한 형식의 반복으로 이루어졌다.敎授․學習方法分析결과 도입 단계에서 놀이,이야기,수수께끼,동화,쓰기 학습법 등이 적용되었다.전개 단계에서는 漢字의 形․音․義學習을 위한 敎授․學習方法으로 자원 학습,쓰기 학습,읽기 학습,언어 활용법,문답법 등이 적용되었다.정리 단계에서는 학습 내용을 요약,정리,연습하는 方法으로 놀이,언어 활용법,시청각 학습법,漢字카드와 漢字語카드 활용,만화 활용,쓰기 학습법,신문 활용법 등이 적용되었다.이를 바탕으로 과정별 변인에 따른 幼兒漢字敎授․學習方案과 幼兒漢字敎授․學習의 비고츠키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이 연구는 漢字敎育연구의 지평을 幼兒期漢字敎育에까지 넓혀 幼兒漢字敎材의 內容과 敎授․學習方法分析을 통해 幼兒漢字敎授․學習의 실태와 체계성을 검토하고 幼兒漢字敎授․學習方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意義가 있다.이 연구를 통하여 幼兒漢字敎授․學習의 전 과정을 성급하게 판단하려는 것은 아니다.앞으로 문헌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해 幼兒漢字敎育에 대한 보다 확대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12,000원
        3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초등학교 한자 지도의 단계를 설정하고 각 단계에서 유의해야 할 점을 정리하여 초등학교 한자 지도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그리고 본 연구를 초등학교 한자 지도 방법에 관한 하나의 시안으로서 제안하고자 한다.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현재로서는 재량활동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둘째,한문 문장 중심보다는 한자와 한자어 중심으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셋째,중학교 한문 교육과 연계성이 있어야 한다.넷째,교육 내용이 체계적이고 계획적이어야 한다.다섯째,지도 방법이 다양해야 한다.필자는 ‘3단계 학습법’을 기초로,초등학교 한자 지도 단계를 ‘한자지도단계,한자어지도단계,한자어활용단계’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그리고 이를 교실의 실제 수업에 맞게 좀 더 구체적으로 단계를 세분화하여,‘연역적 한자지도 10단계’와 ‘귀납적 한자지도 9단계’를 제안하였다.그리고 각각의 단계에서 유의할 점을 밝혀 초등학교 한자 지도의 한 모델로서 제시하였다.그동안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일선 교사들의 다양한 지도 방법과 접목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필자는 이 연구를 초등학교 한자 지도에 관한 하나의 시안으로서 제시하고자 하며,아울러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관한 구체적인 것들이 정리되고 학계의 통일된 안이 마련되어 일선 현장에 보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7,700원
        3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대중 매체 중에서 新聞과 放送媒體에 주목하여,이를 활용한 漢字․漢字語敎授-學習方法을 구안해보고자 한다.이를 위해 먼저 매체의 특성에 대해 살펴본 후,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신문․방송을 활용한 실제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해 보았다.신문․방송과 같은 대중 매체를 수업에 활용하는 경우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하나는 수업의 보조 자료로 활용하는 경우와 다른 하나는 교사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자료를 재구성하여 활용하는 경우다.연구자는 후자의 수업 유형을 통해 신문․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과정을 구안해 보았다.이를 위해 교수-학습법 중 ‘협동학습’의 원리에 기초하여 ‘신문활용교육(NIE)법’을 적용하여 수업과정을 설계하였다.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의 내용과 절차를 圖式化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신문․방송을 한문 교과에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잇점으로는,한자로 된 어휘의 뜻 이해,한자․한문 교육의 근거,민족의 사상과 정신을 체득하는 것 등이 있겠다.이러한 잇점과 함께 제한점을 살펴보면,난이도 조정 문제의 발생 가능성과 지나치게 교사의 역량에 의존한다는 점이다.이러한 제한점들은 신문․방송 매체를 활용한 漢文敎育의 理論的接近과 함께 現場授業硏究의 꾸준한 試圖들이 병행되어야 극복될 것이다.아울러 ‘이론과 이론’,‘이론과 현장’,‘현장과 현장’사이의 꾸준한 교류의 축적이 현시점 漢文敎科敎育學에 절실히 요구된다.
        7,000원
        3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中國의 한자교육방법에 대한 고찰과 그것에 대한 비판 및 활용을 통해, 우리나라 한자교육에의 새로운 방법론 탐색에 일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중국 한자교육의 현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중국의 『語文』교육과정인 語文課程標準 및 字根을 이용한 한자교육방법에 대한 검토를 위주로 하였다.현재 중국에서는 기존의 어문교학대강을 대체하고 이를 수정발전시킨 어문과정표준을 2001년부터 시행하여, 『어문』및 한자교육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어문과정표준은 2001년 6월 7일에 발표된 基礎敎育課程改革綱要(試行)에 의거하여 새롭게 마련한 교육과정으로, 현재 중국 『어문』과정의 성질, 목표, 내용, 방법을 담고 있으며, 『어문』과정에 대한 관리, 교재의 편찬, 교육의 실시와 평가 등의 기준이 되고 있다. 중국의 한자교육방법으로는 현재까지 약 20여종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는 교과서 및 각종 보조 교재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자교육방법 가운데 ‘字根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字根識字法, 成群分級識字法, 基本字帶字, 字族文識字法 등이 있다. 이것은 각각 사용하는 개념과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자근을 이용한 방법이라는 점은 동일하다고 하겠다. 이 방법은 한자를 字根과 그 외의 부분으로 분석하고, 가장 기본적인 자근에 대한 학습을 통해 자근으로 이루어진 여러 한자를 학습하는 것이다. 이는 한자의 구조를 이해하고 특히 한자의 形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6,700원
        36.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관심을 모으고, 한자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일깨워 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내가 직접 자료들을 만들어서 학생들과 같이 수업을 할 수 있을까?’하는 문제점에서 출발을 했다. 본 논고에서는 컴퓨터, 실물 화상기, 빔 프로젝터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 측면의 멀티미디어 매체들의 소개와 운영방법 보다는 멀티미디어 매체들을 활용하여 수업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자료들을 제작할 수 있는 Flash와 Swish등을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정과 방법, 그리고 운용 등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 제시된 자료들은 실제 수업에서 사용했던 것들이며, 이미 제작되었던 것들을 활용하거나 다른 여러 멀티미디어 도구들을 활용하여 제작한 것들로서 1) 기억력을 이용한 한자카드 교수-학습 자료, 2) 모양이 비슷한 한자를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 3) 한자 조각 맞추기 교수-학습 자료, 4) TV 프로그램을 응용한 한자어 맞추기 교수-학습 자료, 5) 한자를 직접 입력하여 성어를 맞추는 교수-학습 자료, 6) 언어생활의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등이다. 필자는 Flash와 Swish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수-학습 자료를 직접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과 호응도를 알아보았다. 板書만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수업을 한 경우 보다는 Flash나 Swish로 제작된 자료를 수업에 활용과 놀이학습을 통해 수업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었고, 다양한 방법의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으로 창의적인 수업이 가능하였으며, On-line과 Off-line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자료를 제공하여 개별 학습과 반복학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세상은 정보의 홍수와 변화 속에 끊임없이 변해가고 있다. 급격한 변화의 흐름 속에 학교도 예외일 수는 없다. 다양한 정보의 양과 변화가 학교 현장에서도 느껴지고 있으며, 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그 흐름을 느끼며 같이 변화되어 가고 있다. 많은 교사들이 혼자 혹은 모임을 통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고 Data-Base를 구축하며, 함께 개발된 자료들을 공유하여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문과 역시 그 변화의 물결에 발을 맞추어가야 한다. 한문교사로서 전공인 한문과목에 대해 꾸준한 연구와 교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자료 개발의 토대인 컴퓨터, 멀티미디어, 정보 등에도 끊임없는 연구와 관심이 있어야 한다. 교사 단 한 사람이 너무도 급격하고 다양하게 변화되는 물결 속에 모든 것을 대처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그러나 여러 사람이 같이 변화를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보다 나은 수업을 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경주하여 그 속에서 만들어지는 아이디어와 교수-학습 자료개발에 대한 정보들을 함께 공유하여 좋은 것은 발전시키고, 문제점들을 과감하게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고 창의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는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초석이 될것이다. 개발된 자료들은 언제나 다른 교사들과 함께할 수 있도록 배려 되어야 한다. 그 속에서 교사들의 참여가 유도되어야하고, 함께 제작하고 응용해나가는 과정에서 더 나은 자료들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은 과감하고 겸허하게 수용하여 발전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6,900원
        3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의 우리 사회는 漢字敎育의 必要性에 대한 공감대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은 漢字의 道具敎科的性格이나 敎科學力向上과의 相關關係를 강조하며 한자교육의 당위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初等學校현장에서도 漢字敎育을 실시하는 학교가 증가 추세에 있다는 사실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자교육의 실상을 들여다보면 해결해야 할 문제점 또한 매우 많다. 그 중에서도 漢字指導方法에 대한 硏究가 不足한 상태에서 쓰기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한자교육은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려 교육의 역효과를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한자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活動中心의 다양한 漢字指導方法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여기에서 제시한 카드 활용법, 빙고, 색칠하기, 주사위 놀이, 스피드 퀴즈, 신문 활용법 등의 다양한 방법들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한자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누구나 별다른 준비나 어려움 없이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漢字를 指導함에 있어 반드시 명심해야할 基本原理는 目印法이다. 즉 활동을 통하여 한자를 자주 눈에 익힘으로써 자연스럽게 한자를 배워가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그동안의 한자지도가 쓰기를 지나치게 강조한데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언어생활의 실용적 가치 측면에 있어서도 읽기가 쓰기보다 훨씬 많이 쓰인다는 점을 생각하면 상당히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법상의 원리를 명확히 이해한 바탕 아래에서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 방법의 개발, 적용이야말로 점차 고조되어가고 있는 漢字敎育을 더욱 活性化시킬 수 있는 지름길이라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위에서 제시한 방법들을 漢字의 構造나 生成原理등에 대한 깊은 이해 속에서 보다 정교하고 치밀하게 다듬는다면 보다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한자지도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가 제시한 방법보다 더욱 능률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또 그러한 방식으로 묵묵히 한자지도를 수행하고 있는 많은 교사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와 교류를 통해서 보다 豐盛하고發展된 漢字指導方法들을 共有하게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初等學校에서의 효율적인 漢字指導方法들은 이론상의 탐색이 아니라 실질적 實踐의 問題이다. 꾸준한 지도의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시행착오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한자 지도방법 발전의 원동력이라 생각한다.
        6,000원
        3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현재 서울시의 소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자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에 대한 문제를 발견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設問 調査를 통한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現況을 5개의 항목으로 살펴보았고, 이에 관한 5개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의 해결책을 아울러 제시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3개항의 보완책을 제안하였다.
        5,100원
        39.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ways to facilit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sition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 Chinese characters account for over 70 percent of Korean vocabulary and their history of assimilation is so long that the speech public tend to accept the borrowed words as pure Korean. It is this reality that makes us unable to rule out the Chinese characters in teaching the vocabulary at Elementary Schools. Nevertheless, the teachers confine themselves to giving the etymological explanation or teaching the radicals and strokes, making use of the optional hours. In Chinese, every word is a free morpheme so the language is very productive. Therefore, the author emphasized the goal of getting students to acquire as many words as possibl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aspects of Chinese words as well as getting them to write the acquired words. The method proposed is helping students build up word power through the activity of finding out the words that have the same semantic element after they are taught the common characters found in the reading texts for the first semester of Fifth grade. The students are then required to write the Chinese words whose meanings are already known. At the closure of the lesson, they are told a story on some old wise phraseology to help them grow in personality. This semantically oriented instruction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has proved to be very helpful for the students` vocabulary build-up because they learn how to analyze the compounds into separate morphemes which they have already acquired. However, since the lessons for introducing the Chinese characters are not of the regular curriculum, teaching them in regular Korean classes is prohibited, but the optional hours are usually spent for other activities. Another problem is that a complete learning cannot be achieved because only reading the Chinese characters is focused on, excluding the writing exercises. Still another problem is that there are often big individual gaps found among the students the amount of whose prior exposure to Chinese characters varies. So individualized teaching for the retarded is required in some cases, but above all things teaching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A desirable literacy program should be based upon a sound analysis of our everyday life in using language in that the children`s both maximal and correct use of our language is the basis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s. In this respect, the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is nothing less than an effort to use our language optimally and systematically. Finding out an appropriate method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the second generations who will prevail in the 21st century appears to be an immediate necessity.
        6,100원
        4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ng Sejong created Korean characters so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express their thought freely in written communication. This is unique in the history of mankind, but as much of the vocabulary of our language consists of loan words from Chinese it must be confusing if we use only Korean characters because there will be no good ways for us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a great number of Chinese homonyms that we coined or borrowed. Therefore we have fostered a culture where we use bo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o minimize the possible confusion. A good look at the pres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ill tell us that simultaneous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is more or less optional, so we elementary teachers have had this option reflected on our classroom teaching. Entering a new age of simultaneous use of Chinese characters, we teachers need to know what actually happens in the classroom to teach Chinese letters and to indicate the directions for adequate teaching.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simultaneous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 levels is to help students exercise their brain, expand their thinking and know how to pick up exact words in the context, as well as inculcating good personality. No one will discount these benefits of simultaneous use of Chinese letters. Until recently, Korea has run its national system and nurtured its culture through the Chinese transcription. Therefore, passing on and developing the rich linguistic legacy will undoubtedly result in maximizing the potential of our nation. However, as the power system changed, our country`s literacy policy changed too often, which we know caused confusion. Also, in the dimension of national education, some narrow-minded policies led us to the path of localism. It is thus more than imperative that we teach both Korean and Chinese letters to our children since we live in the 21st century and in the Global Village. For the program to be successful,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awareness of the pedagogical importance by the principals and their assistants who are the managers of the education in the field as well as to the implementation by the teachers in the classroom aided by a variety of off-the-job training programs, seminars and symposiums.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 educational policy to get people to make use of Chinese characters which account for 70 percent of our day-to-day use of written language. In sum, starting from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re must be a simultaneous use of this graphic system in the Korean textbooks, which will in time instill the notion of efficiency and economy.
        6,3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