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국산재 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제시된 정책의 실현가능한 미래를 전망하였다. 연구방법은 국산재 관련 연구경험이 있는 연구자, 국산재 관련 행정부서 근무자 및 교육 분야 전문가 15명을 선정하여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산재 공급의 문제점과공급 확대를 위한 세부적인 정책을 도출하기 위하여 생산, 유통 및 소비부분으로 구분하여 설문하였으며, 도출된 정책은‘목재생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수요예측에 따른 적정 조림정책’,‘권역별 목재 수집 단지 조성’및‘공공 건축물 등의 국산재 의무사용 등의 국산재 소비촉진 정책’등 이며, 제시된 정책의 실현 가능한 미래예측은 대부분의 정책이 2021년까지 실현 가능할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였다.
        4,200원
        2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국에서 도입한 블루베리의 내한성을 평가하고, 목재수분계측기가 월동 중 블루베리 가지의 동해피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월동 중 블루베리의 가지의 고사율은 0~100%로 다양하게 나타나 품종별 내한성의 차이가 컸다. 블루베리 가지의 저온처리에 따른 TTC 검정에서 품종별 OD값은 -40℃ 〈 -21℃ 〈 4℃ 순으로 처리온도가 낮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블루베리 가지의 저온처리에 따른 가지절단면의 색의 검정은 가지고 사율에 의한 내한성과 다른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목재수분계측기에 의해 측정된 살아있는 블루베리 가지의 월동 중 최저 수분함량은 약 15%였으며, 월동 중 블루베리 가지의 위치별 수분함량은 나무 아랫부분일수록 높고 가지 끝으로 갈수록 낮았으나, 봄으로 접어들면서 가지 끝의 수분함량이 점점 높아져 20~40% 범위로 측정되었다. 월동 중 동해피해를 받은 가지는 점점 건조되어 수분함량이 5% 이하로 낮아졌다. 동해를 받은 블루베리 가지의 수분함량은 14% 수준 이하일 것으로 추정되며, 목재수분계측기가 블루베리 가지의 동해피해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3.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stern style timber roof trusses used as typical roof structures of buildings during a modern period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interactions with their facade and functionality. The shapes of trusses and member sizes have been diversely changed by the purposes of architects,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the change in the shapes of western style timber trusses along the times is one of important technology assets demonstrating the development of their structures during the modern peri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roughout parametric analysis of which parameters were determined from the collected and classified documents on western style timber roof structure built in the modern period carefully obtained from public institutions. Results of the parametric analysi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king-post trusses and modified king-post trusses built between 1920 and 1937 reaches almost half of the total number of truss types investigated. The mean values of their spans, distances, tributary areas, and height are respectively, 10.5m, 2.4m, 24.37㎡ and 3.24m. The cross-section areas of trusses tend to reduce since the city construction law was enacted in 1920. Also, this study found that western architects usually used larger structural members than eastern architects and usages and finishing materials of roof trusses are not alway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5,500원
        2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Korea, methyl bromide(MeBr) is the only registered fumigant for quarantine application in imported timbers and wood packaging materials to control foreign wood-destroying pest. Under a agreement in the Clean Air Act and the Montreal Protocol to MeBr's ozone depleting properties, the use of MeBr is now strictly restricted and phased out year by year, even though there are exemptions for QPS (Quarantine and Pre-shipment) and CUE (Critical Use Exemption). However, due to increasing of global trades and protection of agro-ecosystem in imported counties against quarantine pests, MeBr in QPS use is increasing (16,304t in 2005, approximately 8.7% increase based on 1996), and domestic consumption of MeBr is recorded up to 938t (annual average among 2003 and 2005), especially the 67% percent (628t) of total MeBr uses imported timber and wood packing materials. Since ethanedinitrile (EDN) was patented by CSIRO in Australia, BOC and Dongbu have tried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EDN as a timber fumigant. This is updated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al status of EDN, which included the biological efficacy to target pests and the penetrating aspect to target commodity in the semi-field and various field trials. Based on current results, EDN could replace MeBr for using timber fumigation and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zone layer protection.
        25.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that explication of the reading method of transcription marking, and explains what it means and where to use transcription marking of architectural vocabulary. focusing on timber class vocabulary from on SeoGwolYeongGeonDoGamUiGwe(${\ulcorner}$西闕營建都監儀軌(1831)${\lrcorner}$). This study is reviewed sequentially classifying items according to timber class, stone class, iron class architectural vocabulary. This treatise, named 'Architectural Vocabulary Study (1)', is mainly focused on making out a transcription marking of timber class vocabulary on the documents. But, because of the properties of the UiGwe(儀軌), there are some different expressions used for the same vocabulary. Therefore, the different expressions are referenced according to vocabulary used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20c century. This study lists timber class architectural vocabulary of transcription marking on SeoGwolYeongGeonDoGamUiGwe(${\ulcorner}$西闕營建都監儀軌(1831)$\lrcorner$). This study also explicates and explains the meaning of them. In advance, this study compares them with the vocabulary of national language in the middle ages and modern times. If we could explicate the transcription marking of the documents as it is, we can't only recover plenty of vocabulary related with characteristic architecture in the age of later Chosun Dynasty, but also correct wrongly used vocabulary nowadays. With the results, we can standardize and adjust vocabulary use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advance, we can correct errors of spelling and mistaken explanation in the Korean Encyclopedia.
        5,500원
        2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means of synthetic resin, is physical and chemical work. Synthetic resins are using for consolidation and restoration of decayed members. Since 1978, synthetic resin became useful pre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The first object was Chimgyeru of Songgwang-temple in Suncheon city. In the 1980s, have begun the care of materials for conservation on the architectural heritage, it was influenced according to authenticity of UNESCO Venice charter's principle, in 1964. In Korea,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means of synthetic resin that is sing many kinds of epoxies. Among the specific types of epoxies are araldite XN1023, SV427, etc. The use of synthetic resin have merits and demerits in the restoration for architectural heritage. The merit is that it is more smaller change with new members during preservation work. But the demerit is an irreversibility of the epoxy resin. In 1999, 'ICOMOS International Wood Committee' recommend contemporary materials and techniques, should be chosen and used with the greatest caution. And preservation work should reversible, as possible as technically. Therefore, should be data continous for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Because data is very important work about a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And should be try to think about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instead of synthetic resin, in the long view.
        5,500원
        2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 와 P. baumii 를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등 3가지의 기주식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무기물의 함량을 ICP 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 및 기주식물에 따라 무기물의 커다란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량 함유 무기물중 K은 두 균주 모두 가장 많은 무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참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K의 함량이 두배 정도 높았고 Ca은 뽕나무의 함량이 특히 높았다. Fe은 특히 느릅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Fe함량이 월등히 적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량 함유 무기물은 Na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하여 두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재배된 자실체의 Na 함량이 10배나 크게 함유되었다. 또한 P. linteus의 무기물 함량 특징은 극미량 원소중 Zn가 원목에 따른 함량으로 확인할수 있으며 Mn의 함량 또한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그리고 무기물만의 함량으로 P. linteus 와 P. baumii 를 구별하는데 Zn의 함량을 측정할 수는 있으나 Zn 만으로는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으나 형태적으로 P. linteus 와 P. baumii 의 자실체의 모양이 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무기물의 함량을 측정하며 P. linteus와 P. baumii 가 어떤 원목에서 재배되었는가를 판정할수 있는 자료로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4,000원
        2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미배지의 수분함량에 따른 균사체 배양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을 180㎖로 하였을 때 균사생장 길이가 101.3~108.3mm로 가장 높았다. 적정 종균 접종량을 조사한 결과 액체종균 접종량을 100㎖로 하였을 때 균사생장 길이가 95.3~107.8mm로 가장 높았다. 또한 배지량을 적게 하였을 때 균사생장이 빨리 이루어졌고 균사의 밀도도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목배지의 살균시간에 따른 오염율을 조사한 결과 살균시간 60분에서 오염율 12%로 조사되었으며, 살균시간 120분에서 오염율 1%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원목배지의 종류에 따른 균사 생장 및 자실체 형성에 관한 실험에서는 참나무와 뽕나무에서 각 Biological efficiency가 12.56%와 11.59%로 높게 조사되었다. 공시균주의 종류에 따른 자실체 형성에서는 PH-211 균주의 원목재배에서 Biological efficiency가 12.5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PH-5 균주가 11.36%로 높게 조사되었다.
        4,000원
        29.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자원의 확보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바이오 에너지분야는 최근 각광받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 중 하나이다. 바이오매스로부터 전환된 바이오 에너지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가 바이오매스의 성장에 다시 쓰이게 되므로 탄소 중립적이며 바이오매스의 경작, 재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생산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바이오매스는 증기 또는 산소를 산화제로 가스화하여 공기에 비해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합성가스(syn-gas) 생산이 가능하고 적절한 정제 및 조성제어 공정을 거쳐 합성천연가스, FT 디젤, 메탄올, 수소 등의 고부가 합성 연료 생산에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밀도가 낮기 때문에 가스화 플랜트와 바이오매스 생산지역이 원거리일 경우 높은 운송비용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닌다. 이러한 단점 극복을 위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지에 급속열분해 플랜트를 건설하여 에너지밀도가 높은 바이오오일을 생산하고 가스화 플랜트로 이송하여 가스화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바이오오일 가스화가 바이오매스 직접 가스화에 비하여 TCI(total capital investment)가 낮아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합성가스 내 타르 농도가 낮고 수소 및 일산화탄소의 수율이 높아 고품질 합성가스의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산재 유래 바이오오일 가스화를 위한 기초실험으로 바이오오일의 가스화 kinetics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바이오오일 시료의 무게감량을 승온 속도에 따라 측정하여 kinetics 인자들(평균반응속도, 활성화에너지)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반응차수를 계산하였다.
        30.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석유연료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탄소 중립적이며 잠재량이 풍부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는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 연구가 친환경 대체에너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목재 수요의 증가로 인해 폐목재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나 신재생에너지 중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약 10%일정도로 생산 측면에서의 활용은 상당히 빈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 유렵과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 및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는 열화학적 변환 공정 중 하나인 급속열분해 공정을 채택하였다. 급속열분해 공정은 무산소 조건에서 400~600℃의 반응온도로 간접 가열하여 바이오매스를 열적으로 분해하는 공정으로서, 2초 내외의 짧은 체류시간으로 에너지밀도가 높은 액상 생성물인 바이오오일의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원뿔형 분사층 반응기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기포 유동층에 비하여 바이오매스 입자와 유동매질 간 열 및 물질전달 속도가 높고, 비교적 큰 시료 입자도 열분해 가능하기 때문에 입자 분쇄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내부에 분산판이 없어 압력강하량이 적은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 운전 조건이 열분해 생성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폐목재의 급속열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폐목재의 급속열분해 실험은 반응온도와 질소유량 그리고 시료의 투입속도 등 원뿔형 분사층 반응기 내부의 운전조건 변화를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생산된 액상 생성물인 바이오 오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열분해 조건에 따른 급속열분해 특성을 고찰하였다.
        3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alyzed of the correlation UPV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tructural timber. As a result, increased of UPV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Though more experiments, judgment to be possible to estimat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tructural timber with UPV
        33.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재 건조의 용이성 및 품질확보, 2차 보존처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초고주파를 이용한 캐나다산 직수입 미송의 가열 건조 특성은 다음과 같다. 초고주파 조사 후 목재 내부 온도변화 곡선을 분석한 결과 원주목은 3kW 30분 및 120분 가열 할 경우, 판목은 4kW 3분 및 9분 가열 시 안정적인 열분포와 소비 열량, 표면 함수분포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고주파 가열에 따른 표면 함수분포는 매우 균일한 Leveling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함수 감소율도 중량대비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건조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 열량 분석 결과에 따라 2차 액상 보존처리를 위한 침지 시 대량의 보존처리제 침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므로, 초고주파 가열 목재는 빠른 함수감소 및 건조 특성과 많은 열량의 소비가 가능하여 산업재로의 사용 및 2차 응용제품 개발에 우수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3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as increasing interests in Korean-style house, the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olicy that encourage constructing Korea-style house fabricated timber though the improvement of the related law and administration system. Also, the perception for historic preservation has been increased in respond to heightened interest. In this paper, External bond and Near surface mounted was used as the way to reinforce timber structure’s durability. bond strength for specimens with different bond length was investigated.
        3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ood a 3 ㎾, woodblock 4 ㎾ the most stable when heated to an internal temperature showed a rising curve of wood pyrolysis temperature of 100 ℃ and 200 ℃ critical period of time until the temperature rise was moderate compared to the other output. This wood is 3 ㎾, woodblock after heating the liquid preserved at 4 ㎾ more appropriate level drug penetration is expected to be able to be done smoothly.
        36.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ase of cultural properties, each member has a cultural value and replacing of damaged wood is not easy. In addition, state of our country research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of timber are still incomplete. since 2008, research of the reinforcement method using CFRP plate has started. in this study, experiment for the adhesion strength along attachment length of surface bonded and NSM using CFRP plate. As a result, the adhesive strength is increased depend on increased of the adhesion area, measured the change of intensity according to the species of the wood.
        3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을 위해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내용은 인적요소, 시설적요소, 주변환경적요소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안전의식조사를 토대로 향후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에 대한 기초 결과를 제시했다.
        38.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을 위해 전국에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159개소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재 안전관리를 인적측면, 안전관리적 측면, 시설적 측면, 주변환경적 측면으로 종합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 문화재 안전관리 현황 및 정책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요목조문화재의 향후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에 대한 기초 결과를 제시했다.
        39.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을 위해 문화재 안전 관리자를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재 안전관리를 위해 직접 현장에서 실무종사를 하고 있는 안전관리자의 의식조사를 인적요소, 안전관리적요소, 시설적요소, 주변환경적요소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현 문화재 안전관리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에 대한 기초 결과를 제시하였다.
        40.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임목연료 조건에 따른 산불피해특성을 분석하고자 2009년 이후 산불이 발생했던 강릉, 양양, 고성, 삼척,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유령림이 장령림보다 산불피해에 약하고, 활엽수는 침엽수보다 산불에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수고와 지하고가 높을수록 산불피해를 적게 입는 경향이 있으며 흉고직경이 크고 임목밀도가 낮을수록 산불피해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