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account for 70% of table grape in Korea and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s one of a major disease in greenhouse and field grown area during late summer season in both of organic and conventional grape farm. Leaf spot disease can cause lowing of sugar content in fruit and vine growth and very difficult to control especially in organic field. Photosynthesis ability and chemical components are compared between leaf spot disease infected leaves with degree of necrotic area. With increase of disease necrotic area, CO2 differential value, water use efficiency and CO2 assimilation and respiration ratio are decreased proportionally and on the other hand, stomatal conductance value is not affected by disease necrotic area. Chlorophyll contents are also decreased by 50% in heavily infected leaves and imply decrease of chlorophyll contents is a major source of photosynthesis ability decline. With increase of disease necrotic area in leaves, total nitrogen and phosphate contents are decreased and on the other side, total carbon,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are increased. From this research, we can infer that not only chemical control program is important in control of leaf spot disease but also fertilizing program is significant especially in organic agronomical control of fungal disease in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2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weed control on disease incidence, plant growth and fruit quality, and to provide effective method to farmers at the vineyard. At the raincoat greenhouse cultivating ‘Campbell Early’, several weed controlling methods were compared to the control. Mean temperature of plots between soil covering (C.B., W.F., S.N., P.F. and R.H.) and non soil covering (M.W.2, M.W.3 and U.T.) were similar with 26.2℃ (July) and 25.8℃ (Aug.), but humidity of soil covering was sharply decreased in late-July under 40%. Soil water were all higher in soil covering plots than that of non-soil covering, however, soil temperature was recorded lower in soil covering plots. Disease incidence of Peudocercospora vitis according to soil coverings had effect on black plastic film mulching by decreasing grapevine leaf spot to 85% in July, 69% in August, compared to the control, with showing the smallest lesion incidence in FMB. Among growth characters, internode length and internode width of black plastic film mulch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SPAD value of black plastic film mulching was recorded the highest. It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treatments, but brix was recorded highly in black plastic film mulching with 14~15°Brix.
        2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무농약 산머루 즙의 양을 각각 50 g, 100 g, 150 g, 200 g 수준으로 다르게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색도, 당도, 기계적 조직감,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무농약 산머루 양갱의 색도는 명도(L)값과 황색도(b)값이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반대로 적색도(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대조군이 2.31 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점차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기계적 조직감은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 등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색, 향, 맛 등의 전체적 선호도에서 무농약 산머루 즙 150 g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2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ight regulators of fruit set initiation, gibberellin (GA) and auxin, have been applied for decades to induce parthenocarpy, fruit set without fertilization. The integration of GA and auxin signaling mediated by either GA or auxin application during parthenocarpy has been actively reported in tomato, and recently we reported that GA application at pre-bloom also activating auxin signaling and down-regulated negative regulators of fruit set initiation in grapevines. However, the activation of auxin signaling upon GA application without up-regulation of auxin biosynthesis is still unclear. In this study, expression patterns of three auxin efflux transporter genes, VvPIN1a, VvPIN2 and VvPIN4, were monitored during inflorescence development in ‘Tamnara’ grapevines with or without GA application. Without GA application, transcription levels of VvPIN1a and VvPIN4 gradually increased from 14 days before full bloom (DBF) to 2 and 5 days after full bloom (DAF), respectively, except down-regulation of VvPIN1a during 5 DBF to full bloom. However, VvPIN2 expression declined steadily after peaking at 10 DBF. With GA application, VvPIN1a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when compared to no GA application, with the exception of 4-fold up-regulation at full bloom, but transcription of VvPIN4 was reduced between 5 and 2 DBF. In addition, VvPIN2 was down-regulated between 12 and 10 DBF by more than 50% compared to levels in the absence of GA application. These reductions of both VvPIN2 and VvPIN4 with GA application prior to pollination suggest that GA application might regulate auxin distribution, instead of auxin biosynthesis, to activating auxin signaling during parthenocarpic fruit initiation.
        27.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 ethanol extract (SSB) of a mixture of three medicinal plants of Vitisamurensis, Aralia cordata, and Glycyrrhizae radix for possible neuroprotective effects on neurotoxicity induced byAmyloid β protein (Aβ) (25-35)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and antidementia activity in mice. Exposure of cultured cor-tical neurons to 15μM Aβ (25-35) for 36h 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At 1-30㎍/㎖, SSB inhibited neuronal death,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²+]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Aβ(25-35) in cultured cortical neurons. Memory impairment and increase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duced by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mice with 16nmol Aβ (25-35) was inhibited by chronic treatment with SSB (25, 50 and100㎎/㎏, p.o., for 8 day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ntidementia effect of SSB is due to its neuroprotectiveeffect against Aβ (25-35)-induced neurotoxicity and that SSB may have a therapeutic role in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Alzheimer’s disease.
        28.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신품종 ‘옥랑’은 ‘세리단’을 모본으로 하고 ‘캠벨얼리’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2002년도에 우수 계통을 선발한 후 2003년부터 2009년까지 7년간 ‘포연-3호’의 계통명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09년도에 최종 선발하였다. 옥천지역에서 발아기는 4월 17일, 만개기는 5월 29일, 성숙기는 8월 30일로 ‘세리단’ 품종에 비하여 40일 정도 빠른 조생종으로 수세는 약~중간 정도이며 성엽 앞면의 주맥상의 안토시아닌의 함량도 중간 정도이다. 과실의 평균 과방중은 300 g, 과립중은 3.4 g이며 당도는 16.9 °Bx 로 대조품종에 비하여 조금 높은 수준이다. 과피색은 흑색이며 풍부한 여우향을 나타내며, 화진 현상이 적어 착립율이 우수하다. 또한 포도주 제조시 와인의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0.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대목 품종 육성 시, 주요 교배친으로 사용되는 대목 품종 29점 및 국내 자생 머루를 포함한 포도 속(Vitis) 야생 유전자원 13점 등 총 42점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APD와 SSR 분석을 수행하였다. Random decamer 30 종을 분석하여 329개의 다형성 밴드(60.3%)를 얻었으며 primer 당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11.0개였다. SSR 마커 20종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63개의 대립인자가 확인되었고, 마커
        31.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머루의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환류 냉각 추출공정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산머루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을 실시하여 반응표면 분석에 의해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추출 온도(), 추출 농도(), 추출 시간()을 독립변수로 하고 추출물의 특성 즉, 추출 수율(), 총 페놀(), 전자공여능(), 갈색도(), 환원당()을 종속변수로 하여 추출
        32.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자선 조사에 따른 캠벨얼리 포도의 휘발성 유기성분의 조성과 저장 후(0, 30일)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캠벨얼리 포도에 0.25, 0.5, 0.75 및 1 kGy의 선량으로 전자선 조사한 후 SDE 방법으로 휘발성 유기성분을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였다. 포도와 전자선 조사된 포도의 주요 화합물로는 butanol, hexanal, [E]-2-hexenal, hexanol, 3-methyl-butanol 등이 동정되었으며
        3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29개 포도 품종(Vitis spp.)의 효율적 유전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포도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60개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558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획득된 다형성 밴드를 사용하여 UPGMA(unweighted pair-group method arithmetic average) clustering 분석 결과
        35.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itis amurensis (VA; Vitaceae) has long been used in oriental herbal medicine. It has been reported that roots and seeds of VA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stems and leaves of VA on hydrogen peroxide (H2O2) (100 μm)-induced neuronal cell damage was examined in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VA (10-100 μg/ml)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ed H2O2-induced apoptotic neuronal cell death measur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Hoechst 33342 staining. VA inhibited H2O2-induced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Ca2+]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were measured by fluorescent dyes. Pretreatment of VA also preven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0 μm H2O2, which was measured by HPLC.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 showed a neuroprotective effect on H2O2-induced neuronal cell death by interfering with H2O2-induced elevation of [Ca2+]i, glutamate release, and ROS generation. This has a significant meaning of finding a new pharmacological activity of stems and leaves of VA in the CNS.
        36.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ld grapes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use and alcoholic beverage production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ntioxidant properties in Sae-muru by far infrared ray (FIR) treatment, with expecting potential benefits of FIR treatment for wild grape product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es. FIR treatment in berries induced increased content of catechin,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gallic acid, rutin, ellagic acid, and resveratrol, while content of epi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was decreased. Although FIR treatment resulted either increased or decreased chemical component groups, presenting in HPLC chromatograms, antioxidant activity in Sae-muru extrac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FIR treatment. Our results suggest that FIR treatment should be an efficient process in the production of high content of bioactive molecules in Sae-muru.
        38.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 일원에서 수집된 왕머루 (GW-22, GW-45, GW-56, GW-200, GW-202, GW-300)의 화형에 따른 화분 특성 및 포도와 교배친화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각각의 꽃 구조와 화분발아능력, 화분 형태, 화분크기 및 포도와 교배화합성을 조사하였다. GW-22와 GW-56의 꽃은 암술이 퇴화하고, 5개의 수술대가 곧은 직선이었다. 이들 각각의 계통은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27.6~29.8%였다. GW-45, GW-200, GW-202, GW-300의 꽃은 잘 발달된 암술과 5개의 수술대가 바깥쪽으로 말린 형태였다. 이들 계통은 모두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0%였다. 이들 계통은 자가수분된 머루에서는 과립과 종자를 얻을 수 없었다. 머루간의 상호교배에서는 착과율이 14.1~45.4%였다. 따라서 왕머루의 꽃 형태는 Vitis종의 자웅이주식물이다. 암머루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 종자를 형성하였고, 포도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종자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암머루와 암머루의 교배시 종자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머루는 포도와 상호교배친화성이 있으며, 왕머루계통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39.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에서 수집되어진 왕머루를 관능평가와 기능성물질 분석을 통해 우량한 개체를 선발하였고, 선발되어진 왕머루를 통해서 생육과 과실특성을 검정하였다. 왕머루의 생육특성을 검정하기 위한 실험은 재배품종인 ‘캠벨얼리’와 ‘거봉’과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왕머루의 만개기와 착색기는 실험에 이용되어진 재배품종들에 비해서 빨랐으나 수확기에 있어서는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재배적 특성에 있어서 재배품종과 야생머루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았다. 신초생장 양상을 통하여 평가되어진 생장곡선은 재배품종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머루의 과실 비대는 착과이후 3~4일 경에 급속도로 신장하다가, 신초가 생장하는 시기에 신장이 느려졌으며, 두 번째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부터 재배기까지 과실의 크기에 있어 대략 2배가량 신장하여 왕머루의 과실 발달은 두 번의 정지기를 가지는 이중생육곡선으로 구분되었다. 왕머루의 과실의 크기와 가용성당 함량은 수령에 따라 증가한 반면, 산도와 총 당함량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육이 안정화되고 계통의 특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능성 물질의 검정에서 야생머루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16.6에서 50.2mg/100g로,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0.143에서 0.236μg/100 g으로 재배품종들에 비해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집되어진 왕머루의 과실과 생육특성을 검정한 결과에서 야생머루는 일반재배품종들보다 유용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왕머루의 다른 식품학적인 요소들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40.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포도 거봉종의 종자와 과피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 독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온도를 달리하여 추출한 종자와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과 추출물에 대한 분획물들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의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종자 및 과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물의 감소효과가 증가하였다. 종자 추출물의 경우, 3에서 추출한 에탄올추출물이 20 /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