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5

        25.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elating agents like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DTPA), and nitrilotriacetic acid (NTA) find extensive application in the removal of residual substances due to their high stability constants with a wide range of metal ions. They also play a crucial role in nuclear decontamination operations aimed at eliminating metallic radionuclides such as 60Co, 90Sr, and 239Pu. However, improper disposal of chelated radioactive waste can lead to significant increases in radionuclide migration rates from disposal site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comprehend the behavior of chelating agents under varying conditions, including pH, temperature, and metal ion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results of a pH-dependent composition analysis of nickel-chelate complexes using UV-Vis spectrophotometry. Nickel (Ni) serves as an ideal metal ion for investigating its interactions with chelating agents due to its solubility over a wide pH range and high stability constants with all three chelating agents mentioned earlier. Initially, UV-Vis spectra of Ni-EDTA, Ni-DTPA, and Ni-NTA complexes were recorded at various pH levels. We assigned absorption maxima and compared our findings with existing literature on each Ni-chelate complex. Furthermore, we examined mixed samples of all three complexes, varying the pH to monitor changes in composition.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will be presented in our poster presentation.
        26.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as carbon-neutral energy source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worldwide, SMRs (Small Modular Reactors), which offer significantly enhanced safety, versatility, and mobi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nuclear reactors, are gaining attention as a viable alternative. SMR generally refers to small modular reactors with a power output of 300 MWe or less. Unlike conventional reactors, SMRs are characterized by an all-in-one design where peripheral systems and equipment are all integrated into the reactor itself, leading to enhanced reliability and durability. Additionally, the nuclear fuel reloading cycle is significantly extended compared to traditional reactors, resulting in a substantial reduction in maintenance difficulty and costs. Researchers have taken note of these characteristics of SMRs, particularly the extended fuel reloading cycle. Therefore, we have initiated the initial design of an ultra-small Micro Modular Reactor with an electricity generation capacity of 10 MWe and a fuel cycle of up to 55 years, with the goal of using it as a propulsion power source for various transportation modes, especially ships. Our design of MMR, called ‘ARA,’ is primarily distinguished by its use of U233 and Th232 fuels instead of conventional UO2 fuel. Due to various features of ‘ARA,’ including different fuel compositions, ARA is predicted to exhibit several characteristic features compared to conventional PWRs. In this study, among these characteristics, we focused on predicting changes in material composition within the fuel rod during the extended cycle operation of high-enriched fuel, rather than short-cycle operation using low-enriched fuel, unlike conventional reactors.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behavior of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used in the fuel cycle of the MMR, which utilizes U233 and Th232 fuels instead of UO2.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in the spent nuclear fuel disposal process, many different trials were made to minimize the fission products of ARA, which differs from conventional reactors in terms of fuel type, size, and fuel cycle, in relation to waste generation.
        27.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tential use of cost-effective carbon anodes, as an alternative to expensive platinum, in the reduction of oxides within LiCl-Li2O molten salt at elevated cell potentials presents a promising avenue. However, this elevated potential gives rise to the generation of a complex mixture of anodic gases, including hazardous and corrosive species such as chlorine (Cl2), oxygen (O2), carbon monoxide (CO), and carbon dioxide (C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pplied potential and salt composit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generated gas mixture. Real-time gas analysis was conducted during the TiO reduction reaction in the molten salt at 650°C using a MAX-300-LG gas analyzer. Simultaneously, electronic signals, including current, potential, and salt composition, were monitored throughout the oxide reduction process. Additionally, XRD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resulting products.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optimizing carbon anode-based reduction processes for improved efficiency and safety.
        28.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세전류자극이 비만인의 체성분과 혈중지질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복합운동의 효과와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체형 관리 방안으로서 미세전류자극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 다. 체지방율 30% 이상인 여대생 30명을 통제집단, 복합운동집단, 미세전류자극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집단 별 4주간의 처치 전후 체중, 체지방율, 허리 둘레 등의 체성분 요인과 TG, TC, apolipoprotein 등의 혈중지질성분을 측정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제집단에서는 모든 측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복합운동 집단에서는 허리둘레와 TC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고, 미세전류자극 집단에서는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apolipoprotein 등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미세전류 자극은 비만인의 체성분과 혈중지질성분을 개선 시켜 건강한 신체를 갖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중재 방안으로 제안할 수 있다.
        4,300원
        2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엽활엽수종인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a) 잎의 흡음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잎을 주재료로 하여 재료의 크기와 두께 및 건조 조건을 달리해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중간형 측정관(100㎐-3200㎐)을 적용한 관내법(Impedance tube method)을 이용하여 흡음율을 측정하였 다. 총 18개의 조건에서 측정된 흡음율을 분석하였다. 기건엽 조건(MC 13.92%)과 생엽 조건(MC 162.04%)의 흡음율은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향상되었다. 흡음율은 밀도의 증가에 비례하는데, 부피당 밀도가 더 높은 생엽조건의 두께별 흡음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생엽 조건군에서 크기 0.5 × 0.5㎠의 2.50㎝ 두께에서 평균 흡음율은 0.6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시험처리 조건별 흡음재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율은 기건엽 조건의 두께 1.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전반적인 흡음율은 1000㎐ 이상의 대역에서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4,000원
        30.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ak-seong Lee Family's Geun-jae-gong Historic House located in Seok-cheon-ri, Ung-chon-myeon, Ulju-gun, Ulsan. The house is said to have been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after it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and now there are nine buildings left, including the An-chae, Sa-rang-chae, Sa-dang, storehouses and etc. This house is a large-scale house that is difficult to find similar cases in near region. The division of areas on each building is clear, and it is evaluated that it ret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d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rms of its overall size and layout. In addition, the current wooden structure, which is said to have been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s the composition method and space utilization method of the 3-Dori type upper structure, which have become more diverse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has not been dealt with in the previous survey, and should be considered in detail through this paper.
        4,000원
        3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림 내 나방류 곤충의 분포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산림면적은 634만 ha로 국토의 약 63.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소나무림의 면적은 총 156만 ha로 산림면적의 25.9%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 수종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주요 소나무림의 나방류 조사를 위해 지형특성별로 동해안 산림, 내륙지대 및 해안지대로 먼저 구분하였고, 이들 지역 중 소나무림 19개소를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여 2021년 4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Moonlander Moth Trap과 버킷식 유아등 트랩을 이용하여 나방류를 채집하 였고, 본 연구에서 확보된 연구재료 이외에도 과거에 소나무림에서 채집된 한남대학교 동물분류학연구실 소장 나방류 표본을 포함하였다. 조사 결과, 총 32과 407속 589종의 나방류 곤충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소나무를 섭식 하는 등 소나무류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나방류는 총 10과 26속 30종으로 파악되었다.
        3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코드린나방은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실류를 비롯한 다양한 작물의 해충으로써, 국내에서는 검역 대상으로 금지해충에 속해있다. 코드린나방이 속한 잎말이나방의 유충은 과실 속으로 파고 들어가 살기 때문에 살충제로 방제하기가 어려운 해충이다. 따라서 철저한 수입식물 검역과 예찰을 통해 국내로의 유입을 막는 것이 최선이다. 현재 잎말이나방류에 대한 예찰용 페로몬트랩이 사용되고 있지만 개별 종에 대한 표적 예찰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드린나방의 성페로몬을 이용한 유인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현재 상용화되어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유인제의 조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전세계적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4종류의 코드린나방 루어를 GC-MS/MS를 이용하여 물질의 종류와 구성비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코드린나방의 최적 예찰을 위한 성페로몬 유인제 선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3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oraging behavior of honey bees can be attributed to the nutritional incentives they gain from their activities. Nevertheless, a persistent question has revolved around how the nutritional composition undergoes alterations during the process of converting pollen into bee bread. We embarked on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nutritional shifts, spanning from fresh pollen to bee-pollen, pollen patties, and bee bread. Our research findings unveiled that pollen exhibited notably higher levels of individual amino acids, resulting in significantly elevated overall amino acid content compared to bee-collected pollen. While we provided pollen patty to the honey bee colony, initially, during the first 3 to 7 days, there were no substantial discrepancies in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between bee bread and the pollen patty. Intriguingly, unlike most amino acids, we detected a distinct pattern of higher proline content in bee bread compared to bee-pollen or the pollen patty. This shift in amino acid composition likely stems from the incorporation of nectar and other secretions during the bee bread-making process. Moreover, over a span of approximately 14 days within hive conditions, the amino acid content in bee bread increased. Conversely, in terms of fatty acid contents, they were found to be lower in bee bread than those in the pollen patty, with no significant temporal differences observed. Regarding mineral content, bee bread, in general, contained fewer minerals than bee pollen and pollen patties. In conclusion, the transformation of pollen into bee bread involves dynamic alterations in nutrient contents, influenced by both intrinsic bee-related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within the hive environment.
        35.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화조화 역사에 있어 명대(明代)는 중요한 전환기에 속 한다. 이 시기의 화조화는 송·원시대 화조화의 정수를 계승하고 있을 뿐 아니라, 또 다른 화조화의 상태와 기법을 보여준다. 려 기(呂紀)는 명나라 원체(院體) 궁정 화조화를 대표하는 사람 중 한 사람이다. 그의 화조화 양상은 다양하며 색체가 화려하고, 구도가 교묘하여 당시 궁정 귀족들의 사랑을 받았다. 려기 화 조화의 많은 장점 중에서도 구도적 특색이 가장 두드러진다. 중국 화조화 역사에 있어 명대(明代)는 중요한 전환기에 속한 다. 이 시기의 화조화는 송·원시대 화조화의 정수를 계승하고 있을 뿐 아니라, 또 다른 화조화의 상태와 기법을 보여준다. 려 기(呂紀)는 명나라 원체(院體) 궁정 화조화를 대표하는 사람 중 한 사람이다. 그의 화조화 양상은 다양하며 색체가 화려하고, 구도가 교묘하여 당시 궁정 귀족들의 사랑을 받았다. 려기 화 조화의 많은 장점 중에서도 구도적 특색이 가장 두드러진다. 려기 화조화의 구도는 화조(花鳥)를 주체로 하는 전경식 화조 구도와 산수(山水)를 주체로 하는 전경식 화조 구도로 나눌 수 있다. 그의 화조화 구도는 변경소(邊景昭), 임량(林良)의 화조화 구도의 특징을 계승하여 거폭의 전경식 화조화를 독창적으로 창작해냈다. 또한 이러한 전경식 화조화 구도에는 마원(馬遠)과 하규(夏圭)의 산수화의 변각식(邊角式) 구도 및 ‘삼원법(三遠 法)’의 구도 요소가 녹아 들어 있다. 전체적인 화면은 구성과 점, 선, 면의 처리에 있어, 동시대의 선배들을 뛰어넘어 더욱 풍부한 층차감을 띄고 있다. 이러한 구도적 특색은 이후 화조 화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5,800원
        36.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와첩 구성경관에 관한 이론정립과 와첩 관련 경관의 설계와 연출 근거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하남성 신양시 향촌경관을 사례로 SBE-SD법을 결합하여 와첩 경관에 대 한 경관미를 평가하고 선호요인을 규명한 것이다. 연구결과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 인 구통계학적 특성에 관계없이 일관적인 심미성을 보였지만 거주지 속성에는 차이를 보였다. 예술과 문화가치는 와첩 구성경관의 경관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에 평면구성 및 색채구성의 복잡도 는 오히려 경관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선호요인 을 추적한 결과 지역의 장소성 구현이 와첩 경관 연출의 우선적 고려사항임이 밝혀졌다. 또한 주변 경 관요소에 부합되는 척도 구성은 와첩 구성경관에 대한 결정적 선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와 첩 구성경관이 대부분 근경의 경관요소로 작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와(瓦) 자체의 질감은 긍정적 선 호요인으로 드러났으나 색채의 풍부도나 다양한 색상의 경관 연출은 경관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800원
        37.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poxy-based composites find extensive application in electronic packaging due to their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insulation properties. However, conventional epoxy-based polymers exhibit limitations in terms of thermal properties and insulation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develop epoxy-based siloxane/silica composites that enhance the thermal, mechanical, and insulating properties of epoxy resins. This is achieved by employing a sol–gelsynthesized siloxane hybrid and spherical fused silica particles. Herein, we fabricate two types of epoxy-based siloxane/ silica composites with different siloxane molecular structures (branched and linear siloxane networks) and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ir properties for different compositions (with or without silica particles) and siloxane structures. The presence of a branched siloxane structure results in hardness and low insulating properties, while a linear siloxane structure yields softness and highly insulating properties. Both types of epoxy-based siloxane/silica composites exhibit high thermal stability and low thermal expansion. These properties are considerably improved by incorporating silica particles. We expect that our developed epoxy-based composites to hold significant potential as advanced electronic packaging materials, offering high-performance and robustness.
        4,000원
        38.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 국립공원 내 구상나무림의 종조성과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상나무 자생지역에 약 400㎡ 면적의 조사구 49개소를 설정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과 표조작법을 병용하여 군집 분류를 실시했다. 그 후 군집 유형별 중요치를 활용한 종조성 분석, 종다양도 분석, 흉고직경급 분석, 치수 분석 및 유사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군집 분류 결과, 지리산의 구상나무림은 A, B, C, D, E 등 총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관중-함박꽃나무-조릿대와 미역취-사스래나무-실새풀에 의하여 2개의 군집으로 구분되며, 전자는 층층나무-산수국에 의하여 A, B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후자는 마가목-진달래 군집과 전형군집인 E 유형으로 구분되고, 가문비나무-곰취와 단풍취에 의하여 C, D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식생 분석을 통해 지리산 구상나무림은 구상나무,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쇠물푸레나무, 사스래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도의 경우 선행 연구에서 나타난 지리산 구상나무림의 종다양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전 층위에서 구상나무가 우점하며 치수 생장도 양호하여 당분간 구상나무의 우점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하나, 추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생물다양성의 가치와 기후변화로 인한 위협을 고려하였을 때,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각종 위협에 대응하는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가 요구된다.
        4,600원
        39.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abundance of Metapenaeus joyneri resources with high commercial value was recently confirmed in the outer waters of Gomso Bay, located between Buan-gun and Gochang-gun, Jeollabuk-do, Metapenaeus joyneri resources have not been efficiently utilized due to the absence of fishing gears and methods for a selective Metapenaeus joyneri captu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dopted shrimp dredge as a trial fishing gear for the Metapenaeus joyneri capture, and analyz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luster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organisms caught by the shrimp dredge, from May to September 2021 at the coastal waters of Gochang-gun, Jeollabuk-do.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28 types of marine species of 29,190 individuals and 250,136 g of total biomass were caught. Among them, the population of Metapenaeus joyneri, the target species, dominated by 80.7%, followed by Thrysa chefuensis with 7.1%, and Leiognathus nuchalis with 6.0%, confirming that the fishing ratio of Metapenaeus joyneri was the highest among all species.
        4,000원
        40.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bycatch status of fishes by fyke net between June and November 2020 in Asanho lake and Chungjuho lake.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catches in Asanho lake were identified as 2,931 individuals of 16 species from a total of six families and in Chungjuho lake were identified as 1,645 individuals of 14 species from a total of eight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in Asanho lake was Erythroculter erythropterus which accounted for 59.6% of the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40.5% of the total biomass caught. The dominant species in Chungjuho lake was Lepomis macrochirus which accounted for 48.2% of the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Erythroculter erythropterus which accounted for 60.2% of the total biomass caught. The bycatch rates of non-commercial species in Asanho lake and Chungjuho lake were 77.0% and 82.6%,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total length of Carassius auratus and Siniperca scherzeri, which were the dominant species among commercial species, the bycatch rate of small individuals was 87.1%, and 42.7%, respectivel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