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

        2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생종 벼 품종인 오대, 운광과 HR28021-AC16 계통에 대한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분석과 K1과 K3a 균계를 접종한 후에 수량 및 품질 관련 형질들의 변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오대는 저항성 유전자를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광은 Xa3 유전자를, HR28021-AC16은 Xa21 유전자를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대는 K1과 K3a 균계 모두에 이병성을 보였고, 운광은 K1에는 저항성을 K3a에는 이병성을보였다. HR28021-AC16은 K1 균계에는 이병성을 나타냈고K3a 균계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균계접종에 의한 이병성 정도와 2차 감염 정도로 볼 때, K3a 균계가 K1 균계에 비해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K1과 K3a 균계 접종에따른 생산력검정시험에서 균계 처리와 반응에 의해 변이가발생한 형질들 중에 등숙률, 정현비율, 현미수량과 완전미도정수율은 서로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들 형질들과 현미 및 백미 단백질 함량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사미는 등숙률 및 완전미도정수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성분분석에서 주성분 1을 기준으로 등숙률, 정현비율,현미수량 및 완전미도정수율과 사미, 현미 및 백미 단백질 함량이 다른 방향성을 나타냈고, 주성분 2를 기준으로는 등숙률과 사미가 다른 방향성을 나타냈다. Xa21 유전자를 가지고있는 HR28021-AC16은 K3a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K1 균계 접종구에서는 등숙률, 정현비율, 현미수량 및 완전미도정수율은 감소하였고 사미는 증가하는 등 이병성 반응을나타냈다. Xa21 유전자는 최근 큰 피해를 주는 K3a 균계에대해 강한 저항성을 보이나, 우리나라 우점 균계인 K1에 이병성을 보이기 때문에 K1 균계에 저항성인 다른 유전자와의집적을 통한 활용이 안정적인 저항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2.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terosis describes the increased performance of F1 hybrid plants in terms of increased biomass, yield, vegetative growth rate, and tolerance against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s compared with their inbred parents. Two sets of rice materials, 166 RI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 23 (Korean indica-type rice) and Tong 88-7 (japonica Rice), and BC1F1 hybrids derived from crosses between the RILs and the female parent, Milyang 23, were produced to identify QTLs for heterosis of yield and yield-related traits. The QTLs were detected from three different phenotype data sets including the RILs, BC1F1 hybrids, and mid-parental heterosis data set. A total of 57 QTLs were identified for nine traits. Of eight QTLs detected for yield heterosis, five overlapped with other heterosis QTLs for yield-related traits such as spikelet number per panicle, days to heading, and spikelet fertility. Four QTLs for yield heterosis, gy1.1, py6, gy10, and py11, were newly identifi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total of 17 EpQTLs for yield heterosis that explain 21.4 ~ 59.0 % of total phenotypic variation, indicating that epistatic interactio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heterosis.
        23.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Sangan”(Arachis hypogaea ssp. fastigiata L.) showed the highest yielding of Korean varieties was developed at the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in Milyang in 2011. This was developed from the crossing line between cultivar “Palkwang” with high quality and “local collection” with short stem. “Sangan” which is Shinpung plant type has 44cm of main stem length and 10 branch number per plant.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long ellipse shape of brown testa and yield components is composed of 40 mature pods of per plant, 96g of 100-seed weight, 79% of pod shelling ratio in the regional yield trials(RYT). Seed quality showed 48.5% of crude oil and 29.1% of protein content. This variety also showed more resistant to early leaf spot and web blotch, compared with check variety, Daekwan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Sangan” outyielded check variety by 15% with 4.87 MT/ha for kernel.
        2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imate warming has the potential to deteriorate grain yield and quality of rice (Oryza sativa L.), offsetting the stimulative effects of elevating CO2. To know how the change in sink-source balances by reducing sink-size (RSS) may affect grain yield and quality of rice grown under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we conducted a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experiment with/without CO2 fumigation systems which were established in paddy field. Rice crops (cv. Ilmybyeo) were exposed to either ambient (396ppmV) or elevated CO2 of 673ppmV in three levels of air temperature [(Ta), local ambient Ta (24.8℃), 1.3℃ and 2.4℃ above ambient Ta] over whole seasons. Thus, the experiment was a 2×3 factorial design with three replicate plots of each CO2×Ta combination. At flowering, for two hills from each combination treatment total thirty (10 per each top, middle and basal parts of panicle) spikelets per panicle were removed with order of panicle appearance by scissors. This corresponded to a 25% reduction of total sink-size per hill. In ambient Ta and CO2 , grain yield decreased with RSS by 23.4%, approximately mirroring the reduced sink-size. With rising Ta, however, the yield reduction by RSS was significantly mitigated (-5.6% in 1.3℃ above ambient Ta), and the yield rather increased with RSS by 9.3% in 2.4℃ above ambient Ta. This was due primarily to the increased single grain mass with RSS. A similar response fashion of grain mass and yield with RSS to Ta was found in elevated CO2, but not CO2×Ta interaction. For brown rice, the fraction of normal rice was linearly reduced with rising Ta, ranging from 78.5~79.2% in local ambient Ta to 48.2~55.5% in 2.4℃ above ambient Ta over CO2 treatments. However, this deteriorative effect of rising Ta was significantly alleviated with RSS; the fractions of normal rice were a 81.9~84.1%, 75.9~77.2% and 64.0~66.3% in local ambient Ta, 1.3℃ and 2.4℃ above ambient Ta, respectively. The alleviative effect of RSS on rice quality was due mainly to the reduced immature rice, and was more conspicuous as Ta ri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rrent rice cultivars in Korea, at least cultivars tested in this experiment, will likely to be prone to source-limitation in the future projected warming with elevating CO2, and thereby will be needed a cultivar having either a greater source ability or a less sink size compared with current cultivars, in order to ensure a rice quality in the future warming conditions.
        2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은 미국에서부터 시작되어 점차 발전되어 왔으며, 현 시점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정밀농업 기술 중 하나이다.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 수확량 정보의 공간변이성 해석이다. 본 실험은 논 포장에서의 수확량의 공간변이성과 한계수확량 및 수분함량이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며 수행되었다. 2002년 10월 서울대학교 부속 실험농장 소재의 두 기계 이앙 재배 답작 포장(0.2 ha)과, 전북 김제 만경평야 소재의 두 직파재배 포장(0.4 ha)에서 구획별 수확량 정보를 획득한후 각 포장별로 통계분석을 통해서 포장 내의 수량변이를 조사 및 해석하였다. 그리고 각 포장의 수확작업 시 구획별로 샘플을 획득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한 후 수분함량 보정전과 보정후의 수량을 비교 분석하고, 수분함량과 수확량에 대한 비교 분석과, 수분함량 지도를 작성하여 수확량 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수분함량과 수확량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정확한 수확량 지도 작성을 위해서는 샘플링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나 콤바인의 예취 폭과 포장면적을 고려하여 조절해야 할 것이다. 수확량 정보를 얻을 때 한 구획의 넓이는 포장 면적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겠지만 가로 세로 길이로 봤을 때 5 m이상 15 m이하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변량시비 처리가 실시된 포장의 경우 같은 조건에서 일반시비로 재배된 포장에 비해서 수량은 비슷하나 변이는 적게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포장내의 변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평균 수확량의 절반이상의 편차를 보이고 있으므로 포장내의 지점별 수획량의 변이는 상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Sensor를 이용한 수확량 측정에서는 위에서 나타난 값으로 보았을 때 최소 300 kg/10a 이하에서 최대 1000 kg/10a 이상까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수분함량은 한 포장 내에서의 변이가 큰 편은 아니었고 공간의존성도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포장간의 변이는 수확 전의 기상상황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수분함량 자체의 포장 내 변이가 크지 않으므로 수확량의 공간의존도에 대한 변화는 크지 않았다.
        2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어린모, 중묘 등 묘령에 따른 쌀겨 시용 시기가 친환경 재배에 있어서 제초 효과와 벼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그리고 더 나아가 미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1. 쌀겨 처리후 토양내 산화환원 전위차는 급격히 떨어져 심한 환원 상태로 변하였으며, 쌀겨 시용구에서는 쌀겨 살포 직후 1~2 일 사이에 용존산소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 쌀겨 시용구 중에서는 이앙전 5일 시용에서 잡초 본수 및 잡초 건물중이 가장 적거나 가벼워 잡초 발생이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이앙 후 늦게 살포할수록 잡초 발생량은 늘어났다. 3. 쌀겨 처리시기에 따른 수량은 이앙전 5일 시용에서 관행시비와 수량이 비슷하였으나, 이앙후 표면처리에서는 수량이 현저히 감수되었다. 4. 쌀겨 시용 시기에 따른 처리별 완전미 비율은 쌀겨 처리구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쌀겨 처리구에서 대체로 낮았다. 식미치는 완전미 비율이 높았고, 단백질 함량이 낮았던 쌀겨 시용구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2~8 정도 높았다.
        3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sponse of the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by rice leaf folder (RLF, Cnaphalocrocis medinalis G.) and identify the damages caused by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nitrogen amounts and chlorophyll amounts (SPAD value) of rice leaf. As the damage degree of RLF was getting severer, the ripened grain rate and 1000-grain weight were decreased and due to the increasing of chalky rice rate the rate of head rice was reduced. Therefore, the yield of head rice was decreased by 36% in heavily damaged rice plant. Amo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protein content of rice grain was increased but amylose content was reduced, consequently, the palatability was deteriorated in heavily damaged rice by RLF. The degree of damage of RLF was getting serious as transplanting date was delayed and as the amount of nitrogen was increa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D value and the damage degree of RLF, as the SPAD value was increased by nitrogen fertilizing, the damage degree was also increased exponential functionally.
        3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상기상으로 인해 모내기 지연형 한발이 발생할 경우나 시설 하우스재배 후작으로 벼를 이앙할 경우를 대비하여 이미 생산해 놓은 묘령이 많은 노숙묘 기계 이앙시 가능 한계 묘령과 그에 따른 미질 변화를 구명코자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앙후 본답 적응력을 보기 위한 굴기력은 품종에 관계없이 묘령이 어릴수록 굴기력이 커 본답 적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수량은 10일묘에서 현저히 감소하였고, 30일묘 이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생종인 상미벼는 본년과 전년도의 성적이 상이되는 결과를 보여 기상의 영향에 따라 생육이 달랐다. 3. 묘령이 어릴수록 청미 및 피해립의 비율이 높아져 완전미 비율은 떨어졌고, 45, 60일묘에서 완전미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4.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및 식미치는 청미와 피해립 등 미숙립이 다발되었던 10일묘에서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식미치도 낮아졌다.
        32.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남평야지 조기재배시 국내 육성된 고품질 조생종 품종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공시품종들의 평균 출수기는 7월 22일로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사이에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공시품종들의 평균 수당립수, 등숙율 및 수량에서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운광벼가 수량이 529 kg/10a로 가장 많았다. 2. 수확시기별 현미 품위를 조사한 결과 동할미 발생을 줄이고 현미 정립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출수 후 40일경에 수확하는 것이 정립은 8월25일~ 9월1일 사이 수확하는 것이 가장 높았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미숙립의 발생은 감소하고 동할립의 발생은 증가하였다. 백미 완전미는 중화벼와 고운벼가 72.2%와 71.0%로 높았으나 싸라기 발생이 높았으며, 운광벼와 오대벼는 분상질의 발생이 많았다. 3. 운광벼와 오대벼는 백미 단백질 함량은 6.4%로 낮았으며, 식미관능검정의 총평이 각0.6 및 0.5로 밥맛이 양호하였다.
        35.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termining effects of seedling age on the yield of four fine rice varieties viz., Kalizura, Tulshimala, BRRI (Bang-ladesh Rice Research Institute)-37 and BRRI-38. The seedling of different ages such as 15, 25, 35 and 45 days were transplanted on the same day maintaining 25cm~times15cm spacing. The experiment was laid ou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yield and yield contributing characters were influenced by seedling age, variety and their interaction. BRRI-38 gave the highest number of effective tillers hill-1 , panicle length, total spikelets panicle-1 , grains panicle-1 , 1000-grains weight and grain yield. Likewise, yield and yield contributing characters were the highest in 35 days old seedling. On the other hand, the variety (BRRI-38) with the same age as of seedlings 35 days old seedlings was found superior to other interactions, but, in the production of grains panicle-1 and 1000-grains weigh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his interaction. From the findings it may be inferred that BRRI-38 with 35 days old seedlings produced the highest grain yield.
        37.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in filling is a crucial factor that determines grain yield in crops since it is the final process directly associated with crops' yield performance. Grain filling proces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interaction of rate and duration of grain filling.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16 temperate japonica rice genotypes, with aims to (1) seek variations in grain filling duration and rate on area basis, (2) compare the contribution of grain filling duration and rate to grain yield, and (3) examine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for effective grain filling on grain yield in relation to grain filling duration and rate. Grain filling rate and duration exhibited highly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ranges of 20.7~46.3~;g~;m-2d-1~;and~;11.2~35.5 days, respectively, depending on rice genotypes. Grain yield on unit area basis was associated positively with grain filling duration but negatively with grain filling rate. Grain filling rate and dur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Final grain weight increased linearly with the rise in both cumulative mean temperature and cumulative solar radiation for effective grain filling. Higher cumulative mean temperature and cumulative solar radiation for effective grain filling were the results of longer grain filling duration, but not necessarily higher daily mean temperature and daily solar radiation for effective grain filling. Grain filling rate demonstrated an increasing tendency with the rise in daily mean temperature for effective grain filling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obviously clear. It was concluded that grain filling duration, which influenced cumulative mean temperature and cumulative solar radiation for effective grain filling, was the main factor that determined grain yield on unit area basis in temperate Japonica rice.
        3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enty-five promising lowland rice genotypes of eastern India were studied for genetic variability in twelve quality characters and grain yield. Analysis of variance for all the charact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enotypes for all the phys
        3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논과 밭에서 콩 생산성과 생육 형질들의 측정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콩 수량은 논보다 밭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개체당종실수는 밭에서 100립중은 논에서 높은 경향이였다. 논에서 태광콩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대원콩과 황금콩 순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밭에서는 황금콩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기록했고 대원콩과 태광콩 순으로 높았다. 2. 밭에서 수확지수는 태광콩과 황금콩이 논보다 높았고 대원콩은 논에서 밭보다 유의성은 없었으나 높은 경향이었고, 전체적으로 대원콩이 논 밭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3. 100립중은 태광콩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대원콩은 밭에서 황금콩은 논에서 높았다. 4. 엽의 녹색도는 논과 밭 재배조건 모두 파종 후 4주차부터 감소되었으나,논의 경우는 6주차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후 증가하였으며 밭의 경우는 5주차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후 6주차부터는 상승하였다. 5. 지상부 건물중, 협 건물중, 협수, 경장, 경직경은 태광콩과 황금콩이 밭보다 논에서 높았으며 대원콩은 밭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협 생체중은 논 밭 모두 파종 후 9주차부터 점차 상승하였으나 1 cm 이하의 협수는 논에서는 12주차, 밭에서는 11주차 이후에는 세 품종 모두 증가되지 않았다. 7. 작물생장율(CGR)은 논재배콩이 밭보다 파종후 8주차 이후부터 높은 경향이었고, 13주차에서는 대원콩이 타 품종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밭에서는 파종후 12주차부터 15주차까지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 순으로 높았다. 8. 개체당종실수와 수량간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9.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논에서는 파종후 5주차를 제외한 4-15주차 사이에 0.8내외의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밭에서는 4, 5주차에서 상관이 낮았고 나머지 기간에는 논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10.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과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이 좌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질소흡수량이 같더라도 총영화수와 수량은 연차간에 차이를 보였다.rotease 활성과 생물학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V는 앞으로 바이러스와 기주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병원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300℃ 이하, 공정압력 1 Torr, 그리고 bias전압과 기체 혼합비를 변화시키면서 증착하였다. 증착시 in-situ OES 분석결과 플라즈마 내의 질소종의 함유량 변화에 따라 증착속도가 크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많은 질소기체를 인입하면 질소종이 많아지지만 증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박막내 탄소의 함량이 커지면서 막질이 비정질로 바뀌고 미세경도 또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in-situ 플라즈마 진단분석이 전체 PEMOCVD 공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고, Ti(C,N)과 Hf(C,N) 코팅막의 탄소함량과 미세경도는 플라즈마내의 CH과 CN radical종의 세기에 크게 의존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f(C,N) 박막의 경우도 Ti(C,N) 박막의 경우와 유사하게 최대 미세경도값(2460Hk0.025) 이 -600 V bias 전압과 10% 질소기체 혼합비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졌고, 이는 박막이 주로(111) 방향으로 성장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포 점수에서 III 군이 1.6±0.6 으로 I 군 2.8±1.2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압력 조절형 출혈성 쇼크 모델에서 시행한 저체온법은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군에 비해 쇼크 상태에서의 기초대사량을 줄여줌으로써 허혈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저체온법은 수액의 사용량을 줄여주고 IL-8등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며 백혈구의 침윤을 줄여
        40.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 재배시 종실의 수량 감소가 적으면서 꽃잎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밀식과 적심을 통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개화기는 관행이 6월 23일인데 비해 적심 처리구는 2일 늦은 6월 25일에 개화하였으며 밀식처리구는 같았다. 유효분지수는 2열 밀식재배와 3열 밀식재배가 적심이나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유효화두수는 3열밀식재배에서 270개/m2 로 가장 많았으나 적심은 186~223 개/로 적었다. 종실 수량은 대조구 10a당 220 kg에 비해 2열밀식재배는 231 kg으로 5% 증수 되었다. 채화 화두수는 3열밀식이 가장 많았으나 건조된 꽃잎 수량은 2열밀식과 3열밀식이 10a당 25.4 kg, 26.9 kg으로 대조구의 22.0 kg에 비해 각각 15%, 22% 증수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