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21.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소명의식(call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 결과 직업에 대한 개인적인식인 소명의식이 각종 직무관련 변인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소명의식 연구들은 소명의식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소명의식 연구가 특정 직종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있어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자본과 조직 동일시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며,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선행하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또한 소명의식과 매개변인들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지각된 상사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분석결과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심리적 자본과 조직 동일시가 매개하였으며,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의 선행변수로서 작용하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지각된 상사지지는 소명의식과 심리적 자본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나 소명의식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미흡했던 소명의식의 메커니즘을 밝히고, 소명의식과 직무몰입, 이직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그동안 특수직종에 제한되어 있었던 국내 소명의식 연구를 일반 직장인들로 확장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소명의식이 직무관련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경영환경에서 활용이 용이한 변인들을 매개·조절변인으로 제시하여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6,400원
        2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직수준에서의 조직문화 유형이 최근에 조명되고 있는 긍정적 조직행동인 긍정심리자본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며,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간 블랙박스(black box), 즉 매개변수로서 긍정심리자본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비영리조직인 대학의 직원을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활용하여 다수준(multi-level)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으로 조직문화 유형의 영향에 있어
        6,100원
        2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조직에서 새롭게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감성리더십이 부하의 긍정심리자본과 변화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감성리더십이 부하의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A광역시의 플랜트업체와 자동차부품업체의 193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감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
        7,000원
        2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empowerment and learning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obtained from 283 university studen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AMOS 5.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capital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empowerment and the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learning performance. Finally, it is found that empowerme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earning performanc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ncludes that this study and findings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performance by suggesting a new viewpoint regarding how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owerment to motivate university's learning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4,300원
        25.
        202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정서조절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IZOF 모형에서 제시한 적정기능 역 원칙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긍정심리자본과 정서조절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남자 학생 선수 123명을 판단표본추출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전체 123명의 설문조사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18명의 자료는 제외하고, 총 105명의 자료만을 유효표본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정서조절-최적기능역과 긍정심리자본은 모두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고, 정서조절-비기 능역과 긍정심리자본은 모두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정서조절-최적기능역에 희망, 낙관주의, 자기 효능감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비기능역에는 회복탄력성과 희망이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론: 희망요인은 최적기능역과 비기능역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서조절을 위해서는 희 망 요인에 대한 조절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후속연구에서는 정서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조절하는 연구를 해야 할 것이며, 그렇게 한다면 운동수행을 설명하는데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6.
        202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s primary purpose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capital roles and personality traits of Big-Five in predicting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erformance of task in Indonesia’s electricity sector.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employees of four major cities in Indonesia, in Southeast Sulawesi, comprising 246 employees. The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a PLS (partial least squares) base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and personality traits of Big-Five relate significantly to OCB and the performance of task. Nevertheless, against our expectations, OCB does not significantly relate to the performance of task.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findings’ further implications.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tipulate that psychological capital and Big-Five personality traits aimed to improve employee performance and can be most effective if specifically targeted at OCB. Given that both variables play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OCB, caring training initiatives that focus on mutual help can be very valuable for organizational improvement. In a managerial perspective, organizations can increase OCB by conducting open communication strategies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to further stimulate and strengthen the ability of employees to display extra-role behaviors.
        27.
        2020.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in Vietnam. In this study, psychological capital and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considered as two secondorder constructs. Psychological capital includes four different components: self-efficacy, optimism, hope and resiliency.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rises three different component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study uses the combin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experts’ opinions) is used to design the official questionnaire, whil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is estimated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is inclusive of the methods of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EFA, CFA and CB-SEM. The survey is conducted in two ways: face-to-face and via email. Data are collected from 848 employees across provinces and cities in Vietnam. The findings show that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capital is also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employe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plays the mediating role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loyee’s performance.
        28.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oday, mindfulness become popular in medicine, psychology, physical education and so on. Mindfulness-based course began to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s formal curriculum. Many researches show that mindfulness-based class increase a lot of psychological qualiti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the state of personal positive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contributes to individual productivity. There are some studies, proving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fluenced on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s study tried to test whether mindfulness-based course could change th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thods: 164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Fifty-five were assigned to mindfulness based subjects as experiment group, 54 participants to yoga class, and 55 to general cultural subject as control group. During a semester, three classes were proceeded and some scales, includ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mindfulness were administered at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variabl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emotion, and mindfulness in mindfulness and yoga classe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negative emotion in both classe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 As a result, mindfulness-based class and yoga-based class could increas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t is promising that mindfulness-based class can be included in curriculum.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