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

        2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능소화를 대상으로 화분형태 및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유해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화분 형태를 확인해 본 결과, 화분립 형태는 장구형이고 발아구의 형태는 3공구형이며 화분 표벽 (extine)은 망상의 형태이고 외부로 돌출된 돌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능소화 70% MeOH 부위별 (꽃, 잎, 줄기) 추출물 및 화밀을 24, 48시간 동안 농도별 (10, 20, 50, 100 μg mL-1)로 RAW264.7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능소화 추출물 및 화밀을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모든 농도에서 99.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48시간 처리하였을 때 꽃, 잎, 줄기 추출물은 50 μg mL-1농도 이하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화밀의 경우 저농도인 10 μg mL-1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22.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survey to compare using status of physical therapy for elderly person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in Honam. There were 16 places consisting of general clinics, departments of family medicine, pain medicine, and orthopedics that run outpatient physical therapy. This study distributed 636 questionnaires in total and collected 400 responses. Regionally, 200 responses out of 311 questionnaires from Gwangju and 200 responses out of 325 questionnaires from Jeollanam-do and Jeollabuk-do were collected. Regionally speaking, Gwangju was 62% while Jeollanam-do and Jeollabuk-do regions were 88%, indicating patients in rural areas employed more public transport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regard to questions regarding improvement with physical therapy. Factors related to the number of physical therapy visits per week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und by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 were working hours, whether the patient exercised or not, and pain stress. This result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working hours and pain stress experienced by rural elderlies as well as to encourage regular exercise via national polices.
        4,000원
        2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82년과 2002년 사이 동북아시아 일부 대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시계열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도시팽창양상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팽창은 시·공간적 역동성을 띄는 지표현상이나, 기존 연구에 주로 사용되었던 원격탐사 방법론들은 이의 시간적 측면보다는 공간적 측면에 비중을 두어 분석을 수행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푸리에분석과 시계열회귀분석을 조합한 계량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도시팽창의 시간적 측면에 보다 비중을 두고 분석을 하였으며, 동북아시아 대도시 지역에서 도시팽창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지리정보체계/원격탐사 컴퓨터 프로그램인 이디리시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시도한 방법론은 대도시 지역의 시·공간적 피복변화를 감지하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도시팽창 자체를 탐지하는데 있어서는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약의 주된 이유는 도시지역의 피복과 토지이용의 대응이 항상 일치하지 않기 때문인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계열 원격탐사 방법론은 각 지역에서 관찰되는 각기 다른 도시화 양상을 픽셀단위로 구분하는데, 다양한 조합의 분석결과를 활용하면 도시팽창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2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rbanization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habitat loss, habitat degradation, and fragmentation. Urban development negatively affects biodiversity.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hange of butterfly communities on effect of urbanization in urban green areas. Butterfly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line transect methods from April to October in 2012. A total of 59 species and 1,465 individuals of butterflies were observed in four urban green areas: Namsan Park (NS), Ewha Womans University (EW), Bukseoul Dream Forest (BD), and Hongneung Forest (HF), and natural forest: Gwangneung Forest (GF). The category of land use around study site was determined based on GIS data.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niche breadth and habitat type in urban green area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ose in GF. Estimated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H’) in four urban green area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GF.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forest interior species and specialis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ddy, field, and forest, whereas those of forest interior species and specialis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urban area and road. Butterfly communities in four urban green area differed from that in GF.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decrease of paddy, field, and forest associated with increase of urban area and road negatively influences species composition and changes butterfly communities.
        2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U-turn accident model at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in urban areas. METHODS :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idents which are associated with U-turn operation at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in urban areas and develop an U-turn accident model by regression analysis, the tests of overdispersion and zero-inflation are conducted about the dependent variables of number of accidents and EPDO (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RESULTS: As their results, the Poisson model fits best for number of accident and the ZIP (Zero Inflated Poisson) fits best for EPOD, the variables of conflict traffic, width of opposing road, traffic passing speed are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 for both models. The variables of number of bus berths and rate of U-turn signal time at which the U-turn is permitted are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 only for EPDO. CONCLUSIONS: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at U-turn would be permitt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width of opposing road is wider than 11.9 meters, the passing vehicle speed is not high and U-turn operation is not hindered by the buses stopping at bus stops.
        4,200원
        2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health care condition aggressively to urban and semi-urban seniors and to inform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prior to treatment for better old age. A total of 200 seniors who were over the age of 65 and lived specific area of Seoul and Daeboo-island Ansan-city, from 7 September to 4 October 2012, and used self-develope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relevance analysis for oral health care demands shows that seniors from Ansan-city had higher dental prosthesis demands(the average 4.43) than seniors from Seoul(3.96)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items represented positive(+) relation in all items and same age distribution. Dental prosthesis has high correlation in every items, but fluorine treatment has low correlation relatively.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was slightly high, R=0.356(35.6%). However daily activity, oral heath care and anxiety tim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rban area and semi-urban area. Therefore, authorities need to offer oral health education.
        4,300원
        2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도시와 농촌 간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실천율과 신체활동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1,03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활동으로는 걷기, 유연성 운동,근력 운동을 조사하였고, 삶의 질은 EQ-5D (Euroqol-5 dimension)를 사용하여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체활동 실천율은 도시의 경우 연령, 성별, 배우자, 주택유형, 소득수준,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농촌의 경우 주택유형과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에서, 도시의 경우는 걷기,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을 실천 한 군의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생활활동, 통증/불편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농촌의 경우는 걷기를 실천 한 군의 운동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도시와 농촌 모두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낮은 편이었고, 특히 도시보다 농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더욱 낮게 나타났다. 만성질환노인의 신체적 기능을 높이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4,300원
        28.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대부분 미국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측위를 수행하고 있으며, 수신기 알고리듬과 안테나 성능의 발전으로 인해 위치정확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도심부 빌딩숲에서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전파가 고층건물에 가려져 도달하지 않거나 반사 및 회절에 의해 위치정확도가 매우 저하되기도 한다. 도심부의 GNSS 측위정확도를 현장 관측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 연구에서는 3차원 건물지도와 전파도달모형 및 상관기모형을 이용하여 도심부 GNSS의 측위정확도를 모의하는 GPASS(GNSS Position Accuracy Simulation System)를 개발하고 그 가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대표적 빌딩숲인 도쿄도청 부근을 대상으로 모의를 수행하고 현장 관측치와 비교한 결과, 측위율은 실측치와 4.6% 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위치정확도는 실측치와 3.0% 정도의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상당히 정밀한 모의가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PASS는 3차원 건물지도를 이용하여 임의의 시공간에 대해 모의를 수행하므로, 내비게이션 서비스 품질의 시공간적 평가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산출에 활용될 수 있다.
        4,200원
        30.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rbanization has a direct impact on species abundance and diversity in many species. Some cicada species have become numerous in urban areas, causing a nuisance to city dwellers in Korea. Male cicadas produce calling songs that are attractive to conspecific, receptive females. To understand the possible factors important for population density, we estimated the relative abundance of cicada species in central Korea by conducting th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exuviae and the calling index survey. Exuviae collection was conducted in three regions that may differ in three representative habitats: metropolitan, suburban, and country. Based on the exuviae survey, Hyalessa fuscata was the dominant species in all three regions. The population densities of all cicada species in metropolitan and suburban regions were 5.7 and 12.0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country region. Particularly, the population densities of Cryptotympana atrata were at least 23.5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country region. Based on the calling index survey that relied on male calling songs to estimate the relative abundance of cicada species in central Korea, the relative density of C. atrata was higher in urban areas than in rural areas. Thus, the results of both surveys were consistent in that C. atrata had unusually high population densities in metropolitan and suburban regions, contributing to noise pollution in the metropolitan Seoul. Possible factors for high density of C. atrata in urban areas are suggested.
        31.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ㆍ어촌 아동들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에 의한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두 지역간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에 관련된 변인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좀 더 나아가 지역적 요소를 변인으로 넣어 도시와 농ㆍ어촌 지역의 아동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환경적인 측면이 아동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지역적으로 비교분석을 하기 전에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만족도,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어떠한 변인보다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논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5,700원
        3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icadas that produce loud calling songs for mate attraction can be a nuisance to city dwellers in Korea. The exuviae of final instars can be used for estimation of population density. To provide a key for species identification, we investiga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nal instar exuviae for four cicada species that are abundant in urban areas of central Korea: Cryptotympana atrata, Meimuna opalifera, Oncotympana fuscata, and Graptopsaltria nigrofuscata. Eight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of a general linear model showed that species and sex were significant for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at mean values of most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measur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our cicada species. C. atrata and M. opalifera were separated from the other species in most characters measured. Although O. fuscata and G. nigrofuscata were not distinguishable based on size-related characters, these two species differed in femoral tooth angle. Therefore, the exuviae of all four cicada specie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used in this study.
        3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nal instars of cicada typically emerge from the ground and metamorphose into adults. Exuviae are typically left on tree branches or leaves where metamorphosis takes place. We investiga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nal instar exuviae for the most prevalent species of cicada that occur in urban areas of central Korea: Cryptotympana dubia, Meimuna opalifera, Oncotympana fuscata, and Graptopsaltria nigrofuscata. The characters analyzed were body length, body width, distance between compound eyes, proboscis length, antennal segmentation, femoral structure, and body coloration.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body-size related characters, body length, body width, distance between compound eyes, and proboscis length, revealed that only the first component (PCA1) was significant. The distribution of PCA1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non-overlapping groups: C. dubia, a complex of O. fuscata and G. nigrofuscata, and M. opalifera. Although O. fuscata and G. nigrofuscata were not distinguishable based on size-related characters, these two species differed in femoral structure.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femur and femoral claw were generally 120° in G. nigrofuscata, whereas it was usually 90° in the other three species. Exuviae of M. opalifera were pale brown and non-polishing, whereas exuviae of three other species were all brown and highly polishing. Therefor, the exuviae of four cicada species can be easily distinguishable based on body size, femoral structure, and body coloration.
        35.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ary intake and food sources of zinc (Zn), using a database of Zn composition developed in this study, between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a remote rural area (RA, n=58, 9.9±1.7 yrs) and those in an urban area (UA, n=60, 9.4±1.8 yr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A dietary survey for three days by food record method was performed. All kinds of foods (n=273) consumed by subjects were collected by aliquot sampling method, and the Zn content of these foods were analyzed by wet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aily mean intakes of energy, calcium, iron, and vitamin C from diet in the RA were in the range of 49-88% of the Korean DRI (KDRI), while those in the UA were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e KDRI, except for calcium and iron. The daily mean intake of Zn from the RA diet was 7.0±0.5 mg/d (114.1±8.4% of the KDRI), and 16.0±1.0 mg/d (258.3±16.3% of the KDRI) in that of the UA (p〈0.001). The percentage of dietary intake of Zn less than 2/3 of the KDRI was 19.0% in the RA, in comparison to 1.7% in the UA. Those in the RA consumed Zn from plant foods more often than did those in the UA (p〈0.001). Beef rib stew was the food source with highest Zn amount for the total subjects, followed by beef rib meat, roasted; and beef soup w/seasoned red pepper sauce. These results showed that some children in the RA had poor Zn nutrition based upon low intakes and poor food sources of Zn, while overall, children in the UA had good Zn nutrition. Therefore, those in RAs should have their Zn nutrition improved through government policy and nutrition education.
        4,000원
        3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우리나라의 일조규정은 공동주택 및 일반 건축물을 중심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도로 및 고가 구조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간의 인동간격 및 인동간격이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로 및 고가 구조물과 주거지역과의 이격거리 및 구조물에 의해 발생되는 일조장애들의 환경적인 요소와 그에 따른 인자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 및 고가 구조물 중 주거지역과 인접해 있는 고가구조물을 중심으로 일조환경을 검토하여, 현재 사용되는 이격거리의 적정성 여부를 검토해보고, 구조물의 방위각에 따른 방향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조물의 특성에 따른 일영거리를 통해 높이에 따른 이격거리비율을 산정하여, 향후 건설시 발생되는 일조장애를 최소화 하기위하여 구조물에 관한 제도 정비의 필요성과 최소 이격거리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4,000원
        37.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간섭 및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에서의 식물종의 분포패턴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전주시에서 자생적으로 이입된 모든 유관속 식물종에 대한 포괄적 자료습득을 위하여 각 1헥타 크기의 106개 표본 조사구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표본조사구는 전주시의 전형적인 토지이용유형을 대표하고 도심지역으로부터 다양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선정되었다. 종풍부성, 생활형의 패턴 그리고 외래종의 비율이 표본조사구의 헤메로비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되었다. 식물종의 수는 적당히 영향을 받는 부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적당한 교란은 종풍부성 증가를 유도한다는 중간 교란 가설에 상응하는 결과이다.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지의 식물상은 일년생 식물과 외래종의 비율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일부 식물종들은 토지이용유형과 도시구역에 상응하는 유사한 분포를 갖는 세 가지 그룹인 도시지역 기피종(땅비싸리, 졸참나무, 개옻나무 등), 도시지역 및 외곽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닭의장풀, 개망초, 박주가리 등)과 도시지역 선호종(애기땅빈대, 개쑥갓, 서양민들레 등)으로 구분되었다.
        4,000원
        3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임상적 활용을 위하여 LOTCA-G 번역판을 사용하여 도시지역 노인의 인지기능을 알아보고, LOTCA-G 한국판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뇌손상의 경험이 없거나 치매로 진단받지 않은 65세 이상의 노인 117명이었으며 직접 면접조사 및 LOTCA-G를 사용한 인지기능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5년 3월 11일에서 4월 2일까지로 23일간 실시되었다. 결과 : 1. 연구대상자들의 LOTCA-G를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점수는 총점 104점에 평균 92.17±10.66점이었으며, 연령이 낮은 군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은 군일수록 인지기능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2. LOTCA-G의 각 하위영역별 평가 점수는 교육수준이 높은 군인 경우에 대부분의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이 높은 군일수록 각 영역 별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3. LOTCA-G의 각 하위영역 간 관계는 실행력과 주의력/집중력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4. MMSE-K와 LOTCA-G의 총점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MMSE-K의 분류별 점수에 따른 LOTCA-G의 점수는 24점 이상(96.35±5.52), 23-18점(87.72±5.52), 17점(55.40±16.56)으로 각 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LOTCA-G를 사용한 도시지역 노인의 인지기능수준은 연령, 교육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간이신경검사인 MMSE-K와 비교하였을 때 LOTCA-G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연구에서 사용된 한국어로 번안된 본 도구도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데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외국에서 개발된 LOTCA-G를 그대로 번안 하여 사용한 것이므로 문화적, 사회적 차이로 인한 문항 간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판 LOTCA-G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4,500원
        40.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심 지역인 서울시청 부근과 공단지역인 안산 반월 공단지역 내에 서식하는 비둘기의 알,새끼, 성조를 대상으로 각 발달 단계에 따른 납과 카드뮴의 체내 축적 농도를 비교하고 각 지역의 오염 수준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납 및 카드뮴 농도는 뼈, 신장, 간, 허파 등 모든 조직에서 새끼보다 어미가 높았으며,특히 납은 뼈에서, 카드뮴은 신장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서울의 경우, 납 농도는 알보다 새끼의 뼈 조직에서 약 3배 높았고, 새끼보다 성조의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