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2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ference differences of experience programs in rural area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81 adults visited in rural social enterprises in 2015,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Twenty-six items for evaluating the preference of experience program were measured using 5 score Likert scale and were extracted to 6 factors such as physical, ecological, historical culture, recreational and healing, watching show, and rural life exper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isitors preferred the ecological experience the most and in order of recreational and healing, rural life, physical activity, historical culture, and watching show. Secondly, physical activity were preferred by young people, the unmarried, and student. Ecological, historical culture, recreational and healing, rural life experience were preferred by higher income earner or highly educat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ustomized consumer’s experience program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will be suggested.
        4,000원
        2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유의 숲에서 다른 유형의 소리(무음, 자연, 음악, 아이들 노는 소리)가 방문객의 기분상태(Profile of Mood States: POMS)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자료는 2012년 10월 중 장성 ‘축령산편백치유의 숲’ 내에 위치한 ‘치유필드’를 이용하는 231명의 방문객으로부터 수집되었다. 각 피실험자는 각기 다른 유형의 소리에 노출되었으며 실험용 소리가 장착된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설문에 답변하였다. 실험결과, 기대했던 대로 ‘아이들 노는 소리’ 노출 그룹이 타 그룹에 비해 높은 부정적 기분상태를 나타냈다. 그러나 예측과 달리 자연소리와 음악소리는 피실험자의 POMS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총 기분장애 점수(Total Mood Disturbance Score: TMDS)뿐만 아니라 요인별(불안, 분노, 활력, 피로, 혼란, 우울) POMS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혼잡지각(Perceived Crowding)수준 과 TMDS(r=0.568) 및 하위 요인별 기분상태(r=0.331-0.571)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구의 결과에 대한 토의와 더불어 관리적 차원에서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200원
        2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 구룡 오토캠핑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N =165), 누가 그리고 왜 오토캠핑을 휴양활동으로 선택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오토캠핑장 주이용객은 교육 수준(전문대졸 이상 88%)과 소득 수준(가구 총소득 3,000만 원 이상 87%)이 높은 30~40대(85%)의 직장인(60%)이었다. 또한 오토캠핑 이용객은 가족 단위 이용객(82%)이 대부분이었고 오토캠핑장을 년 10회 이상 이용한다는 응답자 비율이 24%에 달해 오토캠핑이 주요 여가 활동인 경우도 많았다. 5년 이상 오토캠핑 경력이 있는 응답자는 18%에 불과해 오토캠핑은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휴양 활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토캠핑의 19개 장점에 대한 응답자들의 동의수준 데이터를 요인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자연접촉으로 기분전환(요인 1)’, ‘새로움과 성취감(요인 2)’, ‘편리성(요인 3)’, ‘즐거움(즐길거리)(요인 4)’의 4가지 오토캠핑 선택 요인을 추출하였다. 4가지 오토캠핑 선택 요인이 오토캠핑장 이용 만족도(연간 오토캠핑장 방문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토빗(Tobit)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자연접촉으로 기본전 환’의 영향이 가장 크고, ‘편리함’, ‘즐거움’ 순으로 영향을 주었지만 ‘즐거움’은 오토캠핑장 이용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는 오토캠핑장 설계·운영시 편의시설이나 놀이시설을 늘리기 보다는 주변의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4,000원
        2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식 및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 국립공원 방문객의 휴양경험의 종류 및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지역은 지리산국립공원이며 2014년 5-6월 중, 성삼재 휴게소와 노고단 대피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된 502명과 전남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된 173명의 표본으로부터 모의조작 사진(곰과 고라니)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반적으로 국립공원 내 서식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지에 따른 장소 속성에 대한 지각(혼잡성, 자연성, 안전성) 및 휴양경험의 종류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반달곰의 존재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그룹은 낮은 그룹에 비해 지리산국립공원이 '야생' 또는 ‘자연경험’에 더 가까운 휴양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서 장소속성에 대한 지각과 응답자가 느끼는 휴양경험의 종류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 또는 고라니 노출 그룹이 컨트롤 그룹에 비해 ‘야생’에 더 가까운 휴양경험을 느꼈다.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의 존재는 응답자의 휴양경험의 질에 긍정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응답자가 느끼는 휴양경험의 질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국립공원 야생동물의 관리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4,200원
        25.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there is an increasing attention on the analysis of the fashion city (Breward & Gilbert, 2006) and its implication on city branding and competitiveness (Jensen, 2005; Power & Hauge, 2008; Pasquinelli, 2010) and local identity (Bovone, 2006). Some examples are the study of Weller (2013) who examines the success of New Zealand’s designer fashion industry in the first years of the twenty-first century. Hauge, Malmberg & Power (2009) analyse the Swedish fashion cluster underlining that it is benefit from localisation economies, but it also follow rules of globalised industries. Rantisi (2004) examines how New York City was able to reinvent itself as a fashion capital. By tracing the origins of women's ready-to-wear in New York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its consolidation in the Garment District by the early twentieth century. Jansson & Power (2010) approaches the ways in which fashion and design-based industrial actors contribute to creating images and myths that support global-city status. The Italian city of Milan is used as a case study to show how the city is an arena where different brand channels are negotiated and formed to service fashion and design branding. Fashion capitals usually have a broad mix of business, financial, entertainment,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and are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r having a unique and strong identity (Gemperli, 2010) In this chart of fashion capital city, Italy ranked in a good position with Milan as capital fashion city. Milan emerged as a fashion capital city in 1970s, while Florence and Rome stayed in the following positions (Merlo & Polese, 2006). Florence is usually ranked in the third position in Italy thanks to the luxury pole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with global brand as Gucci, Ferragamo and Prada. The Global Fashion Monitor (2012) scored Florence at the thirteen position at global level in the ‘World's Leading Cities for Fashion’, with a gain of three position from previous chart and indicating as motivation “Florence: Michelangelo, Leonardo da Vinci and Botticelli — A proud heritage to a thriving fashion industry”. This situation anyways is not guaranteed in the future. In fact some authors also underlined that this chart of global city will not be maintained in the future as city from developing countries are increasingly enter in the competition (McKinsey, 2013; Gilbert, 2006). In particular, McKinsey (2013) ranks Paris, London, Milan and Seoul in the mature growing fashion industry in the Luxury segment, while Moscow, Singapore, San Peterbrurg, Beijing, Shangai, San Paolo etc as emerging city in the global fashion industry. FASHION AND CITY BRANDING Crewe & Beaverstock (1998) underlined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and the role it plays in identity formation has created a situation where fashion can be taken seriously as a cultural industry supplying symbolic content in sold goods. In this context fashion is identified as a powerful stylistic marker, not a simply part of a trivial consumer culture. Jansson & Power (2010) underlined that the value of global fashion city-based brands lies partly in their ability to persuade consumers of products’excellence, quality, and innovation. Also, the brand infuses products (and firms) with the ‘feel’ of the city: cool clothes come from cool cities. Labels of origin such as ‘Made in Italy’ or Rive Gauche are used as strategic tools in the fashion industry (Hauge et al., 2009). Positive connections between product images and place may create a kind of monopoly rent and therein can create barriers to entry for products from competing places; and give firms an incentive for being in the ‘right’ place. Jansson & Power (2010) underline also that clustering in few fashion city produce also some other benefits as agglomerations of firms and consumers play a central role in the gathering, creation, and transfer of industry-relevant knowledge and cluster of creative industries (Lazzeretti & Capone, 2015). There is in fact an increasing effort in the research on the city branding with the help of local industry and local cultural production (Jensen, 2005). Breward & Gilber (2006) have underlined that city branding is more a focus from city authorities in order to appear in the global hierarchy of fashion capital. Niedamysl (2004) besides points out that city branding has the main aim of attracting visitors, investors or inhabitants. Power & Hauge (2008) discuss the role of the branding for territories, places and cities, underlining that has been a topic deeply undervalued for territorial competitiveness and they analyse the fashion industry as an example. City branding is a recent strand of research with a growing trend (Merrilees, Miller & Herington, 2009) and it results a complex research theme, due to its multidisciplinary approach (Pike, 2011). Born at the beginning for the analysis of the image of the city, it deals increasingly with analysis of marketing strategies and policy for urban context (Merrilees, Miller & Herington, 2012). At the moment, it is a theme that rise interest from different subjects as marketing, management, but also urban studies, economic geography and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If an analysis on ISI Web of Science is developed on ‘city branding’, over 100 articles are collected on these themes with article from the following Journal as 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Urban Studies, Applied Geography, Current Issues in Tourism,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etc. These Journals confirm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he interest on city branding from several stakeholders: policy-makers, urban planners, marketing strategist, urban developer, etc. Within the theme, several studies have focused on how city branding is particularly attached to some local industries and activities, that denote the area and the city. In this context,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spect is interactions between branding and fashion (Jansson & Power, 2010; Hauge et al .. 2009; Martinez, 2007).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role of fashion and fashion design for the city of Florence, in the formation of a new image of the city, also in a perspective of new branding strategies for the future. The analysis is based on a multi-level approach. First, an initial analysis is developed on publications on ‘city branding’ on ISI Web of Science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the theme and the most used methodologies in these studies. The second part of the work is instead based on analysis of reviews of online communities (TripAdvisor, Twitter, etc.) of the attractions of the city and a questionnaire is administrated to visitors of the main fashion outlets in Florence (The Mall, Barberino Desegner Outlet, etc.), in order to emphasize the perception of visitors and consumers of fashion in the city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fashion city branding of the city of Flor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marketing, several authors have tried to analyse the brand association in fashion (Ranfagni, Guercini & Crawford, 2014), but mainly from the point of view of products. In this work, we try to contribute to this debate through the analysis of online communities and city branding of Florence. Merrilees et al. (2009) investigate what are the city attributes influencing city brand attitudes with a quantitative survey of a sample of 878 residents of the Gold Coast City. Hankinson's (2001) study of twelve English cities shows the diversity of approaches in how city organizations market and brand themselves. Vanolo (2008) analysed the city of Turin and its transition from post-industrial to a cultural and creative city. This work develop a single stake-holder perspective as most studies avoid to considers multiple stakeholders perception on city branding (Merrilees et al., 2012). Results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fashion industry in the perceived image of Florence from the visitors and for the future city branding policies are even more strategic to continue to exploit the competitive advantage that Florence has in the fashion industry globally.
        4,000원
        2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양양송이축제 방문객들의 축제 방문 의사결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방문동기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획행동이론에 대한 분석 결과 지각된 행동통제감은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태도 또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동의도와 관련된 축제 방문객들의 의사결정 과정과 연구와 양양송이 축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27.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ional park visitors are expanding to National Park entrance fee abolition and five days a week system enforcement is rapidly increasing. Public sensitivity to socially various accident is a track record that is growing more and more. Analyzes the usage of the national park visitors who are looking for people comfortable leisure life and health, also, the work of actual analysis of the National Park safety management, is that always necessary, also, the future of the National Park will be utilized as a material that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safety policies.
        4,000원
        2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치유의 숲 3개소의 이용객 300명을 대상으로 관련 법률에 명시된 14가지 산림치유 시설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선호도는 치유의 숲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책로, 등산로, 숲속의 집, 탐방로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청태산 치유의 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음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축령산휴양림 치유의 숲 순으로 나타났다. 치유의 숲 3개소에는 14가지 산림치유 시설이 모두 조성되어 있지 않았고, 산림치유 시설 활용도 미비한 실정이었다. 산림치유 시설의 관리와 이용객의 맞춤형 활용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9.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연구목적 2008년 산림청과 대한불교조계종은 약 11만ha에 이르는 전국 사찰숲을 대상으로 사찰숲 산림사업 협약을 한 바 있 다(이덕재와 권태호, 2014). 이러한 협약은 단순히 사찰숲 을 정비하는 차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이를 효율적 으로 이용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것이며, 특히 근래 사찰에 서의 템플스테이 프로그램과 같은 숲의 보조적 활용이 두드 러진 부분에서 그 활용도가 기대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예 로부터 사찰주변의 숲은 보전지향적인 관리방식이 적용되 어, 현재에 이르러서도 사찰숲은 중요한 경관자원으로 남아 있기도 하다(이덕재와 권태호, 2011). 이러한 잘 보전 관리 된 사찰숲에 대한 효용이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됨에 따라 다양한 휴양, 치유적 목적으로 사찰숲을 활용하고자 하는 점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가지산 도립공원 내의 주요 3개 사찰에 대한 현지 설문조사를 중점 적으로 실행하여 각 사찰숲의 관리 및 이용에 있어서 효율 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구축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2. 연구방법 가지산도립공원은 1979년 11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 으며, 가지산(1,240m), 영취산(1,059m), 원효산(922m), 천성 산(812m) 등의 자연경관으로 어우러져 면적이 106.07km2 에 달한다(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가지산도 립공원은 크게 3개 지구인 통도사지구, 내원사지구, 석남사 지구로 나뉘는데,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요 사찰들이 가지산도립공원에는 고루 분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 한 가지산도립공원의 주요 사찰인 통도사(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영축산에 위치), 석남사(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석남산에 위치), 내원사(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천성산에 위치)의 사찰숲길을 대상으로 하여, 사찰숲을 방문하는 이 용객들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각 사찰숲을 이용하는 방문자의 방문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방문횟수, 방문수단, 체류시간 등에 관한 내용과 함께 설문대상자의 사회인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 한 성별, 연령, 직업 등이 포함되었다. 설문 표본은 시간과 비용의 제한으로 인하여 편의추출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작 성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각 사찰숲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곳에서 방문객들에게 배부하여 설문 완성 후 즉시 수집하였 다. 수집된 설문지는 일련번호를 매긴 후, 데이터 코딩 작업 을 거쳐 최종적으로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문 분석 을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주로 기술분석을 중심으로 실시 되었으며, 사회인구변수 간의 비교와 각 대상지 사이의 응 답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3. 결과 및 고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유효한 설문지는 총 127부로서 이후 통계분석이 실시되었다. 먼저 각 조사대상지마다 일정한 쿼 타(quota)로 배분하여 비율의 적정성을 유지하려고 하였으 나, 각 대상지별로 인지도와 접근성에 차이가 나타나, 정해 진 시간에 내에서 가능한 설문대상자를 포집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통도사는 50명, 석남사는 49명, 내원 사 28명에 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조사집단의 사회인구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은 51.2%, 여성은 48.8%로 유사한 성별 분포를 보였다. 연령은 30대 이하가 20.0%, 40대가 31.2%, 50대가 24.8%, 60대 이상이 24.0%으로 나타나서, 40대 응답자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기혼이 78.6%, 미혼이 21.4%를 보였으며, 정규학력 분포는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34.1%, 대졸 미만이 11.9%, 대졸 이상이 54.0%로 나타나서, 절반 이상이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들의 직업 분포를 보았을 때, 전문직 종사자가 19.8%, 주부가 29.4%, 자영업 종사자가 21.4%, 학생을 포 함한 기타 직종이 29.4%로 나타나서, 학생과 주부가 설문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응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 사찰숲 별로 사회인구변수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먼 저 성별의 경우에 통도사는 여성이 62.0%로 높게 나타난 반면, 석남사는 남성이 57.1%, 그리고 내원사는 남성이 64.3%로 남성의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 는 통도사는 40대가 44.0%, 석남사가 30.6%로 40대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내원사는 60대 이상이 50.0%를 차지하여 절반에 이르는 분포를 보였다. 결혼여부에 따라서 는 3개 사찰 모두 기혼자의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통도사는 78.0%, 석남사는 72.9%, 내원사는 89.3%를 보였다. 학력에 따라서는 통도사와 석남사의 경우에는 대졸 이상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각각 61.2%와 57.1%를 차지 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내원사의 경우에는 고졸이하가 57.1%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직업에 따라서는 각 사 찰마다 다른 분포를 보였는데, 통도사의 경우에 자영업 종 사자가 가장 많은 응답을 하여 30.0%를 차지하였으며, 석남 사의 경우에는 주부의 응답비율이 높아서 33.3%, 그리고 내원사의 경우에는 학생의 경우가 35.7%를 보였다. 각 사찰별로 방문특성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방문 횟수의 측면에서는 각 사찰마다 응답의 분포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통도사 방문객은 12회 이상 방문한 경우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34.0%). 석남사 방문객은 이와 반대로 처음 방문한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34.7%), 마지막으로 내원사 방문객은 6회 미만으로 방문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42.9%). 교통수단의 측면에서는 자동차로 이 동한 경우가 모든 사찰에 있어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통도사의 경우에 78.0%, 석남사의 경우에는 79.6%, 그리고 내원사의 경우에는 46.4%를 보였다. 거주지에서 각 사찰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30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도사 방문자의 경 우에는 72.0%, 석남사의 경우에는 78.3%, 그리고 내원사의 경우에는 85.7%가 이동소요시간이 30분 이상 걸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찰숲에서 머무르는 시간은 통도사와 석남사의 경우에 는 3시간 미만의 짧은 체류시간을 보였는데, 각각 52.0%와 64.6%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내원사의 경우에는 약간 더 긴 시간을 체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3시간에서 6시간 정도 머무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57.1%로 가장 높았다. 사찰 숲을 방문하면서 비용 부분에 있어서 가장 많이 들어간 것 은 통도사와 석남사의 경우에 별다른 비용이 들어가지 않았 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54.0%와 46.9%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한편, 내원사의 경우에는 유류비를 포함한 교통비가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46.4%). 사찰숲을 방문하면서 함께 동행한 사람의 수는 통 도사와 석남사의 경우에 2명이 방문한 경우가 각각 42.0% 와 32.7%를 차지하였고, 반면에 내원사의 경우에는 9명 이 상의 많은 사람이 함께 동행하였다고 응답한 사람이 50.0% 를 보였다. 각 사찰숲 별로 방문자의 이용특성에 대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도사 및 석남사는 서로 비슷한 유형을 보였는데, 친한 관계를 가진 2명이 짧게 체류하는 시간 형태 의 방문이 많았다. 다만, 통도사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이유로 인하여 재방문 횟수가 많았던 반면에, 석남사 는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가 많은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내원사 방문객은 여럿이 함께 단 체로 방문하는 경우가 많아 비교적 자주 오지 못한 이용자 가 많아서 체류시간도 비교적 긴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비 용과 시간 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이러한 조사 결과를 모든 방문객에 대하여 일반화를 하기에는 적용의 한계점이 존재 한다. 그러나 통도사와 같이 가지산도립공원 내에서도 잘 알려진 사찰같은 경우에는 재방문횟수는 높은 편이나 체류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것은 방문자 체류를 유발할 수 있는 자연환경 및 경관적 요소를 더욱 발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0.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시행 중인 탐방객 산행 안전 대응 프로그램에 대한 탐방객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관리 수단의 적정성, 효용성,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원관리 정책에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성삼재, 중산리, 백무동, 쌍계사탐방로 입구에서 평일과 주말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총 394매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 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안전사고 예방 프로그램 참가 경험 응답률은 23.4%로써 이 프로그램이 탐방객에게 폭넓게 인식되고 있지 못하고 있었으나 안전사고 프로그램 참가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 중 51.1%는 안전사고 프로그램이 산행시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 유도는 안전사고 예방에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조사대상 탐방객의 72.4%는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식도는 높았다. 응답자의 72.2%가 이 제도의 다른 국립공원 확대 시행에 공감하고 있었다. 입산시간지정제 인식여부에 따른 탐방객 안전사고 취약성 분석 결과 입산시간지정제를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산행 경력이 길고 산행 기술 수준이 높았으며 사고 대비 준비를 더 많이 하고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산행경력, 산행기술능력, 산행의 준비 정도는 안전시설 설치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산행경력이 많고 산행기술이 높으며 안전사고에 대한 준비가 많이 된 탐방객일수록 현재 설치된 안전시설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1.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imed to extend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framework. Atmospherics and staff service were evaluated as stimulus impacting attendees’ social/self concept and memory (organism), and further leading to behavioral intention (response). Memory is not only an effective predictor of behavioral intention but also mediates the social/self concept value and behaviors.
        4,000원
        3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원 방문객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그들의 생태의식과 욕구구조의 연관성 규명을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식물원 이용자의 생태의식과 이용동기수준의 파악’,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생태의식에 미치는 효과’, ‘생태의식과 이용동기와의 연관성 규명’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은 경기도 일원 3개 식물원 방문객 대상의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이용객의 생태의식은 던랩(Dunlap)의 15개 NEP 척도로 측정하였고, 이용동기는 매슬로우(Maslow)의 7단계 욕구를 활용했다. 3개 조사대상지에서 3일간 조사한 끝에 각 360부의 설문지를 확보하여 본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이용객들의 생태의식과 이용동기는 보통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다. 생태의식에서는 ‘자연균형과 생태위기’와 ‘반인간 중심주의’에 대한 반응이 높았다. 이용동기에서는 ‘인지적 욕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애정 및 소속의 욕구’, ‘생리적 욕구’의 순이었다. ‘자아실현 욕구’와 ‘자존의 욕구’는 가장 낮았으며, 이 둘을 제외하면 대체로 상위욕구의 비중이 높은 반응을 보였다. 생태의식과 이용동기는 상관성 분석 결과, 부(-)적 상관과 정(+)적 상관이 섞여 있었으나, 정적 상관의 비율이 70% 이상으로 높았다. 분석결과 생태의식과 이용동기는 대체로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생리적 욕구’와 ‘인지적 욕구’가 생태의식과 상관성이 높았는데 이는 이 두 욕구가 각각 식물원 방문객의 하위욕구와 상위욕구를 대표하는 욕구로 판단된다. 즉, 식물원 방문객이 학습목적성이 강하지만, 이와 동시에 신체적인 휴식공간으로서의 기대감 또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 식물원 방문객의 생태의식은 보통 이상의 높은 수준인데, 향후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었다. 따라서 이용동기 또한 계속 높아질 것이며, 특히 ‘심미적 욕구’와 ‘인지적 욕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식물원의 시각적 자원을 활용한 경관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방문객의 지적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컨텐츠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3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자기안내식의 홍보 및 환경해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매체에 대한 이용과 평가 현황을 파악하여 공원관리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05매의 유효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탐방행태는 우리나라 다른 국립공원에서 실시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홍보 및 환경해설 매체를 이용했던 탐방객중 '공원자원 및 이용안내판'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87.7%) '공원정보 제공 전광판', '탐방로변 수목이름 해설판', '각종 홍보계도 안내판(고정식)'의 이용률은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자연해설 프로그램'은 40%미만의 적은 이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한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 중요도는 전 항목에서 측정값이 평균 4점 이상으로 나타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성취도 평균값은 3.82이었으며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홍보 및 해설매체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매체는 '공원자원 및 이용안내판'과 '각종 홍보 계도 안내판(고정식)'이었다.
        4,000원
        34.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자기안내식의 홍보 및 환경해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매체에 대한 이용과 평가 현황을 파악하여 공원관리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05매의 유효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탐방행태는 우리나라 다른 국립공원에서 실시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홍보 및 환경해설 매체를 이용했던 탐방객중 ‘공원자원 및 이용안내판’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87.7%) ‘공원정보 제공 전광판’, ‘탐방로변 수목이름 해설판’, ‘각종 홍보계도 안내판(고정식)’의 이용률은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자연해설 프로그램’은 40%미만의 적은 이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5점리커트 척도를 이용한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 중요도는 전 항목에서 측정값이 평균 4점 이상으로 나타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성취도 평균값은 3.82이었으며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홍보 및 해설매체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매체는 ‘공원자원 및 이용안내판’과 ‘각종 홍보․계도안내판(고정식)’이었다.
        4,000원
        3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분석을 통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한 시설물 계획 및 관리적 측면의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방문객의 시설물에 대한 공간인지도와 시설물 특성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남이섬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시설물 유형, 입지 등의 시설물 특성과 성별, 연령, 안내지도 사용 등의 방문객 특성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이섬의 경우에는 식 음료시설에 대한 매력성, 상징성 강화 등의 재정비가 요구되며, 종반부 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시설의 추가설치 및 재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효율적인 계획과 관리를 위해 시설물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반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방문객의 공간인지도는 관광지의 공간적 성격과도 연관성이 있으며, 여성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시설물의 독특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계획과 관리에 있어 관광지 정보제공 기능이 관광지의 공간구조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3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389 customers visiting restaurants located in the Guemo mountain resort who filled out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60% of the participants dined out monthly. The 30 to 40-year-old age group did so the most frequently, dining out one to two times weekly. For men, the favorite menu item was the sanchejeongsik along side traditional liquor and for women was the samgaetang. By age, the 20, 30, and 60-year olds selected samgaetang as their favorite, the 40-year-olds selected traditional liquor, and the 50-year-olds selected the sanchejungsik.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dishes were because participants previously enjoyed them or considered the dishes healthy, regardless of sex or ag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 sanchejeongsik and samgaetang be promoted for tourism,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certain local menu such as sanchejungsik and samgaetang could be improved to become more nutritious for future customers. Also, traditional Korean liquor may become even more popular with visitors to the Guemo mountain resort if paired with simple menu items such as jeon or muk.
        4,000원
        38.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ffect the manner in which mourners greet those expressing condolence to the deceased. While the funeral process was done at home in the past, nowadays, most families prefer a funeral home. Funeral homes provide all necessary services for the funeral process, including food for visitors and ritual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in the Kyonggido area. Overall food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was moderate; satisfaction with cleannes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aste, quality, freshness, and diversity. Satisfaction level of foodservice by the type of funeral homes showed home funeral was highest, followed by general funeral home, hospital funeral home. Regarding the acceptance of food items served at the funeral home, Yukgaejang was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Gaorichomuchim, Pyeonyuk, Kodarichim, and Injeolmi. There were differences in food acceptan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visitors. Male prefers Samgyeopsal-suyuk to Pyeonyuk. but female prefer Pyeonyuk to Samgyeopsal-suyuk. Elder individuals preferred Kodarichim, Gaoricho-muchim. Younger individuals preferred Jeon, Ojingeodorajimuchim, and Samgyeopsal-suyuk.
        4,000원
        39.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태관광지의 유형별 탐방객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북한산둘레길, 우포늪, 지리산둘레길, 울진금강소나무 숲길을 대상으로 탐방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여행동기, 훼손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였다. 각 대상지를 방문한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1:1 면접조사를 통해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북한산둘레길의 경우 인근 주민들이 건강을 위해 찾는 빈도가 높고 생태관광객의 비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환경훼손에 대한 인식도 높지 않게 나타났다. 우포늪은 동료간의 친목을 다지기 위해 단체로 움직이는 탐방객 수가 많았고, 습지생태계의 관찰·체험, 탐조활동 등 생태관광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악형에 비하여 물리적인 훼손요인이 많지 않아 훼손에 대한 탐방객들의 인식은 높지 않았다. 지리산둘레길은 생태관광객과 함께 일반 대중관광객과 자연관광객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으며, 평지형 관광지보다 환경훼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울진금강소나무숲길의 경우 탐방을 제한함으로써 생태관광에 대한 인식이 높고 자연환경 보전의식이 높은 관광객들이 주로 방문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지표에서 다른 생태관광지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관광지의 자연환경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 입장료 징수 또는 탐방예약제를 통해 관광객수를 조절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40.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공원의 하나인 무등산도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탐방객의 인식 및 태도를 이해하고자 실시되었다. 2010년도 9월 중 무등산도립공원에서 실시된 현지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총 401명의조사대상자가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총 응답자의 61.7%가 무등산도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하여 '반대' 의사를 표명하였으며 '찬성' 의사를 나타낸 응답자는 20.6%로 나타났다. 케이블카 설치로 인하여 '생태환경 및 자연경관 훼손', '늘어난 방문객수로 인한 혼잡문제', '무등산도립공원의 자연성 및 자연경험의 소멸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에 높은 동의를 보인 반면, '관광객 유치로 인한 경제소득 증대 및 지역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낮은 동의를 나타냈다. 총 응답자의 32.4%가 현재 무등산도립공원을 '자연보존지역'으로 보았으며 10.5%는 '개발공원지역'이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총 응답자의 48.8%는 무등산도립공원이 '자연보존지역'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단지 2.5%만이 '개발공원지역'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답변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수준, 광주시 거주기간), 이용행태(무등산도립공원 및 무등산도립공원 내 중봉일대지역의 방문경험)및 장소에 대한 규범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지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몇 가지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