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65

        381.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exophthalmetry of dominant eye and visual function. Methods: 200 adults without ophthalmophathy and general disease was examined. Used the hertel's exophthalmometer, measure the exophthalmetry dominant eye. Examination with three repetition for visual function element using the accommodaion target, PD meter and Phoropter. Results: For examination value, the exophthalmetry is 13.62±1.07 mm, myopia is – 2.48±1.91, distance exophoria is 3.51±1.78, near exophoria is 5.73±2.44, near point of convergence 9.63±2.82 cm,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 21.73±10.28 cm. while increased exophthalmetry of dominant eye, the unaided visual acuity, myopia and astigmatism a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distance exophoria, distance esophoria, near exophoria,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lso increased, while exophthalmetry of dominant eye is increased. Conclu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function and exophthalmetry of dominant eye are found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could be the clinical criteria for prescription binocular inspection.
        382.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intended to evaluate the value of functional aspect from the viewpoint of habitat. The indicators that are used in biotope evaluations are various, but most of them use the criteria to evaluate the naturality. This evaluation method cannot appropriately reflec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coming from relation to the surrounding biotope. In this study, the connectivity, cohesion and diversity between individual biotope are quantitatively measured by a landscape index. It is hard to draw the functional value of individual biotopes because the landscape index related to connectivity, cohesion and diversity comes from a landscape having a number of biotopes. The concept of contribution was us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concept of contribution is to quantify how much each individual biotope contributes to the connectivity, cohesion, and diversity in a certain range of landscape by deriv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andscape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individual biotop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results in functional aspect, this research has don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in the sam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vidual biotopes such as artificial forests, fragmented natural forests, and small planting sites were highly rated.
        4,900원
        384.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W. B. 예이츠의 두 소포클레스 번역극, 『오이디푸스 왕』과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에 포함된 선택과 방법을 분석한다. 예이츠가 그리스 원전을 얼마나 자유롭고 자의적으로 활용하는가와 얼마나 충실하게 번역하는 가를 설명하게 위해서, 로렌스 베누티, 피터 로빈슨, 그리고 매듀 레이놀즈와 같은 학자들의 당대 번역이론과 독일의 해석학을 활용한다. 애비극장이 고전과 외국 극을 레버토리로 사용한 것도 이 극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문맥으로 다루어진다. 특히,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예이츠의 작업이 더 적절해 보인다. 그가 보다 자유롭게 번역한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는 그의 친구이며 협력자인 에즈라 파운드의 번역에 영향을 받은 것이 보인다. 이 두 번째 번역을 자세히 검토하면, 보통 러처드 젭의 번역에서 출발하는 예이츠의 번역문구가 얼마나 크게 차이가 나는지를 보여준다. 이 논문의 마지막 부분은 기형과 지하에 관한 은유법을 검토하는데, 이 번역극들에서 무엇을 다루는가와 어떻게 다루는 가(형식) 사이의 미묘한 관계를 보여준다.
        5,500원
        38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항분포함수 계산 시 적용하는 기준선의 방향과 기준점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에 따라서 통항분포함수가 변하는 양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목포항 입구에 있는 항로를 대상으로 2013년 1월달의 AIS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기준선의 방향(θ), 수평위치(ℒH) 및 수직위치(ℒV) 등의 3가지 변수가 통항분포함수의 평균(χ)과 표준편차(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θ에 따라 추출되는 샘플 데이터가 달라지기 때문에 θ의 변화에 따라서 χ와 δ가 변화됨을 나타냈고, θ에 따른 χ와 δ의 변화는 사인(sine)함수 합의 관계로 도출되었다. 또한 항로가 복잡한 해역에서 최적의 통항분포함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의 변화 값이 최소가 되는 θ을 기준선의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규분포가 보다 더 정량화된 수치로 표현되어 해상교통흐름을 파악하고 해상교통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8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 inspiratory muscles training program’s therapeutic effects on stroke patients’respiratory func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targeted 20 stroke patients being hospitalized in K hospital in Daegu, and diveded the patients into the both groups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IMT) group and control group, randomization. The 10 patients in the IMT group was applied the inspiratory muscles training.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other 10 patients. IMT group was given a inspiratory muscle training program for 30 minutes per times, 5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investigator measured the patients’respiratory function compared changes in the function and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IM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vestigating th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group’s lung functions, there appear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sts the FVC(Forced vital capacity), FEV1(Forced expired volume in one secon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p<.05), but the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in the same tests before and after(p<.05). The differences in the both groups after depending the inspiratory muscles training were significantly found in the tests of FVC, FEV1, FEV1/FVC(p<.05).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group(p<.05), but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ally, it will be judged that the inspiratory muscles training program will improve stroke patients’respiratory funct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will move up stroke patients’gait and body function.
        4,000원
        388.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게 동영상 동작모방이 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5월부터 12월까지 부산광역시 소재의 P병원에 뇌졸중으로 내원한 환자 중 삼킴장애를 동반 한 뇌졸중 환자 16명을 동영상 동작모방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 하였다. 동영상 동작모방군은 동작관찰 과 함께 동영상에서 제공되는 동작을 모방하였고, 반면 대조군은 풍경으로만 구성된 동영상을 5분간 관찰하 였다. 중재에 사용된 동영상은 정상인이 음식을 먹는 장면으로 구성 되었으며, 총 시간은 5분이다. 1일 1회, 주 3회, 4주간 치료시작 전 실시하였으며, 중재이외의 모든 치료는 두 군에게 동일하게 제공되었다.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재 전, 후에 연식, 고형식, 액상식에 대한 비디오 투시 조영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를 실시한 후 기능적 삼킴장애척도(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 삼킴장 애 임상척도(Clinical Dysphagia Scale; CDS), 구강이동시간(Oral Transit Time; OTT)을 조사하였다. 결과 : 집단 내 분석 결과 동영상 동작모방군은 모든 척도에서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모든 식이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집단 간 분석 결과 FDS가 모든 식이유형에서 대조군보다 동영상 동작모방군이 통계학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삼킴장애 재활치료에 동영상 동작모방을 적용하는 것이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 과적임을 확인하였다.
        4,200원
        389.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and elastic band exercise on the physical functions and blood lipids of obese elderly women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group (n1=16) patients underwent PNF for 1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n2=15) patients performed elastic band exercises. SPSS 21.0 was used to compute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fter the 12-week PNF,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sical functions (cardiovascular endurance, strength of the lower extremity,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and agility) (p<.05), but the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5). In terms of the changes in the blood lipid level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high-density lipoprotein, and low-density lipoprote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p<.05). In conclusion, PNF was confirmed as more effective than elastic band exercise in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s and blood lipid levels of obese elderly women.
        4,600원
        390.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paraglider with the enhanced function and safety of flight by performing the simulation and test of flight with two slots at each wing tip of canopy. When the distributions of velocity and shear stress at wall around the canopy were compared, the canopy with slots showed the distribution of less velocity and shear stress at wall significantly than the canopy without slots by confirming the safety of the paraglider. Series of simulation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optimal shape of slots by applying various sizes and positions of the slots, resulting nine cases with the better outcome on which flight tests were based. The flight test results in this study confirmed that canopy with slots showed the improved flight function by increasing the maximum velocity, decreasing the minimum velocity, delaying the stall timing significantly and consequentl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araglider. Based on the simulation and flight tests, three cases with the best outcome have been selected for merchandising strategies.
        4,000원
        39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on upper motor extremity function betwee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in clinical practice, an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in terms of improving upper motor extremity function. A study with a single-subject design (A-B-C-A') was conducted with a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left hemiplegia. A repeated-meas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results of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Box and Block Test (BBT), and grip and pinch strength test performed daily in the study for 4 wee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WMFT score, BBT score, grip strength, and pinch strength were improved from 29.60 to 39 (24.10%), from 1.67 to 4.93 each (EA) (66.22%), from 2.06 to 2.66 libras (lbs) (22.61%), and from 1.57 to 1.93 lbs (18.94%), respectively, from the baseline period to treatment period B. The values were improved from 29.60 to 42.20 (29.86%), from 1.67 to 7 EA (76.21%), from 2.06 to 3.47 lbs (40.57%), and from 1.57 to 1.67 lbs (6.12%), respectively, from the baseline period to treatment period C. From treatment period B to treatment period C, the WMFT score, BBT score, and grip strength were improved from 39 to 42.20 (7.58%), from 4.93 to 7 EA (29.56%), and from 2.66 to 3.47 lbs (23.20%), respectively, but pinch strength was decreased from 1.93 to 1.67 lbs (15.83%). In conclusio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both have positive effects o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However, we suggest that the posttreatment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as better than tha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4,000원
        39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surgery and shoulder surgery patients on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degree of pain and dysfunction, and scapular pos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90 women: a breast cancer surgery group (BS, n1=30), a shoulder surgery group (SS, n2=30) and a control group (n3=30). Shoulder ROM, the Quadruple Visual Analogue Scale (QVAS),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nd the Scapular Index (SI) were used to assess shoulder func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rosstab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Post-hoc testing was carried out with Bonferroni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ulder ROM when the BS and the S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between the BS and SS.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ulder pain between both surgery groups, and there was greater shoulder dysfunction in the SS than in the B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extremity posture when the BS and the SS we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extremity posture between the BS and the SS. This study compared shoulder ROM, pain, dysfunction, and upper extremity postures between the BS and S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ulder ROM, pain, and upper extremity posture between both surgery groups, the level of dysfun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health professionals managing for breast cancer surgery or shoulder surgery patients should consider these outcomes.
        4,000원
        393.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results of our investigation of the radio intrinsic brightness temperatures of compact radio jets. The intrinsic brightness temperatures of about 100 compact radio jets at 2, 5, 8, 15, and 86 GHz are estimated based on large VLBI surveys conducted in 2001-2003 (or in 1996 for the 5 GHz sample). The multi-frequency intrinsic brightness temperatures of the sample of jets are determined by a statistical method relating the observed brightness temperatures with the maximal apparent jet speeds, assuming one representative intrinsic brightness temperature for a sample of jets at each observing frequency. By investigating the observed brightness temperatures at 15 GHz in multiple epochs, we find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intrinsic brightness temperature for our sample is affected by the flux density variability of individual jets at time scales of a few years. This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use contemporaneous VLBI observations for the multi-frequency analysis of intrinsic brightness temperatures. Since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VLBI observations conducted in 2001-2003, the results are not strongly affected by the flux density variability. We find that the intrinsic brightness temperature T0 increases as T0 ∝ νξ obs with ξ = 0.7 below a critical frequency νc ≈ 9 GHz where the energy loss begins to dominate the emission. Above νc, T0 decreases with ξ = −1.2, supporting the decelerating jet model or particle cascade model. We also find that the peak value of T0 ≈ 3.4 × 1010 K is close to the equipartition temperature, implying that the VLBI cores observable at 2-86 GHz may be representing jet regions where the magnetic field energy dominates the total energy in jets.
        4,000원
        39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한글판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목적으 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35명의 지적장애 아동과 14명의 전반적 발달장애로 진단 받은 초등학생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판 SFA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사회성숙도(Korea-Social Maturity Scale; K-SMS)를 준거로 비교하였다. 또한 한글판 SFA가 지적 장애 아동과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을 판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적합한지 알아보 기 위하여 판별분석을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글판 SFA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 및 측정자간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한글판 SFA의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준거타당도 연구 결과 한글판 SFA는 K-ABS (r=.84)와 K-SMS (r=.77)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 를 보였다. 한글판 SFA의 점수를 바탕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적장애와 전반적 발달장애를 유의 미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신뢰도 검증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r=.83∼.95)와 측정자간 신뢰도 (r=.75∼9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이 산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글판 SFA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과 더불어 임상 및 학교 에서 치료 계획 및 중재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타당한 도구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4,200원
        39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좌심실의 기능(left ventricular function)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임상적 진단이나 치료 전략 및 예후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동맥판막 협착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좌심실 기능평가를 dual source computed tomography(DSCT)와 two dimensional-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2D-TTE)와 비교하여 심장 검사에서 MRI의 활용에 대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우수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08월부터 2010년 09월까지, AS로 진단된 환자 중, 2주 이내에 DSCT, 2D-TTE, CMR를 모두 시행한 93명(남성 48명, 여성 45명, 평균연령 57.7세)을 수술 전 비교 평가하였다. EDV, ESV, SV, EF은 M mode를 사용한 2DTTE, threshold-based technique를 사용한 DSCT, 심슨의 방법을 사용한 CMR을 통해 계산하였다. LV 기능의 파라미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CMR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분석한 두 명의 방사선사 사이의 관찰자간 일치도를 평가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값 0.05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 과 : 총 환자수는 93명(남성 48명, 여성 45명, 평균연령 57.71±13.7, 1.5T MRI 69명, 3.0T MRI 24명) 이었다. EDV, ESV, SV, EF을 위한 CMR과 DSCT는 매우 우수한 상관관계(r=0.93, 0.94, 0.83, and 0.85, 각각, p<0.01)를 나타내었으며, CMR과 2D-TTE는 우수한 상관관계(r=0.81, 0.92, 0.56, and 0.77, 각각, p<0.01)를 보여주었다. DSCT는 CMR에 비해 EDV(130.48ml), ESV(40.74ml), 그리고 SV(89.74ml)에서 낮은 측정치를 보였으나, EF(71.1%)은 높게 나타났다. CMR을 이용한 LV 기능 평가의 관찰자간 일치도 평가에서 매우 높은 상관관계(r=EDV; 0.96, ESV; 0.94, SV; 0.92, EF; 0.84, 각각, p<0.01)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DSCT의 회귀계수(Β=EDV; 0.91, ESV; 0.72, SV; 0.86, EF; 0.68)는 2D-TTE의 회귀계수(Β=EDV; 0.21, ESV; 0.53, SV; 0.13, EF; 0.32)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결정계수(r2)는 각각 0.88, 0.91, 0.71, 0.78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심슨의 방법을 사용한 CMR 측정은 재현성과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대동맥판막 협착증을 가진 환자의 LV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CMR의 폭 넓은 활용과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96.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view focuses on the hydrological definition and functions of hyporheic zone which has a feature of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natural stream system. This work also investigated how to measure the amount of flow exchange around this zone. As hyporheic zone shows heterogeneous feature due to groundwater level, river bed thickness, and hydraulic conductivity, spatio-temporal vari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surface-groundwater hydrologic exchange is to be analyzed. The methods to quantify this flow exchang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field scale and status, the proper method should be adopted. Especially, Krause et al. (2007), showed that the flow exchan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water balance in watershed and can be quantified by using integrated watershed hydrologic modeling.
        4,200원
        397.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is a neuromodulatory technique that delivers low-intensity direct current to cortical areas, thereby facilitating or inhibiting spontaneous neuronal activ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hanges in various sensory functions after tDCS. We conducted a single-center, single-blinded, randomized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single session of tDCS with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CPT) in 50 healthy volunteers. Nerve conduction studies were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median sensory and motor nerves on the dominant hand to discriminate peripheral nerve lesions. The subjects received anodal tDCS with 1 mA for 15 minutes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with 25 subjects in each groups: the conditions were as follows tDCS on the primary motor cortex (M1) and sham tDCS on M1. We recorded the parameters of the CPT a with Neurometer(R) at frequencies of 2000, 250, and 5 Hz in the dominant index finger to assess the tactile sense, fast pain and slow pain, respectively. In the test to measure CPT values of the M1 in the tDCS group, the values of the distal part of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second finger statistically increased in all of 2000 Hz (p=.000), 250 Hz (p=.002), and 5 Hz (p=.008). However, the values of the sham tDCS group decreased in all of 2000 Hz (p=.285), 250 Hz (p=.552), and 5 Hz (p=.062), an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M1 anodal tDCS can modulate sensory perception and pain thresholds in healthy adult volunteers. The study suggests that tDCS may be a useful strategy for treating central neurogenic pain in rehabilitation medicine.
        4,000원
        398.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섬 지역은 농업 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이 부족하고 대 부분의 토지가 경사져 농업을 하기에 불리한 환경조건을 가 진다. 전라남도 완도군에 위치한 청산도는 독특한 농업 문화 를 통해 이러한 도서지역의 한계성을 극복하였다. 청산도는 본래 토양에 포함된 돌이 많아 물 빠짐이 심한 농지에 과거부 터 지하 암거 구조의 관개체계를 가진 계단식 논과 비슷한 구들장논을 이용하여 농업을 행해왔다. 구들장논은 한국의 전통 난방방식인 온돌에서 사용한 구들돌과 유사한 구조를 보이며 하부구조에 크고 작은 돌을 쌓고 논의 가장자리에 정방형 통수로를 만들어 물의 용·배수를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상류 지역 수원의 물이 윗 논에서 아랫 논으 로 흐르는 물길을 따라 계단의 형태를 띠며 연속적인 관개구 조를 보인다. 일반 계단식 논은 주로 흙이 많이 이용되고 지하에 특별한 구조물이 없는 반면, 구들장논은 주로 돌을 이용하고 돌기동 및 온돌 구조로 총 4개의 층위로 구성된다. 구들장논은 작물 이 생육하는 토층으로 표토층, 용수의 침탈 방지를 위한 혼합 토층, 물의 배수 및 저수를 위한 통수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 하기 위한 하부석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 구 조로 인해 섬 지역에서의 농업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었 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에 국가중요농업유산 (KIAHS) 제1호로 지정이 되었고 이어 2014년에 세계중요 농업유산(GIAHS)에도 등재된 바 있다. 그러나 청산도 구들 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와 완도군에서 시행 한 구들장논 지표자원조사를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구들장논 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 는 구들장논의 수원 함양 기능을 분석하여 구들장논이 가지 는 공익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산도 내 부흥리, 양중리, 상동리, 청계리의 토지 이용 현황을 현장조사와 주민면담으로 확인하였으며, 구들장논의 구조 중 수원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층(혼합 토층+표토층)의 높이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 탕으로 Arc GIS를 활용하여 각 토지 이용별 면적 및 구들장 논이 가지는 수원 함양 기능을 부피 단위로 산출하였다. 또한 구들장논이 일반 논과 비교하여 얼마의 저수 기능을 가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논의 평균 논둑 높이를 문헌 조사 를 통해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청산도 내 부흥리, 양중리, 상동리, 청계리 전체 면적 중 주민들의 증언에 의한 구들장논은 16.45%(484.55 ㎥) 이며, 이 중 실제 육안으로 구조가 확인된 구들장논은 2.21%(65.12㎥)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구들장논의 토양층 의 높이는 최소 40cm에서 최대 60cm임을 확인하였다. 문헌 조사 결과, 일반 논의 경우 혼합토층과 표토층을 가지는 구들 장논과 비교하였을 때 표토층만 가지고 있어 논둑의 높이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균 높이는 26.1cm로 파악되 었다. 주민들의 증언에 의한 구들장논이 함양할 수 있는 수원의 최소 · 최대 양을 부피로 산출한 결과 최소 양은 193.82kton, 최대 양은 290.73kton으로 산출되었다. 하지만 증언에 의한 구들장논은 현재 그 구조가 유지된다고 파악하기 어렵기 때 문에 실질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수원의 양은 실제 육안으로 구조가 확인된 구들장논에서의 값이 유의미할 것으로 파악 된다. 그 결과 실제 육안으로 구조 확인된 구들장논의 최소 수원 함유량은 26.05kton, 최대 수원 함유량은 39.07kton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같은 면적을 일반 논으로 가정하여 수원 함유량을 산출해보니 평균 126.47kton으로, 증언에 의 한 구들장논이 일반 논에 비하여 최소 1.53배에서 최대 2.30 배의 저수 기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자원이 부족한 섬 지역 내에서 저수 기능이 더 높은 구들장논을 이용하는 것이 수원함양 측면에서 더욱 유 리함을 확인 할 수 있다. 구들장논의 혼합토층이 머금은 수자 원은 부족한 용수를 확보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지나친 강수 또는 가뭄에도 유연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 다. 하지만 청산도 인구의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한 경작 인구의 감소는 구들장논의 휴경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훼손 된 경우도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파악한 수원 함양기능 외에도 구들장논은 생산물로 얻을 수 있는 생산적 기능, 미생물과 곤충 등 생태계 구성 요소들의 서식처로써 생태계 보존기능, 식물의 생육에 따른 대기 보전 및 미기후 조절 기능, 심미적 효과에 의한 경관 및 어메니티 형성과 같은 사회문화 보전 기능 등 여러 가지 공익적 기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다른 기능에 대한 다방 면적인 연구가 이뤄져 세계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은 한국의 전통 구들장논에 대한 보전과 관리를 위한 방안이 수립되어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9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nongrading elderly dementia using Daytime protection service. For achieve this purpose, 30 dementia elderly were randomly assigned in to the experimental group(n=15)and control group(n=15). All subjects performed a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and 20- 30minutes takes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were conducted with experimental group 2 times a week for 8 weeks.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easured by using cognitive function is mini-mental states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visual perception is MVPT(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Berg's balance scales(BBS), depression test GDS-K and lower limb strength. The results of study represented that the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MSEK( p<.05), visual perception(p<.05), balance(p<.05), lower limb strength(p<.05) and depression (p<.05). In conclusion, the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improves visual perception included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 included balance, and lower limb strength and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rtual reality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s feasible and suitable for mild dementia.
        4,000원
        400.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 group exercise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ople. Subjects were chosen to be elders with dementia having minor to moderate degrees of cognitive function. Study was started out by randomly dividing the 16 subjects into two groups, each with 8 people; the group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group exercise group performed 8 weeks of group exercise program and general physiotherapy while the control group only performed general physiotherapy.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by Korean versio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The study group's attention and calcu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 control group saw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The group exercise program affected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in particular,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ir attention and calculation.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