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1

        40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과를 위하여 교육훈련투자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교육 훈련투자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회의론은 교육훈련 투자의 효과를 부 정하지는 않으나, 기업이 인식하고 있듯이 그만큼의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을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교육훈련투자의 실제적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서는 교육훈련투자와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하여 여러 가지 대안적 설명을 고려하고 이를 반영한 실증 분석 모형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고자 하며, 역인과관계 설명 등의 대안적 설명을 고려한 동태적 분석 모형을 설정하여, 교육훈련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동태적 패널 분석의 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진다. 우선, 교육훈련은 조직성과인 일인당 매출 에 유의적인 정의 효과를 미치며, 그 크기는 0.05정도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교육훈련은 재무적 성과인 일인당 순이익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동태적 패널 분석의 결과는단일연도만을 사용한 회귀분석 결과와는 효과의 크기 면에서나 유의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 역시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5,800원
        40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대학 실습선은 STCW협약에서 요구하는 항해사 및 기관사 자격 취득을 위해 국립대학에서 학생들의 승선실습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선박이다. 실습 선은 많은 인원이 승선하며,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특수목적의 선박으로서 다른 선박들보다 엄격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실습선은 교육부 소속의 선박으로 안 전관리에 대해서는 각 대학의 자체규정에 따라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규율할 수 있는 법 또는 제도가 없다. 무엇보다 국제해사협약에서도 실습선에 대한 별 도의 지위가 없으며, 비상업용 정부선박으로 간주되어 인적분야에 해당하는 일부 협약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 특히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ISM Code와 선박 및 항만의 보안을 위한 ISPS Code가 적용 제외되어 실습선에 대한 안전관리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부분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실습선의 법적지위 및 안전관리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습선의 안전관리가 체계화 될 수 있는 법제도적 개선방 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6,400원
        403.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객선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일반 승객들은 승선환경 비숙련자이기 때문에, 재난환경에서 일반승객의 행동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재난대응방안수립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 연구는 재난상황 중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정전조건에서 선내환경 비숙련자들의 이동특성을 파악한 것이다. 연구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조명조건에 비해 정전조건일 때의 이동시간이 전구간에서는 155.8~247.1 %, 복도 구간에서는 56.9~331.7 %, 계단 구간에서는 75.3~152.9 % 각각 더 소요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정전조건 시나리오 중에서도 피난유도기구가 설치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이동시간이 전구간에서는 21.6~24.0 %, 복도구간에서는 37.7~58.9 %, 계단구간에서는 18.7~19.2 % 각각 짧았다. 피난유도기구가 없는 정전조건에서 이동에 도움을 준 것이 무엇인가라는 설문에 대해 유효응답자의 60.7 %가 벽/계단(35.7 %), 핸드레일(25 %) 등 선내 구조물을 선택하였고, 28.6 %는 개인적 직감에 따라 이동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피난유도기구가 부착된 실험에 참여한 후 동일한 설문에 대해서는 유효답변의 50 %가 피난유도기구를 선택하였다.
        4,000원
        404.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officers’ watch-keeping during fishing operation at the fisheries training ship KAYA(GT: 1,737 ton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t observed fishing works of three officers in wheel house of KAYA. The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at the fishing ground 45 miles away from east of Jeju from 7 to 8 January 2010. The works and movements of the officers were recorded with three common video cameras and a 4-channel MPEG-4 Triplex DVR. Recorded data of the working circulation was analyzed by using the post-process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traffic lines, the average (±S.D) of working hour (min) and moving frequency (times), distance (m) and speed (m/min) during setting the net was 11.8 (0.9), 43.7 (8.1), 133.9 (35.8) and 10.5 (0.6), respectively. During trawling the net, it was 100, 241 (39.8), 615.7 (194.6) and 5.2 (1.6), respectively. During hauling the net, it was 17.6 (1.4), 41.0 (7.2), 196.9 (37.6) and 10.7 (0.8), respectively. In addition, it has a different tendency of the instrument usage frequency by the fishing works. During setting, the usage priority was CCTV, ECDIS, RPM and pitch controller, net monitor, GPS plotter, chart room, X-band radar, fish finder and public addressor. During trawling, it was CCTV, ECDIS, fish finder, X-band radar, net monitor, chart room, GPS plotter, RPM and pitch controller, auto pilot and steering, interphone, wind speed and direction indicator, No.1. VHF, navigation light control panel and public addressor. During hauling, it was CCTV, RPM and pitch controller, GPS plotter, public addressor, chart room, net monitor, X-band radar, auto pilot and steering and fish finder.
        4,000원
        40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곤충은 대체 식량자원으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 유무에 따른 저항성운동 훈련(등장성 수축)이 ICR 마우스의 근육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ICR 마우스 28마리를 대조군(CON), 저항성운동 훈련군(EX),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군(SP), 누에나방 번데기분말 섭취 저항성운동 훈련군(SPEX)으로 그룹 당 각각 7마리씩 분류하였다. 체중증가율은 EX와 SPEX가 CON과 SP에 비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혈중 총 단백질 농도는 SPEX가 다른 그룹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알부민 농도 변화는 운동훈련 병행 시에만 증가하였다. 혈액 GOT와 GPT 수준은 유의차가 없었다. Akt와 Gsk-3β의 단백질 발현의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나 번데 기 분말 섭취 시 Akt 증가 및 Gsk-3β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다. 비복근 근육 양은 저항성 운동 훈련을 하였을 때만 증가하였다. 그리고 또한, 번데 기 분말 섭취 시 근육량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항성 운동훈련과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는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406.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for effectiveness of career competencies training and integrative life planning on career aspirations, self-identity and congruity between the real and ideal self of adolescents in Lokoja, Nigeria. The sample consisted of 227 adolescents who scored low on Ego-identity scales and were found exhibiting low self-identity, which affected their career aspirations. They were made up of 114 males and 113 females. Quasi-experimental pre-test, post-test and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with the sample, which was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Career Competencies Training (CCT), Integrative Life Planning (ILP) and the control. A Self-Identity Questionnaire (SIQ), Congruity Questionnaire (CQ) and Career Aspiration Questionnaire (CAQ) were administered to the thre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programmes. CCT and ILP groups were the training groups while the control was the waiting group. The statistical tools used were Means, Standard Deviation and ANCOVA. A null hypothesis was formulated to guide the study and was tested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test scores on the self-identity, career aspiration, and congruity of real and ideal self of adolescents exposed to career competencies training, integrative life planning and the control group due to gender. The use of both training is therefore recommended. Parents should be encouraged to take cognizance of the congruity between the real self and the ideal self of their adolescents so that they can be properly guided on their career aspirations.
        5,800원
        407.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underwater treadmill gait training (UTGT) and overground treadmill gait training (OTGT) on the gait, balance ability and pulmonar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went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UTGT (n1=10) and OTGT (n2=10). The 10 m walk test (10 MW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and Go (TUG) test, center of pressure, pulmonary function of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fter 1 sec (FEV1) and FEV1/FVC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4 weeks of training. Both groups undertook the gait training for 30 min a day, 3 times a week, for 4 weeks,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of the group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ll the studied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p<.05) at the end of the study, except in the FEV1 of OTGT (p>.05). There was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in all of the variables, except in the 10 MWT (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TGT is more effective than OTGT in improving the balance and pulmonary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4,000원
        41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arallel circuit training and circuit training with sonic systemic mechanism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ulmonary function and chest expansion in adult me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0 subjects. 20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ircuit training group(n=10), Circuit training with sonic systemic mechanism(n=10). Both of the group performed the exercise 3 times a week for 5 week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Repeated t-test for comparing before, during and after changes of factors in each group and the Independent t-test for comparing the between groups. The result are as follows. Circuit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VC, FEV1/FVC(p<.05), Circuit training with sonic systemic mechanism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EF, VC in pulmonary function(p<.05). Circuit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EV1/FVC of between the two group in pulmonary function(p<.05). Circuit training group and circuit training with sonic systemic mechanism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est expansion(p<0.05)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etween the two group in chest expansion(p>.05).
        4,000원
        41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observed the effects of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whole body vibration on the balance ability of older adults, thereby intending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intervention methods aimed at improving older adults’ balance ability. The subjects were 20 older adults who had experienced a fall.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nkle strengthening training was applied to one group and ankle strengthening training and whole body vibration were applied to the other group, a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Tinetti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POMA) were performed, and changes in the subjects’ limits of stability were observed. The TUG and POMA result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angle strengthening training (AST) group and the angle strengthening training with whole body vibration (ASTWV) group.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iming and each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imits of stability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Differences in the posterior and right limits of stability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AST group and ASTWV group. Therefore,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whole body vibration improve older adults’ balance maintenance and reduce falls or the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adults.
        4,000원
        41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ared the ability of feedback breathing training (FBT) and balloon blowing training to enhance the breathing of elderly people. The subjects were randomly and evenly divided into a feedback breathing training group (FBTG) and a balloon blowing training group (BBTG). Each group trained 3 times a week for 4 weeks, with the training suspended during the last 2 weeks. Pulmonary function measurements were obtained before the test and 2, 4 and 6 weeks after the test: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 FEV1/FVC, peak expiratory flow (PEF) and vital capacity (VC). A repeatedmeasures ANOVA was conducted for the significance test. The FBT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VC, FEV1/FVC, PEF, and VC of the elderly smokers after 4 week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VC, FEV1/FVC, and PEF after 6 weeks. The BBT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VC, FEV1, FEV1/FVC, PEF, and VC of the elderly smokers after 4 week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VC, FEV1/FVC, and PEF after 6 weeks. In conclusion, An at home breathing rehabilitation program, in addition to balloon blowing, could increase the breathing performance of elderly people.
        4,000원
        415.
        2015.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학습을 위해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접근법을 적용해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69세 남자를 대상으로 AB 개별 실험 연구설계를 사용하였다. 캐나다 작업수행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를 통해 선정된 문자 보내기, 일정 알람 맞추기, 장기 두기의 3가지 활동을 CO-OP접근법으로 훈련하였다. 매 회기 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 (PQRS)와 Pittsburgh Rehabilitation Participation Scale (PRPS)로 수행의 질적 수준과 참여도를 측정하였고,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로 작업수행 능력과 독립성을 중재 전· 후 측정하여 시각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세가지 활동에서 모두 PQRS로 측정한 수행의 질적 수준이 기초선(A) 평균 3.70점에서 중재기간(B) 평균 5.70점으로 증가되었고, 활동의 참여수준도 기초선(A) 평균 1.00점에서 중재기간(B) 평균 3.20점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AMPS는 중재 전 운동기술은 2.38, 처리기술은 1.45이었고, 중재 후에 운동기술은 2.45, 처리기술은 1.77이었으며, 운동기술은 0.07, 처리기술은 0.32 향상되었다.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 일상생활에서의 활동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의 학습에 CO-OP접근법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CO-OP접근법이 경도인지장애 환자 의 활동에 대한 중재방법으로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4,000원
        41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 신산업 등장과 성장 및 2015년도 온실가 스 거래제 시행 등으로 산업체 및 관련기관에서 기후변화전 문가의 인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Eco기후환경 융합 인력 양성 사업단은 기후환 경변화와 관련한 기본 및 응용 교육과 현장 훈련을 통한 관련분야 융합지식을 갖춘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 및 산업체 등 현장 실무형 전문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과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산학협력 가족회사와 연계한 현장실습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을 통한 현장 적응형 인재를 양성하고, 산업사 회에서 요구하는 전공지식을 습득하여 적응능력을 향상시 킨다. 그리고 현장실습과 연계하여 취업하도록 장려하고 있 다. 또한 취·창업, 학술동아리 활동, 캡스톤 디자인 등을 운 영·지원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 고, 취업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취업률 향상에 기여하고 있 다. 또한,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학습을 통하여 학교와 기업체간 상호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1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영자의 사업에 대한 가치관을 경제적 가치관과 사회적 가치관으로 구분하고, 두 가치관이 교육훈련 투자(교육훈련 총액,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영 자의 사업 가치관과 교육훈련 투자의 관계에서 불확실한 환경과 전년도 경영성과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환경 및 재정적 여건들 하에서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경영자 사업 가치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군산 소재 500여 개의 중소기업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사업 가치관과 교육훈련 투자(금액 및 방법)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우편, 이메일, 그리고 직접 방문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총 153개 업체의 자료를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경영자의 사회적 가치관은 교육훈련 투자액과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경영자가 기업 운영을 통해 사회 에 기여하고자 하는 신념이 강할수록, 보다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양산하기 위해 교육훈련 투자액을 높이고, 다양한 교육훈련 방법들(현장 OJT, 멘토링, 직무 관련 교육 프로그램, 관리자 승진 교육훈련, e-Learning, 외부 강사 초청 교양교육 등)을 동원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경영자의 경제적 가치관과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즉, 경제적 가치관의 중소기업 경영 자는 필수적인 교육훈련 이외의 다양한 교육훈련에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환경 불확실성과 전년 도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토론하였다.
        6,300원
        41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 secondary teacher trainee improved pair/group work management skills in a short-term teacher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EE-related skills. One female teacher trainee, students, and a teacher trainer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teaching performance, conference on her teaching performance, lesson plans, and the teacher trainer’s feedback on the teaching performances were collected. The data on teaching performance and conferencing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n terms of a moving-in phase, a monitoring phase, and a moving-out phase. The participant showed improvement in changing seating arrangement, selecting students in modeling, increasing various kinds of comprehension check up questions, changing her voice during monitoring, and drawing students’ attention and signaling a new phase of lesson to the students in a moving-out of the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how to improve management skills in pair/group work in TEE classes.
        6,400원
        41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존의 사법시험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법조인을 양성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전국에 25개의 로스쿨이 설립되었고, 현재 입학 정 원은 2000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변경은 법조인의 숫자를 늘리고, 로펌 간의 경쟁을 통하여 적절한 수임료로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려는 취지에서였다. 2017년까지 사법시험을 폐지하기 로 되어 있고, 그 이후에는 로스쿨을 통해서만 법조인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로스쿨 시스템은 많은 비판에 직면해 있다. 그 중 하 나는 로스쿨의 등록금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점이다. 2015년 기준 연간 평균 1,593만원이나 되는 등록금 때문에 로스쿨은 소위 부유층의 전유 물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법조인 양성제도를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가의 문제를 놓고 대 립하는 이해당사자 간의 입장을 조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만일 로스쿨의 문제점을 부분적인 보완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사법시험을 재 론할 필요성은 없다. 그러나 로스쿨은 치유되기 어려운 본질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고, 이 점에서 사법시험의 병존 주장은 로스쿨의 한계를 보완 하기 위한 균형추로서 설득력이 있다. 이 글에서는 법조인 양성제도로서 현재 시행중인 로스쿨제도를 검토하고 이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기로 한다. 논의의 순서는 먼저 법조인 양성제도의 두 축이라 할 수 있는 사법시험과 로스쿨에 대한 여론 을 비교하여 입법과정의 기능이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로스 쿨의 한계와 사법시험 병존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 으로 로스쿨 운영과 변호사시험의 개선방안을 찾아보고, 최종적으로 법학교 육의 정상화를 위한 사법시험의 개선방안을 다루기로 한다.
        42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EMST) on the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and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Methods : This study randomly assigned 21 stroke patients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our-week EMST was performed at resistance of 70% of th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at resistance of 20% of that with the control group.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 (VDS), and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based o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ation of the suprahyoid muscles using sEMG of the experimental group (p<.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of the control group.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aryngeal phase of VDS and PAS. Also in the comparison of variation in VDS and PA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tatistically.Conclusion : Finding from this study confirmed that EMST applied 70% maximum expiratory resistance would be a remedial method which could help activate pharyngeal dysphagia patients’ suprahyoid muscles and improve swallowing function.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