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7

        42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지리산의 선계로서의 표상이 조선시대에 어떻게 강화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방식을 천착하고, 그 속에 투영되어 있는 사대부 문인들의 의도와 욕망을 추적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오랫동안 지리산 관련 정보가 집적되어 있어 지리산의 표상과 표상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역 대 지리산 遊山記를 주된 분석텍스트로 삼아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지리산의 선계 표상이 嶺南士林의 종장과 그 후학 들로 대표되는 지리산 유산객들에 의해 강화되었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지리산이 仙界의 方丈山인 근거가 매우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영남사림은 이를 오랫동안 의심 없이 받아들여 의미화함으로써 지리산을 선계로 표상화하는 토대 를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三神山의 구도 속에서 지리산의 독보적 위치를 드러내 려 했던 영남사림의 의도와 욕망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더하여 선현들과의 동일 시를 통해 자기 유람의 의미를 찾으려 했던 공통의 의식과 은일과 탈속을 지향했던 욕망 또한 함께 작용하였다. 다만 방장산으로 자리매김 된 지리산은 최치원을 비롯한 儒仙을 현재에 소환하 여 지속적으로 만나고 靑鶴을 끌어들여 靑鶴洞을 실재화하는 방식을 통해 구체적 인 생명력을 갖게 된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또 다른 주체는 바로 신흥사 와 쌍계사 등 지리산 주요 사찰에 기거했던 스님들이었다. 이들은 금강산을 불국 토로 만들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리산의 선계화 작업에 참여하였다. 스님들을 통해 강화된 청학동을 비롯한 洞天에서의 살아 있는 장소체험은 삼 신산(방장산)을 관념 속 실재가 아니라 현실에 실존하는 선계로 만드는 데 기여 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리산은 실제로 신선이 살고 있어 구체적인 선계 체험이 가능한 살아 있는 장소로 바뀌게 된다. 이는 다른 삼신산으로 거론되는 금강산이나 한라산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점으로, 조식 이하 영남사림들이 지 리산을 선계로 표상화한 결과이자 그 의미라 할 만하다.
        422.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에 위치한 구룡산 일대 관속 식물의 분포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6년 3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87과 298속 449종 4아종 63변종 10품종 총 52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CR등급 복주머니란 1분류군, VU등급 꼬리진달래를 포함한 5분류군, LC등급 세잎종덩굴을 포함한 등 9분류군, DD등급 도라지모시대 1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여 총 1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특산식물은 참개별꽃을 포함한 1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84분류군으로 V등급 좀미역고 사리을 포함한 2분류군, IV등급 회리바람꽃을 포함한 7분류군, III등급 산팽나무를 포함한 21분류군, II등급 가래고사리를 포 함한 22분류군, I등급 촛대승마를 포함한 3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또한 귀화식물은 좀명아주, 말냉이, 소리쟁이를 포함한 37 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11.53%, 귀화율은 6.99%로 각각 나타났다.
        423.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조선시대 여러 학자들이 지리산 덕산동을 유람하고 남긴 시문을 통해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정립하고, 주요 명소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는데, 본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지리산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에 의해 백두산에서 뻗어 내려 국토의 남단에 크고 넓게 웅거한 鎭山이라는 의미를 넘어, 우리나라의 중심이고 남쪽 지방의 祖 宗으로 인식됨으로써 그 위상이 한층 격상되었다. 그런데다 조선 중기 도학자 南冥 曺植이 지리산 덕산동을 은거지로 택함으로써 도학자의 은거지로 자리를 잡았고, 남명 사후에는 도학의 원류가 흐르는 聖地로 인식되어 순례자들이 끊이질 않았다.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덕산동은 山天齋를 중심으로 한 南冥의 만년 은거지로 人道를 닦아 天道에 합하 기를 구한 求道者의 大畜地이었다. 둘째, 덕산동은 德川書院이 건립된 후 남명의 학덕을 기리고 본받고자 하는 朝鮮 道學의 聖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셋째, 덕산동 중에 大源寺와 肇開谷을 경유해 天王峯에 오르는 코스는 성리학자들에게 道學의 源流가 흘러나오는 곳으로 인식되어 본성을 찾아나서는 구도여행 코스가 되었다. 이 세 가지 덕산동의 문화원형은 그 문화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덕산동의 주요 名所로는 도학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의미로 南冥이 붙인 入德 門, 상류에서 맑고 깨끗한 물이 흘러내려 갓끈을 씻을 수 있는 濯纓臺, 은자의 고사가 전해지는 叩馬汀과 首陽山, 남명이 만년에 도학을 완성한 山天齋, 남명 사후 남명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德川書院과 洗心亭, 남명이 문인 吳健을 전송한 고사가 전해지는 送客亭과 오건이 술에 취해 이마에 상처를 입었다는 고사가 전해지는 面傷村, 도의 큰 근원이 흘러나온다는 大源寺 계곡과 肇開 谷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런 명소는 모두 남명의 도학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어 덕산동의 문화역사적 의미를 풍부하게 해준다. 곧 이런 유적지는 남명의 도학, 조선 도학의 정신 지향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체험학습, 현장학습을 하는 데 좋은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의미를 올바로 이해 하고 널리 알리는 일이 지속되어 잊히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424.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온대중·남부 지역에 속하는 면봉산 일대 식물을 대상으로 지형조건 및 고도에 따른 식물종의 생태적 지위와 지표종을 관찰하여 식물자원의 환경적 구배에 따른 공간적 분포경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수평·수직 생태적 지위의 경우 상층과 중층에서 신갈나무가 높은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상층에서는 수직적 생태적 지위가, 중층에서는 수평적 생태적 지위가 높아 본 연구대상지 일대의 제너럴리스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목층에서 생강나무가 제너럴리스트로 분석되어, 한반도 중·남부 산지의 대표식생을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단으로 분류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Kim and Lee, 2006). 지표종 분석 결과, 고도와 지형조건에 따른 환경구배의 차이에서 주로 하층식생이 수관층식생보다 더 이질적인 종조성으로 분석되었다.
        425.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Choejeong in Gachang-myeon, Daegu. From March 2017 to October 2018, a total of 22 studies were conducted. The vascular plants surveyed were grouped into 560 taxa, including 104 families, 297 genera, 495 species, 4 subspecies, 51 varieties and 10 forma. Endemic plants 15 taxa, Rare plants 5 taxa, Red list plants 5 taxa,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54 taxa, Naturalized plants 36 taxa were recorded. Among surveyed 560 taxa, edible, medicinal, ornamental, timber, pasturing, industrial and fiber plants included 246 taxa (29.2%), 228 taxa (27.1%), 164 taxa (19.5%), 61 taxa (7.2%), 13 taxa (1.5%), and 8 taxa (0.9%). And because people are coming and going more frequently than in the past, this will result in more frequent influx of naturalized plants and a threat to the habitat of the plants that are currently growing.
        426.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점봉산 참당귀는 해발 750-965 m의 교목층은 들메나무, 고로쇠나무, 신갈나무가 분포하고, 아교목층에는 당단풍, 까치박달나무가 분포하는 계곡지로 유기물이 집적되기 쉬운 다습한 지형에 자생하였다. 참당귀 군락의 토양 분석 결과 토양pH는 4.9-6.0으로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과 매우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토양 양분의 지표인 유기물함량,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 Ca, K, Mg, Na의 함량은 산림토양의 평균보다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다. 생장 특성으로는 9월 말에는 뿌리 생장이 평균 47.9 g이나 10월 말에는 33.8 g으로 29% 감소하였으며, 유용 성분은 반대로 10월말에 decursin 3.8%, decursinol angelate 3.6%로 각각 26%, 67% 증가하였다. 참당귀 자생지 8개 집단의 생장 특성 및 유용성분 함량과 토양특성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뿌리 생장은 치환성 양이온인 K, Mg, Na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용성분은 뿌리의 수분함량과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27.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 of Gyeongju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t. Manhongbong (522 m).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orm May 2012 to August 2017. The vascular plants on this site was classified as follow. Based on voucher specimens, the vascular plants of this site consisted of 91 families, 292 genera, 397 species, 4 subspecies, 48 varieties and 8 forms. The 2 taxa of threatened species, 11 taxa of rare plants and 14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totally 39 taxa, which were 3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IV, 2 taxa of grade III, 11 taxa of grade II and 18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33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7.2%, and urbanized index (UI) was 10.3%, respectively.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 taxa,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428.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t. Bonghwa reaches a height of 800 m (2,870 ft) and stands on the flank of Mt. Daeam-san, which has an elevation of 1,304 m (4,278 ft). It is important to survey the flora of Bonghwa-san in that it is a way to make out what kind of plant species exist in DMZ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onghwa-san adjacent to Korean DMZ.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value of Bonghwa-san.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collected 10 times from May 2015 to April 2017 consisted of a total of 525 taxa; 93 families, 309genera, 458 species, 4 subspecies, 58 varieties and 5 forms. The observed rare plant species a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12 taxa including Echinosophora koreensis, Epimedium koreanum, Anemone koraiensis etc. Endemic species were 16 taxa containing Cirsium setidens, Heloniopsis koreana, Salvia chanryoenica etc. 31 taxa were recorded as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naturalized rate and urban index were noted as 5.8% and 7.25%. Among the surveyed 525 taxa, edible, medicinal, pasturing, ornamental, timber, dye, fiber and industrial plants included 213 taxa, 172 taxa, 196 taxa, 50 taxa, 23 taxa, 10 taxa, 6 taxa and 3 taxa, respectively.
        430.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the vegetation of Samusan mountain on Jecheon-si,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9 times from June 2014 to October 2015 were identified as 502 taxa in total, including 102 families, 314 genera, 445 species, 6 subspecies, 49 varieties, 1 form and 1 hybrid. The largest families were as follows; Asteraceae (70 taxa), Poaceae (52 taxa), Rosaceae (30 taxa), Fabaceae (28 taxa), and Cyperaceae (20 taxa). Of them,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10 taxa, and vascular plants listed in the red data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numbered 14 tax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61 taxa in total. Among them, 5 taxa revealed the floristic grade Ⅴ, 11 for floristic grade Ⅳ, 14 for floristic grade Ⅲ, 10 for floristic grade Ⅱ, and 21 for floristic grade Ⅰ.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3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8.6%,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3.4%, respectively. Samples of the forest vegetation on the Samusan Mt. were mainly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mongolica, Zelkova serrata and Robinia pseudoacacia forest. The vertical structures of the forest were stable and the DBH-Class analyses showed that the dominant tree species would be maintained. In the surveyed areas, high plant diversity was shown, and a number of endemic, rare, calcicole plants and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plants were found. Nonetheless, numerous and diverse biological resources native have been consistently disturbed or damaged by human activities without some form of protec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set up strategies for conservation forest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431.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ep의 높이는 하상재료 입경의 크기와 거의 같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도경사에 따라 증가하고, 하도 폭과 step 파장은 거의 같은 크기로서 하도경사가 증가하면 step 파장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도 폭과 step 폭은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도 폭의 증가에 따라 step 폭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step 파장은 하도 폭에 의하여 규모가 정해지고, step 높이는 step을 형성하는 암석의 크기에 의해 지배되기 때문에 step-pool의 종단면의 하상구조는 하도경사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Pool의 규모는 하도 폭, 입경 및 하도경사와 상관성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하천의 step-pool 구조 특성은 다양한 인자들의 영향을 받지만 대표적으로 입경, 하도 폭 및 하도경사로서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32.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Deokjeongsan Mt. (Ganghwa-gun) from March to October 2016.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during the 8 round field surveys were a to total of 484 taxa: 107 families, 305 genera, 423 species, 8 subspecies, 48 varieties, 4 forms and 1 hybrid. The plant formation of Deokjeongsan Mt. is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 mixed forest which is the common one in th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All most mountain covered with young secondary forest which is mainly composed of Pinus and Quercus. The plant species diversity largest families were Asteraceae (62 taxa, 12.7%), Poaceae (48 taxa, 9.9%), Cyperaceae (27 taxa, 5.6%), Fabaceae (23 taxa, 4.7%), and Lamiaceae (21 taxa, 4.3%). The four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Maxim.,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were collected. The vascular plants on the red lis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basis were found to be five taxa: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Senecio argunensis Turcz., Least Concern (LC) species Pseudoraphis ukishiba Nakai,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Thladiantha dubia Bunge, Cirsium lineare (Thunb.) Sch. Bip., and Scorzonera austriaca ssp. glabra Lipsch. & Krasch. ex Lipsch., respectively.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26 taxa comprising one taxa of degree V, two taxa of degree IV, four taxa of degree III, eight taxa of degree II, and 11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6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5%,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4.3%, respectively
        433.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Bulmyeongsan in Jeollabuk-do from April 2015 to October 2016.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433 taxa, including 100 families, 290 genera, 382 species, 4 subspecies, 38 varieties and 9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433 taxa, 5 Korean endemic plants and 4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included.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 taxa of grade IV, 10 taxa of grade III, 3 taxa of grade II and 19 taxa of grade 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8 taxa that made up 6.5%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434.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단석산지구를 대상으로 2011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7과 331속 489종 4아종 48변종 11품종으로 총 5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은 1분류군, IV등급은 5분 류군, III등급은 8분류군, II등급은 12분류군, I등급은 24분류군 등 총 5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7분류군, 생태계교 란식물은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435.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금성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 포를 조사하였다.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관속식물은 112과 358속 417종 8아종 48변종 8품종 2교잡종으로 총 48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발견된 483분류군 중에서 국립생물자원관 지정 적색목 록식물이 3분류군,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이 8분류군, 한반 도 고유종이 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29분류군, 귀화식물은 42분류군, 귀화율은 8.6%이었다. 관속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이 190분류군(39.3%), 목초용이 162분류군(33.5%), 약용이 154분류군(31.8%), 관상용이 58분 류군(12.0%), 목재용이 14분류군(2.8%), 공업용이 2분류군(0.4%) 그리고 섬유용이 5분류군(1.0%)으로 나타났다.
        43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7세기까지 금강산을 유람한 인물은 모두 32명이며, 이들이 남긴 유람록 작품은 모두 37편이다. 이들이 금강산을 유람한 유람 경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금강산을 찾아가는 유람 경로, 금강 산을 유람하는 과정의 유람 경로, 유람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의 유람 경로이다. 여기에서 다시 금강산 내에서의 유람 경로는 내산에서 유람 을 시작하는 경우와 외산에서 유람을 시작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비로 봉을 등정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17세기까지 금강산 유람록에 나타난 금강산 유람 경로의 특징은 다 섯 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유람 인물은 한양, 근기지역 중심이었다는 점이며, 둘째 금강산 유람은 주로 내산 중심이었다는 점 이고, 셋째 금강산 유람지의 명칭이 변천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넷째 유람객들의 숙식처는 사찰이었으며, 금강산 내에서의 경로는 주로 승 려들에 의해 결정되었다는 점이며, 다섯째 유람 기일에 따라 유람의 경로와 일정이 다양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런 특징들은 오늘날과 비교해 보았을 때 후대로 갈수록 다른 양상 으로 나타나게 되리라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게 한다. 금강산 유람 인물이 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게 되고, 외산 쪽으로 새로운 유람 경로 가 등장하게 되며, 오늘날 사용하는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 등의 용어 가 시대적 추이에 따라 등장하게 되리란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리 고 금강산 내에서의 유람 경로도 점차적으로 다양화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37.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역사적으로 금강산은 크게 霜嶽, 楓嶽, 皆骨, 蓬萊라는 이칭이 있었 다. 상악, 풍악, 개골은 불교가 수용되기 전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던 금 강산의 고유 명칭이었다. 특히 상악은 국가주도로 행하던 名山大川祭 중 小祀를 지내던 곳으로 三國史記 祭祀條에 실려 있다. 조선시대 사료까지 고증해 본 결과 상악은 가장 처음 ‘국가공명’으로 사용된 명칭 이었다. 삼국시대 이후 사용되지 않다가 조선후기 불교식 이름으로 고 착된 금강이란 명칭에 대한 儒者들의 비판여론 속에서 묻혀 있었던 상악이라는 명칭이 다시금 거론되고 금강산의 원 명칭으로 고증된다. 풍악, 개골은 고려전기까지 꾸준히 사용되다가 고려후기 금강이라는 명칭이 보편화되면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조선시대 文士들의 詩文 내 용에 두 명칭이 계속 나타나긴 하나, 금강이라는 명칭에 가려져 산을 대표하는 題名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이 두 명칭은 가을, 겨울 등 특정 계절에 나타나는 형상에 따라 각각 붙여진 것이 아니다. 돌산으 로 이루어져 있는 지세와 단풍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는 모습 등 계절을 불문하고 산 자체에서 풍기는 形勝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었다. 금강은 華嚴經에 曇無竭菩薩이 상주한다는 산을 바탕으로 만들어 진 불교식 이름이다. 불교의 수용이후 14세기 후반 금강산은 불교성지 로 큰 명성을 얻는다. 그러므로 이시기 산의 명칭 또한 금강으로 보편화 되어 사용된다. 조선시대에는 유자들의 거부감을 일으키고 비판의 대 상이 되었지만, 이미 금강이라는 명칭은 대내ᆞ외적으로 확고부동하게 자리 잡고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도 금강산이라 칭했다. 현재에도 이러 한 전통이 계승되어 금강이 대표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 봉래는 고려시대까지 이상세계 표현을 위한 것 외에 금강산의 異稱 으로 불린 예가없다. 조선시대부터 문인들이 금강산을 봉래로 빗대어 표현하기 시작했다. 금강이라는 불교식 이름의 대안도, 道敎의 공간으 로 표상화하기 위해 전적으로 사용한 것도 아니었다. 대부분 금강산이 Utopia와 같은 곳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題材나 배경으로 사 용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금강산을 이칭하는 대표 명사로는 거의 사용 되지 않았다.
        43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magnitudes of projected 21st century temperature changes and shifting climate zones over Mt. Halla, Korea based on high-resolution (1km×1km)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sets down-scaled from a global climate model (HadGEM2-AO) simulations using PRIDE (PRISM based Downscaling Estimation Model) as well as the simulations of a Regional Climate Model (RCM; HadGEM3-RA). The high resolution climate data demonstrate that the magnitudes of increases in coldest and warmest monthly mean temperatures over Mt. Halla will exceed those of the average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21st century, leading to the shifts of climate zones. The isoline with 5°C (20°C) of the coldest (warmest) monthly average temperature associated with sub-tropical (sub-alpine) climate zones will migrate from 100~230m (950~1,300m) to 300~500m (1,300~1,600m) of altitude in the late 21st century (2071~2100) under the RCP 4.5 scenario. These changes are expected to be more obviously observed in the south flank of Mt. Halla as well as under the RCP 8.5 scenari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anges in climate zones will lead to the extinction of sub-alpine ecosystems over Mt. Halla due to increases of summertime heat stress as well as to the expansion of the sub-tropical forest zone toward mid-mountain regions due to reduction of wintertime stress in the warmer 21st century.
        439.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loristic study on the vascular plants from Mt. Seounsan region, which ranges from Seoun-myeon, Anseong-si, Gyeonggi-do to Baekgok-myeon, Jincheon-gun, Chungcheongbuk-do, was conducted 9 times in total,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5. Based on the voucher specimens, it was reveale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comprised 501 taxa: 97 families, 306 genera, 439 species, 5 subspecies, 51 varieties, and 6 forma. Among these plants, 185 taxa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region. 8 Korean endemic species including Asarum patens (K.Yamaki) B.U.Oh, Scutellaria insignis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were found in this region. 5 taxa of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ncluding Iris ruthenica KerGawl.,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Willd.) Beauverd, and Tricyrtis macropoda Miq., were also found. 11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the 3rd to the 5th degree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46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and 2 taxa of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which were Ambrosia trifida L. and Aster pilosus Willd., also found.
        440.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t. Deoktaesan(1,113 m) is located in Jinan-gun Baekun-myon and Jangsu-gun Chunchun-myon. Investigated area was decided to include Mt. Deoktaesan, Mt. Seongaksan and its neighbor area,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15 in 12 days. Based on the voucher, vascular plants in Mt. Deoktaesan were 108 families 341 genera 525 species 4 subspecies 64 varieties 14 forms, totally 607 taxa, which is 12.4% of total Korean flora. Korean endemic plants were 15 species. Among these species,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Campanula takesimana Nakai and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re verified as planted species.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10 taxa, such as Peucedanum hakuunense Nakai,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 Eranthis stellata Maxim., Eranthis stellata Maxim., Viola albida Palib.,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Campanula takesimana Nakai, Tricyrtis macropoda Miq.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respectively. Phytogeographical special plants were totally 41 taxa, which were grade 17 taxa of garde I, 12 taxa of grade Ⅱ, 12 taxa of grade Ⅲ, 8 taxa of grade Ⅳ, and 1 taxon of grade 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