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21

        430.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 나리의 고랭지 여름 재배시 정식시기에 따른 절화의 품질과 수확시기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정식시기를 5월 15일, 6월 5일, 6월 15일, 7월 15일로 나누어 정식하고, 종구원을 수입과 국내에서 양구 된 종구로 나누어 30% 차광망을 피복한 비가림하우스내에 정식하였다. 재배한 결과 5월 15일과 6월 25 일이 수량 및 품질이 가장 좋았으며 정식시기가 가장 늦은 7월 15일의 경우는 정식시기 시 고온에 영향 을 받아 수량 및 품질이 매우 떨어졌다. 전체적인 생육 및 수량에서 수입종구와 국산종구는 수입종구가 다소 우수하나 유의차는 없었다. 정식시기에 따른 수확기가 8월 중순경부터 10월 하순까지 계속되어 대 일 수출시 분산정식에 의한 월별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7월 초순 이후의 고온기에는 차광 외에 다른 방법을 추가하여야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31.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육성년대 및 생태형에 따른 품종군별 생육형질과 수량관련 형질, 품질관련형질에 대한 특성의 품종변이와 상관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출수일수 및 간장은 2000년대 이후에 육성보급 품종군은 1970년대 이전에 육성 보급된 품종군보다 유의성 있게 단축되었고 통일형 품종군은 육성 년대 어떤 품종군의 일반형 품종군보다 출수일수 및 간장이 짧았고 단축되었다. 2. 2000년이후 최근에 육성 보급한 품종일수록 수량이 증가했으며 이는 수수 및 수당립수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3. 최근 육성한 품종일수록 현미 길이는 짧아졌고 폭이 좁은 단원립의 형질 특성을 가졌으며 단백질함량도 낮아졌으며 품질평가치의 개선이 뚜렷하였다. 4. 육성보급 년대에 따른 품종군별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수량구성요소 형질에 따라서 상이하였다. 5. 육성년도에 따른 모든 일반형 품종군과 통일형 품종군에서 품질평가치는 단백질함량 및 아밀로스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4,000원
        43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유기농 사과과원에서 생육초기인 5월과 6월에 ‘후지’ 사과나무 주위를 청결상태로 유지했을 때 잎과 토양의 무기성분 및 수체생장과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기예초구 (5월과 6월에 예초)는 관행예초구(6월말 한번 예초)보다 높은 예초량 발생으로 수체에 높은 무기성분을 공급하였지만 토양과 잎의 칼륨함량을 증가시킨 것 이외에는 다른 무기성분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하지만 엽내 칼륨은 관행재배에서 보고한 기준치보다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두 처리 모두 재배 중기까지 토양에 약 200 g 전후의 전질소를 공급하여서 8년생 사과나무가 요구로 하는 질소량을 충족시켰다. 조기예초구는 수체의 수관증가와 원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과실의 수량을 관행예초구 보다 증가시켰다.
        4,000원
        43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겨울철 유휴 논토양에 헤어리베치를 재배 이용하여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인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화학비료와 제초제를 절감하고, 옥수수의 무경운 재배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헤어리베치 피복 이용 옥수수 무경운 직파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옥수수의 간장, 경태 및 엽색도 등은 관행재배에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착수고는 밀식할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 밖의 옥수수의 출사기는 헤어리베치를 피복한 처리구에서 관행재배구에 비하여 평균 3일 지연되었으며,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또는 시비량이 감소될수록 지연되었다. 한편 경작지에서 우점하는 잡초는 여뀌, 바랭이 및 피였으며, 헤어리베치 피복량 증가는 잡초 건물중을 감소시켰다. 바이오에탄올생산량은 헤어리베치를 피복한 처리구에서 관행과 비교하여58.9~89.8%까지 확보할 수 있었으며, 재식밀도가 낮거나 시비량이 적을수록 감소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바이오에너지 작물인 옥수수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헤어리베치를 피복하고 무경운 직파하여 시비량을 50% 감량하고, 재식밀도를 125,000 주 ha-1로 높이면 총 건물수량과 바이오에탄올량을 관행과 유사한 수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3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질 월동 사료작물의 춘파 재배시 조기수확에 따른 생산성과 재생특성을 구명하고자 국내 품종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조생종인 Kowinearly, 중생종인 Kowinmaster, 청보리 품종인 유연, 그리고 Kowinearly + 유연혼파 및 Kowinmaster + 유연 혼파 등 5처리를 두고, 수원 국립축산과학원에서 2009년 3월 2일에 파종하여 1차 수확은 5월 26일(Kowinearly 출수후기, Kowinmaster 출수기,
        4,000원
        43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의한 생산성을 구명코자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수행하였다. 처리내용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코윈어리 품종) 단파에 자운영, forage pea, crimson clover 그리고 hairy vetch을 혼파하는 5처리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비율은 단파 기준으로 70:30 비율로 혼파하였다.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파
        4,000원
        43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귀리는 단기 다수성 작물로서 잎의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가축의 기호성도 양호하며 다른 총체맥류에 비하여 파종시기의 선택폭이 넓다. 따라서 본 시험은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 지방에서도 월동이 가능한 귀리 3품종과 옥수수 뒷그루 재배에 알맞은 3품종에 대하여 10월 중순 가을 파종과 3월 상순 봄 파종시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출수기는 봄 파종시 가을 파종에 비하여 평균 12일 늦었고, 품종간에는 약 8일의 차이가 있었다. 봄
        4,000원
        43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두 품종의 장미 삽목묘의 묘령에 따른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국내 육성 절 화장미의 효과적인 삽목번식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 다. 장미는 스탠다드 계통인 ‘Pink Aurora’와 스프레 이 계통인 ‘Yellow King’ 품종을 사용하였다. 삽수는 5매엽을 사용하였고 서로 다른 날짜에 암면큐브(5 cm × 5 cm× 5 cm, UR, 한국)에 삽목하였다. 2009년 1월 20일에 삽목하여 30일이 경과한 삽목묘와 2009년 1월 2일에 삽목하여 48일이 경과한 묘를 사용하여 2009년 4월 18일에 암면슬래브(10 cm × 15 cm × 100 cm, UR, 한국)에 정식하였다. 2009년 1월부터 7월까지 재배하는 동안에 2번 수확하여 절화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정식 전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48일이 경과한 묘는 두 품종 모두 신초와 뿌리가 생장하였다. 그러나 30일이 경과한 묘는 ‘Pink Aurora’의 경우 신초와 뿌리가 생장하지 않았고, ‘Yellow King’은 신초는 생장하였고 뿌리는 생장하였으나 배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 한 결과로 ‘Yellow King’이 ‘Pink Aurora’보다 생장 속도가 빠른 것으로 판단된다. 정식 후의 생장과 절화 수량은 스탠다드 계통인 ‘Pink Aurora’는 30일 경과한 묘보다 48일이 경과한 묘에서 수량이 더 많이 나타났 지만, 평균 절화 생체중은 30일이 경과한 묘보다 작았 다. ‘Yellow King’ 품종은 30일이 경과한 묘에서 절 화장, 화폭, 5매엽수, 절화 생체중, 수량이 40일 경과 한 묘보다 더 높았다. ‘Pink Aurora’ 품종은 48일이 경과한 묘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더 좋은 생육을 보 였다. ‘Yellow King’ 품종은 뿌리의 상처가 작았던 30일 이 경과한 묘에서 더 높은 수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품종에 따른 성숙도의 차이로 판단되며 다양한 품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43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피복재 종류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생육 및 생산성에 대한 지하부 환경 요인의 영향 정도를 알아보았다. 조사 기간 동안 배양액 공급량은 플라스틱 필름온실에서는 5,404L·m-2로 유리온실의 3,483L·m-2보다 1.6배나 많았다. 그러나 배양액 흡수율은 두 온실에서 71.3~73.3%로 유사한 수준이었다. 배지 EC도 4.17~4.23dS·m-1 수준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단부에서 아래로 6번째 잎의 면적은 유리온실에서 평균 123.0cm2/1eaf로 플라스틱필름온실의 119.5cm2/1eaf보다 다소 넓었다. 그러나 잎의 생체중, 건물중 및 건물률은 두 온실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주간 생산량은 유리온실에서 850g·m-2로 플라스틱필름온실의 650g·m-2보다 1.3배정도로 많았다. 하지만 조사 기간 동안 잎의 면적 및 건물률, 그리고 생산량 모두에 대한 배지 EC와 배양액 흡수율 차이에서 오는 영향은 두 온실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피복재 및 지상부 환경이 다른 온실에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 시 생육 및 생산성 차이에 대한 지하부 요인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3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light qualit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ruiting body in the cultivation of Lyopyllum ulmarium.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by type of light was in the order of white light(2,270Lux), yellow light(1,750Lux), blue light(460Lux) and red light(400Lux). An investigation of fruiting body showed these results that the pileus size and stipe diameter of fruiting body on CBM (Chungbuk mushroom)-1757 were much larger than Hypsizigus marmoreus, and an effect of yellow light seemed to be better than those of another light. In comparison with Hypsizigus marmoreus, the growth duration of CBM-1757 was shortened by 8 days which included 2 days for fungi culture, 1 day for first pinning requirement and 1 day for growth. The growth duration in yellow light illumination was about 70 days showing the tendency of 2~4 days redu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ults such as number of effective stem and fresh weight. The yield of fruiting body per bottle in CBM-1757(95.6g) was little higher than Hypsizigus marmoreus(94.8g). By a white light’s standard, the yields of blue and red light illumination were decreased by 2~9%, but that of yellow light illumination was increased by 8%. The chromaticity results showed that brightness, red and yellow coloration of CBM-1757 were higher than those of Hypsizigus marmoreus, and yellow light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another light.
        44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이부쉬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 'Jersey' 품종을 이용하여 적방 1/3, 적방 1/3 +적화 1/2, 적방 2/3 및 적방 2/3 + 적화 1/2처리 후 무처리 과실의 수확량과 과실 품질을 조사하여 적방 적화 정도에 따른 수량과 과실 크기, 가용성당함량, 산함량, 과실 경도를 분석하였다. 적방 적화 처리는 과립중, 종경 및 횡경에 유의한 과립 비대효과를 가져왔다. 과실 수확량은 무처리와 적방 1/3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외의 처리에서는 과립비대는 이루어졌으나 수확량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무처리와 적방 1/3 처리의 경우 전체 수확량은 비슷하였으나, 적방 1/3 처리구에서는 상품성이 큰 대립의 과실이 차지하는 비율이 무처리에 비해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용성당함량은 적방과 적화 처리에 따라 수량이 감소한 적방 2/3, 적방 2/3 + 적화 1/2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산함량과 경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적방 적화에 따른 영향은 과립 비대와 수량에 유의한 차이를 주었으나 과실품질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