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9

        50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분석법을 활용하여 북동태평양 ODP Leg 204 시추 코아 시료에서 산출된 부유성 유공충 Neogloboquadrina pachyderma 권각의 감긴 방향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결정하였다. 이것은 유공충 군집 이미지에서 N. pachyderma 개체를 자동 인식하게 한 것이며, N. pachyderma 권각 방향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판독 방법을 사용한 결과 유공충 시료에 대한 정량 분석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되었으며, 실제현미경을 통한 관찰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약 90% 만큼 높게 일치하였다. 이 수치는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분석이 미고생물학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4,500원
        50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지역 산불지역의 피해분석을 위한 피해지 지표분류를 목적으로 Landsat 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ETM+) 영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류지수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연구지역 산불지역을 대상으로 Landsat TM 영상을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식생지수(NDVI)와 토양을 고려한 식생지수(SAVI), Tasseled Cap 변환으로 억을 수 있는 밝기지수(brightness), 습윤지수(wetness), 녹색지수(greenness)를 야외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식생지수와 토양을 고려한 식생지수는 산불발생지역과 산불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구분이 뚜렷하였으나, 산불발생지역내에서 피해지역 구분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불방생지역내에서는 Tasseled Cap 변화에서 나타나는 토양평면을 활용할 때 침식피해와 관련한 야외조사 결과와 가장 근접한 분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asseled Cap 변환에서 건조지수와 녹색지수를 더하여 선형함수로 활용하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산불지역을 분류가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09.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1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991년 위성 데이터와 2002년의 위성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전남 완도의 난대림 식생 변화추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1년 Landsat TM영상과 2002년 Landsat ETM 영상이 이용되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은 ENVI를 이용하였다. GIS를 이용한 난대림 관리 시스템 개발은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완성되었다. 영상 데이터의 촬영시기 차이와 TM 영상의 해상도(Resolution)가 정밀하지 못해 복잡한 지형특성을 지닌 곳에서는 정확한 변화추이를 파악하기는 불가능하였으나, 2002년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된 완도의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약 2,027ha로 산출되었다. 상록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은 11년 전에 비해 소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낙엽활엽수림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식생분류를 위한 기준은 상록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 기타로 구분하였으며 감독분류기법을 통해 식생이 분류되었다. 완도의 공간 데이터는 녹지자연도, 현존식생도, 산림토양도, 훼손유형도, 지형도, 토지소유현황도로 분류되었고, 이에 대한 속성 데이터 베이스는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완성되었다. 데이터를 관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색인 분석하는 사용자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4,000원
        51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성 구조시스템은 연성재를 주 구조부재로 하여 전체 구조체계가 하중의 변화에 따라 형태가 변화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이다. 이 시스템들을 힘의 전달방식을 달리하는 구조의 구성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구성방식을 파악하기 용이한 연성구조시스템의 용어를 채택하였다. 따라서 연성구조시스템은 연성선재와 연성면재의 구성에 따라 분류되었는데, 연성선재구조물에 일방향케이블구조, 격자형 케이블구조, 방사형 케이블구조, 연성면재의 구조물에 공기막구조 현수막구조, 선재와 면재의 하이브리드 구조물에 달림형하이브리드 막구조, 들림형 하이브리드 막구조로 분류체계와 용어를 결정하였다.
        4,000원
        517.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1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revised the classification of neoplasms and other tumours related to odontogenic apparatus in 199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odontogenic tumors of Korean according to the WHO Histologic classification. A total of 271 cases were reviewed for the study which were diagnosed as odontogenic tumors at the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for the period from Jan. 1997 to March 2003. Clinical and pathology reports were reviewed & radiographic feature were examin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Among 271 cases, 269 cases(99.3%) were diagnosed as benign odontogenic tumors, and the remaining 2 cases(0.7%) were malignant tumors, which were diagnosed as odontogenic ghost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ex odontogenic cyst. 2. Four cases were not able to classify into the WHO classification. All of them were belonged to mixed odontogenic tumors; two cases of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with calcifying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one case of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with odontoma, odotogenic cyst and one case of ameloblastoma with immature odontoma. 3. The most frequent odontogenic tumour was odontoma(45.2%), followed by ameloblastoma (29.2%), odontogenic fibroma(9.2%) 4. One case of atypical amelobalstoma and one case of calcifying odontogenic cyst with ameloblastic fibroma were not able to subclassify histologically. 5. Male to female ratio of odontogenic tumors was 1.2:!. Odontogenic tumors mainly occured in the first and second decade, occurred twice as much as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6. The odontogenic tumors was discovered by routine oral x-ray examination, whereas the chief complaint of ameloblastoma were swelling, pain. 7. Ameloblastoma,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calcifying odontogenic cyst and odontoma were related to the impacted teeth and tooth displacement. The root resorption was frequently observed in ameloblastoma and calcifying odontogenic cyst.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