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0

        501.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적정 기능역(Individual Zone of Optimal Functioning, IZOF) 모형이 한국의 스포츠 상황에서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검증해보고, 정서 구성요인과 경험강도의 개인내 비교뿐만 아니라 동일한 특성을 지닌 집단간 비교를 통해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표본의 추출은 팀 단위로 선정을 한 후, 팀 전원을 표본으로 하는 확률 표본추출유형인 군집 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대학 농구 6개 팀(남자 : 4팀, 여자 2팀) 총 82명을 대상으로 과거 자신의 수행 중 최고의 수행과 최저의 수행시 경험한 개인 정서 프로파일(Individual Emotion Profile, IEP)을 이용하여 2차례에 걸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개인 정서 프로파일(IEP)을 분석한 결과 정서의 구성요인은 각 범주에서 개인마다 매우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식정도에 대한 개인 내 조사 간 안정성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조사대상자를 상대로 실시한 범주별 선택빈도에서는 조사간에 매우 높은 안정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의 경험강도 역시 조사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간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정서 내의 좋은 영향과 나쁜 영향을 주는 정서에 대한 존재는 밝혀졌다.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긍정적 정서(P)와 부정적 정서(N)를 다시 운동수행에 도움을 주는 정서(+)와 그렇지 않은 정서요인(-)으로 구분지어서 설명을 시도한 IZOF 모형도 정서와 운동수행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어지고 있다.
        502.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set out to prov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depression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he two military sexual slavery(A and B) by japan living in Daegu were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thi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HT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20 times from March to July, 2004. To prove the effect of HTP effect, emotional stability and the depression was diagnosed between pre- and post-program using the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table(KHY type). Also after horticultural therapy executing, the observation log was kept down via the horticultural treatment diagnosis table(KHY type). In the result of BDI evaluation, we could notice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emotional stability and depression of A and B subjects. In this study, HTP showed a positive effect in curing mental depression and activities. Therefore, HTP is useful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50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주의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구광역시 치매 및 노인전문병원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치매노인 4(여:3, 남: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시기간은 2003년 10월 7일부터 2004년 1월 20일까지 매주 1회씩 총 16회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은 대상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친근감 있는 소재를 이용한 식물기르기를 하였고 주의력 향상을 위해 작은 크기의 지정된 공간을 이용한 꽃장식, 단일지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단순한 작업을 모방할 수 있는 능력 등을 배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주의력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치매평가검사<K-DRS>중에서 <주의력>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매 원예치료 실시 후에 원예치료평가표(KHY식)에 의한 정서발달을 평가하였고 관찰일지를 작성하여 대상자들의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주의력 평가결과 대상자 A는 29-31-28-35-35점으로, 대상자 B는 30-30-32-33-33점으로, 대상자 C는 32-31-33-36-35점으로 원예치료 실시 후 주의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대상자 D는 36-36-34-35-36점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정서발달은 원예치료 실시 전 평균 1.9점에서 실시 후 평균 3.1점으로 모든 항목이 개선되었다. 특히 인내 ․ 집중력이 향상되어 원예활동 수행 시 작업태도가 좋아졌으며 자신의 결과물에 대한 책임감이 생겨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주의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매의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치료기법으로써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510.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교육에 관한 많은 관심들이 점차 조기교육으로 쏠리면서 영·유아들의 신체와 정서, 지능발달에 대한 학계와 일반인들의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기 마사지·체조 프로그램이 아기의 뇌의 활동에는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EEG를 사용한 뇌파의 변화와 아기 엄마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마사지와 체조가 아기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생후 3-6개월 사이의 아기들이었으며, 태어나면서부터 아기마사지를 실시하여 온 아기들 5명, 전혀 마사지를 실시하지 않은 아기들 4명이었다. 뇌 활동의 측정을 위해서는 유선뇌파 장비인 LXE 1104-RS232를 이용하여 EEG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전극 부착부위는 전두엽(frontal lobe)부위의 인지능력을 받아들이는 영역인 F7과 감정에 관계되는 영역인 F8과 운동과 감각기관에 관여하는 영역인 두정엽(parietal lobe)의 C3, C4를 선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마사지 전 평상시와 발·하체마사지, 상체 마사지, 체조 등 각 형태에 따라 델타파(F=5.515, p<.001), 알파파(F=8.989, p<.000), 베타파(F=4.796, p<.005), 감마파(F=5.519, p<.001)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타파는 각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아기마사지가 알파파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입증하였다. 특히 체조를 해주는 경우 감마파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감마파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주로 인지적인 두뇌 활동을 할 때 나타나는 파형으로 알려져 있어 앞으로 상당히 의미 있게 다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그룹간인 마사지 그룹과 비마사지 그룹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균 간에는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미루어보아 피험자의 수가 적었던 것이 한계점으로 작용을 하였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더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의 결과 신체적 변화차원의 범주는 크게 발달과 건강 차원으로 나누어 졌으며, 정서적 변화차원의 범주는 크게 정서적 교감, 정서적 안정, 집중력의 차원으로 나누어 졌으며, 가장 좋아하는 부위는 발, 가장 좋아하는 시간은 오후 목욕한 후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신체적인 접촉이 인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덧붙여 아기와 부모간의 상호 신체접촉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줄 수 있는 연구결과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511.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재원 중인 5세 유아의 또래지위와 정서지능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유아들의 또래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또래평정법(Asher, Singleton, Tinsly, & Hymel, 1979)을 사용하였고,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만 5세용 정서지능 체크리스트(이병래, 1997)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인 자기인식·표현능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인 자기조절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인 타인인식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섯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인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513.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간의 심리를 구성하는 인지, 정서, 동기 중 과거에는 등한시해왔던 정서가 인지와 동기를 이끌 수 있고, 인간의 성취 행동을 이해하는데 목표추구 과정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Bagozzi, Baumgartner, 및 Pieters(1998)는 목표상황, 기대정서, 의지과정, 도구 행동, 목표획득, 목표-결과 정서로 구성된 목표지향적 정서 모델(golf-directde emotion model)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아직 한국의 스포츠장면에서는 검증되지 못한 문제로 인해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등학교 운동 선수를 모집단으로 하였고, 12개의 개인 종목에서 245명, 3개의 단체 종목에서 210명이 표집되어, 총 455명이 본 연구 대상으로 표집되었다. 연구 절차는 시합이 있기 3∼4주전에 목표 확립, 기대 정서, 의지 과정을 측정하였으며, 시합이 끝난 1주 이내에 도구 행동, 목표 획득, 목표-결과 정서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상관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해 목표지향적 정서 모델은 한국의 스포츠 장면에서 적합한 깃으로 나타났다 즉, 목표를 성공하거나 실패할 것으로 기대했을 때 발생하는 기대 정서가 선수들의 의지에 영향을 주고, 이 의지는 실제 행동에 영향을 주며, 이에 따라 목표획득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목표획득은 목표-결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1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쟁불안이 강도와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정서지능이 경쟁상태불안의 방향을 예측하는 예언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여 고교 양궁선수 1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 도구로는 방향차원이 부가된 경쟁상태불안 검사지(CSAI-2: Martens, Burton, Vealey, 1990)와 이수정과 이훈구(1997)의 TMMS(Trait Meta-Mood Scale: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및 Palfai, (1995)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경쟁상태불안(인지와 신체불안)의 강도와 방향 그리고 정서지능의 하위 차원인 정서명확, 정서주의, 정서개선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와 신체불안간에는 정적 상관, 강도와 방향간에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정서지능이 경쟁상태불안의 방향차원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이 드러났고, 구체적으로 정서지능의 정서개선 요인이 경쟁상태불안 중 신체불안의 방향차원을 예측하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새로운 경쟁불안 척도 개발의 필요성과 체험정서와 표현정서간의 차이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515.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참여자들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기분 및 정서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한국의 문화/언어적 측면을 고려하여 개발하는데 있다. 한국형 운동-정서척도(Korean Exorcise-Emotion Scale: KEES)의 개발과 타당화 과정은 크게 3 단계의 절차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첫째, 선행문헌에서 밝혀진 `한국인의 일반적 정서용어` 834개(한덕웅, 강혜자, 2000)에 대한 내용타당도검증을 시행하여 72개의 운동-정서 문항이 산출되었다. 둘째, 사회체육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성인 남녀 266명을 대상으로 72개의 문항에 대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5요인 28문항의 KEES가 구조화되었다: 재미, 긍지, 활력감, 정화, 성취감. 셋째, 일련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KEES의 가설적 요인 모델들을 비교 검증한 결과 수정지수를 사용한 5요인 24문항의 모델에서 가장 높은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문화적 측면에서 KEES가 다양한 신체활동 상황에서 발생하는 참여자들의 정서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는 일차적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