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4

        501.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ydroxyapatite(HAp) as a carrier the for ion exchange agent of Ag+ions was prepared in semiconductor fabrication, The Ca/P molar ratio of the HAp was 1.65. The HAp is molded in shape of the antimcrobial ball and then sintered at 1000℃. Ag-containing HAp(HAp-Ag) was prepared by incorporating Ag+ions in HAp crystals through an ion-exchange reaction in solutions containing 0.01M AgNO3. The antimicrobial effect of HAp-Ag for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has been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silver in the antimicrobial ball was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nd the amount of Ag+ion was 9.0㎍/g. The HAp-Ag exhibited excellent antimicrobial effect for bacteria such as E. coli and S. aureus. The bactericidal activity was considered to be caused by direct contact of bacteria with Ag+ions in the HAp crystals. The HAp would likely to be possible as a carrier of antimicrobial metal ions such as Ag, Cu, and Zn by recycling of waste sludge in the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
        502.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저령을 80% methanol로 추출한 후 그 농축액을 ehyl acetate와 water로 순차 분획하고, 각 분획물을 이용하여 인간유래 위암세포인 SNU668의 생장 저해 효과와 항산화 효과 및 각종 위장질환의 원인균으로 보고된 H.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인간유래의 위암세포인 SNU668에 대한 저해 효과는 methanol fraction 1 mg/의 농도에서 가장 강한 암세포 저해
        503.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나무의 추출물을 3Brix로 조정하였을 때 추출수율은 줄기가 1.0~1.5%였고, 잎은 3.1~3.2%로 잎의 추출수율이 줄기에 비해 높았다. 전자공여작용은 대조구인 죽력이 86%, BHT 93%, BHA 95%였고 줄기 추출물에서는 맹종죽 62%, 솜대 55%, 왕대 52%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잎 추출물에서는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잎 추출물이 줄기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는데, 맹종죽 63%, 왕대
        504.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성 항균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 40mg/를 첨가한 TSB에서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Bacillus subtilis KCTC 1021, Bacillus megaterium KCTC 3007 그리고 Vibrio parahaemolticus ATCC 17802는 대조구에 비해 4에서 6 log cycle 그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Saimonalla typhimurium ATCC 14028
        505.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종의 한약계를 70% 메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으로 생균수의 측정, 생육저해환의 측정,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의 크기는 Rubus coreanus 〉 Sanguisorba officinalis 〉 Eriobotrya japonica 〉 Prunus mume 〉 Crataegus pinnatifida로 나타났다. 생육저해환은 복분자가 16.5 mm, 지유 14.3 mm, 오매 14.0 mm, 산사 12.7 mm로 측정되었다. MIC는 지유가 5mg / ml로 가장 낮았으며, MBC는 복분자가 10mg / ml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한약재 추출물중 복분자, 비파엽, 산사, 오매, 지유는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보존료를 개발하여 식품에 적용한다면 그 기대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생각된다.
        506.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6과 20종의 공시 식물체 중 양파(Allium cepa), 대황(Rheum undulatum) 및 황련(Coptis japonica) 등의 추출액이 인삼 탄저병균(C. gloeosporioides)에 대해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양파와 대황은 배지내의 추출액 농도가 1.0% 이상일 때 균사 생장억제 효과가 인정 되었고, 황련의 추출액은 배지 내의 농도가 0.5% 이상일 때에도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50% 이상으로 나타나 공시된 식물체 추출액 중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파의 추출액은 10.0% 희석농도에서는 60% 이상의 발아 억제 효과가 있었고, 대황의 추출액은 2.0% 그리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 농도에서도 포자 발아억제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나 황련추출액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양파와 대황의 추출액은 2.0%의 희석농도에서는 어느 정도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1.0% 이하의 희석 농도에서는 효과가 많이 떨어졌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농도에서도 50%이상의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3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대조약제인 Mancozebwp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경향이 었다. 세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10.0%의 희석농도에서는 인삼 잎의 엽육이나 엽맥이 갈변하는 등의 약해의 징후가 나타났고, 황련의 추출액은 2.0%의 희석 농도에서도 약간의 약해 징후가 관찰되었다.
        507.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균력의 우수성이 확인된 천연항균소재인 대황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시설채소산물인 호박의 선도유지용 표면처리제 및 포장소재로 개발하여 저장실험을 실시한 견과는 다음과 같다. 호박을 항균소재에 침지처리한 후, 항균필름에 포장하고 1에서 저장하면서 저장호박의 경도, ascortbic acid함량, 중량손실을, 미생물 성장도 및 부패율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교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대조구(LDPE) 필름에 비교
        508.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고추를 수확하여 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천연항균소재를 이용한 항균용제와 항균포장필름에 대한 각각의 효과와 두 가지를 병행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풋고추를 항균용제에 침지 처리후 1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균용제와 항균포장필름에 대한 각각의 효과뿐만 아니라 두 가지를 병행하여 저장하는 경우 상승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풋고추의 선도를 유지하는 데에 천연항균소재가
        509.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microbial and glucosyltransferase(GTase) inhibition activity were searched for 30 species of various folk drugs and by products of food industry. Among them, two species, gallnut and red grape husk water extracts, were selected for the powerful antimicrobial and GTase inhibition activity. The polyphenol fractions of gallnut and red grape husk were showed very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on both Gram(+) and (-), B. subtilis and E. coli. The minimum antimicrobial activity of gallnut polyphenol fraction were 1.0mg for B. subtilis and 3,0mg for E. coli. Red grape husk was 2.0mg for B. subtilis and 3.0mg for E coli. The polyphenol fractions of gall nut and red grape husk were showed powerful GTase inhibition activity. The concentrations of these fractions for 80% inhibition of GTase activity were 1.0810-3/mg/㎖ and 1.0810-2/mg/㎖,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compound in these fraction seems to be polyphenol derivatives. From these results, we think that the gallnut and the red grape husk polyphenol fraction had more antimicrobial and anti-plaque activities than artificial synthetic preservatives as an economic point of view.
        510.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 extract of green tea(GTW) and 70% ethanol extract of green tea(GTE) were prepared for the test of antibacterial activity. The sensitiv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o the green tea extracts in various pH of culture broth was tested.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w/v) of green tea extracts was adjusted to pH 5.0∼7.0 and inoculated with 105/∼106/ cells/ml of each bacteria. The plate counting method and clear zone test were used to determin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S. aureus at 0.5% level and bactercidal at 0.5∼1.0% level of GTW and GTE at pH 5.0∼7.0. Green tea extracts were bactercidal to S. typhimurium at 1.5∼2.0% level of GTW and 1.0∼2.0% level of GTE at pH 7.0. Sal. typhimurium was more resistant than S. aureus. in same concentration of green tea extracts at same pH. The resistance of S. aureus and Sal. typhimurium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of culture broth. The morphology of S. aureus cells treated with green tea extracts showed damage of cell wall and cytoplasmic membrane. Severely damaged cells of S. aureus lost electron dense material and cytoplasm. Green tea extracts stimulated autolysis and cell death of S. aureus.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511.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가지 담자균 자실체의 물과 m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5가지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실험을 실시한 결과, 석이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있었으며, 석이버섯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높은 항균력이 확인된 석이버섯, 상황버섯의 80% methanol추출물을 diethyl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의 순으로 분획물을 얻어서 항균 및 항
        512.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보존제인 참나무 목초액을 항균제 및 주방기구 세척시 소독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Paper disc법에 의한 시험결과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20 첨가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미생물이 첨가된 배지에 참나무 목초액을 70 첨가한 후 에서 3일간의 배양동안 모든 시험균주의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증류수로 희석한 목초액 50에 대수증기까지 배양하여 멸균수로 희석한 대장균을 미량 첨가하여 에서
        513.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종 식중독균에 대한 마린엑스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두부에의 처리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aper disc법에 따른 항균활성은 100ml의 마린엑스 첨가시에도 시험균주 모두에서 강하게 나타내었으며, 마린엑스를 각 시험균주에 농도별로 첨가한 후 균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첨가농가 클수록 균의 증식을 더 크게 억제하였다. 마린엑스를 희석한 물에 두부를 첨지하여 상온에 저장하면서 pH, 색도, texture, 대장균수 및 생균수를 조사한 결과 두부
        514.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ield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or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leaves were higher in ethanol extract layer. Ethanol Extract in sancho and chopi leaves was fractionated with different solvents, such a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yields of hexane fraction was higher. In the solvent extracts using methanol, ethanol, hexane, chloroform, and water, ethanol extract showed the most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Ethanol extract in sancho and chopi leaves was fractionated, the most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ancho leaf were ethyl acetate fraction, and chopi leaf were chloroform fraction.
        515.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15 종의 생약재 중에서 식품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자원을 검색한 결과 식품부패성 세균 Bacillus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인 것은 단삼, 관중, 가자, 독활, 파고지, 오미자이었으며, 식중독균인 효모 Candida albicans IFO6258에 대해서는 지모와 관중 두 생약재가, 식품부패성 효모 Schizosaccharomyces sp.에 대해서는 지모, 관중, 원지가 각각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서는 관중, 단삼, 소목, 방기, 오미자, 오배자, 고삼, 목향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피부 각층 및 모발에 침입하여 피부병을 야기하는 백선균 Trichon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해서는 지모, 강황, 목향, 호장근, 지유, 황금, 가자들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항균spectrum이 넓으면서 비교적 항균활성이 강한 관중, 단삼, 가자, 황금에 항균활성이 강한 생약자원인 가자, 계피, 방기, 황금등의 생약재를 각각 1 : 1로 혼합한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혼합 추출물에서 단독 추출물 보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516.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owdered spices(garlic , ginger, cinnamon and clove) against pathogenic Escherichia coli )157:H7 and Staphyloccus auresus were investigated. Spice powder was added in was exponetial phase of each bacterial culture . Growth inhibition was determined by the absorbance at 660nm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cells wer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Ginger powder has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following cinnamon , clove and garlic has the least activity.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taphyloccus aureus were completely inhibited within 5 hours after addition of 1 % of garlic , 0.3% of ginger or cinnamon , 0.5% of clove powder on the exponential phase of the cells. Spice untreated cells of E. coli and S. aureus, the cytoplasm was entirely surrounded by rigid cell wall and cell walls formed a smooth layer well attached to the plasma membrane. In the cells of E. coli and S. aureus treated with spice powder, cell wall and plasma membrane were lysed and severely damaged. E.coli cells growth in the presence of spice powder showed plammolysis, the loss of electron dense material, the formation of extra cellular blebs and cytoplasm burst out from the cell. S .sureus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spice powder showed swell of cell wall, the loss of electron dense material , coagulation of cell cytoplasm and formation of extra cellular blebs. Severely damaged cells of S. aureus lost whole cytoplasm and left as ghost of the cell. Spice powder stimulated autolyssi and induced cell death.
        517.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작두콩을 종자, 자엽 및 껍질로 구분하여 항균활성성을 조사하였다. 용매별 추출수율은 껍질이 다른 부위에 비해 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계통분획별 추출수율은 물 분획 층에서 종자 3.3%, 자엽 2.5%, 껍질 0.3%로 높게 나타났다. 작두콩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으며, 계통 분획 추출물에서는 에칠 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종자, 자엽, 껍질 모두 항균활성이
        518.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항균성 필름의 생산방법으로서 corona 저려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LOPE) 필름에 천연항균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딸기의 포장에 적용하였다. 보다 안정한 항균제 코팅 필름의 생산을 위하여 결착제와 함께 코팅한 필름의 생산방법을 검토한 결과, polyamide수지용 과 항균생 물질을 함께 코팅함에 의하여 안정한 코팅을 행성할 수 있었다. 이의 항균성을 미생물 평판 배지 상에서 확인한 결과, 1% 자몽종자추
        519.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microbial extracts of rheum palmatum and coptis chinensis root as well as grapefruit seed extract(GFSE) were applied to dipping treatment for keeping qualities of cucumbers, respectively, which were then packed in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films incorporated with 1 % antimicrobial extracts and stored . Dipping and packaging in the antimicrobial agents suppressed the growth of putrefactive microorgani는 and the decay ratio of cucumbers. In addition, the loss ratio of ascortic acid content and their weight was decreased during the sotrage of cucumbers. Consequently, the combined method of dippinf and packaging in antimicrobial agents turned out to be superior to dipping treatment or film-packaging in the view point of decay ratio and the keeping qualities of cucumbers.
        520.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for keeping qualities of postharvested greenhouse produce the antimiocrobial actions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 which showed remarkable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microorganism causing the postharvest decay of greenhouse produce, were investigate. In the inhibitory experiment of enzymes related to energy production metabolism hexokinase activities decreased to 73% and 68% by treating with Polygonum cuspidatum Sieb. et.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mnberg extract in comparison with control, respectively. Direct visualization of microbial cells by using bo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that microbial cell membrane was destroyed by treating with the dilute extract solution. this change of celluloar membrane permeability could be identified in the experiment that 0-nitrophenyl--D-galactopyrano-side(ONPG), the artificial substrate of -galactosidase, was hydrolyzed in the presence of the extract, indicating that the membrane was perturbed. The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most antimicrobialo substances isolated from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nberg extract were carried out by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9GC/MSD), which were identified as eugenol. As a result, the functionality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nberg extract as antimicrobial agents for keeping qualities of postharvested greenhouse produce may be recommended.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