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

        41.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무체재산이 혁신과 창작을 유도하는 데 효율적인 법적 도구가 될 수 있다면, 기업이나 개인의 명성과 신용은 거래비용을 낮춰 줌으로써 일상적인 경제활동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명성과 신용의 경제적인 효과를 보면, 진실에 기초한 명성 또는 신용은 정확한 정보의 무상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효율적인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명예훼손이나 퍼블리시티 기타 불법행위에 관한 법리는 관련시장에서 거래비용을 낮춰 주는 훌륭한 법적 도구가 될 수 있다. 종래 기업의 신용을 훼손하는 행위에 대한 불법 행위책임의 문제는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하거나 의견을 표명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해하는 행위들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선고된 대법원 2008. 10. 9. 선고 2006다 53146 판결에서는 고급 이미지의 의류로서 명성과 신용을 얻고 있는 타인의 의류와 유사한 디자인의 의류를 제조하여 저가로 유통한 행위가 타인인 법인의 신용을 훼손하는 행위에 해당하고 그에 대해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된다는 취지로 판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위 대상 판결의 사실관계와 판시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산업디자인에 대한 저작권법적 보호가능성, 부정경쟁방지법상 상품주체혼동행위 및 상품형태모방행위의 각 성립요건, 영업비밀 침해행위의 성립요건, 저작권법이나 부정경쟁방지법 등의 성문법을 위반하지 아니한 행위에 대한 일반 불법행위책임의 적용가능성과 위법성의 판단기준 및 손해배상의 범위 등에 관한 쟁점을 검토하고 있다. 이 사건의 예에서 보듯이 기술의 발전과 시장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쟁질서 위반행위가 나타나고 있고, 이에 관한 판례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는바, 이 분야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4,300원
        42.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2학년 국어와 수학 교과서의 한자어를 구성하는 한자를 조사하여 그 실태를 파악한다. 한자어 조사 방법은 학년별로 국어와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어 총수를 조사한다. 그리고 1음절 한자어, 2음절 한자어, 3음절 한자어, 그 이상 음절 한자어의 수와 종류를 분류한다. 그 다음은 한자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난이도를 조사하는데, 그 기준은 교육부 선정 한문교육용 중학교 900자와 고등학 교 1,800자, 이 1,800자를 벗어난 한자로 구분한다.
        7,800원
        43.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는 한문과의 교육목표에서 제시한 한문의 독해와 언어생활에서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요소이다. 또한 한자어는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말로써 1음절, 2음절, 3음절, 4음절, 5음절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진 어휘를 말하지만, 2음절의 어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자어는 한문교육의 내용 체계상 한자와 한문의 중간단계로 한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문을 독해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한자어가 한문과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漢字나 漢文 못지않게 중요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지금까지 한자어에 관한 연구는 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연구, 한자어 학습을 통한 어휘력 신장 및 언어생활 활용 연구, 한자어 학습이 타 교과 학습에 기초가 되는 도구 교과적 성격을 확인하는 연구 등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 연구는 매우 소략하여,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한문 교과서가 한자어와 한자 ․ 한문과의 상관성을 얼마나 많이 고려하여 집필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한문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가 신습한자와 함께 제시된 한자의 대표 字義와 얼마나 많은 의미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역대 한문전적에서 활용된 용례를 찾아 상관성을 검증하여,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한문 교과서에 수록할 한자어의 선택과 의미의 제시 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중학교 현장에서 쓰이는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반드시 수용하여 교과서를 집필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한문 교과서는 본문에서 수용하지 못한 한자를 수용하려는 차원에서 한자어를 만들어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신습 한자로 제시한 한자의 字義도 一字一義의 원칙에 따라 대표적인 字義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字義도 原義, 派生義, 假借義를 혼합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자어에서 활용한 의미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생기며, 한자어의 풀이도 국어사전의 풀이를 따르고 있어서 한자의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것이 종종 있다. 본고는 개정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1, 2, 3학년 한문교과서 가운데 1, 2, 3학년이 모두 검정에 통과한 8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의 설계를 하여야 하나, 중학교 3학년 교과서가 아직 시중에 나와 있지 않으며, 그 범위도 너무 방대하여 부득이하게 연구자가 대표 저자인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漢文』1, 2, 3 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는 2음절의 한자어가 442개, 3음절의 한자어가 26개, 4음절의 한자어가 26개 등 모두 494개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2음절의 한자어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대부분의 한자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음절의 한자어 442개 가운데 ‘中國, 百濟, 新羅, 高麗, 朝鮮’ 등 국명과 ‘史記, 遺事’ 등 서책명, 지명인 ‘獨島, 漢陽, 漢城, 京城’ 등 12개를 제외하면 430개가 순수하게 2음절의 한자어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430개의 한자어 가운데, ‘日出’ 등이 360개로 약 8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자의 派生義나 假借義의 이해를 前提로 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한자어가 15%, 典故가 있어야 이해가 되는 한자어가 1%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 활용된 한자어 가운데 84%의 한자어가 한자의 대표 字義로도 의미 파악이 되므로, 한자어와 한자의 대표 字義와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고 한 자의 한자가 同義나 類似義를 가진 한자어로 풀이될 수 있으므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한자어는 매우 드물다. 교과서에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한자어의 語義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한자어가 360개 가운데에서 同義나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와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를 한국고전국역원에서 운용하는 인터넷 싸이트 국학관련 종합 DB의 ‘한국문집총간’에서 해당 한자어를 검색하여 사용된 용례를 검토해 보았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한 자가 하나의 어휘이므로, 그 풀이에 있어서도 낱낱의 한자를 풀이하는 것이 원칙이나, 同義와 類似義로 짜여진 50개 한자어 가운데 6개를 제외한 44개가 우리의 한문전적과 상관을 맺고 있었다. 전장제도와 서구문명의 유산으로 인식되는 민주주의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한자어, 과학문명 및 시장경제와 관련된 한자어는 근대 이후 서구의 과학문명과 새로운 정치, 경제제도 등의 용어를 도입하면서 새로 유입되거나 만들어진 28개 한자어 가운데 14개가 우리 한문전적에 활용된 용례가 매우 적거나 없는 한자어로 한문전적과의 상관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360개 가운데 20개를 제외한 340개로 이는 전체 442개의 한자어 가운데 76%로 많은 한자어가 한문전적과 상관성을 맺고 있다. 따라서 비상교육에서 출간한 중학교『漢文』1, 2, 3 교과서에 삽입된 한자어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신습한자의 대표 字義와 매우 높은 연관성 갖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한문 전적과 많은 상관성을 갖고 있었다. 이는 교과서에서 제시한 한자의 대표 字義가 우리나라의 고전문헌을 참고하여 만든 대표 字義를 따라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제시한 한자어가 오늘날 언어의 활용과 한문 독해에 얼마나 유의미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가령 한자어로 제시한 ‘一里’는 국어사전식 풀이가 ‘한마을’인데, 오늘날 ‘一里’라는 표현은 이미 死語가 되고, 이의 풀이말인 ‘한마을’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자어를 바라보는 시각이 오늘날의 언어생활과 서구의 학문에 영향을 많이 받은 과학 등의 용어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면 한자의 대표 字義를 현재의 의미에 맞게 고쳐야 한다. 그러나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라는 측면에서는 기존에 이미 제정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는 현재의 대표 字義도 한자의 이해가 한문을 번역하는데 필요한 전제라면 일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자어의 교육에 대해 언어생활용과 한문교육용으로 분리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언어의 학습은 일관성이 우선이므로 한문 고전 어휘와 현대 한자어의 의미의 연관성을 밝혀서 통합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국어사전식 풀이에서 한자어의 本義와 차이가 나는 한자어, 典故의 이해 없이는 의미 파악이 되지 않는 한자어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교과서의 날개, 하단, 부록 등의 공간에 附記하여 설명하여야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3,000원
        44.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Ⅰ. 韓・中 漢字敎學 比較 1. 韓國의 漢字敎學 1) 韓國의 漢字敎學 目標 우리의 漢字敎學은 중학교에서, 중국은 초등학교 그것도 1, 2학년에 집중적으로 실시된다. 우리의 漢字敎學 목표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1, 2, 3학년의 영역별 구체적인 敎學內容을 개술하면 다음과 같다. 2) 韓國의 漢字敎學 內容 ① 한자의 형‧음‧의를 안다. ②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안다. ③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을 찾을 수 있다. ④ 한자를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⑤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안다. ⑥ 한자의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 ⑦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3) 韓國의 漢字敎學 방법 및 資料 한자교학 지도방법은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다양한 수업 방법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지도한다. 교수․학습 자료는 카드, 융판, 괘도, 컴퓨터, OHP, 실물화상기,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 매체 자료를 포함한 각종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 한다. 2. 中國의 識字敎學 중국의 識字敎學은 어떤 敎學法을 사용하던 최근에는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1) 中國의 識字敎學 目標 중국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까지 9개 학년을 통합 설계하고, 識字方面의 구체목표는 汉语拼音을 배워 普通话를 구사하고, 3500자 정도의 常用汉字를 알며(중학교 500자 포함) 汉字를 쓸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단계별 목표에서 초등 1~2학년은 常用汉字 1600~1800자를, 3~4학년은 2500자 를(누적), 5~6학년은 3000자를(누적) 익히고 대략 2500자 정도를 쓸 수 있게 한다. 2) 中國의 識字敎學 內容 교학내용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汉语拼音, 자전 찾기 등을 실시하고, 图画, 上下文 연계, 儿歌, 童谣, 간단한 古诗, 成语, 格言 등을 통해 識字한다. 3) 中國의 識字敎學 方法 및 資料 교수․학습 자료는 挂图, 工具书, 图书, 报刊, 电影, 电视, 广播, 网络, 报告会, 研讨会, 연극, 图书馆, 博物馆, 광고 등을 망라하여 활용한다. 수업은 학생 교사 쌍방의 주체적, 창조적 교감과 학생 자신의 자주적 학습력을 중시한다. 4) 中國의 拼音과 漢字敎學에 대한 認識 변화 최근 중국의 識字敎學은 일부 초등학교 교재에 先拼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다. 이의 가장 큰 이유는 先拼音, 後漢字敎學이 피동적인 교육이 되고, 形音義 사이의 聯想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Ⅱ. 韓・中 漢字敎學法 硏究 1. 韓國의 漢字敎學法 硏究 聲符활용 敎學法 : 형성자의 聲符, 同源字 이론을 응용한 聲符 활용 敎學法字源活用 敎學法 : 結構分析, 부수편방 이용, 破字, 構形學 이론 적용 매체이용 敎學法 : 만화, 괘도, 그림, 사진, 컴퓨터, 인터넷, 웹기반, UCC & FLASH 敎學法硏究 特徵 : 국가, 지방정부 차원이 아닌 개인연구 2. 中國의 識字敎學法 硏究 字音活用 敎學法 : 聽讀識字, 拼音識字, 閱讀識字, 有廣東特色的‘注音識字’敎學, 韻語識字 字源活用 敎學法 : 部件識字, 解形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字謎識字, 結構分析法, 字義識字敎學法分散集中 敎學法 : 分散識字, 集中識字 매체이용 敎學法 : 雙拼電腦識字, 電腦字根識字法, 多媒體電腦輔助學習漢字, 計算機輔助識字敎學法硏究 特徵 : 대부분 국가 혹은 省, 市 차원의 연구과제로 파급력과 공신력이 큼.Ⅲ. 韓・中 漢字敎學 比較 중국과 우리의 교수․학습 방법, 내용, 자료 등은 유사한 점이 많다. 1. 敎學量과 特徵 중국 : 초등학교 3000자, 중학교까지 3500자를 識字한다.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常用汉字 1600~1800자를 익히고, 그 가운데 800~1000자를 쓸 수 있게 하는 집중식자를 한다. 한국 : 중학교 900자 敎學(1, 2, 3학년 각 300자) 중국이 우리보다 월등히 많은 한자를 敎學한다. 단 중국은 모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한자를 敎學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고등학교까지 1800자 식자는 그리 적은 편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2. 敎學內容 中國 : 중국은 識字, 寫字, 拼音, 閱讀, 寫話(받아쓰기) 등을 통해 식자한다. 이들을 효과적으로 교학하기 위해 쓰기, 偏旁익히기, 査字하기, 生字에 主音하기, 자형분석하기, 字音과 字義 장악하기, 上下文을 활용한 한자 추측하기, 漢語拼音의 大寫字母 알고 쓰기 등을 교학 한다. 韓國 : 한자의 형‧음‧의와 부수를 알고 자전을 찾을 수 있다. 한자를 바르게 읽고 쓸 수 있다. 한자의 형성과정과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안다.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한다. 우리 교재는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등을 활용하고, 육서 원리, 자전 찾기, 字音, 同部首字, 同義利用, 類似漢字, 편방분석, 상대어, 유의어, 각종 첨단 매체를 활용한 한자교학이 이루어진다. 단, 중국의 上下文을 활용한 한자 추측하기, 漢語拼音의 大寫字母를 알고 쓰기는 없다. 3. 敎學方法 中國 : 識字敎學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로 한 誦讀法, 會意, 形聲原理 識字, 偏旁 활용 識字, 쓰기를 통한 識字 등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시한다. 중국도 우리의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등을 이용한 교학을 실시하지만, 우리가 훨씬 다양하고 화려하다. 자료 :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컴퓨터 등을 활용 韓國 :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을 만화, 괘도, 그림, 사진, 컴퓨터, 인터넷, 웹기반, UCC & FLASH 등 각종 매체를 이용하여 교학한다. 중국에 비해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이 미약하다. 4. 長短點 韓國 : 우리의 한자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한자학 수준의 저하와 개인적 연구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단 우리는 繁體 사용으로 結構를 分析하거나, 六書를 활용한 교학에 유리하다. 또, 그림, 말풍선,만화, 사진 등을 이용한 교학은 우리가 훨씬 다양하고 화려하다. 中國 : 簡體字로 인해 六書, 結構 分析 등을 통한 漢字敎學에 불리하다. 단,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 노래, 破字 등을 활용한 교육에 장점이 있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 識字法은 우리가 응용할만하다.
        4,000원
        45.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합적인 고효율 한자교육법』중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을 집중적 으로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이 한자를 배 우는 초학자들이 한자의 인식에 끼친 성과를 알아보자는 것이다. 본문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의 학습 이론과 교육 실험, 교육의 응용 예시 등을 기술하였다.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은 부건(部件)을 위주로 제시되는 교육방법 으로, 상용되는 한자 부건의 교육과 인식을 통하여 초학자의 한자 학습을 더욱 용 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홍콩의 어느 초등학교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들은 사 실 한자교육에 있어 초학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삼아, 이 논문 의 설계에 따라 부건 한자 학습법을 이용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설계한 한자교재를 연구 도구로 삼아, 교육 시행 이전과 이후 수치에서 드러나는 학습 성적을 비교하 고,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실천에 따른 성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방법은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학습 능력을 제고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부건을 통한 한자 교육을 통하여, 77개의 상용 부건을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을 학습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을 서로 분해하거나 조합하면서 다량의 새로운 한자를 학습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한자학습량 증가율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이 학생의 한자에 대한 민감도와 한 자학습량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5,200원
        46.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Ⅰ. 序論 因尚未對韓國語言文字中仍然占據重要地位的漢字進行正式的規範化,從而導致漢字使用、漢字教育及漢字相關政策等存在諸多問題。因此筆者認為韓國切實有必要實施漢字規範化,同時特別強調需要對韓國漢字的形、音、義、量、序進行規範,本論中將主要論述關於韓國漢字字形規範化的相關問題。 對於韓國漢字字形存在的問題,在張豪晟, 金彥鍾, 許喆, 楊沅錫等的研究中均有所提及。但大都是提出漢字字形存在的問題,而沒有對這些問題提出相應的解決方案。另外在吸收中國漢字規範化研究成果時,沒有能夠針對韓國的實際情況進行進一步的適用性研究。 考慮到以上幾點問題,本論將在分析大陸和臺灣的漢字字形規範化現狀的同時,以韓國教育部制定的“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以下簡稱‘教育用漢字’)為對象提出字形規範化方案。 Ⅱ. 教育用漢字字形表記原則及字形規範化的必要性 韓國的教育用漢字初次制定於1972年,於2000年時,經過韓國漢文教育學會的研究,對44個字進行調整之後,從2001年起一直使用到現在。這些教育用漢字是根據什麼原則進行表記?在教育部的《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 調整白皮書》(2000)中提出的字形表記原則是“漢字字形原則上以本體字進行表記。但同時考慮那些以《康熙字典》的字形為根本且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裏提出“本體字表記的原則”的同時留下了“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的附則。因此提出了若俗字或異體字等也是廣泛通用的話,也將予以考慮這一點。根據這些規則,對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進行正確的定義相當困難。另外本體字的概念也是不明確的,在對於正字和本字的概念進行研究後,以此為基礎再次對在白皮書中本體字的概念進行相關的整理。正字是“同正體字,與異體字和俗字相對,由國家或社會規定的標准漢字字形。”異體字是“指讀音和意義完全相同,但形體構造不同的字,與正體字相對”,俗字是“與正體字相對,指流行民間,尚未被社會或政府所承認的字。”通過分析這些,正字可以說是在字的形態性側面上,國家或社會正式承認的標准字體。 本字是“與假借字相對,與通假字相對。指專為某個詞的本義所造的字,就是字形表現出所代表的詞的本義的字。”通假字是“與本字相對。指在漢語書面語中代替本字或通用字的那個字。”假借字“是本來沒有正字,一直借用某一個字。本來有一個正字,但是書寫的人一時寫了別字,或者由於地方習慣寫成另一個字。”即本字是在意思和運用層面上,可以說是同假借字和通假字相對而言的概念。 筆者認為應該將白皮書中提到的本體字定義為“不是異體字或俗字,同時從古至今都被認為是正字(正體字)的字體”。即教育用漢字字體必須使用正字。另外,根據白皮書中“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一條款,可能出現異體字或俗字被選為教育用漢字,但是筆者主張應該將這些字用正字予以替代。正字是“國家或社會承認和規定的”,但根據時代的要求這些規定也可能出現變化,因此可能出現正字和異體字、俗字區分模糊的情況。在這些情況時,將根據原義所造的字或字形承載原義的本字視為正字是比較恰當的。總而言之,筆者主張教育用漢字應該以使用正字為原則,在正字標准模糊時將本字視為正字。 若通過這些辦法,提出韓國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的話,能夠使各個漢字的筆畫和筆順規範化,也能夠使漢字書寫方案規範化。 Ⅲ. 大陸的字形規範化:《現代漢語通用字表》 《現代漢語通用字表》(1988年公佈)是在1965年公佈的《印刷通用漢字字形表》(6196字)無法滿足當時語言文字生活的實際需要的反省中嘗試推出的。它是以《印刷通用漢字字形表》為基礎進行製作的,包含《現代漢語常用字》的3500字,總共收錄7000字。它成為現在大陸使用的漢字字形和筆畫的標准。另外在1997年製作施行了使現代漢語通用字的筆順規範化的《現代漢語通用字表筆順規範》。 Ⅳ. 臺灣的字形規範化:《常用國字標准字體表》正字是“同正體字,與異體字和俗字相對,由國家或社會規定的標准漢字字形。”異體字是“指讀音和意義完全相同,但形體構造不同的字,與正體字相對”,俗字是“與正體字相對,指流行民間,尚未被社會或政府所承認的字。”通過分析這些,正字可以說是在字的形態性側面上,國家或社會正式承認的標准字體。 本字是“與假借字相對,與通假字相對。指專為某個詞的本義所造的字,就是字形表現出所代表的詞的本義的字。”通假字是“與本字相對。指在漢語書面語中代替本字或通用字的那個字。”假借字“是本來沒有正字,一直借用某一個字。本來有一個正字,但是書寫的人一時寫了別字,或者由於地方習慣寫成另一個字。”即本字是在意思和運用層面上,可以說是同假借字和通假字相對而言的概念。 筆者認為應該將白皮書中提到的本體字定義為“不是異體字或俗字,同時從古至今都被認為是正字(正體字)的字體”。即教育用漢字字體必須使用正字。另外,根據白皮書中“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一條款,可能出現異體字或俗字被選為教育用漢字,但是筆者主張應該將這些字用正字予以替代。正字是“國家或社會承認和規定的”,但根據時代的要求這些規定也可能出現變化,因此可能出現正字和異體字、俗字區分模糊的情況。在這些情況時,將根據原義所造的字或字形承載原義的本字視為正字是比較恰當的。總而言之,筆者主張教育用漢字應該以使用正字為原則,在正字標准模糊時將本字視為正字。 若通過這些辦法,提出韓國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的話,能夠使各個漢字的筆畫和筆順規範化,也能夠使漢字書寫方案規範化。 Ⅲ. 大陸的字形規範化:《現代漢語通用字表》 《現代漢語通用字表》(1988年公佈)是在1965年公佈的《印刷通用漢字字形表》(6196字)無法滿足當時語言文字生活的實際需要的反省中嘗試推出的。它是以《印刷通用漢字字形表》為基礎進行製作的,包含《現代漢語常用字》的3500字,總共收錄7000字。它成為現在大陸使用的漢字字形和筆畫的標准。另外在1997年製作施行了使現代漢語通用字的筆順規範化的《現代漢語通用字表筆順規範》。 Ⅳ. 臺灣的字形規範化:《常用國字標准字體表》
        3,000원
        47.
        2011.0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進入近代時期以前,東亞漢字文化圈的共性以及各國的個性長久共存,一般以中國為核心、以同樣的漢字和漢文(文言文)為基礎。可以說,當時的漢字文化圈是一個哲學思想、教育、政治以及經濟方面都具有較多共同因素的共同體。但是各國成立近代國家化以後在西勢東漸的影響下,各國促使共同體走上不同的道路。各國開始使用不同的漢字,或者進行言文一致運動等,這樣逐漸消失了成立漢字文化圈共同基本因素。不過,二十世紀八十年代以後,隨著東亞各國經濟的迅速崛起,新漢字文化圈也開始復活。新興的漢字文化圈跟近代化以前的漢字文化圈在形式上和內容上不盡相同。第一,原來同形異音的漢字,變為異形異音。第二,有些國家曾經舉行有關限制使用漢字的運動(部份人甚至主張禁止使用),因此漢字很早就喪失了第一文字的地位。第三,廢棄共同的“漢文”(即文言文)以後,各國各自進行言文一致運動,因此已經很難找出文字或句子方面的共同點。儘管如此,從另外一個角度看,東亞漢字文化圈還是具有共同點——即文化遺產。也就是說,它具有以漢字漢文為核心而長久流傳下來的文化這一東西。東亞各國共同擁有文化遺產,已經有了1800年以上。並且這種文化影響到了後代,使得讓日常語言、思考、價值觀、行動標準以及歷史文物等都顯示出共同點出來。東亞的一些國家一般都進行漢字漢文教育,這其實也是在共同文化遺產這樣一個認識上形成的。因此,雖然是異形異音,但是漢字教育在各國仍然佔有重要的地位。與此同時,漢文教育(也稱作文言文教育、古典教育,內容包括中國古典和本國古典)同樣也反映了東亞共同的文化意識。可見,在東亞,漢字教育和漢文教育雖然內容上不盡相同,不過還是具有較高的教育價值。如前所述,近代化以後各國的教育方式不統一。不過我們都屬於共同文化圈,擁有共同的文化因素,因此,可以開發出新的教育方式。也就是說,目前各國在各國的文化意識、歷史意識、民族意識以及國家意識等方面,進行漢字教育和漢文教育,在此基礎上,我們還要找出東亞文化的共同因素,運用到教育上面,進一步培養出新的人才。為此,我們把各國原有的漢字漢文教育材料 和工具,可以互相借鑒使用,甚至可以開發出共同的教育教材。這樣可以增進相互之間的理解和交流,同時也會帶來相應的經濟效應。這項工作,也許比共同編纂新的歷史教科書還要有意義,還可以帶來文化交流等好處。綜上,漢字漢文教育是東亞共同的文明教育,也是東亞共同的文化教育,同時還可以認為是理解各國語言文化的通道。爲了漢字漢文教育的進一步發展,以後需要各國研究者做出共同努力。借此,筆者建議如下幾項方案:第一,已經開發使用的各國不同的漢字漢文教學理論、實踐方法、教材以及教育軟件等,需要互相翻譯,並且要有一個平臺來支持它。第二,目前各國使用的題材一般取自各國文獻。這種題材應該更加擴大,進一步探索以東亞共同文化因素作為題材的具體方法。第三,在搜集各國常用詞的基礎上,建立東亞詞彙詞庫,進一步思考它們的運用方案,這樣可以找出東亞詞彙的共同點。 第四,建議設立共同研究機構,進行定期交流以及共同研究等。
        48.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한자능력검정시험이 많은 인기를 끌고 있 다. 이에 따라 사교육에서는 학원, 인터넷, 한자학습지 등에서 시험을 대비한 프로 그램이 성행하고 있으며, 한자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한자능력검정시험에 있어서 초등학생의 응시율이 약 60%나 된다. 이러한 초등학생들의 급수시험의 형태는 일시적이지 않고 연속적이기 때문 에 해마다 응시율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공교육에서의 초등학교 한자교육은 충분 한 시간적 확보가 마련되지 않아서 체계적인 한자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초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도 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학년별로 공정하고 통일된 한자교육이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공교육의 한자교육 실태는 한자능력검 정시험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공교육에서 채우지 못한 한자교육의 욕구를 사교육의 일환인 한자검정능력시험으로 대신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한자능력 검정시험의 인기는 날로 치솟고 있다. 한국의 한자능력검정시험은 일본의 한자능력검정 시험의 체제와 비교해 볼 때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한자능력검정시험의 현황을 살펴보면, 우선 한자능력을 검정하는 기관 이 많고, 이 기관들이 급수를 나누는 기준들이 다르다. 즉, 기준이 되는 국가적 차 원의 초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가 제정 되지 않았기 때문에 각 기관별로 급수를 나누는 排定漢字와, 漢字數에 있어서 통일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한자검정시험 의 전문성을 떨어뜨리고 공증성을 약하게 만들 수도 있다. 또한 각 기관들이 시행 하는 시험일도 다르기 때문에 상업적인 경향도 보인다. 반면 일본은 한자능력검정 시험은 거의 일본한자능력검정협회에서 주관하고 있다. 또한 漢檢의 급수 체제는 학교에서의 한자교육과 연계되어 학교에서 배우는 각 학년별로 배당한자(교육용 기초한자), 1006字를 기준으로 각 등급별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일본의 漢檢이 공교육에 기반을 두고 시행되고 있는 것을 면밀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현재 한국의 한자능력검정시험의 시장은 상당히 크다. 초등학교의 한자과목의 위상을 확립하고 바람직한 한자교육의 체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현행 한자능력 검정시험의 체제를 개선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일본의 한자능력검정시 험과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의 한자능력검정시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8,000원
        49.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향후 초등학교 교육용 기본 어휘와 기초한자를 선정함에 있어 실제 선정의 단계에 진입하기 이전에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과 그 선정의 방 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를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실제 선정보다 더욱 중요 한 선정의 방법과 절차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그 논의를 토론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통해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설계의 방법을 도출해 냄으 로써, 이후 구체적인 선정 단계와 그 적용에 있어 예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초등한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국어교과를 비롯하여 타 언어 교과에서 어떻게 어 휘를 선정하고, 그 어휘를 교육에 활용하는가를 살펴보고, 초등 한자교과에서 어 떻게 기본 어휘와 기초 한자를 선정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한국어에서 한자어와 한자가 가지는 중요성과 특수성을 밝히고, 그러한 특 수성을 가장 잘 반영하기 위해서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와 그 단계를 어떻게 설 정할 것인가에 집중하였다. 기존의 어원별 분류와는 다르게 한자어를 투명도, 상용도, 영역의 확장 측면에 서 분류할 것과 아울러 선정의 실제 있어서 고려해야할 점, 즉, 파생어, 합성어, 접두어, 접미어 등을 어떻게 구분하여 기초자료로 삼을 것인가에 대해 밝혔다. 동시에 초등한자교육의 단계로 투명도가 높은 어휘에 대한 어휘중심의 교육, 한 자중심의 교육, 투명도가 낮은 어휘에 대한 복합교육으로 단계를 설정하였다.
        12,000원
        50.
        2010.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52.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ess數據庫在古文字、漢字斷代、漢字學專書等研究領域都具有廣泛 的應用前景。韓國擁有大量的漢字文獻,其中經部小學類的文獻還沒有進行 數字化的整理,這就給該領域的研究帶來很大的不便。研究者要在浩繁的文 獻中花費大量時間以尋找自己需要的信息。Access數據庫對漢字學研究方 面有如下優點:第一,快速便捷的資料檢索。在數據庫基礎上,可以進行多 路径的快速檢索。例如,通過《玉篇》知識庫,瞬間可得到某個字的全部信 息。第二,資料的自動統計分析。漢字的統計分析需要在窮盡性資料統計的 基礎上給出各種統計數據,利用數據庫的自動分析統計功能,這些資料也可 以很快獲得。第三,強大的功能。Access是數據庫管理系統容巨量大,可 以方便地與Microsoft Office中的其他組件,如Word, Excel, Outlook等 進行類型轉換。而且可以支持Web,該功能可以使用戶在網上浏览資料,已 達到最大程度的資源共享。本論文以“朝鮮時代刊行字典類研究資料庫”為 例,介紹了Access數據庫的基本知識和應用。
        5,200원
        5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take the 201 radicals as the object of our study, by way of using statistical and analytical methods of database,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origin, evolution, forms of structure of these radicals. Based on this, study on the multiple relationships of the 201 radicals and HSK2905 Chinese Characters just like the frequency, position and function of these radicals when they are used for constructing Chinese Characters.
        9,900원
        54.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present Chinese character notation for common use through investigation of examples and graphonomy related literature with beam and purlin of wooden members and i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It suggests two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of beam and purlin. The first method of indicating them is Riyang(樑) for beam and Hang(桁) for purlin and the second method is Bo(保) for beam and Hang(桁) for purlin. Riyang(樑) as the first method was already used in the Joseon period and was profitable to convey limited meaning as wooden term compared to Riyang(樑) with wider meaning and Bo(保) as the second method contained logical association and hieroglyphic connection of Bo(保) as the Korean character. Hang(桁) for purl in was presented by both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and it was already used in the Koryeo age, also commonly used as the term of purlin in China and Japan and it was also presented as letter containing logical and hieroglyphic connection with Hyeng(行).
        5,200원
        5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의 자형은 소전에서 예서로 이행되면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변화의 큰 특징은 동일한 部件이 結構에 따라 모양을 다르게 쓰거나, 서로 다른 部件인데 같게 쓰며, 하나의 部件인데 두개 이상의 部件이나 필획으로 絶離되거나, 각각 독립된 部件인데 하나의 부건처럼 결합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異字同形인 경우로 ‘奉, 春, 奏, 秦, 泰’의 상부 ‘ ( )’는 소전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한 서로 다른 部件2개 이상이 隸變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 것이다. 同字異形인 경우로 人은 소전에서 어디에 위치하던 모두 ‘ ’로 썼는데 隸變에 의해 ‘亻,人, 卜, , , , ’ 등으로 변화됐다. 信에서는 亻, 企에서는 人, 에서는 卜,色에서는 , 及에서는 , 北에서는 , 監에서는 으로 썼다. 火의 경우도 灼에서는 火, 然에서는 灬, 尉에서는 小, 赤에서는 , 光에서는 으로 그 형체를 달리하여 썼다. 이렇게 異字同形이나, 同字異形의 한자들을 한데 모아 가르치면 효과적인 字源학습이 될 것이다. 字音活用의 字源敎育은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漢語의 변화발전을 고려한다면 자형보다 자음이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형보다도 자음이 더 먼저 출현하였고, 자형과 자음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나무를 가로 세로로 얽어놓은 모양을 그린 ‘冓’가 聲符인 溝, 構, 講, 媾, 遘등은 모두 交合의 뜻을, 손가락이 교차함을 나타낸 叉가 聲符인 杈, 衩, 汊등은 나뉘거나 교차함을, 句가 聲符인 狗, 豿, 駒등은 동물의 새끼를, 鉤, 枸, 軥, 笱, 拘, 痀, 朐등은 구부러진 것을, 古, 曷, 夬가 聲符인 枯, 涸, 姑, 竭, 渴, 決, 玦은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음과 뜻이 같거나 비슷한 一群의 한자들을 함께 모아 한문교학에 응용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이다. 在는 才와 土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초기 예서에서는 ‘ ’처럼 썼지만 隸變 과정 중에 才가 ‘ ’처럼 변하고, 結構도 좌우결구가 아닌 상하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변하였다. 及은 상부 人과 하부 又로 이루어졌는데 예변과정 중에 상부 人이 ‘ ’로 변한 것이다. 이는 하부에 있는 ‘又’의 첫 번째 획과 연결 書寫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益은 水와 皿을 상하로 결합시켜 그릇 위에 물이 넘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상부 水는 隸書단계에서 옆으로 뉘어 ‘ ’로 쓰기 시작하였다. 志는 상부 之, 하부 心으로 구성된 형성자이다. 赤은 상부 大, 하부 火로 구성된 회의자이다. 勳은 熏과 力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書寫시 상부 과 하부 灬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다. 이는 문자구성원리에 맞지 않는다. 한자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한문학, 한문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를 위해, 한문과의 외연확대를 위해 한자학은 필수 불가결하다. 한자학의 활성화를 위해 한문교육과에 전공강좌 개설과 임용고사에 한어문자학을 반영해야 한다.
        10,800원
        5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 교육에 관한 담론과 연구의 방향은, 본질적으로, 크게 국어 교육의 차원, 한문 교육의 차원 그리고 거시적으로 한자문화권 차원에서 그 범주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문교육학계에 보고된 논문을 검토 대상으로, 한문 교육 및 한자문화권의 차원에서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라는 연구 문제를 특히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연구 주제에 대한 검토 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한자 교육의 성격과 위상에 관한 논의에서 한자 교육을 국어교육과 연계 혹 통합의 차원에서 시론한 성과가 우리의 주목을 요한다. 한자 교수 학습 분야의 연구에서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 유발이라는 일차적 과제를 극복하고 문자학 성과를 반영한 교수 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요구된다. 한자 교육 평가 측면에서 측정․평가의 통계적 원리와 기법을 활용한 과학적 연구 접근 태도가 절실히 요청된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관한 논의는 다양하게 시도, 연구되었지만 무엇보다 국가 수준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과정 제정이 필요하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경우, 어떻게 가르치고 활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 더욱 생산적일 것이다. 끝으로, 한자문화권의 한자 교육에 관한 연구는, 한자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의 한자․한문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주고 교재 분석을 통해 교수 학습의 일단을 소개하였다는 의의가 인정되지만, 한국의 한자․한문교육과 연계하여 응용, 적용, 전망의 방안과 경로(經路), 전이 효과와 그 제한, 시사점의 구체적 내용이나 주의점을 미시적으로 제시하지 못 했다는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 과제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의 활용 양상에 초점을 두고 선행 연구 논문을 검토한 결과, 한문교육학계는 연구 방법 측면에서 이제 시작 단계에 들어섰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양적 논문의 경우 10여 편에 불과하며 그나마 과학적 엄밀성이 부족하고, 질적 연구의 경우에는 공식적으로 1편이 보고되었다. 교육 연구 방법론에 대한 공부와 적용이 한문교육 연구자에게 절대적으로 요청된다. 한자 교육 연구와 관련된 과제로, 한자 교육을 포함한 한문교육 연구의 활성화 와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한문교육학 구성원들은 한문 교육 연구의 현장 지향성, 교과교육학에 대한 탐구와 적용, 연구 방법의 과학성 제고를 도모해야 한다. 특히 측정․평가 이론, 교과교육학의 연구 성과, 교육연구방법론의 활용 및 적용에 관심을 갖고 공부해야 할 것이다.
        8,700원
        5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 방안」의 후속 연구로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앞으로 시행될 제8차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일조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의 문제점을,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 둘째, ‘한자어의 내용 문제’, 셋째, ‘同音異義語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는 ‘명칭과 분류 문제’와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명칭의 문제’는 8종의 교과서 가운데 중앙교육은 명칭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분류에 있어서는 8종의 교과서가 ‘술목관계’, ‘술보관계’, ‘수식관계’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다. 다만 ‘주술관계’는 7종의 교과서는 이견이 없지만, 청색출판사가 ‘주술관계’를 한자어의 짜임으로 설정하지 않고 ‘문장의 구조’로 파악했다. 또한, ‘병렬관계’ 가운데 ‘유사관계’는 8종의 교과서가 이견이 없고, ‘대립관계’와 ‘대등관계’를 나누거나 묶어서 분류하는데, 서로 다른 이견이 있었다. 이는 한자어를 도식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인한 것이며, 제8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한자어의 짜임’을 문맥에서 이해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 문제’이다. 8종의 교과서는 ‘自然保護’와 같이 우리말식으로 풀이되는 특이한 한자어를 제시하였으면서도, 일부 출판사는 설명이 없거나, 또는 ‘국어식 짜임’, ‘우리말식 짜임’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臥病’, ‘所願’, ‘所望’같이 정격에 어긋난 짜임에 대하여, 8종의 교과서가 그 ‘짜임’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고, 단지 일부 출판사만 ‘臥病’에 대해서 ‘병들어 누움’이라고 뜻풀이를 보충하였을뿐이다. 둘째, ‘한자어의 내용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문과 교육목표인 ‘언어생활에 활용하고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며,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는데 부적합하여 검토가 필요한 한자어는 1학년 교과서에는 14어휘, 2학년 교과서에는 34어휘, 3학년 교과서에는 54어휘가 있다. 이들 어휘 가운데 부사어는 30어휘, 생경하거나 난해한 어휘는 55어휘로, 과연 ‘언어생활과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殺人’과 같이 그 의미가 교과 내용으로 부적절한 한자어는 17어휘로써, 이에 대해 반드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同音異議語’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同音異議語의 지도는 타교과가 넘볼 수 없는 한문과의 고유 영역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8종의 한문교과서에는 53어휘의 同音異議語가 수록되어 있다. 8종의 교과서 가운데 同音異議語에 대한 설명은 5개 출판사에 20어휘에 대한 설명이 있고, 3개 출판사는 다루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전부 수용해야 하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교육과정에 따라 간행된 교과서보다는 교과서의 체제, 내용 등에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자어의 짜임’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통일과 ‘한자어의 내용’, ‘同音異議語’에 대한 지도 대책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시행될 제8차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 집필하여야 한다.
        8,100원
        58.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초등학교 한자 한문 교육과정에 적합한 한자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은 방안을 모색하여 본 논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한자 지도를 체계적으로 전개하며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내는 재미있는 한자 수업을 실제로 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에 본 논문은 어린이들이 한자 공부를 하면서 흥미와 재미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창의적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학습 단계를 고려하여 읽기 단계, 쓰기 단계 그리고 활용 단계의 3단계로 개발하여 각 단계에 알맞은 프로그램과 실제 적용 사례를 구안하였다.1. 다양하고 재미있는 창의적 프로그램을 활용한 단계별 한자 지도 방안 1단계는 한자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자 학습 프로그램으로 ① 한자 주사위 게임을 통한 한자 읽기 ② 한자 돌림판을 이용한 한자 읽기와 쓰기 ③ 한자 슛 게임을 이용한 한자 읽기와 쓰기 ④ 사자성어 큐빅을 이용한 한자 맞추기 ⑤ 퍼즐을 이용한 고사성어 한자 읽기 등 다양한 학습 자료와 구체물을 이용하여 한자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2. 쓰기 단계의 한자 학습 프로그램2단계는 한자 쓰기 능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① 만화를 이용한 한자 쓰기 ② ‘골든벨을 울려라’ 게임을 통한 한자 쓰기 ③ ‘빙고’ 게임을 통한 한자 쓰기 등 재미있는 게임을 통해서 한자 쓰기 능력을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3. 활용 단계의 한자 학습 프로그램3단계는 실제 한자 학습에서 다양한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한자 학습력을 한 단계 끌어 올릴 수 있도록 ① 시각화 자료를 이용한 한자 익히기② 한자 입체 병풍 만들기를 통한 한자어 익히기 ③ 플래시를 활용한 1분 스피드 한자어 맞추기 ④ 즉흥극 표현을 통한 한자 익히기 ⑤ ox 평가 학습 등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초등학교 한자 학습에서 이러한 단계적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기대되는 효과로는 첫째, 다양한 창의적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한자를 재미나게 익혀 한자 학습에 대한 친근감과 흥미도를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둘째, 다양한 창의적 한자 프로그램 학습을 통해 익힌 한자, 한자어, 한자어구에 관한 지식이 일상의 언어생활에 자기 주도적으로 활용되어 국어 지식적인 측면에서 창의적인 언어 사용 능력이 길러질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한자 학습 방안에 대한 실천적 연구가 일천한 현실에서 이러한 연구가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한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 기대한다.
        6,600원
        5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敎育人的資源部는 2000년 12월 30일, 2001년도부터 적용되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調整案을 확정 공표하였다. 교과용 도서 편찬에서 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는 이와 관계없이 지도할 수 있고, 1,800자 이외에 1할 범위 내의 追加字를 허용하고 있으므로, 현실적으로는 2,000자 이상의 한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다. 이 연구는 한자 학습의 효율성을 提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체제적으로 한자를 익힐 수 있게 하는 실용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 것이다. 한자 학습의 어려움은 주로 字數가 많다는 것과, 字形이 복잡하다는 것으로 歸結된다. 자수의 문제는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한자를 選別해서 우선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으로, 자형의 문제는 구조 분석을 통한 類別 학습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조정 백서(교육인적자원부, 2001.)』의 「교육용 한자 조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참조하여, 검토 대상 한자 4,979자 중, 14점부터 2점까지의 한자 3,061자를 表題字로 삼아 해당 한자마다 점수를 倂記하되 중학교용에는 M(middle-school의 이니셜)자를, 고등학교용에는 H(high-school의 이니셜)자를 덧붙여 두어서 학습 優先順位를 판단하는 기준을 삼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출현 頻度가 높은 한자부터 학습하는 방법은 수준별?능력별 학습량 조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형의 문제는 자형 분석 방법과 字索 결합 유형 및 形聲의 원리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복잡한 자형을 구조화하고 단순화하여 이해하게 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類別 학습의 장점을 살리되, 종류별로 모으는 기준을 部數와 聲符의 양대 기준으로 바꾸어, 부수 및 성부를 중심으로 각각 소속 한자들을 점수와 함께 정리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이 종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용 방법과 함께 예시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따로따로 또는 부분적으로 활용되어온 기존의 원리들을 전체적이고 綜合的으로 충실히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소하지 않고 간편하며 부분적인 방법들의 단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부록으로 제시된 자료들에 여러 가지 정보를 추가하면, 더 깊이 있고 창의적인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10,800원
        60.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