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

        41.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벼 이앙시기 및 시비수준과 주용해충 발생치해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조사해충은 모두 시비수준보다 이앙시기가 발생 피해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끝동매미충, 벼물기굴파리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발생량이 많았으나, 이화명나방, 혹명나방은 이앙시기가빠를수록 발생량도 많았고, 피해도 컸다. 그리고 끝동매미충과 이화명나방을 제외한 해충들은 이앙시기가 늦으면서 질소질비료가 많으며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000원
        42.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arvest time (grazing, soiling and hay stage)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 (DM) yield, nutritive value, and weed development in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pasture. The cultiv
        4,000원
        43.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건답직파시기에 따른 애멸구 및 바이러스 병 발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애멸구 2회성충의 발생은 5월 11일 파종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5월 1일, 5월 21일, 5월 31일 파종구순이었고, 6월 10일 파종구는 벼의 출아시기가 애멸구 2회성충의 발생최성기를 지나게 됨으로 애멸구가 발생하지 않는다. 애멸구 2회성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11일로 어린모의 경우보다 3일정도 빨랐다. 벼 바이러스병 발생은 5월 11일 파종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5월 1일 , 5월 21일, 5월 31일 순이었는데 이는 애멸구 2회성충의 발생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벼의 수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5우러1일부터 5월 21일까지 파종구에서의 수량은 비교적 안정하고 높은 수량을 보였으나, 그 이후의 파종기에서 수량감소가 뚜렸하였다.
        4,000원
        45.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main pathogen infected with sheath blight in corn plant during 1986-1987. The main fungi of sheath blight isolated from corn plant was identified as Rhizoctonia sobni. Sheath blight in corn plant was first
        4,000원
        46.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수원(果樹園)에 발생(發生)되는 잡초(雜草)의 발생동태(發生動態)를 조사(調査)하고 효과적(效果的)인 방제시기(防除時期)를 확립(確立)코져 시험(試驗)하여 얻어진 약간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本) 조사지(調査地)에서 여뀌외(外) 27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검정(發生檢定)되었다. 2. 시기별(時期別) 발생량(發生量)을 종합(綜合)해 보면 8월(月) 10일(日)의 여뀌 발생량(發生量)이 60.79%로 가장 우점(優占)하였으며 그밖에도 애기매꽃, 둑새풀, 냉이, 속속이풀, 피, 쇠비름, 왕바랭이 등(等)이 그 다음으로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3. Simpson's index는 5월(月) 1일(日)에 0.11에서 8월(月) 10일(日)에 0.40으로 크게 증가(增加)하여 여러 종(種)의 잡초종(雜草種)이 비교적(比較的) 고르게 발생(發生)해 있다가 특정잡초(特定雜草)가 크게 우점화(優占化)하는 현상을 보였다. 4. Oxyfluorfen을 3월(月) 25일(日)에 1ha당(當) 5kg(상품량(商品量)) 처리(處理)는 처리후(處理後) 120일(日)까지 93.3%의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내어 적합한 처리시기(處理時期) 및 엽량(葉量)으로 사료(思料)되며 1ha당(當) 3kg을 3월(月) 25일(日)에 처리시(處理時)는 6월말(月末)경에 비선택성(非選擇性) 제초제(除草劑) paraquat을 처리(處理)하면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가 가능(可能)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7.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의 해충인 콩줄기굴파리의 정확한 생태를 파악코저 충북백외 4품종을 5월 20일, 6월 15일, 7월 10일 등 파종기를 달리하여 재식하고 콩줄기굴파리의 발생 소장과 가해상태, 피해율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충이 6월 20일 출현되는 것으로 미루어 성충의 첫 출현은 6월초로, 또 년중발생회수는 3회내외로 추정된다. 2. 콩줄기굴파리의 서식부위는 줄기내부의 수조직으로 유묘기에는 지상부보다 지하부쪽에 더 많이 서식한다. 3. 용화위치는 절간 줄기와 엽액이 되며 노숙유충은 장차 성충이 탈출할 수 있는 구멍을 들어 놓고 그속에서 용화한다. 4. 콩줄기굴파리의 유충발생은 7월 10일, 8월 10일, 8월 30일에 각각 peak를 이루고 8월 10일의 Peak가 가장 늦었다. 5. 용의 발생은 6월 20일과 9월 10일에 각각 2번 peak를 이루고 그중 9월 10일의 peak가 가장 높았다. 6. 전반적인 콩줄기굴파리의 피해율은 로 만파일수록 높았다.
        4,000원
        4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mong registered fungicides for controlling ginseng disease, the disease occurrence rate from the mixed use of a single ingredient, mancozeb WP, and copper sulfate basic WP was examined,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safe disease control system. Methods and Results : As for the medicines used for the experiments, besides registered Pyraclostrobin WG as a single ingredient for ginseng disease control, 14 kinds were used for experiments. The fungicide was sprayed 5 times on June 21, July 4, July 16, August 2 and August 24.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5 days, 10 days, 15 days, and 20 days after the final fungicide treatment. Anthracnose occurrence rate 5 days after the final fungicide treatment was 0.0 - 61.3% which was different depending on fungicides, and in a single treatment, the occurrence rate was less than 1% in 6 fungicides. In the single treatment, the occurrence rate was more than 1%, but 9 kinds of fungicides which had less than 1% occurrence rate in the case of mixed use with mancozeb, and one kind in the case of mixed use with copper sulfate basic 10 days later, the occurrence rate was 0.0 - 100% and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s in the disease occurrence rate depending on fungicides. 10 kinds of fungicides showe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of more than 10.0% in the case of a single treatment. Among them, 9 fungicides showe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of less than 1.0% in the case of mixed use with mancozeb, indicating the effect of lowering disease occurrence rate in the case of mixed use. 15 days later, 9 fungicides showed disease occurrence rate of more than 2%, 1 kind of fungicide ha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of less than 1%, and the overall disease occurrence rate increased. Among them, 7 kinds of fungicides showe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of less than 1% from the mixed use. 20 days later, 12 kinds of fungicides showe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of more than 50%, and only 1 kind of fungicide showe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of less than 1%. In the case of mixed use with mancozeb, 2 kinds ha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of less than 10% and 1 kind of fungicide ha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of less than 1%. Conclusion : For prevention of anthracnose disease of ginsengs during a rainy season, the disease occurrence rate from a single or mixed use was examined, and the examination found that rather than a single use, mixed use decrease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In particular, the mixed use with mancozeb showed low disease occurrence rate and prevente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for a long time.
        4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생하는 콩 불마름병은 콩을 재배하는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저항성품종, 파종시기, 작부체계에 대한 효과를 포장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0여 품종을 자연 감염된 포장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푸른콩 등 14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30여 품종이 병반면적률 3% 이하의 중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태광콩을 5월 25일, 6월 5일, 6월 15일, 6월 25일 등 10일 간격으로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병반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23.3%-25.7%, 14.7%-18.0%, 10.7%-12.8%, 1.0%-2.7%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불마름병 발생이 가장 낮은 처리구는 6월 25일 파종구였으며, 발생이 가장 심한 처리구는 5월 25일 처리구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불마름병 발생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5개의 콩-동계작물 작부체계의 토양을 채집하여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존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작부체계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콩-보리 작부체계와 콩-마늘 작부체계의 병원균 밀도가 다른 작부체계보다 생존밀도가 낮았다. 더욱이 두 개의 작부체계는 콩 불마름병 발생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2.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occurrence rat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under different rice transplanting time and different rice cultivars. After final harvest, the yield of rice infected by rice stripe virus was obtained on Wangchal cultivar compared to uninfected rice.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ing: 1) Yield of rice infected by rice stripe virus was decreased by 64% with reduction of culm length, pancile length, number of spike, number of spikelet, and grain filling compared to uninfected rice, 2) An occurrence rat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under different rice planting season was high as order of May 30 > June 15 > July 1. In additional, to reduce a rice stripe virus disease on higher disease occurrence region and susceptible cultivars, rice planting season will be accepted on and after June 15, and 3) Eighteen cultivars were resistance cultivars such as Hwayeongbyeo, Onnuri, Ilmibyeo, Nampyongbyeo, Dongjin2ho, Hopumbyeo, Hwangkeumnuri, Malgeumi, Saenuri, Pungmi1ho, Haechanmulgyeo, Hwangkeumnodeul, Chilbobyeo, Dongjinbyeo, Younganbyeo, Junambyeo, Samkwangbyeo, and Nakdongbyeo. Twenty-one cultivars were susceptible cultivars such as Odaebyeo, Unkwangbyeo, Shinungbong1ho, Manabyeo, Hopyongbyeo, Borami, Damibyeo, Hwangchalbyeo, Sulgengbyeo, Nongrim6ho, Sasanishigi, Yunishigari, Chungmubyeo, Dongjin1ho, Huknambyeo, Guromy, Shanghehanghulna, Heukchalbyeo, Heukhwangbyeo, and Aranghwangchalbyeo.
        5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경남 산청군의 농업기술센터 약초전시포에서 32목 50과 121속 132종의 약용식물을 가해하는 절지동물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목 44과 86속 98종의 해충류가 채집되었는데, 대부분의 약용식물에서 5종 이하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그러나 부용 (Hibiscus mutabilis),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독활 (Aralia cordata),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뻐꾹채 (Rhaponticum uniflorum),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짚신나물(Agrimonia pilosa)등에서는 5종 이상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절지동물 중 98.5%가 약용식물의 잎을 가해하고 있었다. 시기별로는 5월이 6목 20과 32속 36종으로 가장 많았다. 해충들은 대부분 5종 이하의 약용식물에서 채집되었지만 섬서구메뚜기 (Atractomorpha lata) 와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애긴노린재(Nysius plebejus)는 각각 42종, 22종, 20종, 15종의 약용식물에서 채집되었다. 그리고 섬서구메뚜기와 복숭아혹진딧물의 기주범위가 넓었으며 발생량도 많아 가장 문제되는 해충들이었다. 5월에는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이 우점 해충이었으며 6월에는 알락수염노린재, 8월과 9월은 섬서구메뚜기, 10월에는 복숭아혹진딧물이 우점 해충이었다.
        5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방에서 월동 1년생 두과 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를 이용한 유기재배를 확대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헤어리벳치-옥수수 작부체계의 후작물로서 가을무를 헤어리벳치와 혼파시기를 달리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혼파시기가 빠를수록 섭식성 해충에 의한 무의 생육저해가 증대하였다. 2. 혼파시기가 빠를수록 여름형 잡초의 종류와 생육량이 증대하였다. 3. 헤어리벳치는 8월 중순 이후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 전 생육량이 증대하였다. 4. 가을무도 8월 중순 이후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생육량 및 최종 수량이 증대하였다. 따라서 헤어리벳치와 가을무를 혼파 할 경우 혼파 시기는 관행의 파종적기인 8월 중순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58.
        197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최근 중부지방에서 심하에 발생하고 있는 콩 양저형 SMV의 내병성품종 탐색 및 파종기를 달리하였을 때 본병해의 발생경향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5년과 1976년 2개년 동안 한국, 일본, 미국품종등 30품종을 4회 파종하여 시험 하였으며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체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양저형 SMV의 발생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MV의 발생은 파종기 이동에 큰 차이가 없었다. 2. 공시품종중 한국 주요 장여품종과 일본품종들 가운데에 심하게 구병된 품종이 많았고 미국품종들은 구병정도가 낮았으며 품종간 구병정도의 차이가 심하였다. 3. 단작 및 맥후작 콩 파종기에 속하는 5월 15일부터 6월 24일까지 한국 주요 장여품종의 양저현 SMV의 평균 구병율은 37~54% 정도이었으며 은대두>육우003>강림>광교>동북태의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4. 양저형 SMV와 SMV의 구병정도 사이에는 어느 파종기에서나 고도의 부의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