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41.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for body weight control of obese children. The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e nutritional education, exercise and behavioral therapy during 20 weeks. Twenty- three children completed this program,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ntrol group and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Par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 4 week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and contact the therapist at least once per week to help their obese childre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values after weight control program between two groups. Triglyceride(TG) level in serum was decreased after weight control program in group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did not add improvements in weight and fitness, but the children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showed increased general self-worth upon completing the program(p<0.05) whereas the other children of control group did not. Also there were desirable changes of exercise and life habits in group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4,300원
        4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ared to last decade, body size of children has been changed because of many factors such as caloric intake, hereditary evolution, individual exercise, and so on. Naturally, children will grow up and they will become teenagers, college students as time goes by. Also, all children will enter into appropriate educational institutes according to 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of body size of children for saf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data are measured by some parts on body such as stature, height, weight, circumferences, length, width, and depth.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randomly chosen from kindergartens in. Seoul and Kangnung during three months (2000. 3 ∼ 2000. 5).
        4,000원
        44.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45.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700원
        48.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118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were surveyed to understand of children's food preferences and prejudices. The preference for vegetable showed the lowest score(2.345) and fruit was the favorite food(4.11). These results imply the consequence of teaching balanced diet with emphasizing vegetables for preschoolers. Thu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cluding teaching material were developed to provide the preschoolers with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ctivities in order them to the familiar with vegetables. The program were consisted of following five parts: 1. Read-A-Story includes six stories with follow-up activities. 2. Grow-A-Plant gives instructions for growing vegetables. 3. Play-A-Game stimulates children's imagination and learning. 4. Take-A-Trip suggests places to visit that grow, sell, and prepare vegetables. 5. Eat-A-Treat presents easy ways to prepare and enjoy vegetables. Twenty one-Standardized recipes for vegetable dishes were also developed for preschooler's luncheon and snack in daycare center.
        4,500원
        50.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중국 요보호아동들의 심리건강을 증진 시키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중국 허베이성 A지역의 요보호아동을 7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하여 초등학생 심리건강 척도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중국 요보호아동에게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 계 분석(correlations analysis), t-test 분석(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sis)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요보호아 동들의 학습 장애, 정서 장애, 성격 장애, 사회적응 장애, 성품 장애, 불량습관 장애, 특수상황 장애, 그리고 불안행동 장애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용교육이 앞으로 더 많은 요보호아동들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향후 무용교과가 필수교과에 포함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51.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으로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들이 많아지면서 이와 관련된 문화, 경제, 쇼핑, 정치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무선 통신을 활용하여 주변 스마트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21세기 새로운 교육콘텐츠가 등장하였다.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콘텐츠들이 제공되어 교육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만족스럽지 않은 콘텐츠 서비스의 질과 양 그리고 운영상 미비점들이 한계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인간은 색채를 통해 다양한 감성과 시각적 언어를 풍부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특히나 아동은 이러한 색채를 통하여 심리적, 정서적, 생리적 효과를 표현하기 때문에 색채에 대한 교육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현안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아동용 색채교육콘텐츠 개발을 제안한다. 필자는 새로운 색채교육콘텐츠에 UX 디자인방법론을 적용하여 아동용 색채교육 하드웨어와 시스템 구조를 구성하였다. 이는 색채의 활용과 이해를 돕기 위한 학습목적으로 제작되어 어려운 이론을 스토리와 영상으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다. 동시에 학습효과를 유발하고 흥미로운 게임과 같은 학습법을 적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즐기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아동용 색채교육콘텐츠 앱은 색채를 중심으로 아이들의 거부감 없이 학습 재미와 학업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맞춤형 학습에 최적화되었다. 앱을 통한 체계적인 학습과 진단은 아이들의 이해를 촉진시키고 감성을 발달시키는 신개념 교육의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52.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신체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체활동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아동·청소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방법: 인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와 중학교 2개교의 재학생 중 저소득층 학생 189명(초등학생 92명, 중학생 97명)이 선정되어 초등학교 46명, 중학교 50명이 실험집단에 배정되어 신체 활동 상담 프로그램이 12주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는 동시적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네 가지 항목, 즉 유연성, 근력, 순발력, BMI를 측정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최선인, 정청희, 김병준(2005)의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체력검사와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 모두 사전 검사, 사후검사, 지연검사를 12주 간격으로 실시하여 이원혼합 설계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한편, 질적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에 참여한 학생 중 무작위로 초등학생 13명, 중학생 12명을 대상으로 비참여적 관찰, 반구조화 개별 면담, 학생 신체 활동일지를 활용하여 문화 기술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 분석의 절차를 통해 자료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양적인 연구에서는 4가지의 체력검사와 6가지의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별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사후검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지연검사에서는 일부 요인에서 집단별 평균점수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 학생들은 신체 활동과 영양에 관한 지식, 개인 내적 변화(체력향상, 재미, 건강증진, 학업태도의 변화), 관계향상에서 진전이 있었다고 하였다.
        53.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난민법 제정과 시행에 따라 현 시점의 난민아동 생활실태를 짚 어보고 그 대안으로서 교육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하여 난민아동 교육관여자 12명과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자료와 관련 문헌 연구를 바 탕으로 근거이론을 통해 접근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난민의 삶 시작, 상 실감, 순간을 살기, 심신의 스트레스, 인식부족, 정책미비, 불편한 주변세계에 대한 반응, 사 람에 대한 그리움, 교육적 접근, 사회적 지원, 회피, 긍정의 탐색, 심적 재정착, 현재와 미래 간 가교 설정, 적응과 공존, 부적응 시나리오의 16개 범주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인과 적 조건, 현상, 맥락, 중재적 조건, 전략, 결과로 이어지는 국내 난민아동의 생활실태와 교 육 방안에 관한 이론적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핵심범주는 ‘순간을 사는 삶에서 희망 적 존재감을 발견하고 공존의 삶으로 나아가기’로 설정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연구의 분 석 결과를 중심으로 국내 난민아동의 교육 방안에 대하여 개인, 학교, 기관, 사회 각 영역 의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54.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hich has the educational ele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pplied to the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HAP), 31 children aged 8-10 years from J child community center in S city was set to test. 16 children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children who were not participated for the HAP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40 minutes each time, once a week, from May ~ July/2016.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children with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Kim’s (2004) creative personality test was used. Before proceeding the HAP, homogeneity test was carried out for creative personality to two different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in homogeneity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t could be found that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HAP has improvement of creative personality in average with 9 times of program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positive effect to enhanc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hen creative personality was divided into 8 sub factors; patience/obsession, self conviction, humor, curiosity,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e and independence. All of 8 factors were improved in average. On the other hands, the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or all factors except humor. Therefor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hich has the educational ele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pplied has the positive effects to the children’s patience/obsession, self conviction, humor, curiosity,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e and independence.
        5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사회는 매일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IT기술과 인터넷 기능의 발달에 사회적 혼동을 격고 있다. 그리고 정보의 습득과 전달에선 지역 간, 나라 간의 경계도 모호해져 가고 있다. 모든 정보의 접근성이 용이함에 따라 개인이 직면하게 되는 사회 현상과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사고와 객관적 판단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교육은 단순히 미래의 글로벌 디자이너를 발굴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 사고를 지닌 소비자를 만들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디자인교육이 국가교육과정으로 제정되어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Design Based Education)시행중이다. 이 같은 교육 패 러다임에 따라 체계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아동 디자인교육 콘텐츠 개발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현재의 우리나 라 아동 디자인교육은 교육부에서도 정규 교과과정으로 지정되어져 있지도 않고, 명확한 명분과 구체적인 커리큘럼 자체도 갖추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대상 디자인 콘텐츠 사례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교육 콘텐츠의 프로세스를 파악․제안하고자 하였다. 미래의 창의․융합 인재 양성 교육에 알맞는 디자인, 즉, 삶의 질이 풍부 한 생활 속의 디자인으로 발전하는 미래형 교육에 바탕이 될 것을 기대한다.
        59.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 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들에게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육 취약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D시 P초등학교 교육복지 우선지원 사업의 교육복지 대상 아동 중 5학년, 6학년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시기간은 2013년 4월 2일 부터 2013년 6월 11일 까지 주 1회씩 14시 50분에서 15시 50분까지 총 10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활동은 난이도와 대상자들의 유대감 형성 등을 고려하고 대상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 전개, 마무리 과정의 3단계로 분류하여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자아개념은 일반적 자아, 학업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의 4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일반적 자아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27.36점에서 실시 후 평균 29.09점으로, 학업적 자아는 실시 전 30.64점에서 실시 후 31.91점으로, 사회적 자아는 29.09점에서 32.27점으로, 정서적 자아는 22.82점에서 24.27점으로 자아개념의 모든 하위항목이 원예활동 실시 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원예활동 실시 후 대상자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적 성취동기와 사회적 성취동기의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학업적 성취동기는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45.55점에서 실시 후 평균 49.5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사회적 성취동기도 실시 전 43.45점에서 실시 후 47.36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식물을 기르고 가꾸는 체계적이면서 작업의 난이도를 고려한 원예활동은 교육복지 대상 아동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60.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바일 플랫폼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가 양산됨에 따라 교육용 기능성게임 역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교육용 기능성 게임은 교육적 기술의 적용이 미비하거나 오프라인(Offline) 교육과 연계되지 않는 단독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효율성이 낮다. 본 논문에서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아동 교육용 기능성 게임 ‘쌀미미 어드벤쳐’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게임은 이야기, 놀이, 음악, 요리의 4가지 요소를 디자인하여 총 5단계로 구성하였고 캐릭터와 인터랙션 등을 통한 콘텐츠의 집중도와 흥미를 높였다. 천안 소재 초등학교 3,4학년 126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의 학습 융합과 효율성을 실험한 결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디지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의 연계 학습 측면과 학습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게임 콘텐츠의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들의 오프라인 교육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적용한 효과적인 수업과 학습 방법을 모색 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