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43.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애전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요일별 신체리듬을 고려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활동 대상자는 S장애전담 어린이집에서 4세~6세 발달지체유아 대조군 8명, 실험군 8명이었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2012년 10월 15일부터 2012년 11월 22일까지 주 3회 30분씩 총 18회 실시하였다. 전체 적응행동 평가 결과 대조군의 경우 실험 전 65.00점에서 실험 후 66.00점으로 1.00점이 향상되었고 실험군은 전체 적응행동 평가 결과 실험 전 66.00점에서 실험 후 85.50점으로 19.50점이 향상되었다. 실험군의 하위항목별 변화를 살펴보면 개념적 적응행동은 원예활동 실시 전 64.00점에서 실시 후 80.75점으로, 사회적 적응행동은 65.50점에서 80.63점으로, 실제적 적응행동은 74.38점에서 95.38점으로 모든 항목이 원예활동 실시 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요일별 신체리듬의 변화와 유아의 흥미와 참여도를 고려하여 설계한 원예활동프로그램이 장애전담 어린이집 내에 재원하고 있는 발달지체유아들의 적응행동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4.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work, the delay time for groundwater recharge was estimated by comparing simulated recharges by means of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and WTF(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The delay time for groundwater recharge means that the time when the water from rainfall travelled through vadose zone just after getting out of soil zone bottom. As measuring this delay time is almost impossible, we used to compare the estimated values from modeling(SWAT) and analytic method(WTF). The test site is Hancheon watershed which has 8 groundwater measurement st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altitude has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estimated delay time values. To validate these results, we conducted corelation analysis between transformed groundwater levels and observed one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uted groundwater levels have good corelation(R2=0.97, 0.87, respectively). The estimated delay time would be used for the groundwater behaviour characteristics in vadose zone. As recharge rates vary according to the height, the delay time is thought to be an import variable for the proper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47.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테트리스가 정신지체를 가진 학생의 인지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테트리스 게임을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실시하고, 이것이 인지능력 중 도형맞추기와 과제집중력에 테트리스 게임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3명의 정신지체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21명)과 통제집단(12명)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 학생에게는 일주일에 3번씩 4주 동안 테트리스 게임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사전 사후 평가에만 참가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도형 맞추기를 더 잘하였고, 과제에 대한 집중력도 통제집단보다 길었다. 이러한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테트리스 게임은 정신지체를 가진 학생들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0.
        2011.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중증지체장애인의 정서적ㆍ사회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자고 실시하였다. 중증지체장애인남여 10명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6일부터 2011년 2월16일까지 4개월간 주1회기 총 15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에 정서적ㆍ사회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결과 정서적인 경우 긍정적 정서는 실시전 1.20에서 실시후 2.90로 1.35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1수준이며. 부정적 정서에서는 실시전 1.10에서 실시후 3.00로 1.49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1수준이다. 사회적인 경우 의사소통에서 실시전 1.10에서 실시후 3.00로 1.37로 높아졌으며, 유의차 0.00수준이다. 대인관계 실시전1.10에서 실시후 2.90으로 1.34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2이며, 참여성에서 실시전 1.00에서 실시후 3.00으로 1.52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0이며, 돌봄에서는 실시전 1.10에서 실시후 2.60로 1.23로 높아졌으며, 유의차는 0.01수준이였다. 이상의 결과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중증지체장애인의 정서적ㆍ사회적인 부분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증지체장애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향후 지체장애인의 적극적인 재활 목적으로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54.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포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 13명을 선정하여 10월 23일부터 12월 11일까지 매주 2회 1시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 검사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손 기능은 Purdue pegboard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원예활동은 프로그램 전과 후에 원예활동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실시 전 26.0점에서 실시 후 31.3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나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심리적 행동특성도 프로그램 실시 전 65.3점에서 실시 후 74.1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정서적 행동특성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실시 전 34.0점에서 실시 후 30.3점으로 낮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체장애인의 사회․ 심리․정서적 행동 특성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Purdue Pegboard 검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 오른손, 왼손, 양손, 및 조립 점수가 높아져 지체장애인의 손 기능이 향상되었다. 원예활동 평가에 있어서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운동지각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응력 등 9개 세부영역에서 실시 전보다 실시 후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55.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생활시설수용 정신지체 장애인의 사회화와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은 2009년 8월2일부터 2009년 12월27일까지 주1회 총 22회 실시하였다. 적응행동 평가 전체결과 사회화(p<0.01)와 위축(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정표현 평가 결과 유의한 차는 보이지 않았지만 평균은 향상되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성취감과 대상자간의 교류를 촉진하여 사회성과 위축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 준 것으로 판단된다.
        5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성인여성 정신지체인의 대인관계와 사회․심리․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공주시 M장애인 생활시설에서 거주하는 성인여성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2008년 3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매주 1회씩 총 30회 실시하였다. 대인관계 평가 결과 원예치료 실시 후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척도 평가 결과 사회·심리적 행동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 후 유의수준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서적 행동의 경우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원예활동 수행능력의 결과에서도 사회기술 상호작용과 심리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성인여성 정신지체장애인의 대인관계와 사회․심리․정서적 행동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57.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체장애 각 종목별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310명(남자 207/ 여자 103명)의 정서, 열정, 시합전략을 분석하였다. 지체장애선수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장애시기별, 운동수준별)에 따른 정서, 열정, 시합전략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을 시행하였으며, 정서, 열정, 시합전략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선수 집단이 비우수 선수 집단보다 긍정적 정서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열정개념에서는 성별, 운동수준에 따라 높은 개념을 보였다. 시합전략개념에서는 성별과 장애시기 그리고 운동수준에 따라 유의성이 나타났다. 또한 시합전략, 정서, 열정의 하위요인은 대부분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서는 열정(조화/강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요인은 시합전략(목표설정, 긴장풀기, 혼잣말, 감정조절, 자동적 수행)을 예측하는데 기여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조절은 긍정/부정적 정서요인 모두를 예측하고 있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