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

        4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bb and flow 시스템을 사용한 분화 칼랑코에 재배에서 광도와 양액 농도가 생육, 양분 흡수율 및 배지 내 무기 이온의 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도 3수준(PPF 4.26, 5.51, 9.75mol·m-2·d-1)과 양액 농도 3수준(EC 1.2, 1.8, 2.4dS·m-1)을 조합하여 요인실험으로 수행하였다. 분화 재배한 칼랑코에의 생육은 광도와 양액 농도에 뚜렷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광도가 높아질수록 생육이 양호하였다. 각 광도 내에서는 양액의 EC를 1.8~2.4dS·m-1의 범위로 조절할 경우 칼랑코에 지상부 생육이 비교적 양호하였지만, EC를 2.4dS·m-1로 조절한 처리의 생체중, 건물중 및 엽면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광도와 양액 농도는 ebb and flow 시스템의 양액 탱크로부터 양분 및 수분 흡수량과 배지 내 무기 이온의 집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지만, 식물체의 무기물 함량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광도는 양액의 EC에 비해 이온의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양액 EC가 높을 수록 NO3-, P, K, Mg 이온의 흡수율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ebb and flow 저면 관수 시스템에서 배지 내 무기 이온 집적에 영향을 주는 주 요인은 양액 농도임을 확인하였으며, 광도와 양액의 EC를 이용하여 배지 내 무기 이온의 집적량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4,000원
        42.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abetic patients tend to exhibit delayed bone formation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which results in osteopenia. Recently, numerous clinical reports suggest that 635-nm light irradiation improves bone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and reduces pain in patients suffering from diabet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635-nm irradiation can influence bone formation by MC3T3-E1 osteoblasts cultured on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25mmol/L D-glucos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 and to establish an in vitro pathological model of bone formation. The effect of 635-nm irradiation on bone formation was investigated using Alizarin Red S staining, and alkaline phosphatase enzyme activ ity and calcium deposition assays. In addition, gene expression of the o steogenic markers BMP-2, osterix and osteocalcin were assayed by RT-PCR. Calcium deposition by MC3T3-E1 cells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or by PMA supplementation. However, 635-nm irradiation led to an increase in calcium deposition by MC3T3 cells, followed by increased bone mineralization. mRNA expression of BMP-2 and osterix at an early stage and of osteocalcin at a late stage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635-nm irradiation in MC3T3-E1 cells supplemen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Irradiation at 635 nm increases bone mineralization in MC3T3-E1 cells cultured in vitro on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alters osteogenic gene expression, which accelerates bone formation in hyperglycemic conditions.
        4,300원
        4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Cl 처리에 대한 물푸레나무, 모감주나무,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의 생장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NaCl 용액을 0, 25, 50, 100, 200mM 농도로 4개월간 처리하고 생존율, 상대생장율 변화, 생체중 및 건물중, 잎의 색소함량을 분석하였다. NaCl 처리에 따라 토양의 pH와 EC가 증하였으며,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4수종의 생장율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최종 생존율이 가장 높은 수종은 참느릅나무로서 200mM 처리구에서 15%의 생존율을 보였고, 나머지 3수종은 200mM 처리구에서 모두 고사하였다. 상대생장율, 생체중 및 건물중은 NaCl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총 엽록소 함량은 60일 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감소하였으며, 모든 수종에서 NaCl 처리에 따른 총 엽록소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NaCl 처리 시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4수종의 생장반응을 종합한 결과 참느릅나무, 모감주나무,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내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4.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re facing odor and sludge disposal problems. In this lab-scale study, odor and slud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were treated using a combined non-thermal plasma and sludge reactor.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introduced to the reactor was varied at 10, 20, and 50 ppm, and its removal efficiency and system performance were determined. Ozone was produced by the plasma reaction at a concentration of 200 ppm under the given condition. 80% of the hydrogen sulfide was removed regardless of its introduced concentration. In addition, due to the ozone carried over to the sludge reactor, the organic constituents in the waste sludge in terms of TCOD decreased by 30%. The ion concentrations of HS- and SO₄²⁻ in the sludge increased during the four hour experimental period. As a result, the plasma oxidation system can treat waste sludge effectively for the simultaneous reduction of sludge volume and odor.
        4,000원
        45.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an gingival fibroblasts (hGFs) were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ammatory reactions to lipopolysaccharide (LPS) from P.gingivalis in the periodontal connective tissue. Although the biostimulatory effects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such as anti-inflammatory activity, have been reported, the pathological mechanism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inflammatory cytokine profiles, which are produced after exposure to hyperbaric oxygen in P.gingivalis LPS-treat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subsequently to examine the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pathway involved in cytokine production. Gingival fibroblasts with or without P.gingivalis LPS were exposed to hyperbaric oxygen, and the cytokine profiles in the supernatant were observed using a human inflammation antibody array. The expression of cyclooxyginase-2 (COX-2) protein,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1/2), p38, and c-Jun-N-terminal kinase (JNK) MAPK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the amount of prostaglandin E2 (PGE2) in the supernatant by an enzyme-linked immunoassay were determined. COX-2 protein expression and PGE2productionwereincreasedsignificantlyintheP. gingivalis LPS-treated group, and were decreased by treating P. gingivalis LPS with hyperbaric oxygen. Treatment of P. gingivalis LPS in the gingival fibroblasts led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ro-inflammatory-related cytokines interleukin-6 (IL-6) and IL-8 released, whereas hyperbaric oxygen inhibits the irrelease. Ananalysis of the MAPK signal transduction showed that hyperbaric oxygen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P38 phosphoryla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LPS. In addition, hyperbaric oxygen promoted JNK phosphorylation, significantly in the presence of LPS. Hyperbaric oxygen can inhibit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e the MAPK signal pathway, and appears to be useful as an anti-inflammatory tool.
        4,300원
        4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의 도장 억제를 위하여 보다 안정적인 건묘를 생산하고자 육묘 기간 중 diniconazol 처리시기 처리농도에 따른 경엽처리와 침지 시간에 따른 종자처리가 묘 도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정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Diniconazol 처리시기 및 처리농도에 따른 토마토의 초장 신장을 본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로 초장의 신장과 절간장 억제가 잘 나타났다. 이는 이른 시기가 늦은 시기보다 식물체가 받는 약제의 양이 더 많기 때문에 약제 효과가 잘 나타났다. 1단계는 4절, 2단계, 3단계는 각각 3절, 2절로 억제된 절간수가 줄어들었다. 약제 지속성이 초장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1단계, 2단계 5mg·L-1은 약제 처리 후 초장의 신장억제가 나타났으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빨리 회복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초장 신장 억제 기간이 짧았고 빠른 회복을 보였다. 1단계는 5주, 2단계, 3단계는 각각 4주정도 약제 지속효과가 나타났다. 육묘 종료 후 정식한 결과 생체량이 빨리 증가 되어 생육에는 무처리와 유의차가 없었다.
        4,000원
        47.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통기한이 7일 밖에 되지 않는 무싹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서 고체 이산화탄소를 처리하였다. 이를 위해 고체 이산화탄소의 승화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스와 극저온의 온도로 농산물에 고이산화탄소 처리와 예냉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처리 장치를 개발하였는데 개발된 장치는 처리 대상 작물 주위를 10분만 5℃와 80% 이산화탄소로 조성하였다. 개발된 고이산화탄소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 전과 저장 중의 고체 이산화탄소 처리와 저장 전과 저장 중을 모두 한 처리, 그리고 무처리구를 두어 무싹의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고이산화탄소를 처리한 무싹은 25μm ceramic film 포장하여서 8℃에 저장하였다. 무순의 고이산화탄소 처리는 생체중 감소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저장 1일 째 포장내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는 저장 중 처리구에서 40%와 10%로 고이산화탄소 농도를 보였으나 저장 7일째에는 모든 처리구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5%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고농도 이산화탄소 처리는 저장 15일째 에틸렌 농도를 낮추는 효과를 보였으나. 외관상 품질과 이취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4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타티스 평난지 재배에서 생육불량, 수량감소, 출하기 조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GA3 처리기술을 개발하고, 이들의 처리가 개화와 절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GA3 처리 농도별 효과는 하계재배(0, 100, 200, 400, 800mg.L-1)와 촉성재배(0, 100, 200, 400mg.L-1) 나누었고, 처리시기별 효과는 정식(0, 10, 20, 30, 40, 50일 후) 후와 육묘기간(3, 5, 7, 9주)으로 나누어 스타티스의 개화와 절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스타티스는 재배시기에 관계없이 GA3 처리에 의해 개화가 촉진되었다. 하계재배에서는 200~400mg L-1 농도에서 절화품질 및 절화수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겨울철의 촉성재배에서는 400mg L-1 농도에서 효과가 좋았다. 처리시기에 따른 정식 10일 후 GA3 처리가 개화촉진에 효과적이었으나, 절화의 품질을 고려한다면 정식 20일경에 GA3 처리를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육묘기간을 달리하여 GA3 처리시 개화촉진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긴 9주 육묘구에서 절화품질이 좋았고 절화수량도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종간잡종 스타티스는 9주간 육묘한 스타티스를 정식 20일경에 재배시기와 관계없이 400mg L-1 정도 처리했을 때 개화촉진과 절화수량 증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4,000원
        4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학적심제 dikegulac의 처리시기와 농도 가 Rhododendron simsii ‘California Sunset’의 분지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6월에 dikegulac의 처리는 8월에 처리한것 보다 식물의 정아 발달을 지연시켰으나, 잎의 크기와 엽록소의 함량 및 분지수를 증가 시켰다. 특히, 1,500 mg·L−1의 처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4,000원
        5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때죽나무의 발근 향상을 위한 IBA와 붕소의 적정 농도, 침지시간, 그리고 붕소와 IBA의 혼용처리 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때죽나무 반숙지삽수의 발근율과 발근수는 IBA 7,000mg·L-1 순간침지, IBA 100mg·L-1+boron 20mg·L-1 과 IBA 100mg·L-1+boron 60mg·L-1 혼용처리에서 향상되었으며 발근율, 발근수 그리고 생체중은 IBA단 일처리보다 붕소와 IBA의 혼용처리에서 높았다. IBA 단일처리에서 적정 농도는 100mg ·L-1과 200mg·L-1 사이였으며, 적정 침지시간은 3시간 이었다. 이에 저농 도의 IBA와 붕소의 혼용처리는 IBA 7,000mg ·L-1의 고농도처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과 13종과 배추과 14종의 쌈채소류, 그리고 허브류 7종을 담액식 수경재배 시스템에 혼식하여 EC 1.2, 2.4 및 3.6dS·m-1의 배양액을 공급하여 배양액의 pH와 EC 변화, 식물체의 생육과 무기양분 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양액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고, EC는 양액농도가 높은 처리에서 높아 EC 3.6dS·m-1처리에서 4.8dS·m-1까지 높아졌다. 생육은 여름철에는 국화과와 허브류는 EC 1.2dS·m-1, 배추과는 2.4dS·m-1의 배양액에서 양호하였고, 가을철에는 EC 2.4dS·m-1 처리에서 대부분 작물이 생육이 양호하였다. 무기양분의 흡수는 생육이 양호했던 가을철이 여름철보다 T-N과 K 함량이 높았다. 작물별로는 배추과가 국화과와 허브류에 비해서 T-N, K, Ca,그리고 Mg함량이 높았으며, Fe과 Mn 함량은 오히려 국화과에서 높았다. 결과적으로 국화과와 배추과 쌈채소류와 몇 가지 허브류를 혼식하여 한 가지 배양액으로 수경재배 시 여름철에는 EC 1.2dS·m-1, 가을에는 EC 2.4dS·m-1로 재배하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300원
        5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에 비료 형태로 투여한 셀레늄 농도와 처리기간이 마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셀레늄의 농도가 높고 처리기간이 길수록 생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셀레늄의 처리농도가 높고 처리기간이 길수록 3주 후 셀레늄의 함량은 구보다는 엽초에 많이 축적되었다 그러나 처리 6주 후에는 구〉엽초〉뿌리 순으로 셀레늄의 함량이 높았다. 셀레늄 처리 후 토양에 잔류하고 있는 셀레늄의 함량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5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gnetized water treated with HI-Scalper153R on body performance and ammonia concentration in feces of broiler chicks,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80 broiler chicks. Each treatment had 18 chicks with 5 replications. Chicks during experimental periods, broiler chicks were fed magnetized water and subterranean water,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summarized as follows: Body weight gain slightly increased for broiler chicks fed magnetized water compared with control. But, there is no significantly (p=0.36) different among treatments. Feed intake significantly (p=0.046) decreased for broiler chicks fed magnetized water compared with control. Feed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p=0.020) improved for broiler chicks fed magnetized water of each periods when compare to the control. Especially, in starter periods, the feed efficiency of magnetized water treatment increased by 10% more than control (1.80 vs 1.69). In feces, average ammonia concentration (ppm) significantly (p=0.004) decreased in the magnetized water treatment compare to control. Especially, the magnetized water treatment decreased by 2.2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in ammonia concentration of feces (83 vs 37ppm).
        4,000원
        56.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칼랑코에 단일처리전의 유묘기의 목표는 초장이 짧고 건실하며 분지수가 많은 식물체를 생산하는 것이다. 광과 양분조건은 어린 식물의 생육과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이 시기에 배양액농도와 광강도가 생육과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조건의 적산일사량(15.8, 7.9 mol·m-2·d-1, PPF)과 3조건의 배양액농도(EC 0.8, 1.6, 2.4 dS·m-1) 처리를 하였다. 칼랑코에 유묘의 생육조사 결과, 광도가 높을수록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이 크게 나타났고 분지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EC 1.6 dS·m-1 이상에서 현저하였다. 초장은 광강도가 낮을수록 컸다. 배양액의 EC 감소분은 배양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 단계의 진전에 따른 양분흡수는 광도와 배양액 농도(EC)가 높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기간 중 NO3-N, P, K, Ca은 대체로 고광도에서 저광도보다 많이 흡수되었다. 칼랑코에 유묘기 재배 시, 적정 엽면적, 생체중, 분지수, 초장을 얻고, 식물체의 적절한 양분흡수를 위해서는 고광도 시 배양액 농도를 EC 1.6 dS·m-1이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적절하였고 저광도 시 배양액 농도를 EC 0.8 dS·m-1 관리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광도에 따라 배양액 내의 각 무기양분의 농도를 다르게 관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5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하수처리를 위한 막결합형 A2O공정에 관해 실제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공경 0.25;μm의 평판형 정밀여과막을 공기가 주입되는 호기조에 침지시켜 처리수는 저압으로 여과된다. 인공폐수를 대상으로 최적의 처리수질과 장기운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내부반송율과 MLSS 농도 등의 최적 운전인자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내부반송은 각각 호기조에서 무산조로 반송한 것을 type 1, 무산조에서 혐기조로 반송한 것을 type 2라고 규정지었다. 플럭스는 15 LMH, type 1을 2Q로 고정하고 실험하였을 때 최적의 운전 조건은 MLSS 농도는 11,000 mg/L, type 2가 IQ로 나타났다. 이때, BOD CODcr, T-N, T-P의 제거율이 각각 97.3%,;94.2%,;64.0%,;63.0%로 타 내부반송율보다 효과적이었다.
        4,000원
        58.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0, 200, 300, 400, 500㎍/50g 무기셀레늄(Na2SeO3)의 배지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 균사밀도, 초발이소요일수, 유효경수, 개체중, 유기셀레늄 전이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농도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은 대조구 22일에 비하여 100~400㎍/50g처리는 1~2일 단축되었고, 500㎍/50g처리는 1일 길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밀도는 100~500㎍/50g처리는 아주 치밀하였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초발이소요일수는 100~400㎍/50g처리는 3~4일로 대조구 5일에 비해 1~2일 단축되었다. 500㎍/50g처리는 1일 길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유효경수는 100~400㎍/50g처리는 19~20개로 대조구 18개에 비해 1~2개 증가되었다. 500㎍/50g처리는 17개로 대조구 18개에 비해 1개 적어졌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수량(개체중)은 100~400㎍/50g처리는 129~138g/850cc로 대조구 123g/850cc에 비해 4.9~12.2%까지 증수되었다. 500㎍/50g처리는 122g/850cc로 대조구 123g/850cc에 비해 수량이 감소되었다. Na2SeO3의 처리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축적된 유기셀레늄 량은 100~500㎍/50g처리까지 2.73~8.19㎍/g/dry로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 0.05㎍/g/dry에 비해 55~164배까지 축적되었다. 결론적으로 노랑느타리버섯 균사배양기간, 균사밀도, 초발이소요일수, 유효경수, 개체중, 유기셀레늄 전이량은 100~400㎍/50g까지는 촉진되었고 500㎍/50g에서 억제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보다 고농도 처리시 그의 영향을 조사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