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41.
        202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 Total Dissolved Solids (TDS) has been often used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in some wat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youth.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EC (or TDS) can be used as a water pollution criteria in water education program. To clarify it, we used the water analysis data of July 2019 and January 2020 from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Data from 332 points in Han-river were us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such as BOD, COD, TN, TP vs EC. Correlation(r) for all data of BOD vs. EC was 0.347 for July 2019 and 0.483 for January 2020. No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BOD Ia and BOD Ib for July 2019 (r=-0.041, -0.030, respectively) and BOD Ia for January 2020 (r=0.041). Better correlation for all data of COD vs. EC was obtained (r=0.543 for July 2019 and r=0.610 for January 2020). However, no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COD Ia for January 2020. High vlaue of EC or TDS does not always mean water pollution, especially for clean water environment. Thus, EC (or TDS) alone can not be used as a water pollution criteria.
        42.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생활에 기반이 되는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와 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분석하여 과학교육의 실천적 방향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자와 교사가 협력하여 D시에 위치한 공립단설유치원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수업녹화영상, 수업일지, 연구일지, 교사 저널을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이 유아에게 주는 의미는 ‘공동의 관심사 탄생’,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과학적 탐구’, ‘지켜주고 싶은 자연’으로 범주화 되었다.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이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생활과 교육과정의 통합’, ‘지속적 탐구와 몰입을 이끄는 과학적 탐구과정’,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확장된 과학적 탐구’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생활을 기반으로 지역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과학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와 지역 자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교사는 의미 있는 과학교육의 실천을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43.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의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4명을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의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의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전개된다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4.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에서 탁월한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그릿(grit)이 형성되는 사회심리환경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릿을 기르는 체육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6학년도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에서 우수한 성취를 보인 3개 종목 28명의 연구참여자들로부터 개방형설문지, 포커스면담, 개인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Charmaz(2006)의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학교스포츠클럽에서 그릿을 형성하는 학습 환경으로 동기, 목표관리, 과제와 연습, 교사, 어려움 극복, 분위기로 나타났다. 신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그릿을 기르기 위해서는 호기심을 지속적인 흥미로 전환해야 하며 연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정의적 문제나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 연습 방법의 다양화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풍부하게 하며 목표지향적 학습 환경은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동기화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학교 체육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 단원 설계, 학습에 대한 준비도, 소통형 학습 풍토 형성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45.
        2017.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36 명(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8명)이며, 실험처치는 매주 1회씩 회당 2-3일에 걸쳐 11주간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에는 3개 공영방송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중 연구자가 유아의 일상생활과 유아환경교육의 영역이 반영된 다큐멘터리 11편과 연계하여 구성한 환경교육활동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의 일반적인 환경교육활동을 적용하였다. 유아의 환경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부경, 지옥정, 김경철, 정아림(2016)이 재구성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환경보전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최명하(2012)가 수정·보완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을 증진시키는 의미 있는 접근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친환경 도시농업을 통해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도시농업의 정착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친환경 도시농업은 도시민들에게 부족한 자연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며,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인식을 지각하고, 건강한 삶의 질 향상과 친 환경 인식 변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 도시농업을 체계적으로 관리, 육성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도시농업을 확산시키고, 긍정적인 환경보전 효과를 거두고자 한다. 도시농업 활동에서 도시민들이 친환경 농법의 교육을 통해 텃밭 조성 및 농작물재배방법이 이루어 졌고 농작물의 수확도 친환경적으로 이 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농업에 이용하는 씨앗 및 모종도 친환경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에 대한 인식변화에도 도 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의 중요성 지각을 통해 행동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답하였다. 도시농업활동을 친환경적이라고 이 웃에 소개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도시농업 활동에 참여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4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강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신선한 식재료의 확보 및 친환경 식단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농작물을 직접 재배하여 먹는 도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도시 농업은 가족과 함께 건전한 여가생활을 즐기고, 재배하고 수확한 채소나 과일을 이웃에게 나눠주며, 친목을 도모하고 소통하면서 건강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농업 활동으로 안전하고 신선한 친환경 식단과 식재료를 확보하여 도시민들의 건강증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 한 친환경 농업을 추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도시농업 활동은 회사원으로 4인 가족, 아파트에 거주하며, 어린 시절 10년 이상 농촌경험이 있는 도시민들이 가장 많았고, 주1회 주말 오 전시간에 1~2시간 이용하며, 3년 이상 도시농업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먹거리 교육이 농작물의 수 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농업활동에서 잡초제거의 어려움과 친환경 농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 물의 종류와 질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물이용으로 식단의 변화와 식재료비가 감소되고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도시농업 활동이 친환경 식단의 변화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물을 친환경 먹거리로 이웃에게 소개할 수 있고 지 속적으로 도시농업활동을 하겠다고 답하였다.
        4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fortification of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hereinafter mountain fortress) in Haman through using pollen analysis. For this purpose, samples were taken at the Tr-2 site in the Warm-temperate for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① Before and after the fortific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the area around it has changed from a broad-leaved forest (The HS-I period) into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he HS-II period) and finally into a the mixed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he HS-III period). ② The HS-I period (before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compared to the nationwide pollen zone RIIIa during the Postglacial) was covered with cool-temperate southern forests(including some species of Warm-temperate trees) and was very similar to the current climate environment during the Gaya period before the fortification. ③ The HS-II period (mid to late 6th century, pollen zone RIIIa) was covered with typical cool-temperate southern forests after the fortification and the temperature was slightly lower than the first stage. ④ The HS-III period (7th~8th century/9th century, pollen zone RIIIb) is an era of clear human interference, causing the destruction of forests in earnest and paving an active agricultural life.
        4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o create and manage the outdoor space of the school, a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have had experience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cultivating vegetables, fruits, flowers, trees, etc., and took part in activities such as planting plants, growing plants, and harvesting plants. These activities were done through the house veranda, garden, or school classes. We found that much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re done at school, home, and communities, as the students have quite a few experiences in external experiential events or allotment farms. Students had more than average amount of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more gardening activity the student experienced, the higher interest they had. About half of the students observe the plants at least once a month and know the names of 3.42 plants among the plants at school. The students in the school that had done the school forest project are aware of relatively many plants and show high observation frequency. Although the schools don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they usually consist of one-off activities such as planting and seeding in schools without gardens as the activities are done with pots inside the classrooms. The satisfaction with the external school environment was relatively high at schools that done the school forest project, and this was affected by flowers, trees, and resting area. In other words, students must have plenty of flowers and trees to be satisfied with the external school environment and should also have an appropriate outdoor resting area. It is important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llow students to continue experiencing gardening activities at school and home, because they have a high abundance of experience and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the space for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der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preferences of students should be secured and a variety of flowers and trees should be planted in order to create the external environment of school.
        5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fluence adolescents’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ve on the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Also by examining the variable relation, the study scoped out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experience. For the analysis,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gathered from online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mong a total of 521 survey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environmental experienc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more the experience, the more sense of responsibility adolescents had towards the environment and society, leading them to have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Second,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ere proven to be ess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Thir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as verifi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ur.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dolesc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improvement of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behavior by having students gain environmental experience.
        53.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초등학 생의 환경의식과 행동과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 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 하고 전후 설문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8회차로 회당 120분으로 전반 60분은 이론수업, 후반 60분은 환경실습수업 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 실 시에 따른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환경태도, 환경행동의 변화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프로그 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수준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환경 지식부문에서는 석탄사용연료 사용으로 인하여 지구온난화가 발 생한다는 지식에 대한 이해가 여타 부문에 비하여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조작적 이해부문에서는 자연보호활동에 대한 참여 인식 및 재활용 사용 중요성 인식에 대한 이해가 다른 이해부문에 비하여 보다 높아지는 유의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환경가치 및 신념부문에 서는 화학약품의 사용 저감, 과학기술의 발전 가치, 자연보호를 위 한 편의 포기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향상 폭이 높았으며, 정서영역부 문에서는 회사가 동물로 제품테스트하는 것에 화난다는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환경자극경험 부문 중 학교에서의 경험에 대한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활동진술영역 부문에서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 은 초등학생의 환경교육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환경교육은 단순한 지식습득이나 이해의 교육이 아니라 태도와 가치관 교육이며, 습관의 형성에 의한 교육이기에 어린시기 에 이루어질수록 그 효과가 크다. 이에 초등학생의 환경교육은 환 경, 생태계 등에 대한 일반적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라는 점에서 매 우 중요하며, 본 연구의 원예활동 복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결과는 초등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향후 각 환경교육 커리큘럼에 대응하는 환경 인식, 태도, 행동부문별 세밀한 분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경우, 각 커리큘럼에 대응하는 부문의 긍정적 효과를 도출하는 데에 보다 유 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보다 효과적인 초등학생 대상의 환경교 육 프로그램의 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55.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환경 보전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소재한 2곳의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환경친화적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00, p< .05). 이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환경 보전 지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8.31, p< .05). 이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환경 보전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환경교육은 가정과 연계가 되었을 때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5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원활동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교 스트레스의 경우 정원활동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은 평균 79.6점에서 사후 평균 73.5점으로 6.1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t=-3,516 p=0.007)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의 경우 실험군은 사전 평균 30.7점에서 사후 평균 32.9점으로 2.2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161, p=0.012)가 있었다. 또한 환경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 실험군은 사전 평균 63.6점에서 사후평균 69.1점으로 5.5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685, p=0.005)가 있었으며,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 실험군은 사전 평균 18.7점에서 사후 평균 23.8점으로 5.1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4.915, p=0.001)를 보였다. 따라서 여중생의 정원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교스트레스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과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증가시키는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58.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ass balance of process was calculated by using the analysis of basic unit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ll the processes of Busan fashion color industry cooperative that operates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and a bio treatment plant. The mass balance for the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was done, based on boiler and water treatment processes while each unit reactor was used for the bio treatment plant. From the results above, a resource recycle network, a treatment flowchart for food waste water/wastewater treatment and a carbon reduction program were established.
        5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n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carried out on the whole process of industrial business activities to establish a basic plan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energy independency. The whole process was divided into each discharge process in terms of water, air, solid waste, green house gases and refractory organic compounds. The flowcharts and basic unit of process were analysed for three years (2008-2010), being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life cycle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the unit loading for the whole process significantly depends on changes in the operation rate change and highly concentrated wastewater inflow. About 35% of solid waste production was reduced by improving the incineration method with co-combustion in coal boiler, generating about 57% of electricity used for the whole process, and consequently reducing the energy costs. As the eco-efficiency index was found to be more than 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it can be said that improvement in general has taken place.
        6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영천시의 한 초등학교의 초등학생 13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식물의 양육체험과 재활용을 이용한 원예활동을 2012년 4월 18일부터 7월 18일까지 매주 수요일 주 1회 총 13회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 환경인식의 경우, 110점에서 131.8점으로 21.8점이 향상되었다(P<0.01). 정서지능의 경우, 전체 점수는 61.6점에서 70.2점으로 8.6점이 향상되었고(P<0.05), 하위항목인 정서조절의 경우, 20.3점에서 24.1점으로 3.8점이 향상되었다(P<0.05). 또한 정서활용의 경우, 11.5점에서 15.1점으로 3.6점이 향상되었다(P<0.01). 이러한 결과로부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방과 후 원예활동이 자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식을 높이고 사회적 관계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는 정서지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차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뿐 아니라 가정으로 연계된 원예활동이 장기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면 아동의 정서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