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8

        42.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 산소종에 의한 피해에 내성을 가지는 식물의 개발을 위하여 딸기 유래의 cytosolic ascorbate peroxidase 유전자(ApxSC7)를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를 매개로 형질전환 시켰다. Hygromycin으로 선발된 캘러스로부터 재분화 된 식물체는 야생형과 비교하여 형태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CR 및 Sou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형질전환 식물체의
        4,000원
        43.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열성 유전자인 BcHSP17.6를 갖도록 제작한 발현벡터 pBKH4를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 4404에 도입후, Agrobacterium과 알팔파 캘러스의 공배양을 통해 감염시킨 캘러스를 의 kanamycin과 의 cefotaxim을 첨가한 SH-kc배지에서 배양하며 형질전환된 캘러스를 선발하였다. 식물체 재분화는 SH- nk-c, SH-sp-c, SH-11b-c, SH-1BA 배지에서 약 4개월간 배양하여 재분화를 완성
        4,000원
        44.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transformed birdsfoot trefoil (Lotus corniculatus L.) plants with BcHSP17.6 gene using Agrobacterium turnefaciens LBA4404 and we confirmed transformed gene from the regenerated birdsfoot trefoil plants. The expressio
        4,000원
        4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oduce of transgenic orchardgrass, the seed-derived calli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co-cultivated with Agrobacterium turnefaciens EHAlOl harboring binary vector pIG121-Hm were selected with hygromycin and then transferred onto N6 regener
        4,000원
        48.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fficient method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forage crop alfalfa (Medicago sativa L.) was established using secondary somatic embryogenic calli.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EHAlOl and a binary vector pIG121-Hm which has selection
        4,000원
        49.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에 있어서 엽록체 small heat shock protein(small HSP)의 기능을 밝히기 위하여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법을 이용하여 벼로부터 분리한 small HSP cDNA를 도입하였다. Agrobacterium의 감염에는 벼의 미성숙 배로부터 유도한 callus를 이용하였다. 형질전환 후의 재분화율은 약 30%였다. 형질전환을 통하여 얻어진 식물체의 genomic DNA로부터 PCR 분석과 Southern blot 분석으로 엽록체 small HSP 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하였다. 도입 유전자의 형질전환 벼에 있어서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northern blot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입된 유전자는 상온에서의 발현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항상적으로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50.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ntgrass의 형질전환식물 생산을 위하여 유전자총 (Gene-gun) 및 Agrobacterium기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을 시도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캘러스의 유도 및 증식 : Bentgrass (Agrostis palustris)의 종자를 MS-5 배지 (MS 기본배지, 2,4-D 5mg/L, casein hydrolysate 2g 포함)에 치상하여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캘러스는 증식을 위하여 MS-3 배지 (MS기본배지,
        51.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120 여종의 집락 중 응집제를 생산하는 집락을 선발하고 가장 응집력이 우수한 K-67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Agrobacterium sp KF-67로 동정하고 실험균주로 사용하였다. 응집제 생산시 최적 배지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응집활성을 kaolin과 활성탄현탁액에서 응집활성을 측정하였다. 최적 배지성분과 농도는 탄소원과 무기질소원은 glucose와 NH_4NO_3 각각 2%와 0.1%, 유기질소원은 yeast extract와 peptone 각 0.01%, 무기염으로 CaCO_3을 0.04%를 첨가하였을 때 응집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배지 중 0.03% NaCl 첨가로 약 19%의 응집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Agrobacterium sp.에 의한 응집제 생산시 최적배지의 성분 조성과 함량은 2% glucose, 0.1% NH_4NO_3 0.01% yeast extract, 0.01% peptone, 0.04% CaCO_3, 0.03% NaCl이었고, 이때 기초배지에 비해 약 76.1%의 응집활성력이 증가하여 응집제 생산에 효과적인 배지성분 조건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52.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완두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형질전환 방법을 모색하고 형질전환된 개체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형질전환은 발아중인 완두의 생장점(shoot tip)을 제거한 다음 T-DNA내에 GUS gene과 neomycin phosphotransferase II gene이 들어있는 binary vector를 가진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생장점을 제거한 부위에 감염시켰다. 감염 후 새로 형성된 shoot는 개체당 4~5개였으며, 그중 GUS유전자가 발현하는 shoot만을 정상적인 식물체로 분화 시켰다. 감염부위에서 형성된 shoot에서의 GUS유전자의 발현빈도는 10%내외였다. 이들 개체로 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Dot blot hybridization분석 결과 T-DNA가 식물체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수확한 종자를 발아시켜 Sorthern blot hybridization한 결과 T-DNA가 다음세대로 전달되었음이 확인되었으며 형질전환율은 2%이내였다.
        4,000원
        54.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 사용한 시료는 형성층 유래의 캘러스를 0.01mg/ 2, 4-D, 0.5mg/ BAP, 3% sucrose, 0.75% 한천을 첨가한 MS배지에서 재분화 시킨 개체를 이용하였다. 시료의 대량증식은 1.0mg/ BAP를 첨가한 MS 배지에서 실시하였으며 엽전개는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로 옮겨서 실행하였다. Agrobacteria를 이용한 형질 전환은 엽절편, 절간조직등을 박테리아를 묻힌 침으로 자극하여 식물체 분화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엽절편 조직에서는 분화된 식물체를 얻지 못했으나, 절간조직의 측아에서는 49%에 달하는 24개체가 분화되었다. 이들 분화된 줄기는 kanamycin이 100mg/이 함유된 선발 배지에서 일차적인 선발을 하여 최종적으로 GUS 유전자 검정을 한 결과 처음에 접종한 50개체중 형질전환 된 것으로 추정되는 5개체를 얻어서 형질 전환 추정 비율은 1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5.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Miscanthus is a diploid hybrid and a temperate, perennial, cross-pollinating grass used as bioenergy plant, biomass production and high quality cellulose and ethanol production.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 for Miscanthus sinensis, and to optimize factors and conditions required for expression of MsCOMT–AS gene. Methods and Results : An efficient transformation of callus from M. sinensis was established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LBA4404 harboring a binary vector pMBP1. In order to establish stable transformation system, we obtained high transformation rate from callus by various transformation factor explant type, strain, co-culture periods, acetosyringone concentration, and selective marker. Finally, in this study, seven putative transgenic plants were obtained. Through various tests including PCR analysis and southern blot were to detect antisense of COMT digested Xba I and Sac I restriction enzymes. The biomass of the control plant was superior than transgenic plants. Conclusion : This study was to develop transgenic Miscanthus sinensis by Agrobacterium tumerfeciens mediated transformation to produce high bioethanols and to reduce the lignin content of transgenic plants.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the transgenic plants revealed interesting finding about COMT gene expression in the segregates
        5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잔디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중요한 단자엽 식물중의 하나이며, 세계 4대 작물 중 하나인 옥수수 다음으로 큰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Lee. 1996). 잔디는 도로, 하천, 비행장의 토양 침식 방지에서부터 주택, 공원, 정원, 골프 장, 스포츠 경기장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어 매년 잔디조성 면적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 한 잔디는 주로 전통적인 육종방법에 의하여 신품종이 개발되어져 왔으나 현대의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 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신품종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작물의 생리장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전자(내염성, 내건성, 내한성, 녹기연장, 음지내성 등)를 이용한 biotic 및 abiotic 스트레스 저항성을 갖는 기능성 형질전환잔디 개발에 많 은 투자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스트레스에 관여하는 유전자 중 벼 유래의 OsWRKY11유전자를 크리핑 벤트그라스와 들잔디에 도입함으로써 고온 및 건조스트레스에 저항성이 있는 잔디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들잔디 와 크리핑 벤트그라스의 완숙종자로부터 배발생 callus를 유도 및 증식하여 OsWRKY11유전자가 도입된 Agrobacterium에 24시간 감염 하였다. 그 후 공동배양, shoot 유도 및 선발, root 유도 및 선발 과정을 거쳐 형질전환 식물체를 생산하였으며, 확보된 형질전환 식물체는 분자생물학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5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ginsenoside production in Korean wil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mutant adventitious root lines, a synthetic gene encoding squalene synthase (PgSS2) was placed under the control of 35S promoter and transferred to Panax ginseng. Embryogenic callus obtained from ginseng adventitious root lines were transformed by infection with A. tumefaciens strain EHA105 containing the PgSS2 gene. Ten phosphinothricin-resistant plants were generated on selection medium, and the transgene integration and expression in these plants were confirmed by PAT test strip, RT-PCR and Southern hybridization. Ginsenoside analysis by HPLC revealed that the total contents of the 8 ginsenoside types (Rg1, Re, Rf, Rh1, Rb1, Rc, Rb2, Rd) in transgenic adventitious root lines were about 1.6-fold higher than that of the mutant control line (MCL1). This transformation method may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Panax ginseng in terms of the accumulation levels of ginsenoside.
        59.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grobacterium vector를 이용한 세포사멸 억제유전자인 AtBI-1(Arabidopsis thaliana Bax Inhibitor-1)을 벼에 도입하기 위하여, 벼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과 AtBI-1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 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의 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한바 자포니카형 벼가 인디카형 및 통일형 벼에 비해 식물체 재분화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공시 품종 중에서 일품벼의 식물체 재분화율(7%)이 가장 높았다. 배양용기별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한바, petri-dish에서 보다 시험관에서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다. 4주동안 자란 ‘일품’ 유래의 callus를 Agrobacterium과 co-cultivation한 후 kanamycin과 carbenicillin이 첨가된 재분화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12.0%의 가장 높은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genomic DNA를 이용한 PCR 결과는 Bin-AtBI-1-GFP 유전자는 1 kb 부근에 삽입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Southern blot 분석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형질전환체의 CLS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분석에서 잎, 줄기, 뿌리에서 GFP가 발현되어 형광색을 띄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60.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transformat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using several different approaches, and the development of reliable and efficient transformation systems is still one of the most important breakthroughs in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of rice. However, there are many cultivars in rice and transformation efficiency is dependent on the cultivar. The conventional Agrobacterium-mediated rice transformation system using secondary calli requires 14-16 weeks for establishing transgenic plantlets, and it is thought that somaclonal variation through the Tos17 retrotransposon occurs during the tissue culture stage. Here, we modified an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in rice cultivar Dongjin, adding an endosperm removal step that is critical to transformation frequency and changing the Agrobacterium strain and media composition. This method increased transformation efficiency and stability. These results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scientists to use a reliable and efficient rice transformation system.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