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and its active ingredients.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content extracted with hexane was 36.06%.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extracted with hexane was purified during 20 min at 85℃ with phosphoric acid 0.15% for degumming and 20 min at 80℃ with 3 M NaOH 1% for deaciding. The purified oil consisted of unsaturated fatty acid (88.7%), fatty acid (9.97%), and so on. The major unsaturated fatty acids of purified oil were linoleic acid (71.1%) followed by oleic acid (15.7%), while the main saturated fatty acid was palmitic acid (6.56%). The purified oil was found that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vitamin A, and E were 1.45 g/100 g, 1494.86 RE/100 g, and 0.58 mg α-TE/100 g, respectively.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91.7%) as compared to grape seed oil and canola seed oil with 87.4% and 85.1% in the DPPH assays.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bioactive source for health and preventing numerous diseases.
        4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황의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황 추출물들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FSC50)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α-tocopherol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아글리콘 분획의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50)은 0.265 μ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추출물의 rose-bengal로 증감된 1O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1∼50 μg/mL)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은 10 μg/mL 농도에서 τ50이 757.0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추출물 중 아글리콘 분획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IC50)은 11.20 μg/mL으로 226.88 μg/mL인 알부틴(arbutin)보다 큰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대황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의 현저한 항산화 작용 및 큰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로부터 이들 분획 또한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43.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및 그 배당체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free radical 소거활성, ROS inhibition assay, TARC 생성 억제 관련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kaempferol과 그들의 rhamnosides (α-rhamnoisorobin, afzelin, kaempferitrin)의 구조에 따른 생리적 활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Kaempferol과 α-rhamnoisorobin은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에서 각각 62.5, 50.0 μM이 측정되었으며 afzelin과 kaempferitrin은 농도와 상관없이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OS inhibition assay에서는 시료 농도를 10, 50, 100 μM을 처리한 결과 kaempferol은 대조군(100 %)에 비하여 ROS 발현 농도를 각각 97.5, 57.8, 47.8 %로 감소하였으며 α-rhamnoisorobin은 93.1, 59.1, 41.4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TARC (thymus and activation regualted chemokine)생성 억제능 실험을 통해 시료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한 결과 kaempferol은 10, 50, 100 μM 농도에서 대조군 (100 %)에 대비하여 각각 48.8, 5.5, 4.4 %로 농도 의존적으로 TARC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α-rhamnoisorobin은 88.1, 19.0, 1.0 %로 TARC 생성의 감소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kaempferol과 그들의 rhamnoside 중 kaempferol과 α-rhamnoisorobin은 항산화, 항염증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더 나아가서는 항노화 및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동과에 속하는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 LJ) 추출물이 활성산소의 일종인 glucose oxidase(GO)에 미치는 영향을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알아보았으며, 또한 LJ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전자공여능(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비롯하여 항산화 효소의 하나인 SOD의 활성과 비슷한 superoxide dismutase(SOD)-유사활성(SOD-like activity), 지질과산화 억제능(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및 lactate dehydrogenase(DH) 활성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GO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배양 C6 glioma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P<0.01), 이 때 XTT50값은 35 mU·mL-1에서 나타났다. 또한, LJ 추출물은 GO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GO의 세포독성을 방어하였다. 한편, LJ 추출물은 전자공여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지질과산화 억제능 및 LDH의 활성 감소를 보임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J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GO의 세포독성을 유효하게 방어한 것으로 나타났다.
        4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소재와 미백소재 개발을 위하여 미강을 Bacillus subtilis에 접종하여 40 ℃에서 36 h 동안 발효한 미강추출(RFB)과 80 % ethanol을 이용한 미강추출물(RB)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농도 100 μL/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리놀산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 또한 농도 100 μL/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RB에 비하여 RFB의 더 높은 항산화 능을 확인하였다.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 저해효과는 100 μL/mL 농도에서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을 80 % 저해하였으며 이는 vitamin C에 비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미강 발효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4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 그리고 추출물들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참가시나무는 50 % ethanol을 이용해 추출하였으며, 이 추출물을 이용해 ethyl acetate 분획, aglycone 분획을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소거활성(FSC50)은 aglycone 분획(8.25 μ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aglycone 분획의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50)은 0.039 μ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참가시나무 추출물의 rose-bengal로 증감된 1O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aglycone 분획은 10 μg/mL 농도에서 τ50이 259.9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참가시나무 추출물중 aglycone 분획의 tyrosinase 저해활성(IC50)과 elastase 저해활성(IC50)은 각각 21.82 μg/mL 및 41.18 μg/mL 큰 활성을 보여주었다. TLC와 HPLC를 이용한 성분분석 결과 quercetin, keampferol, catechin, quercitrin, isoquercitrin, hyperoside 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참가시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aglycone 분획의 현저한 항산화 작용 및 큰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효과로부터 이들 분획 또한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47.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인 glucose oxidase(GO)의 산화적 손상이 배양 C6glioma 세포에 미치는 영향 및 이에 대한 연꽃(Nelumbo nucifera GAERTN, NNG)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을 비롯한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lipid peroxidation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H2O2는 배양 C6 glioma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한 세포생존율의 감소를 나타냈다. 한편, GO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NNG추출물의 방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NNG 추출물은 GO의 산화적 손상으로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NNG 추출물은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의 분석에서 유의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동시에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능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 부터 GO는 배양 C6 glioma세포에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NNG추출물은 GO와 같은 ROS의 산화적 손상을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활성산소의 하나인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에 대한 세포독성과 이에 대한 연꽃수술(Nelumbo nucifera stamen, NNS)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부착율 (cell adhesion activity, CAA)을 비롯한 티로시나제활성저해능 및 총멜라닌합성량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 hydrogen peroxide(H2O2)는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 (SK-MEL-3)의 CAA를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대하여 NNS추출물은 H2O2의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감소된 CAA를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H2O2에 대한 NNS추출물의 멜라닌화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NNS추출물은 H2O2에 의하여 활성화된 티로시나제활성과 총멜라닌합성량을 감소시킴으로서 멜라닌화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H2O2는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에 고독성을 나타냈으며 NNS와 같은 식물추출물은 H2O2와 같은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손상 및 멜라닌화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0.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모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검토하였다. 모과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9.23%이었고, 이를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한 수율은 water분획물이 1.5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ethylacetate 분획물 1.46%의 순이었다. 모과 에탄을 추출물의 총 flavonoid 함량은 이었고, 각
        52.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잎에 대한 일반성분과 tocopherol 동족체를 분석하였으며,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보다 더 정제하기 위해 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및 물층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분획물을 이용하여 자외선 (UV 308, 350 nm) 차단효과와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성분의 분석 결과 수분이 67.5%로 가장 높게 나타났
        53.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oprevetiv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water extract on several tumor cells and Chinese hamster V79 cells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showed a higher cytotoxicity effect on the human histiocytic leukemia cells(U937)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cytotoxicity of HO.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may useful as potential soures of chemopreventive and antioxidative agents.
        54.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성 및 토양수분에 따른 시호근의 생육특성과 saikosaponin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를 조사해 본 결과, 수분과다 토양에서 는 삼도시 호는 장수시호보다 생육 억제정도가 매우 높았고, 건물중은 과습, 적습, 과건 재배 순으로 높았고, 수분조건에 따른 토성별로는 과건은 식양토, 사양토, 사토 순으로, 적습과 과습시는 사토, 사양토, 식양토 순으로 높았다. 토양수분조건별 saikosapon a, d, c함량은 과건, 적습, 과습 순으로 높았고, 토성간에는 사토, 사양토, 식양토 순으로 높았다. POD 활성은 지상부는 장수시호가 삼도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토양 수분함량간에는 장수는 과건, 과습, 적습 조건 순으로 높았으나, 삼도시 호는 과건, 적습, 과습 순으로 높았다. SOD활성은 지상부와 지하부 공히 장수시호가 높은 경향이나, 수분조건별로는 과건, 과습, 적습순으로 높았으며, 건조상태의 경우 두 품종 모두 사토에서 높았다. 시호에서 뿌리의 Saikosaponin함량과 POD 및 SOD 함량과는 정의상관을 나타내는 경향이었고 줄기 및 뿌리길이와 POD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55.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활성산소에 기인하는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천연물로 부터 개발하기 연구의 일환으로 오배자의 주성분에 대한 항산화효과 및 간보호효과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erric-Thiocyanate 법에 의하여 과산화반응 억제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tocopherol보다 강한 과산화반응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gallic acid methyl ester, protocatechuic acid와 syringic acid는 tocopherol 보다는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BHA와는 유사 또는 그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특히 1, 2, 3, 4, 6-penta-O-galloyl-β-D- glucose는 tocopherol과 BHA보다 매우 강한 과산 화반응억제 활성을 보였다. 2. TBA 법에 의한 과산화지질의 생성의 지표인 MDA 억제효과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gallic acid 는 1.6×10-4의 농도에서 BHA 보다 높은 억제율을, protocatechuic acid는 1.6×10-6의 농도에서 BHA 보다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gallic acid methyl ester와 1, 2, 3, 4, 6-penta-O-galloyl-β-D-glucos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우수한 MDA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3. Glycyrrhizin을 비교군으로 하여 간 보호 실험을 한 결과 1, 2, 3, 4, 6-penta-O-galloyl-β-D-glucose의 0.5mg/ml첨가군에서는 GOT의 강한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GPT 실험에서는 각 시료 0.5mg/ml 첨가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