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41.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과내용 중심으로 설계되는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들 간의 직접적인 면대면 상호작 용과 소통, 문제해결 및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심도깊은 익힘과 숙달의 기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B사이버대학은 학습자들의 학습실태 조사, 수업 및 학습상담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 2015년 1 학기부터 교수자별 교과목 1개 이상을 블랜디드 러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의 온라인 수업체제에서 학습자들의 학습실태와 오프라인 수업에 대한 만 족도 및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 그리고 시범적으로 운영한 오프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 등을 토대로 사이버대학의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블랜디드 러닝을 위한 교수설계의 방향을 탐 색하는데 있다.
        4,600원
        42.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비대학은 대학 신입생들로 하여금 대학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학교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과 교육적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비대학 참여자들이 과연 어떠한 목적으로 예비대학에 참여하게 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예비대학이 대학 기획자의 입장에서 연구되는 경향성이 강하고, 수용자의 입장에서 발전방안을 모색한 연구는 일천한 상황인 것이다. 아울러 일부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예비대학 프로그램은 교육적 목적보다 학교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의 효과에 치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연 수용자의 입장에서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에 하나의 해답을 구하기 위해 이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형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참여동기를 규명하고,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효과를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대학 프로그램 참여동기는 ‘학습 즐거움 동기’, ‘학교 호기심 동기’, ‘학습 외적 보상 동기’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은 학습 즐거움 동기(+), 예비대학 프로그램 인식(+), 확실성(+), 학습 외적 보상 동기(+)의 순이었고, 오프라인 프로그램 만족도 결정요인은 예비대학 프로그램 인식(+), 공감성(+), 학습 즐거움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분야 블렌디드 러닝 강좌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태도(+), 확실성(-), 공감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양분야 블렌디드 러닝 강좌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된 행위통제(+), 태도(+), 학교 호기심 동기(+), 유형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러닝형 예비대학 온라인, 오프라인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대학 블렌디드 러닝 강좌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한 유형(전공, 교양)별 전략을 제안하였다.
        6,700원
        43.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ll-being’ is an important trend and issue that requires consumers to be satisfied with various functional fabrics; subsequently, functional fabrics that are highly sensible, function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have a competitive edge (O’Mahony & Braddock, 2002; Hui, Lau & Ng, 2004). Recent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tection due to global warming has led to various energy reduction campaigns. Fabric research has focused on developing cool summer fabrics and warm winter fabrics. The selection of a correct textile material is important to form a pleasant clothing climate. New fabric development requires new measurement methods. Warm/cool touch is a major factor that influences thermal clothing comfort. Current measurements of warm/cool touch is mainly assessed by Q-max using Thermo-LaboⅡ. The potential of using an infrared thermography camera (widely used because of its relatively cheap price) on warm/cool touch research has increased because it can visually show changes in clothing surface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is a factor that influences heat exchange between the body and environment. It also indic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heat transfer process. It is an important standard to evaluate thermal comfort in thermal physiology. The techniques to measure skin temperature have been investigated to find more accurate data (Min, Chung, Sung, Jeon, & Kim, 2001). A thermometer is generally used to measure body temperature;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accurately measure skin temperature using a thermometer. First, skin temperature was determined by only a few points on the body. Second, heat occurs during exercising due to fabric and thermometer friction that creates difficulties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f skin temperature. A previous study by Choi & Lee (2008) indica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evaluate the thermal properties of clothing using infrared thermal images. This study used a garment with different triacetate and PET high absorbance quick dry filament blending ratios and chose three healthy female subjects in their twenties to evaluate wear comfort sensations. They walked at 3.3 km/h for 2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29±2℃ and 75±5% R.H. Subjective assessments of wear coolness, microclimate, and the thermogram image under the clothing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ing.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microclimate and subjective assessments with the results of the thermogram analyses. Clothing, high blended with triacetate, had a small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as indicated by infrared thermal image. This result corresponded to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microclimate humidity, and subjective wear comfort.
        4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a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 which aimed at developing digital storytelling based local wisdom through Blended Learning as an innovative media for teaching English at eighth grade students of SMP Negeri 1 Petang. The development model used in this research was adapted from the development of Luther’s model (in Sutopo, 2003).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documentation technique, interview,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This research found that, (1) in developing digital storytelling based local wisdom through a Blended Learning method required a number of chronologically steps, namely: observation, need analysis, media prototype design, expert judgment, revision of the product, field testing, analyzing of data and finalizing the final product; (2) the total mean score of the questionnaire filled by the English teacher was 4.09, it indicated that the product was categorized as excellent, and (3)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filled by the students was 3.76, this meant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duct could be categorized as g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expected and can help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especially narrative text.
        4,000원
        4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바이오디젤의 보급 활성화에 정책에 따라 석유제품에 바이오디젤 혼합량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혼합량 증가에 따른 겨울철 저온특성과 산화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디젤 혼합연료에 대하여 실제 저장환경을 모사하고, 저장 중 품질변화를 평가하여 저장환경별 산화 경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등의 규명을 통해 산화 제품의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바이오디젤 혼합연료의 산화열화 평가 결과, 직접적인 햇빛 노출 및 대기노출이 없는 저장용기에서는 여름철 약 18주간은 산화에 의한 특별한 품질저하는 없었지만, PE 재질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약 2주간의 햇빛노출에 급격한 산화가 일어나 품질저하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일부 품질변화뿐만 아니라 FT-IR 스펙트럼 변화로도 확인 할수 있었다. 하지만 산화가 상당히 진행된 연료라도 품질기준을 모두 만족하여 품질검사 항목만으로는 특별한 현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즉, 품질기준을 만족하더라도 산화로 인한 산화 생성물(고분자물질, 유기산 등)에 의해 차량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충분한 여지가 있었다.
        4,600원
        46.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혼합 비료를 유도용액으로 하는 정삼투식 해수담수화에서 담수화 성능에 대한 유도용액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 다. 혼합비료용액(DS)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투과선속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PR (performance ratio)은 감소 하였다. 또한 혼합비료용액의 농도가 600 g/L일 때, 해수 및 탈이온수를 각각 공급용액으로 하였을 경우 각각의 PR은 5.39 및 6.50이었다. 혼합비료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 P 및 K의 역용질선속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비역용질선 속은 감소하였다. 역용질선속과 비역용질선속은 모두 질소(N) > 칼륨(K) > 인(P)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47.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evaluate ASR(alkali silica reactivity) resistance of ternary blended binder adding ultra fine mineral admixture. METHODS : This study analyzes ASR expansion using ASTM C 1260 and 1567. RESULTS : This study showed that the fineness of mineral admixture had no effect on ASR expansion. The expansion of ternary blended binder(UFFA 20%+FGGBS 10%) were below 0.1%, and this binder met the ASR standard. Also when adding the CSA expansion agent, ASR expansion slightly decreased. The expansion of latex modified mixture increased by 80% comparing plain mixture. CONCLUSIONS : Ternary blended binder met the ASR standard, and this binder is available in concrete bridge deck overlay.
        4,000원
        48.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oly (ether block amides)(PEBAX) 3533을 이용하여 N2, O2, CH4, CO2, SO2에 대하여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투과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자량 400의 Poly (ethylene glycol) (PEG)를 PEBAX 대비 20%, 40%, 50% 첨가하여 막을 제조한 후 N2, O2, CH4, CO2, SO2 순으로 투과도 및 순수 기체에 대하여 확산도 및 용해도를 각각의 막에 대하여 Time-lag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예상한 바와 같이 PEG 함량의 증가에 따라 순수 기체에 대한 투과도는 증가하였으며, 이상선택도의 경우 PEBAX 3533이 지니는 값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PEG 햠량 증가에 따라 투과도의 증가는 각 기체의 PEG에 대한 용해도 증가때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에 대해서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4,000원
        49.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gl 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tudents in traditional second language (L2) writing classrooms are not provided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giving and receiving peer feedback. To compensate for this limitation, blended learning has been suggested in the L2 writing classroom.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peer feedback in blended learning in L2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peer feedback and the impact of peer feedback on revisions in blended leaming in L2 writing. The subjects for the qualitative study consisted of three university students, representing low- intermediat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f English writing proficiency. Data sources included student-produced feedback in online and offline sessions, 18 drafts in process-oriented writing, classroom observations, and the interview. The major fi ndings of the study are as fo llows. First, the students produced more onl ine peer feedback than offline peer feedback. Second, they provided more fonn-focused feedback in online sessions, but more meaning-focused feedback in offline sessions. Third, they incorporated online peer feedback in their second drafts more than offline peer feedback in the final draft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re consider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effective use of peer feedback in blended learning in L2 writing .
        7,700원
        51.
        201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dvancement in technology and availability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 technology and the Internet made meaningful interaction possible in both on and offline environments, which is referred to as blended learning. Blended learning has recently begun to gain popularity in ELT, and appropriate models of blended learning need to be developed for EFL classroom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attempts to investigate its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blended learning in the field of ELT, especially in relation to English language skills and subskill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spectives and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in English pronunciation skills, and to explore gender differences in blend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173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quantitative data including questionnaire and pre-experiment were collec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erspectives in blended learning, its components, and tools were very positive. Second, blended learn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pronunciation skills. Third, there were few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found regarding social aspects of online interac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are provided.
        6,300원
        52.
        200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53.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Modular Object Oriented Dynamic Learning Environment (MOODLE), an open-sourc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developed by Curtain University of Technology in Australia, was customized for essay writing classes in Korean. The subjects were 18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essay writing program over 6 weeks. Using a case study approach, the study reports some important lessons learned from the use of MOODLE to design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elementary essay writing. Some important contextual factors and content-specific constraints that affected the student learning process are discussed.
        4,000원
        54.
        2008.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경제개발과 성장의 기반이 되는 인적자원개발과 교육시스템에 대해 지식과 경험의 공유 및 교류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 분야에서 이러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우리 교육 · 문화와 e- 러닝 산업의 해외진출 등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국제교육협력을 위한 휴먼네트워크를 보완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들을 반영하기 위해 한국과의 교류협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해외 고위공무원 기업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초청연수 사업이적절한 대안으로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공급자 중심의 사고방식, 민간의 참여부족, 사업성과 측정 미비, 사업추진 주제간 협력 부재 등으로 성과창출이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관련 선행연구를 기초로 본 블랜디드 러닝 기반 문제중심 국제연수과정의 개발과 함께 평가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연구는 크게 반응도 평가, 이해도 평가, 현업적용도 평가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블랜디드러닝 기반 문제중심 국제연수과정이 교육생들의 이해도 향상은 물론 실제 각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해결에 도웅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연수과정개발에 있어서 고려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6,100원
        55.
        200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57.
        2006.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itanium alloys and Titanium alloy-based particulate composites were synthesized using the blended elemental P/M route. First,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the fabrication of master alloy powder were investigated. Ti-6Al-4V, Ti-5Al-2.5Fe, Ti-6Al-2Sn-4Zr-2Mo, IMI685, IMI829, Timetal 1100 and Timetal 62S, and Ti-6Al-2Sn-4Zr-2Mo/ 10%TiB and Timetal 62S/10%TiB were then synthesized using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obtained. The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high cycle fatigue strength were evaluated.
        59.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xxx series Al alloy has the most attractive properties including its excellent high specific strength, stress corrosion cracking and corrosion-resistance. However, in case of the Al-Zn system, the liquid phase has a transient aspect because of the high solid solubility of Zn in Al. Therefore, transient liquid phase sintering behavior was observed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And the amount of liquid and its duration were influenced by the process variables including heating rate and final sintering temperature. At high heating rates(), the liquid fraction increased during sintering because diffusion was minimized and therefore local saturation could easily occur. The sintered dens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rate.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