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4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ing pots are one of the important fishing gears in our coastal and offshore fisheries. In terms of a sustainable use of marine resources,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ghost fishing by lost pots. It is reported that 10 to 70% of the pots are abandoned or lost annually.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atching efficiency of drum type whelk pots that are made of biodegradable nets to those made of the ordinary net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Five types of drum pots were used with combination of biodegradable nets and ordinary (PA, PE) nets applied to the main and funnel parts of the pots: pots with biodegradable nets (Bio+Bio); pots with PE net (PE+PE); pots with body and funnel made of biodegradable nets and PE nets respectively (Bio+PE); pots with body and funnel made of PE nets and PA nets respectively (PE+PA); pots with body and funnel made of PE nets and biodegradable net respectively (PE+Bio).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June 18th, 2015 to August 7th, 2015 using a commercial fishing vessel in the Uljin water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wo fleets of pots with one hundred in each, 20 pots of each type, were casted for 8 to 15 days to analyze their catching efficiency. The catch of target species, whelks, was 202,563.0 g with catch rate of 38.7% of the total catch, while the bycatch was 320,709.7 g with the rate of 61.3% of the total catch. The catch of whelks was the highest in the Bio+PE pots (46,020.3 g), followed by the Bio+Bio pots (42,027.5 g), the PE+Bio pots (41,849.9 g) and the lowest being PE+PE pots (38,054.2 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ts, the pots with biodegradable nets on the body or entrance part had slightly higher catch rate for both the target species and the bycatch. The PE+PE had the lowest catch rat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tch between the pots with biodegradable nets and the ordinary nets for the target species such as Buccinum opisthoplectum, Neptunea eulimata, Buccinum striatissimum. Consequently, using biodegradable nets for the conventional whelk pots can reduce ghost fishing by lost gears while keeping the performance of the pots.
        4,200원
        4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icacy of the natural amendments in improving physical condition as well as waterretention characteristics of the growing media in pot culture was studied on seven different mixratio of growing media applied to soil. Growing media was prepared from peat, perlite, pruningwaste, pulp(3:1:3:3(w/w/w/w)). Growth substrates were prepared by mixing growing media at therates of 0%, 10%, 20%, 30%, 40%, 50% and 100% with soil at 100%, 90%, 80%, 70%, 60%,50% and 0%, respectively. The bulk density tended to decreased with increasing growing mediaproportions. The particle density was lowest(0.6 g/cm3) in sole growing media treatment and theporosity of all the soil mixed growing media(63.2~83.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the soil as sole medium(60.7%). The water content was lowest in sole soil treatment(5.1%) andgrowing media as sole medium(57.8%) was the closely ideal range for pot culture(>60%). Although substrates were varying water to the atmosphere at similar rates which retained waterfor longer, growing media as sole still remain constant on high water content. It was confirmedthat strongly correlated between bulk density and water retentivity(correlation-0.85).
        4,300원
        4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length of the buoy and sand bag line on the loss of webfoot octopus pot. A numerical modeling and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ocess that the pot gear affected by wave using the mass spring model. Through the simulation, tensions of sand bag line under various condition were investigated by length of buoy and sand bag line. The drag force and coefficient k of an artificial shell used in the webfoot octopus pot was obtained from an experiment in a circular water channel, and the coefficient k was applied to the simulation.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model, a simple test was conducted into measuring a rope tension of a hanging shell under flow. Then, the test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The lengths of the buoy line in the simulation were 1.12, 1.41, 1.80, 2.23, 2.69, and 3.17 times of water depth. The lengths of sand bag line were 10, 20, 30, and 40 meters, and conditions of water depth were 8, 15, 22 meters. 4 meter height and 8 second period of wave were applied to all simulations. As a results, the tension of the sand bag line was decreased as the buoy and sand bag line were increased. The minimum tension of the sand bag line was appeared in conditions that the length of the buoy line is twice of water depth and the sand bag line length is over 40 meters (except in case of depth 8 meters.).
        4,000원
        4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재배연령과 화분크기에 따른 절화 생 산량과 개화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륜의 노란화색을 가 지는 심비디움 ‘Golden Tiara’ 품종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 며, 재배연차가 3, 4, 5년차로 증가함에 따른 절화 수확량과 특성을 비교하였다. 절화 수확량은 연차가 증가함에 따라 화 서수가 증가하여 5년차에 3년차에 대비 약 2배 증가하였다. 5 년차에서 화서 길이가 40cm미만으로 상품성이 없는 화서도 있었으나 이를 제외하고도 절화 수량이 가장 많았다. 개화소 요일수는 5년차에서 3년차보다 6일 정도 지연되었고 꽃크기 가 5년차에서 3, 4년차보다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절화 품질의 주요인인 화서 길이와 화수는 연차에 따른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관행의 직경 12cm화분과 직경 22cm의 대형 화분에서 재배하여 4년차 식물체의 개화특성을 비교한 결과, 화서의 길이와 꽃크기가 직경 12cm분에서 보다 대형화분에 재배하였을 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심비디움 ‘Golden Tiara’ 품종의 경우 최소 5년까지 절화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관행화분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 보다 큰 화분으로 분갈이하여 줌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지에 따른 국화 두 품종의 발근과 정식 후 생 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스트가 5분마다 200초씩 분무되고 차광된 유리온실 벤치에서 국화 ‘Gaya Wine’과 ‘Gaya Yellow’ 삽수를 암면큐브, phenolic foam LC, phenolic foam RC, 토실이상토에 삽목하였다. 삽목 21일 후 재배실험 을 위해 발근된 삽목묘의 절반을 상업용 배지가 채워진 화분 에 정식하였다. 발근율은 두 품종 모두 모든 배지에서 100%였다. 최대근장은 ‘Gaya Wine’이 토실이상토에서 6.0cm였으며 ‘Gaya Yellow’는 phenolic foam RC에서 6.3cm였다. 발근수는 두 품종 모두 다른 처리에 비해 토실이상토에서 가장 많았다. 발근단계에서는 ‘Gaya Wine’의 경우 토실이상토에서 가장 생 육이 좋았으나, ‘Gaya Yellow’는 처리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재배단계에서 두 품종 모두 phenolic foam 배지에서 토실이 상토에 비해 초장이 감소하거나 비슷하였고 생장량이 다소 감 소하였다. 또한 재배단계에서 화수는 두 품종 모두 토실이상 토에서 가장 많았으나, 암면과 phenolic foam RC에서는 유사 하였다. 따라서 새로 개발된 phenolic foam RC배지는 국화의 번식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암면큐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46.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ishing capacity and bycatch by mesh size and entrance size of spring net pot conductedby water tank and field experiment. The water 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using traps with mesh size of 22 mm and entrance size of 120 mm and 140 mm, respectively in the water tank of NIFS. Th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5 kinds of spring net pot with mesh sizes of 20 mm, 22 mm, 35 mm and entrance size of 120 mm, 130 mm, 140 mm, 360 mm by coastal trap fishery vessel operating around the area of Geoje island. In the result of water tank experiments, the catch of conger eel was 1.5 times higher when using trap with entrance size of 140 mm than that of 120 mm. In the field experiment, when using same mesh size, the larger the entrance size, the higher amount of conger eel catch, bycatch and number of bycatch species. When using the same entrance size, the larger the mesh size, the lower amount of conger eel catch and number of bycatch species, whereas the amount of bycatch showed increasing trend.
        4,000원
        4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마술”에서 마술과 문학 사이의 상호관계를 설정하여, 그의 신 비주의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을 제시한다. 그에 따르면, 대기억은 인간과 역사에 영향을 미친다. 고대 아일랜드 시골사람들은 그 대기억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었 다. 그는 시인들과 예술가들이 대기억으로부터 이미지를 얻어서 그것을 작품에 형상화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죽 냄비.에서 신비주의 사상의 변형을 다룬다. 냄비는 음식을 만드는 도구이다. 또한 그것은 대기억의 일부분으로써 연금술적 변형을 불러일으키는 원형을 상징한다. 사유, 느낌, 감정을 융합한 냄비는 개인의 지혜와 국가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새로운 ‘물질’로 변형된다.
        4,800원
        50.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rotoge shrimp Pandalopsis japonica is caught by pot and others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Comparative fish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using the dome–shaped pots with different five mesh sizes (17.1, 24.8, 35.3, 39.8, and 48.3 mm) in order to estimate the mesh selectivity of the pot for the morotoge shrimp, Pandalopsis japonica.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catch data. The master selection curve of the pot for the shrimp was estimated to be s(R) = exp(15.770R–10.573)/[1+exp(15.770R–10.753)], where R is the ratio of carapace length to mesh size. From the selection curves, the carapace lengths of 50% retention were 11.6, 17.0, 23.9, and 34.1 mm for 17, 25, 35, and 50 mm mesh–size pot, respectively. It means that the pots of larger mesh size allow more shrimp of small size to escape.
        4,000원
        51.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arfish, a species of Echinoderm, is widely known as a predator on benthic invertebrate.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September, 2011 to November, 2012, using the drum–shaped pots of different mesh sizes (17.1, 24.8, 35.3, 39.8, and 48.3 ㎜) to describe the composition of the catch species and the mesh selectivity of the pot for starfish. Some species including fish, crab, and starfish were caught in the experimental pots.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method was applied to describe the selectivity of the pot for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to be s(R) = exp(10.358R–4.086) / [1+exp(10.358R–4.086)], where R is the ratio of arm length to mesh size. The relative arm length of 50% retention was 0.395, and the selection range was 0.212. The results sh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size of starfish and the mesh size of pot.
        4,000원
        5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화용 나팔나리의 구근 크기, 저온처리 및 입실 시기 에 따른 개화 반응을 연구하였다. 국내 육성 분화용 나 팔나리 ‘White Eve’와 ‘White LoSong’의 구근을 대상으 로 구근의 크기가 18~20cm 일 때 화수가 3개 이상이며 초장은 30cm 정도 였으며, 개화소요일 수는 138일 내외 로 소요되었다. 한편 국내 육성 분화용 나팔나리 ‘Charm’ 의 저온처리에 따른 개화용 구근의 휴면타파 시험 결과, 2주간 15oC에서 예냉 후에 6주간 4oC에서 저온 처리 후 15oC 온실에 정식하면 개화율이 100%였고, 정식 후 개 화소요일은 135일이었고, 개화수는 6개 이상으로 양호하 였으며, 초장도 30cm 이하로 상업적 분화용으로 적절하 였다. 분화용 나팔나리 ‘White Eve’를 대상으로 11월 15일, 12월 1일과 12월 15일의 정식시기에 따른 개화시 기는 야간 처리온도가 15oC일 경우 10oC보다 10 ~ 20일 정도 빨랐고, 정식시기가 늦을 수록 개화시기가 빨라서 15oC에 12월 15일 정식은 115일이 소요되어 4월 초에 개화되었다. 나팔나리 구근의 크기 18 ~ 20cm를 2주간 15oC에서 예냉 후에 6주간 4oC에서 저온처리 후 15oC 온실에 정식하면 우수한 분화 생산이 가능하다.
        4,000원
        5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ilium Asiatic Hybrids ‘Mount Dragon’, ‘Angelique’, ‘Fortune’, ‘Genovië’ 등 분화용 나리 4품종 을 공시 재료로 2013년 3월 3일부터 5월 2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식재시기를 5단계로 하여 재배 한 후 생육특성 을 조사하여 농가에서 분화용 나리의 출하 계획 및 화단 의 식재 계획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Mount Dragon’ 은 정식후 식재 시기에 따라 개화까지 59일 ~ 95일이 소 요 되어 조생종 이었으며 다른 실험 품종에 비하여 엽 수가 85개 ~ 101.6개로 많아 관상가치가 높았다. 또한 식 재 시기 간에 초장 및 개화 수 등의 차이는 많지 않았 으나 4월2일 식재시 엽수 및 개화수 가 많았으며 개화 소요일수가 짧고 개화기간이 13.6일로 가장 길어 상품 성이 좋았다. ‘Angelique’는 3월 ~ 5월 식재 시 초장은 30 ~ 40cm 였으며 특히 3월 18일에 식재 한 경우 개화 수가 6.7개로 4~5월 식재의 경우보다 많아 분화로서 품 질이 우수하였다. ‘Fortune’은 5월 2일 식재 시 개화 소 요일수가 83.5일로 가장 짧았으며 꽃의 크기는 식재시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개화수는 4월 2일에 식재 하였을 경우 5.4개로 가장 많았다. 3월 식재의 경우 개화기간은 6.5일로 길었으나 초장이 61.0cm 이상 이어서 분화로서 상품성이 양호하지 못했다. ‘Genovië’은 정식 후 개화 까지 식재 시기 별로 88 ~ 130일 만에 개화하여 본 실 험에 사용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만생종 이었다. 특히 4월 17일 식재의 경우 개화수가 6.2개로 가장 많았고 꽃 의 크기는 15.8cm로 가장 컸으며 개화기간이 10.0일로 가장 길어 분화용으로 양호하였다.
        4,000원
        5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분화용 나팔나리 일대 잡종 ‘Charm’의 자구를 개화용 구근으로 비대시키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의 크기, 식재 간격, 깊이 및 시기를 조사하였다. 자구의크기가 2cm에서 8cm를 식재한 후 수확한 구는 8cm에서구의 둘레가 16cm 이상이었고, 개화 구근(구 둘레 15cm이상)의 비율이 62.5%로 가장 높았다. 구의 둘레가 6cm인 자구를 간격 7.5×7.5cm 이상으로 식재하였을 때, 구근의 둘레가 14.7~15.2cm이고, 무게는 28.2~30.8g이었으며, MFB(marketable flowering bulb) 비율은 48.0~49.8%로 유의 차이가 없었으나 구근의 생산 수량을 감안하면7.5×7.5cm가 가장 이상적이다. 소구의 식재 깊이는 맹아율과 분구율, 구의 둘레를 고려하여 보았을 때, 깊이3~5cm의 식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노지에서 상자에 식재한 소구는 동절기에 모두 동사하였고, 포장에 식재한 소구는 맹아율 17.8%이었으나 무가온 온실에서 상자에 식재한 것은 90.5%이었다. 노지 식재에서 무피복의 맹아율은 0%, 비닐 피복은 13.4%, 짚 피복은 29.6%로 나타났다. 소구의 크기가 4cm를 10월 10일, 10월 27일과11월 10일에 무가온 온실에 식재하였을 때 맹아율은 모두 90% 이상이었으나, 일찍 심을수록 구의 무게가 커서10월 10일 식재인 경우 구 둘레가 13cm가 되었다. 따라서분화용 나팔나리는 구 둘레가 8cm 정도인 자구를 10월 초에 간격 7.5×7.5cm, 깊이 5cm로 식재하여 이듬해 9월에 굴취하면 충분히 구 비대가 되어 개화용 구근으로 이용할 수 있다.
        4,000원
        5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nely-striate buccinum Buccinum striatissimum, a species of whelks, is caught mainly by pot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In order to determine the size selectivity of pot for the species, comparative fis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near Yeongil Bay from June to September in 2003 using the dome-shaped pots with different five mesh sizes (17.1, 24.8, 35.3, 39.8, and 48.3 mm). The parameters of logistic equation were estimated by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method based on a multinomial distribution. The model with the estimated split parameter was found to fit the catch data best.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to be s (R)=exp (13.044R-16.438)/[1 + exp (13.044R-16.438)], where R is the ratio of shell height to mesh size. The relative shell height of 50% retention was 1.260, and the selection range was 0.168. Enlargement in mesh size of the pot allows more small-sized whelks to escape.
        4,000원
        57.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희귀특산식물인 섬현삼의 식물 생활사의 전반적인 단계를 종자 발아와 분화재배를 통해 구명하여 현지외 보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자 발아는 30일간 저온습윤처리하여 증류수에 48시간 침지처리한 종자를 클라스만 상토가 채워진 육묘용 묘판에 파종 후 50% 차광처리시 66%의 최대 발아율을 나타냈다. 분화재배는 유묘크기가 소(초장 2.5 cm, 엽수 4매, 엽폭 1.2 cm, 엽장 1.7 cm)인 식물을 원예용상토가 충진된 분화용기에 이식하여 무차광처리에서 재배시 초장 39 cm, 엽수 29매, 엽폭 9.1 cm, 엽장 5.9 cm, 근장 14.2 cm, 지상/지하부 생중량 및 건중량이 각각 23 / 5.3 g, 4.6 / 1.3g 이상의 우수한 생육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조건에서 94% 이상의 개화율을 나타내었고 모든 개화 개체에서 종자결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섬현삼의 현지외 보전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확립하였다. 따라서 증식된 섬현삼 개체에 대해 현지외 보전 뿐만아니라 다양한 연구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4,200원
        5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MCP의 농도별 및 처리시간별 처리가 분화 심비디움 ‘Goldenbell’ 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개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100% 정상적으로 개화하였으나 낙화율은 처리 간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1-MCP 0.168 mg·m-3 처리구는 무처리와 0.021mg·m-3 처리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에틸렌 발생량도 1-MCP를 120분간 0.168 mg·m-3 처리 시 무처리 1903.3 mL·h-1·kg-1에 비해 867.6 mL·h-1·kg-1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분화심비디움의 품질선도유지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0.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adjacent sea of Yeongil Bay, the eastern cost of Korea from 2003 to 2004 using the dome-shaped pots with different five mesh sizes (17.1, 24.8, 35.3, 39.8, and 48.3mm) in order to determine the size selectivity of pots for the whelk, Buccinum opisthoplectum. The catch species were composed of Buccinum opisthoplectum (45.4%), Buccinum striatissimum (30.1%), Pandalopsis japonica (9.3%), Chionoecetes opilio (8.9%), and so on. The shell height (l) of Buccinum opisthoplectum caught in the experimental fishing pots was measured.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analysis method was applied with fishing data to obtain master selection curve. The model with the estimated split parameter was found to fit the catch data best.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to be s (R)〓exp (7.833R-10.871)/[1 + exp (7.833R-10.871], where R is the ratio of shell height to mesh size. The relative shell length for 50% retention was 1.388, and the selection range was 0.281. It means that the pots of larger mesh size allow more whelks of small size to escape.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