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1

        41.
        2018.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 제시한 도시재생은 물리적 재생, 경제적 재생, 사회적 재생으로 구분된다. 본 논문은 서울시와 경기도 그리고 인천의 도시재생과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추진현황을 살펴 보았다. 도시재생 사업은 사람 중심 사업이 되어야 한다. 즉 낙후된 지역의 환경개선을 통해 도시 전체의 미관을 높여서 공공의 자산 가치를 높이는 것에 목적을 두어야한다. 또한, 도시재생뉴딜은 도시재생법 상의 도시재생과는 개념적으로 유사해도 내용적으로는 상당히 다르다. 이는 단순한 기존 재생의 확장이라 할 수 없다. 현재의 조건방식으로 추진되면 도시재생뉴딜은 사실상 과거의 재개발 또는 재건축의 소규모화 모델이 될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주민참여와 사회적 약자를 위한 통합적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주민들의 삶의 만족 제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위로부터의 도시재생에서 아래로 부터의 도시재생 패러다임 전환과 지속가능한 주민참여를 전제로 한 통합적 도시재생이 제도화되어야 하고 그 개선방안들을 복합적이고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돼야 할 것이다.
        6,100원
        42.
        2018.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하여 삶의 질 향상과 지역균형발전, 지속가능성 구축을 통한 공동체 회복과 사회통합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 중에 나타나는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대응방안을 파악하여 그 해결안을 제언하기 위한 것이다. 재생사업의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해결방안을 찾기 위한 설문조 사와 실증연구를 통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조사결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사회의 발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약자인 임차인의 안정적인 영업기반 보호에 대한 대책으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개정추진과 실천가능한 입법적, 정책적, 조례제정등으로 문제를 해결 하여야 한다.
        6,300원
        45.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ole of demineralized and particulate autogenous tooth, and interleukin-6 in bone regeneration. A demineralized and particulate autogenous tooth was prepared and human osteoblast-like cells (MG63) and human osteosarcoma cells were inoculated into the culture. The rate of cell adhesion, proliferation and mineralization were examined, and the appearance of cellular attachment was observed. An 8 mm critical size defect was created in the cranium of rabbits. Nine rabbi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An experimental group A (3 rabbits), in which a demineralised and particulate autogenous tooth was grafted; an experimental group B (3 rabbits), in which a demineralized, particulate autogenous tooth was grafted in addition to interleukin-6 (20 ng/mL); and a control group.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t 1, 2, 4 and 6 weeks fo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ith H-E and Masson’s Trichrome, and immunohistochemistry with osteocalcin. The cell-based assay showed a higher rate of cell adhesion, mineralization and cellular attach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nimal study revealed an increased number of osteoclasts, newly formed and mature bon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ventually, a higher number of osteoclast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 However, the emergence of newly formed and mature bone was lower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 A.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demineralized and particulate autogenous tooth and interleukin-6 is not effective in stimulating bone regeneration during the bone grafting procedure.
        4,000원
        4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흡수/재생 공정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아미노산염 흡수제의 연속재생을 통해 재생효율을 확인하였다. 재생효율은 공정적용에 있어 경제성에 큰 영향을 끼치는 인자로, 보다 경제성 있는 이산화탄소 흡수/재생 공정 확립을 위해 연속재생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아미노산염은 Potassium L-lysinate와 Potassium L-alaninate이며, 각 아미노산과 Potassium hydroxide(KOH)를 1:2 몰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흡수제의 재생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두 물질에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흡수시킨 후 가열을 통해 이산화탄소 탈리실험을 진행하였다. 반응초기에는 L-alanine의 반응속도가 빠르게 이루어졌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수량이 보다 큰 L-lysine이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였다. 두 물질의 재생효율을 비교하였을 때, L-alanine은 47.26%, L-lysine 은 62.11%로 L-lysine이 더 높은 재생효율을 나타내었다. 흡수량 및 재생효율이 좋은 L-lysine을 이용한 연속재생 실험결과, 재생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재생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4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duction of regeneration and the maturation of the free-living gametophytes of Undaria pinnatifida were studied at temperatures (5, 10, 15 and 20℃), irradiance (5, 10, 20 and 40 μmol photons m-2 s-1) and photoperiods (14 : 10, 12 : 12 and 10 : 14 h L : D). Female gametophyte fragments were maintained in active regeneration without them reaching sexual maturity under conditions of 15℃, 20 μmol photons m-2 s-1, 10 : 14 h (L : D); by contrast, the conditions for male gametophytes were slightly different at 15℃, 5 μmol photons m-2 s-1, 14 : 10 h (L : D). The sexual maturation of female and male gametophytes took place under 5℃, 20-40 μmol photons m-2 s-1, 10 : 14 h (L : D) and 15℃, 40 μmol photons m-2 s-1, 10 : 14 h (L : D), resp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egeneration and matura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for srain improvement as well as the cross breeding of U. pinnatifida.
        4,000원
        48.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사용 후 손상된 정수기용 RO 여과막을 코팅하여 복원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용된 고분자로는 PEI (Polyethyleneimine) 와 PSSA (Polystyrene sulfonic acid)을 사용하였으며, 계면중합을 코팅을 통해 진행하였다. 손상된 막은 3,450 ppm의 NaOCl 용액에 노출시켰고, NaCl 100 mg/L의 공 급액에서 NaOCl 노출전과 후, 코팅된 RO막에 대한 투과도와 제거율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PSSA, PEI 코팅용액의 농도와 코팅시간, 이온세기를 달리하여 실험 을 진행하였다. NaOCl 노출 전과 코팅 후 막의 성능을 비교했을 때, 염 제거율 이 3% 정도 감소되었는데, 이의 결과로 RO막 복원을 통하여 재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research-based urban design project that explores how a landscape approach could contribute to regenerating a decrepit residential district. The focus is on a post-war housing area in Rotterdam, the Netherlands, called Groot-IJsselmonde. This site is a typical example of a post-war district in the Netherlands, with a layout clearly defined by plenty of green; good infrastructure; and a clear division among living, working, and recreation spaces. This research defines how this restructuring effort has been applied to the post-war neighborhoods in this district and what landscape architecture can contribute to this community’s sustainability.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design of open spaces can improve community sustainability, this research ponders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ing post-war neighborhoods in the present day? What are the strategies for restructuring these neighborhoods? And what is the new role of landscapes in contemporary cities, especially in post-war neighborhoods? Also, as it is understood that a spatial program is the engine of a project and that urban agriculture has potential as a restructuring tool, in this study “productive landscapes” are employed as a major concept in the design and operationalized in a physical setting. In the end, this research proposes adding a productive function to any unused green areas and meaningless landscapes to help enhance both the economic and social elements of the community. As it is situated in a similar social context to this Dutch case (such as having entered a post-industrial society and regarding apartments as the major housing sys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and practical lessons for current urban regeneration in Korea.
        4,200원
        5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show how electronic game components can galvanize into the outdated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game mechanics and PX(player experience) for the interactive urban regeneration design with gamification. Urban regeneration involves the old public, private and community sec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life and to reach a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economic. The gamification is the idea of using game-thinking and game mechanics to solve problem and engage players, so theoretical background of gamification is based on game design studies such as game components and MDA framework which consists of mechanics, dynamics, and aesthetics. Most of researchers regard game mechanics as game components and converse, but game mechanics is representative of these two terms. So this paper treats game mechanics as the first effective factor for successful urban renewal. Such games which have huge fans bring the powerful and manipulated user experience, a well-gamified applications can provide players (stand for users, audiences, customers, clients, buyers, learners, patients, soldiers, etc) with the supreme user experience, aka PX(player experience) causing playful behavior and a positive mindset. The main goal of gamification of urban regeneration is to encourage greater engagement in renewed town people(player) and aiding in creating richer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events through game mechanics and PX. Also this paper shows tens of gamification ideas for interactive urban revitalization.
        5,100원
        5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소특정성을 살린 그라피티를 이용하여 도시를 재생시키 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를 위해 이론적 배경 스터디와 사례분 석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장소특정성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 해 공공미술의 장소특정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이론에서 는 공공미술이 ‘장소에 결합하는 예술’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듯이, 공공미술에서 장소특정성은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개념으로 다루고 있 으며 많은 공공미술 사례를 통해 장소특정성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공미술로서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현 대의 그라피티는 과거의 낙서 수준에서 벗어나 대중에게 더욱 친밀하게 다가선 거리미술로서 공공미술과 마찬가지로 장소특정성이 있으며 지역 적 특수성과도 상관관계를 맺고 있고 심지어 사회적 영향력과 커뮤니케 이션 효과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인,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을 이용 한 도시재생 방안을 찾기 위해 도시재생을 위해 지자체가 추진하고 있는 그라피티 조성사업 사례를 조사하였다. 동두천에서 추진 중인 도시재생 을 위한 보산동관광특구 그라피티 조성사업 사례를 조사하고 이론적 배 경에서 제시된 장소특정성 공공미술의 중요한 요소 세 가지를 분석의 틀 로 이용하여 분석한 후, 그라피티 조성사업에서 장소특정성을 보완하는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언한 내용은 세 가지로, 그라 피티 작품과 장소는 상관관계를 맺어야 하며 참여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과 공공미술로서 지역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공 공의 표현매체로서 사회적 영향력과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고려해야 한 다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동두천의 특수한 장소적 맥락에 따라 장소특 정성이 강화된 그라피티를 이용했을 때, 그라피티가 도시재생에 긍정적 으로 기여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6,300원
        5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ammary gland is a complex organ, made up of various cell types that work together for mil synthesis. A previous study had established a clonal cell line from primary bovine mammary alveolar cells (MAC-T) for the study of bovine milk production and synthesis. In this study, we transplanted MAC-T bovine alveolar cell line to BALB/C nude mice for regeneration of bovine mammary gland alveolar ducts. The MAC-T cells were suspended with matrigel and injected into the dorsal tissue of 8 weeks old male BALB/C nude mice. After 6 weeks, the injected cells were showed typical morphology of the tubuloalveolar female glands by histological analysis. It was made the branching ducts that were surrounded by smooth muscle with small alveoli budding off the ducts. In addition, the epithelial markers CK14 and CK18 were expressed within the duct-like structure. Prolactin was detected in the duct interior in these CK14 and CK18 positive cells but not in the non-transplanted MAC-T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duct-like tissue had been successfully formed after 6 weeks of transplantation of the CK14 and CK18 positive MAC-T cells into mice dorsal tissue. This mouse model will be a useful tool for further research on the bovine mammary gland.
        5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천연림을 구성하는 어떤 수종집단의 갱신은 대부분 종자 비(seed rain)로 낙하된 종자 또는 매토종자가 발아하여 치 수, 성목으로 자라면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는 발아에 적 합한 입지조건이 필요하며, 발아묘를 가해하는 동물, 다른 식물들의 방해, 열악한 환경조건에서의 생존능력 등이 관련 된다(Kimmins, 1997). 한편 Grubb(1977)은 천연갱신에는 개화, 수분 및 결실을 포함한 활력 있는 종자생산, 발아, 정착, 성장 등의 단계가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천연 림의 생태적 영속성이 유지되려면 가장 먼저 충분한 종자, 건전종자가 환경공간에 공급되는 일이 이루어져야 한다. 종 자생산의 연년변이와 이에 대한 원인과 생태학적 변화에 대한 이해가 숲의 갱신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건전종자의 생산은 어떤 종의 천연림 생태계에서 지속적인 생존에 가장 기본적인 요건이며, Masaki et al. (2007)은 치수발생 밀도 는 낙하종자 밀도로 설명됨을 보고하였다. Wesolowski et al. (2015)은 보호지역 천연림에서 우점하는 5종의 종자생 산 연년변이가 현저함을 보고했으며, 종자생산의 습성은 수 종마다 다르며 나름대로 생존을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을 가 지고 있다고 알려졌다. 북반구 수목의 종자생산 연년변이는 진화의 전략이며, 내생적 종자 생산주기(결실주기)는 관찰 되지 않았고, 종자생산의 연년변이는 실무율의 법칙(all or none law)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정규분포함을 보고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수액을 음료용으로 이용하고 목재도 특수 용도로 활용되며, 조림수종으로 조림수요가 있는 고로쇠나 무의 천연갱신에 임상긁기(Figure 1)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종자풍년(masting year)인 21013년 가을, 양구군 해안면의 고로쇠 채종림에서 소형방형구(2×2m)를 4곳에 설치하고 종자낙하량, 치수발생량, 치수의 생육상태를 2015년 가을 까지 조사하였다. 발아묘가 발생한 이후 주기적으로 경쟁식 생을 제거하는 작업과 발아묘의 생육상태 및 개체수를 확인 하였다(Figure 2, 3). 현재까지의 주요 결과는 고로쇠나무의 발아묘의 형태적 특성, 발아묘의 피해양상, 시기별 발아묘의 개체수 등에 대 한 주요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2013년 종자풍년 이후에 2014년 봄에 다량의 발아묘가 발생하고 발아묘는 경쟁과 잎벌레류의 피해로 개체수가 점차 줄어드는 변화를 보였다. 고로쇠나무림 내에서 생육 중인 치수들이 드문드문 분포하 는 것을 고려하면, 다수의 발아묘가 생존하는 것은 부정기 적이나 종자풍년 이듬해 발생하는 다량의 발아묘가 피해발 생에도 불구하고 다수 생존하여 천연갱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일정기간 추가적인 조사ㆍ연구가 필 요하다. Figure 1. Injured seedlings of A. pictum subsp. mono in late May, 2015 Figure 2. Making regeneration bed in late August, 2013 Figure 3. Germination of A. pictum subsp. mono seed in early May, 2014 REFERENCES Kim, G.T. and H.J. Kim(2013) Secondary Dispersion of Several Broadleaved Tree Seeds by Wildlife in Mt. Jungwang, Pyeongchang‐.gu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1): 64-70. Kim, G.T. and Kim, H.J. 2012. Sex morph, fruiting habit, and seed viability of Acer palmat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 91-95. Masaki, T., K. Osumi, K. Takahahi, K. Hoshizaki, K. Matsune and W. Suzuki(2007) Effects of microenvironmental heterogeneity on the seed-to-seedling process and tree coexistence in a riparian forest. Ecol. Res. 22: 724-734. Wesolowski, T., Rowinski, P. and M. Maziarz(2015) Interannual variation in tree seed production in primeval temperate forest: does masting prevail? Europe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4 : 99-112.
        5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lan aims to seek ways of regeneration in active utilization of local assets’ potentials such as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as well as natural landscape resources of Samnye-eup, which was prosperous as the largest station town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as an agricultural center around Mangyeong plain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plan consists of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nalysis of current conditions, basic concept, and business plan in the order. As for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domestic researches on the use of local assets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and existing plans for regeneration projects were examined to come up with ways of utilizing local assets for the Samnye-eup regeneration plan. In the analysis of current conditions, specific information on Samnye-eup was collected to verify the need for the general regeneration project that embodies original projects for local asset utilization in each district. As for the basic conception, this regeneration plan envisions the reutilization of three types of storage facilities, utilizing closed grain warehouses scattered about in that region. The focus of filling ‘Farming Storages’ is to strengthen the residents’ capability through creative education customized for each generation and cla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city and in association with the local university. Second, filling of ‘Sensible Storages’ has the objective of filling the largest posthouse town in Honam region, the historic place of food plunder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ith sophisticated cultural arts. Third, filling of ‘Food Storages’ is to establish a cooperative economic community in harmony with the local food, natural landscape, and cultural environments to overcome the general agricultural decline. The business plan includes collecting opinions from and discussing with local residents and related divisions in addition to expert forums. The filling of three types of storages are classified to the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 social regeneration project, and economic regeneration project, each of which forms a cycle in mutual complementation. In addition, this plan seeks synergy effects by complementing existing projects conducted by the central division and Wanju-gun.
        4,000원
        5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잔디에 있어서 낮은 형질전환 효율의 직접적인 원인 중 에 하나인 낮은 캘러스 유도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을 개선 시키기 위하여 잔디 완숙종자의 전처리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살균한 잔디종자에 swelling 처리를 10분간 실시한 후, sea sand를 이용 하여 sea sand와 종자의 비율을 1:1로 한 다음, shaking 처리는 vortex speed 6 (1,000 rpm)에서 처 리시간은 10분간 전처리를 실시하였을 때 무처리구에 비해 2배 이상의 배양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sea sand로 전처 리한 잔디종자로부터 형성된 캘러스를 식물체 재분화 유도 배지에 치상했을 그 효율이 훨씬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중 아무 때나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잔디 완숙종자로부터 유도시킨 캘러스 세포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으로 형질전환하는데 있어서 그 효 율을 향상 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추측된다.
        4,000원
        5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된 경관법과 도시재생법의 상호연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특히 실행력이 약한 경관법의 단점을 도시재생법과의 상호연계를 통해 경관계획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최근 개정된 경관관련 법⋅제도와 도시재생관련 법⋅제도의 주요 내용과 다른 법과 경관법 간의 관계, 경관법과 도시재생법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사례연구에서는 미국의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과 BID를 선정하고 경관과 연관성이 많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고찰 하고 한국의 도시재생 선도지역 중 창원시와 순천시를 선정하여 도시재생활성화 계획내용에 대해서 경관과의 관련성을 고찰한다.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서 경관법과 도시재생법의 연계 필요성과 연계방안을 도출하였다. 경관법과 도시재생법 의 주요 연계방안으로는 경관법에 의해 도시재생사업의 경관심의를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과 도시재생법에 의한 전략계획 및 활성화 계획 수립 시 상호 연계하는 방안,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의 경관협정을 유도하는 방안이 도출되었다.
        4,500원
        5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재생을 위한 플레이스 브랜딩 구축으로 도시 활성화를 위해 차별화된 플레이스 브랜드 개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공사례를 토대로 각 도시마다 지니고 있는 문화상징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 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시 재생은 쇠퇴하고 낙후된 구도시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없애고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재활성화 를 추진하는 사업이다. 도시재생이라는 도시발전 전략을 통해 이루어진 효율적인 브랜딩 구축은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 고 방문자와 거주자를 포함한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레이스 브랜딩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플레이스 브랜딩 전략을 도입하여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이미지 구축 과정이 필수적이다. 플레이스의 핵심 가치를 찾아내고 그 가치들을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합시킴과 동시에 그 가치를 증대시키 는 적극적인 전략이 요구되며 이러한 이미지 구축 과정에서 문화상징요소의 활용이 필요하다. 플레이스 브랜딩의 가치는 지역의 문화상징요소들의 상징화와 구체화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지역 및 도시 브랜드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차별화된 플레이스 브랜딩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상징요소들을 파악하고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지역 고유의 역사성, 특수성, 상징성의 문화를 활용 한 플레이스 브랜딩 전략구축이 있어야 한다.
        4,000원
        60.
        201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ve been keen interests in regeneration of old industrial parks. Applying for policies and business, various indices on deterioration of inner industrial parks have been researched. However, to make regeneration projects work in actual, the condition of economic feasibility has to be met. This study focused on the economic condition of regeneration by enlarging existing indices to those of surrounding area and location as well as business environment. By applying the indices to 83 old industrial parks, which are more than 20 years old, 8 types of involvement i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deduced. Among 8 type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cases were type 4 and 5, which are appropriate for regeneration and restructuring respectivel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