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4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ermented soybean food is one of most economical and health food due to its valuable nutritional and medicinal attributes and have been consumed for centuries as flavoring ingredient in Korea. On fermented soybean food such as doenjang, aroma compounds are important property because they determine taste and grade of ferm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variety of aroma compounds of doenjang made from different soybean genotypes. Aroma compounds in twelve different doenjang made from two cultivar (Daewon and Taekwang) and ten elite lines were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 method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roma compound were detected over 80 kinds in eight samples (Daewon, Taekwang, MY177, MY187, MY189, MY192, MY204 and MY205) and under 70 kinds in four samples (yeonchun1, MY188, MY203 and MY206). Among the detected aroma components, 47 compounds were assigned as aromatic compounds (21), long chain fatty acid (13), short chain fatty acid (5) and others (8) by the computer library (Wiley 7n program). The major aroma compounds in twelve different doenjang were benzaldehyde, benzeneacetaldehyde, 2-methoxy-4-vinylphenol, pyrazine type compounds, cysteaminesulfon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Each doenjang made by same condition (microbe, temperature, aging time and etc) had a difference in ratio and variety of aroma compounds due to different components having soybean genotype.
        4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lored soybean for cooking with rice have been used traditionally in Korea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ountries. Although many soybean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for cooking with rice since the launch of the first cultivar Geomgeongkong1 in 1994, the breeding history of soybeans for cooking with rice is not quite long comparing to that of soybean paste/ bean curd and soy-sprout. In addition to developed cultivar, various landrace soybeans have still used for cooking with rice to Kore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useful breeding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Korean landrace germplasms, especially black and/or green color seed coat soybeans. About five hundred eighty Korean colored soybean landraces were investigated for agricultural traits in experimental field and for DNA diversity using five SSR markers which showed high polymorphism between Korean soybean cultivars in a previous study. PowerCore (v. 1.0) software (http://genebank.rda.go.kr/PowerCore/) was used to analyze diversity of our landraces and to construct core set. In conclusion, we could obtain core set of forty-five germplasms by PowerCore analysis. Satt002 in analysed five SSR markers had twenty-two alleles and well represented diversity of black and/or green color germplasms.
        4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dicinal soybean, which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cancer, heart disease, osteoporosis, and renal failure, is drawing people’s attention among other beans in recent days. This experiment was to examine the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isoflavone in 53 kinds of soybeans cultivated and collected in Yeo-Ju, Gyeonggi-do region. The total average content of phenol is 29424.34㎍/g and the most and least phenol were detected in No. 35(814.98㎍/g) and No. 28(353.66㎍/g) respectively. Myricetin was detected the most resveratrol whereas detected the least amount which was less than 0.2% of the total amount among all medicinal soybean samples. Total average isoflavone content was 35910.56㎍/g and the most and least isoflavone was detected in No. 15 (996.66 ㎍/g ) and No.9 (476.18㎍/g )respectively . Malonylgenistin was detecteded the most genistein whereas detected the least amount which was less than 0.02 % of the total amount in all medicinal soybean sample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s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of the functional food manufacturing by utilizing domestic medicinal soybean.
        44.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uminum (Al) toxicity in plants is one of the major limitations to crop growth on acid soils. The Al-induced change of H+-ATPase expression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mechanism for Al tolerance in soybean. To investigate whether translational regulation of plasma membrane H+-ATPase is involved in the response to Al stress, we conducted western - blot of this protein. The results show that western - blot of plasma membrane H+-ATPase in the "Sowon" (Al tolernac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anslational expression level, while citric acid (50 μM) with Al (50 μM) treatment has not effected. In contrast, Al sensitive cultivar "Poongsannamool" inhibited expression level of plasma membrane H+-ATPase with Al treatment. Two - dimensional gel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tein induction patterns of control and Al (50 μM, 24 h) treated soybean. There are many changes of plasma membrane proteins in both cultivars under Al stress. Especially "Sow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the expression of the plasma membrane H+-ATPase in Al treatment. But protein expression of "Poongsannamool" was less than "Sow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ulatory role of plasma membrane H+-ATPase may involved the tolerance mechanism in soybean roots. At the present, transcriptional level of H+-ATPase is under investigation.
        47.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판매되고 있는 브랜드콩 100개(장류용 콩 32개, 검정콩 45개, 약콩 17개 및 나물용 콩 6개)를 2006년에 전국의 중대형마트에서 수집하고, 대비하기 위하여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콩 10개를 수집하여 표시의 정확성과 외관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브랜드콩의 명칭은 영양성, 친환경 또는 친근감을 느끼는 용어와 함께 장류용 콩은 백태와 황태, 검정콩은 검정콩, 서리태, 늦서리태, 흑태, 청태, 속청, 속태, 그리고 약콩과 나물용 콩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하였다. 2. 시판되는 콩의 판매단위는 1 kg 포장이 30%이고, 500 g 포장이 59%였으며, 최소포장단위는 200 g이었다. 표시중량과 실중량의 편차는 70%가 ±1% 였고, 약 2/3는 실중량이 표시중량 이상으로 비교적 정확하였다. 3. 상품에 무농약 농산물로 표시된 것이 6개였고, 특품 또는 상품으로 표시된 것이 9개였으나 외관 품질과는 관계가 적었다. 4. 상품화되어 판매되는 콩의 100립중 범위는 장류용 콩이 23.7~47.8g , 검정콩은 21.9~44.5g 그리고 약콩과 나물용 콩은 9.5~15.0g 이었다. 장류용 콩과 검정콩은 100 립중 범위가 비슷하였으나 장류용 콩은 29 g 이하가 63%인데 비하여 검정콩은 78%가 30 g이상으로 검정콩이 대체적으로 굵었다. 5. 장류용 콩과 검정콩을 크기 6.70 mm 체로 선별하였을 때 남는 콩의 비율은 평균과 최대치가 각각 87.4%와 86.5% 및 99.9%와 99.5%로 비슷하였으나 최소치는 각각 70.7%와 14.4%로 차이가 컸다. 콩의 100립중과 6.7mm 체로 선별하여 남은 콩의 비율은 유의한 정의 상관(각각 0.7488**과 0.7874**)이 있었다. 6. 종실의 100립중이 30 g 이상인 것들은 선별 비율이 90% 이상으로 차이가 작고 종실의 크기가 균일하였으나, 30 g 이하인 것들은 100립중이 낮을수록 선별되는 비율이 낮아 균일도가 떨어졌다. 7 제색(臍色)과 종실의 형태에 의하여 종실의 혼입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집 브랜드콩의 76%는 10% 이상 서로 다른 종실들이 혼합되었는데, 장류용 콩은 90% 이상 혼입되어 검정콩 또는 약콩과 나물용 콩에 비하여 혼입율이 높았다. 8. 상품의 20%에 돌, 포대조각, 나무 조각, 곤충의 유충, 균사, 이종 콩 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섞여 있어 상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9. 브랜드콩의 용적중은 762 g L1였고, 645~820gL1의 범위로 변이가 컸으며, 장류용 콩이 747gL1로 가장 낮았고, 약콩이 758gL1로 가장 높았다. 10.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콩과 브랜드콩은 100립중, 정립율, 이물질 함량, 용적중 등 품질 평가 기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51.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논과 밭에서 콩 생산성과 생육 형질들의 측정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콩 수량은 논보다 밭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개체당종실수는 밭에서 100립중은 논에서 높은 경향이였다. 논에서 태광콩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대원콩과 황금콩 순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밭에서는 황금콩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기록했고 대원콩과 태광콩 순으로 높았다. 2. 밭에서 수확지수는 태광콩과 황금콩이 논보다 높았고 대원콩은 논에서 밭보다 유의성은 없었으나 높은 경향이었고, 전체적으로 대원콩이 논 밭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3. 100립중은 태광콩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대원콩은 밭에서 황금콩은 논에서 높았다. 4. 엽의 녹색도는 논과 밭 재배조건 모두 파종 후 4주차부터 감소되었으나,논의 경우는 6주차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후 증가하였으며 밭의 경우는 5주차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후 6주차부터는 상승하였다. 5. 지상부 건물중, 협 건물중, 협수, 경장, 경직경은 태광콩과 황금콩이 밭보다 논에서 높았으며 대원콩은 밭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협 생체중은 논 밭 모두 파종 후 9주차부터 점차 상승하였으나 1 cm 이하의 협수는 논에서는 12주차, 밭에서는 11주차 이후에는 세 품종 모두 증가되지 않았다. 7. 작물생장율(CGR)은 논재배콩이 밭보다 파종후 8주차 이후부터 높은 경향이었고, 13주차에서는 대원콩이 타 품종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밭에서는 파종후 12주차부터 15주차까지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 순으로 높았다. 8. 개체당종실수와 수량간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9.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논에서는 파종후 5주차를 제외한 4-15주차 사이에 0.8내외의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밭에서는 4, 5주차에서 상관이 낮았고 나머지 기간에는 논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10.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과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이 좌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질소흡수량이 같더라도 총영화수와 수량은 연차간에 차이를 보였다.rotease 활성과 생물학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V는 앞으로 바이러스와 기주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병원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300℃ 이하, 공정압력 1 Torr, 그리고 bias전압과 기체 혼합비를 변화시키면서 증착하였다. 증착시 in-situ OES 분석결과 플라즈마 내의 질소종의 함유량 변화에 따라 증착속도가 크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많은 질소기체를 인입하면 질소종이 많아지지만 증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박막내 탄소의 함량이 커지면서 막질이 비정질로 바뀌고 미세경도 또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in-situ 플라즈마 진단분석이 전체 PEMOCVD 공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고, Ti(C,N)과 Hf(C,N) 코팅막의 탄소함량과 미세경도는 플라즈마내의 CH과 CN radical종의 세기에 크게 의존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f(C,N) 박막의 경우도 Ti(C,N) 박막의 경우와 유사하게 최대 미세경도값(2460Hk0.025) 이 -600 V bias 전압과 10% 질소기체 혼합비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졌고, 이는 박막이 주로(111) 방향으로 성장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포 점수에서 III 군이 1.6±0.6 으로 I 군 2.8±1.2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압력 조절형 출혈성 쇼크 모델에서 시행한 저체온법은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군에 비해 쇼크 상태에서의 기초대사량을 줄여줌으로써 허혈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저체온법은 수액의 사용량을 줄여주고 IL-8등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며 백혈구의 침윤을 줄여
        52.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asaponins A1 , DDMP-conjugated group B soyasaponins αg~;and~;βg , non-DDMP counterpart soyasaponin I, II+III, and DDMP moiety were quantified in the large-, midium-, and small-seed soybean varieties. Protein contents were ranged from 38.1% to 41.8%, and oil contents were ranged from 15.5% to 18.9%, respectively. Oil contents in the large-seed varie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edium- and small-seed varieties. Among detected soyasaponin peaks, βg was a major soyasaponin in DDMP-conjugated group B soyasaponins followed by soyasaponin I, DDMP moiety and A1 . Soyasaponin concentration among different seed size soybean varieties. The soyasaponin concentration of mediumseed (4014.5~mug/g )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largeseed (3755.0~mug/g ) and small-seed varieties (3620.3~mug/g ), however, the differences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composition rates of soyasaponins in the large-size seeds were 9.4% of soyasaponin A1 , 26.5% of DDMP-conjugated soyasaponins, 49.9% of non-DDMP counterpart soyasaponins, and 14.2% of DDMP moiety,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ion ratios of middle- and small-size seeds. Oil content and C:N ratio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otal soyasaponin concentration, while the 100-seed weight, fiber, and ash content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otal soyasaponin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t was noted that protein contents didn't have any relationship with group A, group B, DDMP moiety, and total soyasaponin. This fact suggested that protein contents are not affects the variation of soyasaponin concentration.
        53.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il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1,429 germplasms including 1,121 cultivated soybeans for sprout production and 308wild soybeans were analyzed by the NIRS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method at Yeongnam AgriculturalResearch Institute, M
        55.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LP marker의 유용성 을 알아보고자 재배콩과 야생콩을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과 유전분리 현상을 분석하였다. 공시 재료들의 polymorphism은 재배 콩과 야생 콩에서 각각 평 균 2 9%와 12.2%의 polymorphism을 보였으며, 재배 콩과 야생 콩에서 공히 유전적 다양성을 보인 DNA단편은 11개 primer 평균 24개를 나타내었다. Primer 조합별로도 polymorphism에 다양한 차이가 있었는데 평균 22.9%로 13.0-38.5%의 변이를 나타내었다. 재배 콩 간의 교잡후대(화엄풋콩 × PI417479) F2집단에서 AFLP marker의 유전분리 양상을 분석한 결과 3 : 1의 분리 비를 따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56.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general, it is known that smaller soybeans produce a higher sprout yield. The small soybean germplasm below 100 mg seed-1 is limited, so wild soybeans (Glycine soja) are useful genetic source for the breeding of small seed-size soybean for s
        58.
        2002.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129 soybean genotypes were collected in 43 island locations from January to May 2001. Seeds of 129 genotypes collected were analyzed for crude protein and fatty acid composition contents.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averaged to 41.1 % and ranged from 37.4% to 44.4%. The averag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ent were 12.0%, 4.0%, 23.2%, 55.5%, and 7.9%, and the ranges of those were 10.0% to 15.0%, 3.0% to 4.8%, 21.7% to 25.5%, 50.2% to 58.3% and 7.0% to 12.0%, respectively. Heritabiliries of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crude protein were higher, but that of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relatively lower. The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rude protein and oleic acid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ut that of linoleic acid showed highly opsitive correlation, but that of linoleic acid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and also palmitic acid,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59.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남해안 부근의 섬에서 재배되고 있는 재래종 검정콩 유전자원 45품종(135점)의 조단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 함량 변이는 34.70-44.20%(평균 40.75%),지방산 조성 변이는 palmitic acid에서 9.00-14.40%(평균 11.41%) stearic acid에서 2.90-5.00%(평균 3.93%), oleic acid에서 22.25-26.50%(평균 22.75%), linoleic acid에서 50.30-57.20% (평균 53.55%), linolenic acid에서 6.70-11.20%(평균 8.35%)의 변이를 보였다. 지방산에 대한 유전력은 oleic acid에서는 높았으나 stearic acid와 linolenic acid에서는 낮았으며 palmitic acid, linoleic acid는 조단백의 유전력과 같은 경향으로 중정도 이었다. 형질상호간의 상관 계수에서 조단백은 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차로 정의 상관을, lin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 차로 부의 상관을 보였고 기타의 지방산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