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97

        4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록바위솔속(Sempervivum)은 돌나물과(Crassulaceae)에 속한 하위 속이며 유라시아와 일부 북아프리카에서 분포한다. 상록바위솔속 식물들은 과거 여러 연구에서 약용작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그뿐만 아니라 상록바위솔속 식물은 관상용 식물로도 선호된다. 식물의 관상가치를 높이고 적합한 실내 재배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적절한 광조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상록바위솔 ‘블랙탑’(Sempervivum ‘Black Top’)을 실험식물로 공시하였으며, 실내재배에서 세 가지 LED 광질에 따른 ‘블랙탑’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8주 이후의 생장 결과를 조사했다. 결과적으로 ‘블랙탑’의 초장은 3000 K 백색 LED (peak 455, 600 nm)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엽장은 보라색 LED (peak 450, 650 nm)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대로 엽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생체중은 6500 K 백색 LED (peak 450, 545 nm)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물중은 3000 K 백색 LED와 6500 K 백색 LED가 동등한 유의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수치는 6500 K 백색 LED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라색 LED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나 엽록소 수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분광분포가 균일한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연쇄적으로 CIELAB 엽색분석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은 보라색 LED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스펙트럼이 한 쪽으로 편중될 경우 ‘블랙탑’ 엽색 품질 관리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위 조사항목들에 대하여 복합적으로 고려할 때 ‘블랙탑’의 생장 촉진과 엽색 품질의 증대를 위해 보라색 LED가 아닌 3000 K 백색 LED 혹은 6500 K의 백색 LED 하에서 재배할 것을 권고한다.
        4,000원
        43.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세 가지 컴퓨터 마우스 작업 시 보조기 유형(미착용, 손목보조기, 팔꿉보조기)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부산광역시에서 근무하는 20∼40대 사무직 근로자 36명을 대상으로 보조기 유형(미착용, 손목보조기, 팔꿉보 조기)에 따라 세 가지 컴퓨터 마우스 작업에 대한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마우스 작업은 과제 1(8개의 칸에 마우 스 왼쪽 버튼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클릭하기), 과제 2(검지를 이용하여 6페이지 분량의 문서를 마우스 휠을 돌려서 가장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되돌아 오기), 과제 3(모니터 바탕화면에 깔린 아이콘 별로 폴더에 드래그하여 옮기기 로 구성하였다. 과제 수행 중 대상자의 근활성도는 표면 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여 등세모근, 손가락굽힘근, 긴노쪽손목폄 근, 자쪽손목폄근을 측정하였고, 결과분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과제 1에서 손목보조기 착용 시 긴노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팔꿉보조기 착용 시에는 긴노 쪽손목폄근 및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과제 2에서는 손목보조기 착용 시 및 팔꿉보조기 착용 시 모두 긴노쪽손목폄근과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과제 3에서는 미착용, 손목보조기 착용, 팔 꿉보조기 착용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근활성도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과제 유형에 따라 손목보조기 또는 팔꿉보조기의 착용 효과가 근육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일부 과제에서 보조기 착용이 긴노쪽손목폄근 또는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44.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children's safety devices in a school zone. The analysis targets are yellow carpet type A (installed up to the floor and wall) and yellow carpet type B (installed only on the floor). METHODS : Based on field data collected at a school zone in Seoul, statistical 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ree different pairs of data: (1) none vs. yellow carpet type A, (2) none vs. yellow carpet type B, and (3) yellow carpet types A and B. The test employed two different measures: (1) the level of drivers’ eye attention and (2) the level of the vehicle deceleration rate. The study utilized software named "Visual Attention Software" to quantify the level of drivers’ eye attention at the location where children pedestrians were waiting for a green signal. It also utilized the Vegas (pro 17) image processing software to reduce the cruising speed data frame-by-frame from the video streaming data. The imag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with (1) camcorders attached to a test vehicle and (2) a drone aerial imaging technique. RESULTS :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the drivers’ eye attention level improved in the daytime when either of yellow carpet types A and B was placed; moreover, the safety enhancement effects were statistically identical. However, in nighttime, the measures only improved when the yellow carpet type A was placed. It was learned that yellow carpet type A provides significant safety effects according to both measures, i.e., the level of drivers’ eye attention and cruising speed. CONCLUSIONS : The test results suggest that the yellow carpet type A should be installed in school zones to maximize the safety effects of yellow carpets.
        4,200원
        45.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수자가 학습자를 위해 긍정적 가치탐색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4D 프로세스 기반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학습유형을 분류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긍정적 가치탐색 교육 방법은 학습자의 사고방식과 행동 변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의미와 가치발견에 중점을 둔 강점 기반 접근을 통해 학습 참여를 증진하고 지속 가능한 학습 환경과 배움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는 긍정적 가 치 탐색의 4D 프로세스를 토대로 한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 가치탐색 4D 프로세스 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육목표와 지향하는 역량개발에 따라 4D 프로세스에 적합한 학습 유형 분류와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학습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4D 프로세스 기반 4가지 학습유 형을 구조화하여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모형타당화를 진행하였다. 4D 프로세스 기반 학습모형 구성요소 도 출은 선행 문헌의 검토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구성요소의 구조화는 사례연구를 통해 진행하였다. 그 리고 해당 분야 전문가 검토를 통한 타당성 평가를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Discover, Dream, Design, Destiny 4D 프로세스는 탐색과 발견, 사고와 상상, 공유와 구성, 발표와 실천으로 개선되어 적용되었다. 학습에 적합하도록 보완된 4D 프로세스는 도달할 학습 목표와 개발할 학습자의 역량에 따라 탐구형, 창의 형, 과제해결형, 실천형으로 세분화하여 개발되었다. 개발된 학습모형에서의 학습유형은 다양한 교육 환경 에 맞게 긍정적 가치탐색 활동이 선택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6,300원
        46.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usage of abbreviations of foreign proper nouns used in media articles based on a basic understanding of Korean abbreviations, and see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ir use. Abbreviations of foreign proper nouns are widely used for reasons of economy, ease of identification, and to facilitate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here are two types of abbreviations. Romanized abbreviations are characterized by strong economy and identifiability but have difficulty conveying meaning, and they also distinguish the social classes of speakers by their knowledge of loan words or understanding of foreign languages, thereby threatening to undermine social integration. In contrast, abbreviations translated into Korean have the advantage of easily conveying meaning and not hindering language accessibility, but they are weak in identifiability and their number remains exceedingly small. The reason for the excessive use of Romanized abbreviations by the government and media seems to be that no provision for Korean translation abbreviations was made earlier.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publicize Korean abbreviations widely, as well as create good Korean translation terms with the introduction of foreign proper nouns into Korean.
        8,600원
        47.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독일에서는 사회보장수급권의 법원을 통한 소송적 실현이 매우 활성화 되어 있다. 2021년 독일의 1심 사회법원에 새로 접수된 소송사건 수는 2 80,953건이었다. 2021년 접수된 독일 법원의 전체 소송 중 9.6%가 사회 법원을 통하여 처리되는 사회보장소송이었다. 주요분쟁유형을 살펴보면 구직자를 위한 기초보장 사건 82,000건, 건강보험 사건 76,000건, 연금 보험 46,000건, 장애확정 절차 41,000건, 실업보험급여 등의 연방노동청 사건 17,000건, 법정 재해보험 16,000건, 사회부조 사건 12,000건 등의 순이었다. 가구제 절차도 매우 활발히 활용된다. 본안소송 사건 5건이 제 기될 때 1건의 가구제 신청이 이루어질 정도이다. 2021년에 처리된 1심 소송 사건 313,448건 중 원고나 신청인을 소송대리인이 대리한 건수는 2 33,546건(74.5%)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소송구조 제도도 매우 활발 히 활용되고 있다. 2021년에만 50,353건의 소송구조 결정이 내려졌다. 사회정책에 관한 시민들의 이해를 대변하는 단체인 Vdk나 독일 노동조합 총연맹 산하에 노동법, 사회법, 행정법에 관한 법률자문 및 법정 절차의 대리를 위하여 별도로 설립된 권리보호 협회(DGB Rechtsschutz Gmb H)도 사회보장소송 절차에서 수급자를 활발하게 지원하고 있다. 반면 한 국은 사회보장소송에 대한 별도의 통계가 없다. 행정소송에 관한 여러 통 계에 의하면 전체 소송 사건 중 사회보장소송이 차지하는 비율은 0.2∼0. 3% 정도로 추정된다. 적은 수의 사회보장소송은 실질적인 소가가 상대적 으로 높은 산업재해, 국가유공자 등의 사건에 몰려 있다. 국민기초생활보 장 등 공공부조 사건처럼 실질적 소가가 낮은 사건은 그 수가 극히 적다. 한국에서 법원을 통한 사회보장수급권 구제절차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법률상담, 소송비용, 소송구조 등의 측면에서 수급자의 소의 제기를 용이 하게 해줄 사회보장소송절차에 관한 특칙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사회보 장법 분야에서의 지나친 하위 행정입법에의 위임을 줄이고 법률에 구체적 인 수급요건 등을 규정하여 법관이 사회보장법에 관한 법해석론을 발전시 킬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사회보장소송에 대한 체계적인 통계를 작성하여 공간할 필요가 있다. 사회보장 분쟁에 대한 이 의신청 등 행정적 구제절차에서의 결정례의 정기적 공간도 필요하다.
        48.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기반 주방 과제 수행 시 나타나는 수행오류의 종류와 인지기능과의 상 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신경학적 결함이 없는 만 60세 이상 건강한 노인 38명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환경 내에서 주방 과제를 수행하였다. 주방 과제는 잼 버터 샌드위치 만들기를 시행하였다. 주방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수행오류 의 종류를 2명의 작업치료사가 각각 평가하였다. 아울러 캠브리지 전산화 신경 심리평가(Cambridge Neuropsychological Test Automated Battery; CANTAB)의 Stocking of Cambridge(SOC), Executive Function와 Spatial Working Memory(SWM)평가를 실시하였다. 주방 과제 시 보이는 수행오류의 빈도수와 각 인지 영역의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평가자 간 신뢰도는 SPSS 12.0을 통해 분석하고, 상관관계 분석은 Python을 사용하였다. 결과 : Omission 오류는 SOC의 움직임 횟수와 SWM의 전략 사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을 보였다(p < .05). 반면 commission 오류는 SOC의 움직임 횟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p < .001). 주방 과제를 수행하는 데 걸린 시간과 총 수행오류는 SOC의 움직임 횟수와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5). 결론 : 가상현실 기반 주방 과제에서 나타나는 수행오류는 작업기억 및 집행기능과 상관관계가 있고, 생태 학적 타당성이 높은 집행기능 평가로써 임상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크다. 향후 연구에서 환자 그룹을 대 상으로 인지기능에 따른 수행오류의 특성을 더욱 면밀하게 연구해나갈 필요가 있다.
        4,800원
        49.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울에 효과가 입증된 국내 자생 식물 9종(배초향, 적송, 강황, 생강, 산미나리씨, 불 수감, 황칠, 탱자, 쥐오줌풀) 을 선정하여 각각의 향기 성분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9종 정유를 조합하여 항 산화(DPPH, ABTS), 세포독성(MTS), 항염(Nitric oxide)실험을 수행하였다. 향기성분 분석결과 조합오일 에서 기연구된 우울완화 효과 성분인 DL-Limonene(38.44%), g-Terpinene(8.9%), Estragole(5.18%), a-Pinene(1.73%) 등이 동정되었다.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75.4%, ABTS 라디칼 소거능은 74.04%을 보였으며,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5uL/ml의 농도에서 NO 생성 저해능은 33.14%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하여 국내 블렌딩 정유의 우울증의 개선 또는 예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더불어 과학적 효능 과 성분 연구가 상호 협력적으로 이루어져 우울증적 증상 개선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 고자 한다.
        4,000원
        50.
        2023.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음양오행 성격의 특성 분석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음양오행에 따른 성격유 형 분석의 필요성이다. 연구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는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 였다. 수집된 자료의 실증분석은 SPSS 21.0과 AMOS 6.0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통 계학적 특성조사를 위해 빈도분석, 백분율산출, 평균과 표준 편차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음양의 심리적 특성을 내포한 음양오행 개념을 자연치유학의 임상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서는 음양오행 성격 이론과 질문 도구에 대한 신뢰 및 타당성에 관한 정립과 확인이 필요 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음양오행 성격 질문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탐색하고, 15 개의 측정 문항을 음양오행 성격 5유형으로 확인하였다. 음양오행론적 성격유형은 목지수, 화지수, 토지수, 금지수, 수지수 5가지로 나뉜다. 사용된 척도는 5요인 15문항이다. 음양오 행론을 토대로 한 성격유형을 알아보는데 기초적인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4,300원
        53.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ody type characteristics of tall adult men aged 20 to 69 years to present base material on body dimensions for men’s clothing companies. The research method comprised statistical analysis of 3D measurements after selecting items from the 8th Korean human body size survey related to the torso body types of 495 adult men who were at least 178cm tall. As a result, six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total explanatory variable of the entire factor was shown to be 80.499%.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thi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ree types were derived: Type 1, “a normal body type with an oval cross-sectional shape” (37.6%), with a larger vertical size and an oval chest cross-sectional shape compared to other types; Type 2: a “cylindrical thick body shape” (31.1%), which is the first stage of BMI obesity, with narrow shoulders and a cylindrical shape with a round cross-section; Type 3, “a body shape with broad shoulders and developed chest parts” (31.3%), with a horizontal size similar to Type 2 above the waist, but similar to Type 1 be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a clothing dimension system and clothing development for tall me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rso.
        4,600원
        54.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rchase channel journeys of MZ generation consumer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urchase channel journey of 20 women in the MZ generation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s a result, three purchase channel journeys were identified: mobile, multi-channel, and offline. These were variously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s. Gen Z’s journey was categorized into types: fashion platform app, Youtube, multi-channel supplement, multi-channel non-planned store visit, offline loyalty store, and impulsive offline store. Gen M’s journey was categorized as: an online community bond, portal site, online loyalty store, multi-channel brand involvement, multi-channel efficiency, a multi-channel conversion, offline efficiency and offline task. The difference in mobile journey between generations was found in the time and length of the purchase. Gen M recognized both online and offline search processes to be tiring, while Gen Z enjoyed the search process using the online path. In the offline journey Gen Z began with their own intention to purchase, while Gen M sometimes recognized that purchasing fashion products necessary for work was a cumbersome task.
        5,400원
        55.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난온대 도서지역을 광범위하게 조사해 TWINSPAN분석을 통해 식생을 유형화한 후에 유형별 입지환경과 군집구조 특성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식생유형별 복원전략을 도출하여 난온대림 복원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식생유형은 명료하게 8개로 나뉘었는데 군락Ⅰ∼Ⅳ는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이 우점한 양호한 상록활엽수림 이었다. 반면, 군락Ⅴ∼Ⅷ은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 인공조림지로 난온대 지역의 퇴행천이 식생이었다. DCA분석 결과로 도출된 환경요인은 해발고(최한월 평균기온)와 해안선에서 거리(내염성)였다. 2가지 환경요인에 따라 후박나무 림, 구실잣밤나무림, 가시나무류림 유형으로 난온대림 분포패턴이 명료해졌다. 3가지 식생유형을 복원대상지의 입지환 경을 고려해 복원목표 식생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군락Ⅴ∼Ⅷ에는 곰솔, 낙엽활엽수 등이 수관층을 형성했는 데 종자 확장력이 강한 상록활엽수종이 하층에 빈번하게 출현해, 상록활엽수림으로 식생천이 가능성이 컸다. 도서지역 에 산림이 사라진 황폐지는 협소하지만,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 등의 퇴행천이된 식생이 대면적을 이룬다. 이곳을 상록활엽수림으로 갱신하는 복원전략이 탄소중립 실현과 생물다양성 증진 측면에서 효과성이 더 클 수 있다.
        5,200원
        56.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지역 성인들의 부정적 정신적 습관 성향을 파악하고, 이에 영 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성인들의 건강한 정신적 습관 확립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력감 및 불안 성향, 자기중심적 인식 성향, 감정회피 및 자기도피 성향, 그리고 부정적 판단 성향을 4가지 부정적 정신적 습관 성향으로 구분하였고, 독립변인들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심리적 특성, 사회적지지 특성 및 환경적 스트레스 특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 제주지역 성인 800명이었 으며, 부실응답 등을 제외한 총 72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구분한 성인의 부정 적 정신적 습관 성향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은 아니었으나 세부적인 실태분석 결과는 정신적 습관 성향을 대비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성인의 부정적 정신적 습관 성향은 전체적으로 볼 때 각 성향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에 차이가 있었으나, 심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 그리고 환경적 특성이 중요한 영향 변수로 나타나 이러한 변인들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 요함을 보여주었다.
        5,800원
        58.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pavement behaviors and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group-axle types of heavy vehicles, such as single-, tandem-, and tridem-axles. METHODS : The concrete pavement performance indices (such as the rate of fatigue cracking and surface smoothness) according to the different group-axle types of heavy vehicles were predicted using the Korean pavement design program. It was assumed that the load magnitude was the same for each axle, and that the equivalent single-axle traffic volumes were the same for the different group-axle types. The concrete pavement stress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group-axle types of heavy vehicles were also analyzed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RESULTS : Based on the design criteria, the concrete pavement performance was the highest under tandem-axle traffic and lowest under single-axle traffic, although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criteria, the tensile stress of the concrete pavement was the largest under the single-axle load and smallest under the tridem-axle load when the load magnitude of each axle was the same.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considering both the design and analysis criteria, it was concluded that the groupaxle types (such as the tandem- and tridem-axle configurations of heavy vehicles) would not increase the stress or decrease the performance of concrete pavements relative to the single-axle configuration.
        4,000원
        59.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increasing heat wave warnings during the summer season in Korea have significant impacts on daily life and industry as a whole, especially in urban areas (such as areas with asphalt and sidewalk pavements). Heat waves directly affect urban heat island and heat dome phenomena. Various urban temperature reduction measures are being discussed to reduce urban heat islands and heat dome phenomena and to improve citizen safety against summer heat waves; suggestions include thermal packaging, rooftop greening, and expansion of vegetation areas. There is a lack of analysis on the methodology for increasing the road spraying effect during summer heat waves (e.g., there is no systematic engineering study on the effect from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road spraying during a heat wave in the city) and on the types of road pavements in the city. In addition, as the asphalt pavements of roadways and block pavements installed in sidewalks account for a considerable portion of all pavements, this study provides a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and procedures for reducing temperatures through road spraying in the city by tracking the effects of heat waves. METHODS : In this preliminary experiment, four types of road pavement materials were selected as test specimens: asphalt test specimens (AP- 300 mm × 300 mm × 50 mm), concrete test specimens (CP-300 mm × 300 mm × 50 mm), impermeable blocks (IB-200 mm × 200 mm × 60 mm), and self-permeable blocks (PB-200 mm × 200 mm × 60 mm). As a test method to evaluate the size and duration of each spray effect package type, the surface temperature of each specimen was measured using thermal imaging cameras every 20 min after spraying at the maximum temperature point of each specimen, and th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temperature data. In addition,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reduc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road pavements by road spraying in summer, field tests were conducted on asphalt roads and watertight blocks for sidewalk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ray effect under a 36 ℃ air temperature based on a heat wave warning, the surface temperatures were, from high to low, the asphalt (68.8 ℃), concrete (59.1 ℃), impermeable block (57.3 ℃), and permeable block (58.7 ℃). The asphalt pavemen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heat island and heat dome phenomena. From measuring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sustainability of each type of road pavement, the surfac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s were ranked in the following order: water-permeable block (Δ18.0 ℃), asphalt test piece (Δ17.5 ℃), concrete test piece (Δ12.2 ℃), and water-permeable block (over 240 min). In the report pitching block, the average road surface temperature reduction between the pore recovery and treatment was expected to continue to decrease by approximately -4.3 ℃ on the day of work and approximately -2.4 ℃ on the next day. The expected effect of the temperature reduction owing to simple spraying on the surface of the pore block was evaluated to be limited to the day. CONCLUSIONS : In the road spray effect analysis conducted on the common asphalt roa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initial temperature reduction size as the test specimen was measured, but the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non-spray section and spray section tended to be approximately Δ3°C after 140 minutes of spraying.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asphalt pavement temperature reduction plan through road spraying in urban areas in summer would be the most effective if it was repeated twice or more in an hour (between 13:00 and 14:00) on the day of the heat wave.
        4,000원
        60.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은 전국에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척박하고 습한 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하천변, 척박지에서 정원 용, 화훼용 및 관상용 식물로 이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털 부처꽃의 적정 육묘 조건(토양종류, 플러그 트레이 셀 크기,파종립수, 액비농도 및 차광)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원예상토) 에서 재배된 유묘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반면 피트모스 와 펄라이트의 혼합용토는 육묘기간이 지속되면서 생육수치 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셀 크기는 용적이 가장 큰 162 셀에서 재배된 유묘의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200셀과 288셀에 서 자란 묘도 건강했다. 한편 유묘의 결주발생을 고려하면 셀 당 2립을 파종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액비 처리는 유묘의 생 육을 촉진하였다. 특히 Hyponex 1000배는 초장, 줄기직경, 엽수, 마디수, 근장, 지상부 생체중 및 지하부 생체중을 증가 시켰다. 또한 유묘의 생육은 55% 차광 하에서 우수하였다. 따 라서 털부처꽃의 가장 효과적인 생육조건은 원예상토가 충진 된 288셀 플러그 트레이에 셀 당 2립을 파종하고 Hyponex 1000배를 시비하면서 55% 차광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