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

        41.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2019학년도까지 지속적으로 화학Ⅰ을 응시하는 학생이 감소하는 요인을 이를 지도하는 화학교사의 시각에서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1차로 27명의 화학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이 설문 조사의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7명의 화학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일부 문항은 교육과정의 범위를 다소 벗어났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항은 학생들이 추가로 학습 부담을 느끼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둘째로, 화학Ⅰ 응시자들은 다른 과목에 비해 시험시간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지나친 계산을 요구하는 문항과 IQ-test와 같은 시간잡는 문항이 이러한 문제를 가속 시켰다. 셋째로, 화학Ⅰ을 다른 과목에 비해 최저등급을 받기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3~4등급의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화학Ⅰ에서 다른 과목으로 응시과목을 변경하고 있었다. 화학Ⅰ의 응시자 감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준수한 출제, 개념과 원리 중심의 문항 개발이 필요하다.
        42.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입체적세기조절회전치료 시 조사체적과 선량 퍼짐 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조사 각도를 제한하는 부분 각도에 의한 회전치료 기능을 적용하여 표적체적과 주변 정상장기의 선량에 대해 입체조형방사선치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치료계획에 따른 표적체적의 선량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폐의 5 Gy(V5) 체적에서 입체조형방사선치료 56.53%, 세기변조방사선치료 52.03%, 입체적세기조절회전치료 47.84%를 나타내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CRT-IMRT p=0.035, CRT-VMAT p<0.001, IMRT-VMAT p<0.001). 10 Gy 체적(V10)에서는 입체조형방사선치료 35.12%, 세기변조방사선치료 34.04%, 입체적세기조절회전치료 33.28%를 보여, 입체조형방사선치료와 세기변조방사선치료(p=0.018), 입체적세기 조절회전치료(p=0.03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20 Gy 체적(V20)에서는 유의한 선량 차이를 확인 할 수 없었다. 심장의 평균선량과 20 Gy 체적은 치료계획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30, 40 Gy 체적은 입체적세기조절회전치료에서 37.16%, 22.46%를 나타내어 입체조형방사선치료와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p=0.028)를 보였다. 이와 같이 조사체적 감소에 따른 폐의 저 선량 체적(V5, V10)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입체적세기조절회전치료 시 조사 각도를 일부 제한함으로써 표적체적의 선량분포는 동일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조사체적을 줄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폐의 선량 퍼짐 현상의 감소로부터 폐의 독성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안면부 CT검사 시 치아교정용 충전물과 주변 해부학적 구조와의 밀도차이에 의해 발생한 화질 저하 정 도와 화질개선 방향을 실험을 통해 정량 및 정성적 분석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64-MDCT (Discovery 750 HD, GE HEALTH CARE, Milwaukee, USA)를 사용하여 치아 충전물로 교정한 치아를 스캔 하였으며 관전압 변화, 실리콘 적용, MAR 알고리즘 적용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전압 변화 시 140 kVp에서 10.36 % CT value가 감소하였으며, Silicon 물질 적용 시 약 5.81 %가 감소하여 감소율이 가장 적었다. 정성적 평가결과 MAR 알고리즘 적용 시 관찰자 10명 중 Equivalent가 7명, Acceptable로 3명이 평가하여 MAR 알고리즘 적용 시 상대적으로 가장 화질 개선 효과가 있다고 평가되었다. 따라서 현재 임상 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 파라미터와 더불어 고밀도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 하여 스캔 한다면 방사선 피폭선량에 대한 불필요한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밀도 인공물을 감 소시켜 영상 데이터의 소실을 줄여 보다 많은 영상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Due to the lack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 increase of sedentary behaviors such as screen time, the health condition for contemporaries has been deteriorat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use of worktable or tools unfit for body and sedentary behaviors can exercise influence on muscular skeletal disease and how it has an impact on lowering work efficiency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the medium of the muscular skeletal disea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has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5 hypothesis. The questionnaires were also made by interview and E-mail. 35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5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valid data responses. SPSS ver.22.0 were used and made Cronbach's and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Baron & α Kenny 3 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earch has found that living environment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occurrence of musculosketal disease. Particularly, repeated use of unfit worktable or tool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uscular skeletal disorder. And sedentary lifestyl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sease. The musculoskeletal disease caused by liv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lowering the work efficiency. This study has also showed that the muscular skeletal disease h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factors and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due to musculoskeletal disease.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can effect the decrease of the quality of life as well, for the decrease of work effici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Sedentary lifestyles, the use of worktable unfit for body, and the repeated use of a tool have caused the increase of muscular-skeletal diseases, and reduction of productivity as well as the hight cost of medical treatment for our contemporaries. Understanding the cause of disease morbidity, finding ways to prevent the disease, and educating people about them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improvement of individual health but also to the advancement of welfare for all.
        45.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emical blends (a combination of alum and aluminum chloride) on pH, N, and pathogens in duck litter during a six-week experiment. In total, 240 Pekin ducks (160 males and 80 females) were individually distributed into 16 pens, in a randomized experimental design consisting of four treatments and four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Our treatments included a control, T1 (75 g alum + 75 g aluminum chloride/kg duck litter), T2 (100 g alum + 100 g aluminum chloride/kg duck litter), and T3 (150 g alum + 150 g aluminum chloride/kg duck litt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pH and Total N (TN) at weeks 2, 4, and 6 and weeks 1, 4, 5, and 6,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H and TN among treatments at weeks 1, 3, and 5 and weeks 2 and 3, respectively. Regarding pathogens, we found small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in Escherichia coli populations from weeks 1 to 5 and in Salmonella enterica populations from weeks 1 to 3.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chemical blends to duck litter increased TN, which resulted in a lower litter pH,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athogen populations.
        4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5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2%를 차지하며 전체 노인 인구 중 독거 노인수가 2020년에 343만 명으로 늘 어날 전망이다(통계청, 2015). 독거노인은 일반 노인에 비해 친인척 등으로 부터의 도움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일상생활 수행에서도 도 움을 제공받기에 취약하여 우울감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Smith et al.,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물을 매개로 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독거노인들의 우울증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자원봉사센터에서 독거노 인 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12일부터 11월 17일까지 월 2회씩 총 16회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2급 복 지원예사 2명((사)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과 3명의 실습생이 보조를 하였다. 독거노인들의 근심, 침울감, 무력감, 무가치감을 나타내는 기 분장애인 노인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Sheikh와 Yesavage(1986)가 개발한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를 우리나라에 맞게 수정한 한국형 단 축 노인 우울척도지(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독거노인 의 우울감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우울감은 15.40±5.64점에서 17.73±3.5점으로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P=0.019). 프로그램 선호도는 꽃장식, 공예활동, 식물심기 순으로 선호하였다. 원예활동 시행 중 관찰된 변화는 처음에 무관심한 반응을 보이던 대상자가 시간 이 지남에 따라 표정이 밝아지며 말수가 늘었고 실습기간 동안 결석도 없이 적극적인 참여와 태도를 보여 주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보면 원 예활동 프로그램이 독거노인들의 우울감 감소에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47.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acute plasma stress responses in two size groups of juvenile Epinephelus akaara (average body weight: 8.4±2.1 and 3.3±0.6 g; 150 and 120 days after hatch, respectively) exposed to abrupt salinity drops (from 34 practical salinity unit, PSU seawater to 18, 10 PSU (experiment 1) or 26, 18, 10 PSU (experiment 2), respectively). Plasma glucose,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red blood cell counts, and gill histology were determined during 72 h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glucose,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levels, and red blood cell counts were observed in fish exposed to 18 or 10 PSU. Histological changes, such as hyperplasia and lifting of epithelium in the gill secondary lamellae, were also observed in fish exposed to 18 or 10 PSU at 72 h post-drop. E. akaara exposed to sudden salinity drops to 18 or 10 PSU still seems to undergo the primary adjustment phase before fish reaches a new homeostasis, whereas fish exposed to 26 PSU seems to mount osmotic changes. Therefore,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s for 72 h acute salinity challenge was 26 PSU in our study, and salinity drop to 18 PSU and below can possibly cause acute adverse effect, in which fish could be vulnerable to additional stresses such as a temperature changes or handling stress.
        48.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select five places among apartment houses (apartment), detached houses (including houses, villas), downtown area (markets, shops, restaurants) being operated in Korea and use the analysis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for treatment residues of weight reduction equipment as basic data. Also, we were to evaluate the recyclability by determining whether discharged treatment residues are available in the thermochemical process such as cement sintering facilities and power plants in which energy can be recovered based on the quality standards of Bio- SRF and SRF. Three components for food waste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moisture average, combustibles average and ash average were found to be 11.9% (2.0 ~ 24.8%), 78.9% (63.3 ~ 93.0%) and 9.2% (5.0 ~ 11.9%) respectively and all of them were found to satisfy less than 25%, the moisture content standard of Solid Refuse Fuel (SRF) products. The results of the elemental analysis were analyzed to be carbon average 49.71% (48.41 ~ 52.14%), hydrogen average 6.62% (31.32 ~ 40.63%), oxygen average 37.92% (31.32 ~ 40.63%), nitrogen average 3.82% (2.79 ~ 5.81%), sulfur average 0.26% (0.19 ~ 0.46%), chlorine average 1.67% (1.10 ~ 3.16%). In addition, the low-heating value measurement result is average 4,016.6 kcal/kg (3,255.9 ~ 4,657.9 kcal/kg) and turned out to satisfy most general Solid Refuse Fuel (SRF) product standards but that of Facility E is 3,255.9 kcal/kg and was analyzed not to meet the quality standard 3,500 kcal/kg. However, if maintaining the moisture content of treatment residues to 20% or less, it is determined to satisfy the caloric value standards of general Solid Refuse Fuel products.
        49.
        2015.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bush Decreases (FD) are transient, sudden reductions of cosmic ray (CR) intensity lasting a few days, to a week. Such events are observed globally using ground neutron monitors (NMs). Most studies of FD events indicate that an FD event is observed simultaneously at NM stations located all over the Earth. However, using statistical analysis, previous researchers verified that while FD events could occur simultaneously, in some cases, FD events could occur non-simultaneously.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e statistical reality of non-simultaneous FD events 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y occur, using data from high-latitude and middle-latitude NM stations. In this study, we used long-term data (1971-2006) from middle-latitude NM stations (Irkutsk, Climax, and Jungfraujoch) to enhance statistical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the variation of cosmic ray intensity during the main phase, is lar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imultaneous FD events, than for non-simultaneous ones. Moreover, the distribution of main-phase-onset time shows differences tha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onset times for the simultaneous FDs are distributed evenly over 24- hour intervals (day and night), those of non-simultaneous FDs are mostly distributed over 12-hour intervals, in daytime. Thus, the existence of the two kinds of FD event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ir statistical properties, were verified based on data from middle-latitude NM stations.
        50.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3'-diindolylmethane(DIM)이 인간전립선암 세포인 PC3 세포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IM은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4시간동안 DIM으로 PC3 세포를 전 처리한 후 부착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암세포가 부착 시 DIM의 암세포 부착 억제가 전처리에 의한 부착 억제보다 효과적이었다. DIM 은 인간 전립선암세포의 이동과 침윤도 억제하였으며 24시 간 동안 PC3 세포를 DIM으로 전처리를 했을 때도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IM의 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PC3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DU145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DIM은 150 μ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 DIM은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인 PC3와 DU145 세포의 부 착, 이동,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립선암 전이 억제 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의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수원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상수도시설은 준공 후 관의 매설로 인하여 관의 부식 및 노후화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수도관로의 누수 파악과 누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막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S대교의 누수량을 조사하고 시축관 설치 후의 누수량과 비교하여 누수감소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누수감소율이 약 98 %로 나타났으며, 이는 신축관을 설치하여 누수량을 감소하고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53.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엔트로피 개념을 적용해 퍼즐 게임 플레이를 분석함으로써 퍼즐 게임 플레이의 원동력을 고찰하였다. 엔트로피는 하나의 닫힌 시스템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에너지의 불가용성과 무질서의 정도를 의미한다. 이때 닫힌 시스템의 엔트로피의 증가 정도는 이 시스템을 하나의 전체 즉, 장(場)으로 볼 때만 파악가능하다. 퍼즐 게임 역시 플레이어가 하나의 기호를 조작하면 장(場) 전체가 변화하는 닫힌 계 이다. <비주얼드>에서 플레이어는 자리바꿈이라는 기호 조작을 통해 플레이 장(場)을 지속적으로 자리바꿈이 가능한 장(場)으로 변화시킨다. 이것은 엔트로피의 관점에서 에너지의 가용성을 높이는 플레이 행위로 불 수 있다. 한편 <테트리스>에서 플레이어는 기호 조작을 통해 빈 공간 없이 기호들을 플레이 장(場) 하단에 쌓는다. 이것은 엔트로피의 관점에서 질서를 추구하는 플레이 행위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퍼즐 게임의 플레이는 엔트로피 증가로 나아가는 물리적 세계에서 질서를 추구하는 인간의 삶의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는 행위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플레이의 원동력이 된다.
        5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수출 컨테이너 처리 과정은 장치장에 반입하는 작업과 선박에 적하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선박에 적하할 때는 선박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무거운 컨테이너를 선박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때문에 적하를 위하여 장치장에서 컨테이너를 반출할 때 재취급이 발생하게 되며, 재취급 횟수는 전체 작업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재취급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컨테이너가 장치장에 반입이 완료된 뒤의 유휴시간을 이용하는 방안이 많이 연구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가 장치장에 반입되는 시점에 컨테이너의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선처리를 실행하여 재취급을 줄이는 방안들을 제안한다. 이 방안들은 적하를 위한 반출시 발생할 수 있는 재취급을 반입시에 줄이는 선처리 방법들로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 결과 선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5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luent phosphorus concentration on the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in sequencing batch reactor(SBR) and 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s(SBBRs) in order to recover the 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EBPR) capacity at the sludge of the deterioration of EBPR capacity. In SBBRs, comparing to SBR, the organic removal was occurred actively at the 1st non-aeration period because of the active phosphorus release at this period. However, the variation of TOC removal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influent phosphorus concentration was not clearly shown both in SBR and SBBRs. In case of SBR losing EBPR capacity, the EBPR capacity was not recovered by the decrease of the influent phosphorus concentration from 7.5 mg/L to 0.9 mg/L. The nitrogen removal increased by the decrease of influent phosphorus concentration both in SBR and SBBRs.
        1 2 3 4